KR101242531B1 -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2531B1 KR101242531B1 KR1020090092766A KR20090092766A KR101242531B1 KR 101242531 B1 KR101242531 B1 KR 101242531B1 KR 1020090092766 A KR1020090092766 A KR 1020090092766A KR 20090092766 A KR20090092766 A KR 20090092766A KR 101242531 B1 KR101242531 B1 KR 101242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ze
- mobile terminal
- information
- screen
- siz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별도로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에 정보가 표시된 휴대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 사용자 영상을 촬영한다. 휴대단말이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그리고 휴대단말이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 즉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한다. 또한 시선이 집중되는 특정 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된 이후에 시선이 이동하면, 휴대단말은 시선을 따라서 확대 또는 축소되는 부분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정보 중에서 확대 또는 축소를 원하는 특정 영역에 시선을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시선, 눈, 주목, 화면, 영상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면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의 화면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통신 기술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은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통하여 음성 정보,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휴대단말은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이미지, 텍스트 등이 작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서 특정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조작해서 해당 영역을 확대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화면 처리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화면 처리 모드에서 확대를 원하는 특정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한 특정 영역을 처리하는 기능키를 호출하고, 호출한 기능키 중에서 선택한 특정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키를 선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화면에서 특정 영역의 정보를 확대하기 위해서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휴대단말의 입력장치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환경(예컨대, 복잡한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특정 영역의 정보를 확대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데 불편이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는 과정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유는 키입력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입력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키패드 방식에 비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의 휴대단말에서 키입력에 따른 입력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즉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단말은 가상키패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키입력을 수신하게 되는데, 키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목표하는 키에 인접한 다른 키의 터치에 따른 입력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시선 집중을 통하여 화면의 특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는 화면에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에 따른 크기 조절 방식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에 따른 크기 조절 방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크기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 신호로 확대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 신호로 축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확대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확대키와, 상기 축소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축소키를 구비한 크기 조절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면에 정보가 표시된 휴대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적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사용자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된 얼굴 영상에서 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눈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 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선을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추출한 눈의 영상정보로 시선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시선 방향과 상기 화면과의 교점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시선이 집중된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상기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산출된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시선이 집중된 상기 정보의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율은 상기 산출된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은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시선이 상기 화면을 벗어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크기가 조절된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은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시선이 상기 화면 상에 이동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하여 표시하는 크기 조절 및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및 복원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은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확대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축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대 요청 신호 또는 축소 요청 신호를 키입력, 음성입력 및 제스처 입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는 메뉴 항목, 텍스트 정보, 가상키패드,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시선 추적 중 화면에서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즉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입력장치)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시선 집중을 통하여 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을 쉽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이 확대 또는 축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 내에서 이동하면, 휴대단말은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정보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은 시선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있는 정보 부분에 대해서,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은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복원하여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잡은 상태에서 시선 집중만으로 휴대단말의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사용하고, 시선 이동을 통하여 크기가 조절된 화면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은 입력부(11), 저장부(13), 카메라부(15), 표시부(17) 및 제어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은 시선 인식을 위한 카메라부(15)를 구비하는 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는 휴대단말(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1)를 통해 표시부(17)의 화면에 정보 표시를 요청하고, 시선 인식을 통하여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화면 크기 조절 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확대를 요청하는 확대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확대키와,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축소를 요청하는 축소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축소키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키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1) 는 크기 조절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고, 기존의 키 중에 적어도 하나에 해당 기능을 매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11)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3)는 휴대단말(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저장부(13)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예컨대 시선이 집중되는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휴대단말(10)에서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서, 메뉴 항목, 텍스트 정보, 가상키패드,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3)는 정보의 종류에 따른 크기 조절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크기 조절 방식은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크기를 조절하는 제1 크기 조절 방식과,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정보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하는 제2 크기 조절 방식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기 조절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항목, 텍스트 정보 및 가상키패드에 대한 크기 조절 방식으로 제1 크기 조절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에 대한 크기 조절 방식으로 제2 크기 조절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5)는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카메라부(15)는 이미지 센 서, 신호처리부 및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영한 영상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19)나 표시부(17)를 통해 출력하거나 저장부(13)에 저장한다. 휴대단말(10)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5)를 포함하거나, 카메라부(15)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7)는 휴대단말(1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13)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7)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의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7)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휴대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특히 제어부(19)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실시간 화면 처리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9)는 카메라부(15)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수신한다. 제어부(19)는 수신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9)가 확대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9)가 축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확대 요청 신호 및 축소 요청 신호는 입력부(11)의 특정키, 예컨대 확대키 및 축소키를 통하여 제어부(19)로 입력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확대 요청 신호 또는 축소 요청 신호는 음성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통하여 제어부(19)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9)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9)는 카메라부(15)로 촬영한 사용자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추출한 얼굴 영상에서 눈을 추출하고, 추출한 눈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예컨대, 얼굴 영상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DA(Fisher Discrimina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추출한 얼굴 영상에서 얼굴구성요소인 눈을 adaboost 또는 SVM(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추출한 눈의 위치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여기서 adaboost는 객체의 형태를 추출하기 위한 학습 알고리듬으로, Yoav Freund and Robert E. Schapire 에 의한 "A decision-theoretic generalization of on-line learning and an application to boosting", In Computational Learning Theory: Eurocolt '95, pp. 23-37, Springer-Verlag, 1995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 외 제어부(19)는 수신한 사용자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얼굴 영상에서 눈을 추출하기 위해서, ASM(Active Shape Modelling), AAM(Active Appearance Modelling) 등과 같은 얼굴 모델링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9)는 다음과 같이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9)는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19)는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19)는 산출된 시간이 설정된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시선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의 위치를 산출한다. 한편 임계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시선이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시선을 집중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9)는 다음과 같이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추출한 눈의 영상정보로부터 시선 방향을 산출한다. 제어부(19)는 산출한 시선 방향과 화면과의 교점으로부터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는 적외선 센서(도시안됨)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9)는 다음과 같이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산출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는 산출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후,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는 산출된 위치 또는 이동한 중심 위치에 대해서 정보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하거나,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는 후자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전자를 예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는 제어부(19)는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기를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정보가 메뉴 항목인 경우, 제어부(19)는 시선이 집중되는 특정 메뉴 항목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정보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제어부(19)는 메뉴 항목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선이 집중되는 텍스트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정보가 가상키패드인 경우, 제어부(19)는 메뉴 항목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선이 집중되는 키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정보가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인 경우, 제어부(19)는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는,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에 포인터(pointer)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시선 집중을 통하여 정보의 특정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한 이후에 해당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시선이 집중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때, 제어부(19)는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정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시작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시선이 집중된 정보의 위치에서 시선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정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정지한다. 이때 정보의 크기 조절율은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에 비례하며,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에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비례하게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정보의 크기 조절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이후에, 제어부(19)는 사용자의 시선을 계속적으로 추적한다.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을 벗어나면, 제어부(19)는 크기가 조절된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이때 산출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한 경우, 제어부(19)는 해당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산출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9)는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키거나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크기가 조절된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한편으로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이 확대 또는 축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 내에서 이동하면, 제어부(19)는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정보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는 시선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있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은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복원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은 제어부(19)가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에 대한 화면 처리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어부(19)와는 별도의 화면처리부를 구비하여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에 대한 화면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시 선 추적 중 화면에서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11)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시선 집중을 통하여 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을 쉽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이 확대 또는 축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 내에서 이동하면, 휴대단말(100)은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정보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시선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있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100)을 잡은 상태에서 시선 집중만으로 휴대단말(100)의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사용하고, 시선 이동을 통하여 크기가 조절된 화면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100)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의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의 일 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선 추적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S2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표시부(17)의 화면에 정보를 표시한다. 정보는 메뉴 항목, 텍스트 정보, 가상키패드,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S25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화면 크기 조절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신호로 확대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10)은 화면 확대 모드를 실행한다. 사용자의 선택 신호로 축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10)은 화면 축소 모드를 실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 요청 신호 및 축소 요청 신호는 입력부(11)의 특정키, 예컨대 확대키 및 축소키를 통하여 휴대단말(10)로 입력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확대 요청 신호 또는 축소 요청 신호는 음성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통하여 휴대단말(1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크기 조절 모드가 S20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S3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카메라부(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다음으로 S4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S40단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41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한다. 이어서 S43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추출한 얼굴 영상에서 눈을 추출한다. 그리고 S45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추출한 눈의 위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예컨대 휴대단말(10)은 촬영한 영상에서 상대방의 얼굴 영상을 PCA, FDA, ICA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10)은 추출한 얼굴 영상 에서 눈을 adaboost 또는 SVM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0)은 추출한 눈의 위치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S50단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51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화면 상에서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S53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산출된 시간이 설정된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3단계의 판단 결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10)은 S5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임계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시선이 이동하는 경우, 휴대단말(10)은 정보의 현재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S53단계의 판단 결과 초과한 경우, S55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사용자가 시선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선이 집중된 정보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때 휴대단말(10)은 추출한 눈의 영상정보로부터 시선 방향을 산출한다. 휴대단말(10)은 산출한 시선 방향과 화면과의 교점으로부터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시선이 집중된 정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10)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시선이 집중된 정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6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S25단계에서 선택된 크기 조절키가 확대키인지 축소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6단계의 판단 결과 확대키가 선택된 경우, S57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산 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를 확대한다. 예컨대 휴대단말(10)은 다음과 같이 정보를 확대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정보의 확대를 시작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집중된 정보의 위치에서 시선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정보의 확대를 정지한다.
이때 정보의 확대율은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에 비례하며,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에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비례하게 정보를 확대할 수 있다. S57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산출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10)은 산출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후,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정보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10)은 산출된 위치 또는 이동한 중심 위치에 대해서 정보를 전체적으로 확대하거나,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S56단계의 판단 결과 축소키가 선택된 경우, S58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를 확대한다. 그리고 정보를 축소하는 방식 또한 확대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S6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이후에 시선이 화면에서 이탈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된 이후에, 휴대단말(10)은 사용자의 시선을 계속적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0)은 시선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되, 시선이 화면을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0단계의 판단 결과 시선이 화면을 이탈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10)은 S50단계에 따른 정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S60단계의 판단 결과 시선이 화면을 이탈하는 경우, S7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크기가 조절된 부분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예컨대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을 벗어나면, 휴대단말(10)은 크기가 조절된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이때 산출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보의 크기를 조절한 경우, 휴대단말(10)은 해당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산출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경우, 휴대단말(10)은 크기 조절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키거나 산출된 위치를 화면에 중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크기 조절된 배율에 대응하는 반대되는 배율로 정보를 복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의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5 및 도 6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할 때,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에 대해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이 확대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먼저 시선 집중에 의해 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이 집중된 정보 부분을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7)의 화면에 정보로서 영상(81)이 표시된다. 영상(81)으로는 산 위에 달이 뜬 이미지 정보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화면에서 달에 시선을 집중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표시부(17)는 달을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도면부호 83은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가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표시될 수도 있고 표 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부호 85는 확대된 영상을 가리킨다.
그리고 시선 집중에 의해 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이 집중된 정보 부분을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한 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달에 시선을 집중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은 달을 화면의 중심(O)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휴대단말(10)은 화면의 중심에 위치한 달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도면부호 87은 확대된 영상을 가리킨다.
또는 시선 집중에 의해 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집중된 정보 부분을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후 시선이 집중된 달을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시선 집중에 의해 정보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전술된 확대 방식과는 반대로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확대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의 다른 예를 도 1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S20단계 내지 S50단계까지는 도 2 내지 도 4에 개시된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S50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S60단계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S6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정보의 크기가 조절된 이후에 시선의 이동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정보의 크기가 조절된 이후에, 휴대단말(10)은 사용자의 시선을 계속적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휴대단말(10)은 시선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S6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시선의 이동이 없는 경우,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집중된 부분의 정보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S6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시선의 이동이 있는 경우, S7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시선 이동 방향으로 크기가 조절된 정보의 부분을 이동시킨다. 즉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화면 내에서 이동하면, 휴대단말(10)은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정보를 연속적으로 크기 조절 및 복원시켜 표시한다. 이때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은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복원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의 특정 영역을 주시한 이후에, 다른 부분을 일정 시간 주시하지 않더라도 시선 이동을 통하여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연속적으로 크기를 조절하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0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이동 중인 시선이 화면에서 이탈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시선이 화면에서 이탈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10)은 S6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그리고 S8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시선이 화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휴대단 말(10)은 S4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예컨대 시선이 화면을 이탈하는 순간 휴대단말(10)은 S40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거나, 시선의 화면 이탈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휴대단말(10)은 S40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선이 화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휴대단말(10)은 정보를 원상태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10)의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8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8에서는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이 확대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7)의 화면에 정보로서 영상(81)이 표시된다. 영상(81)으로는 산 위에 달이 뜬 이미지 정보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화면에서 달에 시선을 집중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은 달을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도면부호 83은 시선이 집중되는 부분을 가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부호 85는 확대된 영상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달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시선 이동 방향으로 정보의 확대 부분을 이동시킨다. 이때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 예컨대 산 부분은 확대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예컨대 달 부분은 복원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 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시선 추적 중 시선이 집중되는 화면의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 즉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더라도 시선 집중을 통하여 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을 쉽게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잡은 상태에서 시선 집중만으로 휴대단말의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휴대단말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선 추적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선이 집중되는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화면 처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면 처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휴대단말
11 : 입력부
13 : 저장부
15 : 카메라부
17 : 표시부
19 : 제어부
Claims (20)
-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사용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선을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선 방향과 상기 화면과의 교점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시선이 집중된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에 따른 크기 조절 방식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종류에 따른 크기 조절 방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크기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
- 제1항에 있어서,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 신호로 확대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고,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 신호로 축소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상기 확대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확대키와, 상기 축소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축소키를 구비한 크기 조절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처리하는 휴대단말.
- 화면에 정보가 표시된 휴대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정지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선을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시선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시선 방향과 상기 화면과의 교점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대한 눈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시선이 집중된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사용자 영상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추출된 얼굴 영상에서 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눈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조절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상기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상기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산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근방의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산출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을 시작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시선이 집중된 상기 정보의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표시 단계에서,상기 정보의 크기 조절율은 상기 산출된 시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상기 시선이 상기 화면을 벗어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크기가 조절된 영역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상기 시선이 상기 화면 상에 이동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정보 부분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 및 복원하여 표시하는 크기 조절 및 복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및 복원 단계에서,상기 휴대단말은 시선이 위치하는 지점의 정보 부분은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시선이 지나간 지점의 정보 부분은 복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상기 휴대단말이 확대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상기 휴대단말이 축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 추적 중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단계;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확대 요청 신호 또는 축소 요청 신호를 키입력, 음성입력 및 제스처 입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에서,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시선이 집중되는 상기 정보 부분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 제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보는 메뉴 항목, 텍스트 정보, 가상키패드,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화면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766A KR101242531B1 (ko) | 2009-09-30 | 2009-09-30 |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2766A KR101242531B1 (ko) | 2009-09-30 | 2009-09-30 |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162A KR20110035162A (ko) | 2011-04-06 |
KR101242531B1 true KR101242531B1 (ko) | 2013-03-12 |
Family
ID=4404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2766A KR101242531B1 (ko) | 2009-09-30 | 2009-09-30 |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25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27101B2 (en) | 2022-08-12 | 2024-07-0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037B1 (ko) * | 2009-10-13 | 2013-04-12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시선 및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KR101479471B1 (ko) * | 2012-09-24 | 2015-01-13 | 네이버 주식회사 |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US9684372B2 (en) | 2012-11-07 | 2017-06-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
US9019170B2 (en) | 2013-03-14 | 2015-04-28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98277B1 (ko) | 2013-06-11 | 2020-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인성 개선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
JP2016533114A (ja) | 2013-08-21 | 2016-10-20 |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 視線方向によって制御されるパン機能を有するビデオディスプレイ |
WO2015037767A1 (en) * | 2013-09-16 | 2015-03-19 | Lg Electronics Inc.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50068112A (ko) | 2013-12-11 | 2015-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
CN114140897A (zh) * | 2021-12-07 | 2022-03-0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手持终端、巡检方法和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6897B1 (ko) | 1994-04-12 | 1999-05-01 | 캐논 가부시기 가이샤 |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
JP2000132152A (ja) | 1998-10-27 | 2000-05-12 | Sharp Corp | 表示装置 |
KR20060039120A (ko) * | 2004-11-02 | 2006-05-0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09
- 2009-09-30 KR KR1020090092766A patent/KR1012425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6897B1 (ko) | 1994-04-12 | 1999-05-01 | 캐논 가부시기 가이샤 |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
US5990954A (en) * | 1994-04-12 | 1999-11-23 | Canon Kabushiki Kaisha |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al operation controlled by a viewpoint detector |
JP2000132152A (ja) | 1998-10-27 | 2000-05-12 | Sharp Corp | 表示装置 |
KR20060039120A (ko) * | 2004-11-02 | 2006-05-08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27101B2 (en) | 2022-08-12 | 2024-07-0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162A (ko) | 201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2531B1 (ko) |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
KR101254037B1 (ko) | 시선 및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 |
US11967039B2 (en) | Automatic cropping of video content | |
US10901513B2 (en)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 |
EP3244413B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 |
JP6316540B2 (ja) | 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150362998A1 (en) | Motion control for managing content | |
US11979656B2 (en)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ssisted photo- taking | |
KR101971982B1 (ko)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
US10095384B2 (en) |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 |
CN107172347B (zh) | 一种拍照方法及终端 | |
WO2014201831A1 (en) | Wearable smart glasses as well a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19896B1 (ko) |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및 시선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 |
KR102070598B1 (ko) |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1911680B1 (ko) |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 |
WO2015127731A1 (zh) | 软键盘布局调整方法及装置 | |
US11995899B2 (en) | Pointer-based content recognition using a head-mounted device | |
CN111078044A (zh) | 一种终端的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 |
CN109753143B (zh) | 一种优化光标位置的方法和装置 | |
CN114612928A (zh) | 手势识别方法及其电子设备和可读介质 | |
CN115480690A (zh) | 分屏显示方法、分屏显示装置和电子设备 | |
CN117785010A (zh) |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 |
AU2016231593B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