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120A -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120A
KR20060039120A KR1020040088177A KR20040088177A KR20060039120A KR 20060039120 A KR20060039120 A KR 20060039120A KR 1020040088177 A KR1020040088177 A KR 1020040088177A KR 20040088177 A KR20040088177 A KR 20040088177A KR 20060039120 A KR20060039120 A KR 2006003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point
displayed
key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582B1 (ko
Inventor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82B1/ko
Priority to US11/071,927 priority patent/US7213215B2/en
Priority to CNB2005100656986A priority patent/CN100535985C/zh
Publication of KR200600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써, (a)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위치변경된 영상을 찾기 위해 위치이동을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전체 영상 중 어느 부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me is enlarged or reduc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법 중 영상 확대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시 예이다.
도 3은 도 1의 방법 중 위치변경 후 영상 확대/축소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 시예 이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8는 도 7에 의한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써,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 후(100단계),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확대 또는 축소키가 입력되면(102단계),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좌표를 기준점으로 하여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한다(104단계).
도 2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확대키를 입력한 후에 확대된 영상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시 예로써, (a-1), (b-1) 및 (c-1)은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나낸다.
도 2a의 (a-1)은 원래 영상에서 확대키를 눌렀을 경우, 원래 영상에서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로 표시된 부분)은 원래 영상의 중심좌표가 된다.
도 2b의 (b-1)은 (a-1) 화면에서 확대키를 한번 더 눌렀을 경우, (a-1) 화면에서 더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원래 영상의 중심좌표로써, (a-1) 화면의 기준점과 동일하다.
도 2c의 (c-1)은 (b-1) 화면에서 확대키를 한번 더 눌렀을 경우, (b-1) 화면에서 더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원래 영상의 중심 좌표로써, (a-1) 및 (b-1) 화면의 기준점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영상의 중심좌표가 된다.
이후, 위치변경 키가 입력된 경우(106단계),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어 디스플레이 되며(108단계), 이 상태에서 확대 또는 축소키가 입력된 경우, 위치가 변경된 영상의 중심 좌표를 기준점으로 하여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도 1의 방법 중 위치변경 후 영상 확대/축소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 시 예로써, (a-2), (b-2) 및 (c-2)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나낸다.
도 3a의 (a-2)는 원래 영상을 확대한 후, 오른쪽 윗부분으로 위치변경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로 표시된 부분)은 원래 영상의 중심좌표가 아니라 위치변경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a-2) 화면의 중심좌표가 된다.
도 3b의 (b-2)는 (a-2) 화면에서 축소키를 눌렀을 경우, (a-2) 화면에서 축소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축소의 기준점은 위치변경 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a-2) 화면의 중심좌표가 된다.
도 3c의 (c-2)는 (b-2) 화면에서 확대키를 눌렀을 경우, (b-2) 화면에서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축소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b-2) 화면의 중심좌표가 된다.
위치변경된 (a-2) 화면에서 축소 및 확대를 하게되면, 원래의 (a-2) 화면이 아닌 (c-2)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므로, (a-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도 3d의 (d-2) 화면으로 위치이동을 해야만 한다.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경우, 확대 또는 축소의 기준점은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의 중심좌표가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위치변경 후에 기준점이 변경되기 때문에,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위치변경된 영상을 찾기 위해서는, 화면 내에서 위치 이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중심좌표가 순간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이 전체 영상 중 어떤 곳인지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위치변경된 영상을 찾기 위해 위치이동을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전체 영상 중 어느 부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 없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축소/확대하는 키가 입력되었는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 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키 입력 판단부에서 판단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 하는 기준점 설정부; 및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설정부는 상기 축소/확대 키가 입력된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유지하고, 상기 위치변경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기준점 및 재설정된 기준점을 저장하는 기준점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위치변경 후에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써, (a)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변경 없이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키(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키(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13)가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13)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선택키(15)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키(18)는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키(31), 모니터키(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LCD)(35), 노출보정/삭제키(36), 엔터/재생키(37), 메뉴/OK키 (38), 광각(wide angle)-줌(zoom)키(39w), 망원(telephoto)-줌키(39t),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 재생모드(Playback)키(42)이 있다.
모니터키(3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LCD)(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키(32)를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4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노출보정/삭제키(36)는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키로 사용된다.
엔터/재생키(37)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OK키(38)는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는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을 수행할때 사용된다.
재생모드키(42)는 마지막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렌즈부(20)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키(도 5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키(도 5의 39t)를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키(도 5의 39w)가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키(39t)가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5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5의 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도 4의 13), 모드 다이얼(도 4의 14), 기능-선택키(도 4의 15), 기능-블록키(도 4의 18), 모니터키(도 5의 32), 확인/삭제키(도 5의 36), 엔터/재생키(도 5의 37), 메뉴/OK키(도 5의 38), 광각-줌키(도 5의 39w), 망원-줌키(도 5의 39t), 상향-이동키(도 5의 40up), 우향-이동키(도 5의 40ri), 하향-이동키(도 5의 40lo) 및 좌향-이동키(도 5의 40le)를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 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 즉 표시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와 플래시 제어기(511)를 통하여 구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도 6 중 사용자 입력부(INP), 마이크로 제어기(512), 디스플레이할 영상이 저장된 DRAM(504) 또는 메모리카드(미도시)(설명의 편의상 이하, 504로 표기함) 및 디스플레이 패널(35)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 스플레이 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 없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현재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키입력 판단부(512-1), 기준점 설정부(512-2), 기준점 저장부(512-3)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를 포함한다.
키입력 판단부(512-2)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키가 입력되었는지,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대하는 키는 망원-줌키(39t)이고,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축소하는키는 광각-줌키(39w)이다. 디스플레이 패널(35) 내에서 영상의 위치를 변경, 즉 영상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키는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가 있다.
기준점 설정부(512-2)는 키입력 판단부(512-1)에서 판단된 키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여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새로운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먼저, 기준점 설정부(512-2)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이하, 제1 기준점이라 표기)을 설정하여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 즉, 기 준점 설정부(512-2)에서 설정하는 기준점은 디스플레이된 영상화면의 중심좌표가 된다. 이후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의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위치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 이하, 재설정된 기준점을 제2 기준점이라 표기한다.
키입력 판단부(512-1)의 판단결과,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확대하는 키는 망원-줌키(39t) 또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축소하는키는 광각-줌키(39w)가 입력된 경우,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지 않는다. 기준점 저장부(512-2)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제1 기준점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는 제1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8a-c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망원-줌키(39t)를 입력한 후에 확대된 영상 화면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a-8), (b-8) 및 (c-8)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나낸다.
도 8a의 (a-8)는 원래 영상에서 확대키를 눌렀을 경우, 원래 영상에서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로 표시된 부분)은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기준점이 된다.
도 8b의 (b-8)은 (a-8) 화면에서 망원-줌키(39t)를 한번 더 눌렀을 경우, (a-8) 화면에서 더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제1 기준점이 된다.
도 8c의 (c-8)은 (b-8) 화면에서 망원-줌키(39t)를 한번 더 눌렀을 경우, (b-8) 화면에서 더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제1 기준점이 이 된다.
키입력 판단부(512-1)의 판단결과,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이동하는 즉,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또는 좌향-이동키(40le)가 입력된 경우,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기준점 설정부(512-3)에 저장한다. 기준점이 재설정된 상태에서 망원-줌키(39t) 또는 광각-줌키(39w)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는 재설정된 제2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8d-f에 위치변경 후 영상 확대/축소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 시 예로써, (d-8), (e-8), (f-8) 및 (g-8)은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나낸다.
도 8d의 (d-8)는 (c-8) 화면에서, 상향-이동키(40up) 및 우향-이동키(40ri)를 입력하여, 오른쪽 윗부분으로 위치 변경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로 표시된 부분)은 원래 영상의 기준점 즉 제1 기준점이 아니라, 기준점 설정부(512-2)에서 재설정한 제2 기준점이 된다. 위치변경키에 의해 영상이 이동하였으므로,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
도 8e의 (e-8)는 (d-8) 화면에서 광각-줌키(39w)를 눌렀을 경우, (d-8) 화면에서 축소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축소의 기 준점은 위치변경 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d-8) 화면의 중심좌표, 즉 제2 기준점이 된다. 도 8d의 (d-8)는 제2 기준점을 중심으로 축소하였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는 표시 영역을 도 8e의 (e-8)화면과 같이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데, 이때 기준점은 제2 기준점으로 변화가 없다.
도 8f의 (f-8)는 (e-8) 화면에서 망원-줌키(39t)를 눌렀을 경우, (e-8) 화면에서 확대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확대의 기준점은 제2 기준점이 된다. 즉, 도 8f의 (f-8) 화면은 도 8d의 (d-8) 화면과 동일하다. 종래에는 위치변경 후에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위치변경된 영상을 찾기 위해서는, 화면 내에서 위치 이동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준점이 재설정되기 때문에 위치변경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만으로도 이전의 위치 변경된 영상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전체 영상 중 어느 부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g의 (g-8)는 (e-8) 화면에서 하향-이동키(40lo)를 입력하여, 오른쪽 아래부분으로 위치 변경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영상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은 기준점 설정부(512-2)에서 재설정한 제3 기준점이 된다. 위치변경키에 의해 영상이 이동하였으므로,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제공하는 재생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DRAM 또는 메모리카드(504)로부터 영상을 불러와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한다(900단계).
기준점 설정부(512-2)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좌표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한다(902단계). 여기서 설정된 기준점은 설명의 편의상 제1 기준점이라 표기한다.
키 입력 판단부(512-1)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상을 조작하는 임의의 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904단계).
키입력 판단부(512-1)는 임의의 키 중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망원-줌키(39t) 또는 광각-줌키(39w)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906단계).
망원-줌키(39t) 또는 광각-줌키(39w)가 입력된 경우,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는 기준점 저장부(512-3)에 저장된 제1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한다(908단계). 8a-c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망원-줌키(39t)를 입력한 후에 확대된 영상 화면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키입력 판단부(512-1)는 임의의 키 중 위치변경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910단계). 디스플레이 패널(35) 내에서 영상의 위치를 변경, 즉 영상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키는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 -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가 있다. 이때 위치변경키는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한 후에 입력할 수 있고, 새로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 후에 입력할 수도 있다.
위치변경키가 입력된 경우, 기준점 설정부(512-2)는 기준점을 재설정하여 기준점 설정부(512-3)에 저장한다(912단계). 여기서 재설정된 기준점은 설명의 편의상 제2 기준점이라 표기한다.
기준점이 재설정된 상태에서 망원-줌키(39t) 또는 광각-줌키(39w)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12-4)는 재설정된 제2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한다(904단계로 복귀).
도 8d-f에 위치변경 후 영상 확대/축소 화면을 보여주는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해당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변경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재생 모드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재생 모드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 키 입력 판단부(512-1)는 임의의 키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대기한다(914단계).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 이전의 위치변경된 영상을 찾기 위해 위치이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전체 영상 중 어느 부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 없이, 현재 디스 플레이된 상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축소/확대하는 키가 입력되었는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 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키 입력 판단부에서 판단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 하는 기준점 설정부; 및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설정부는
    상기 축소/확대 키가 입력된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유지하고, 상기 위치변경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기준점 및 재설정된 기준점을 저장하는 기준점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위치변경 후에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장치.
  8.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써,
    (a)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중심이 되는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위치변경 없이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현재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일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점의 변화없이 확대 또는 축소된 영역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방법.
KR1020040088177A 2004-11-02 2004-11-02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0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7A KR101109582B1 (ko) 2004-11-02 2004-11-02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071,927 US7213215B2 (en) 2004-11-02 2005-03-0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ge enlarged or reduced
CNB2005100656986A CN100535985C (zh) 2004-11-02 2005-04-21 在放大或者缩小图像时控制图像的位置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7A KR101109582B1 (ko) 2004-11-02 2004-11-02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20A true KR20060039120A (ko) 2006-05-08
KR101109582B1 KR101109582B1 (ko) 2012-02-06

Family

ID=3626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177A KR101109582B1 (ko) 2004-11-02 2004-11-02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13215B2 (ko)
KR (1) KR101109582B1 (ko)
CN (1) CN100535985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56B1 (ko) * 2006-12-04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103161B1 (ko) * 2010-02-03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해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35804B1 (ko) * 2006-05-26 201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2531B1 (ko) * 2009-09-30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2880A4 (en) * 2004-04-30 2008-10-22 Access Co Ltd DYNAMIC IMAGE ENHANCEMENT / REDUCTION PROCEDURE FOR THE BROWSEN, ENDING DEVICE AND PROGRAM DISPLAY
KR100782336B1 (ko) * 2006-06-1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02212B2 (ja) * 2006-07-27 2011-06-1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4973935B2 (ja) * 2007-06-13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217505B2 (ja) * 2008-02-29 2013-06-19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表示処理装置、画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2012027118A (ja) * 2010-07-21 2012-02-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2190184A (ja) * 2011-03-09 2012-10-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39375B1 (en) 2012-02-24 2013-09-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enabling selection of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relation to content
EP2631747B1 (en) 2012-02-24 2016-03-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US9081498B2 (en) 2012-02-24 2015-07-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user interface to reduce obscuration
CN103324405A (zh) * 2012-03-21 2013-09-25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9671951B2 (en) 2012-10-09 2017-06-06 Htc Corporation Method for zooming screen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ing the same
JP6873830B2 (ja) 2017-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28737B2 (en) * 2019-07-31 2022-01-18 Ricoh Company, Ltd. Output control apparatus, display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3359007B (zh) * 2021-05-31 2023-03-24 绍兴中芯集成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晶圆测试图的显示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022A (en) * 1989-04-20 1991-02-05 Rca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entering a video zoom and pan display
JP3226113B2 (ja) * 1992-01-24 2001-11-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の部分拡大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5565887A (en) * 1994-06-29 1996-10-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cursor on a computer screen
KR100247049B1 (ko) * 1997-07-18 2000-03-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KR19990016555A (ko) * 1997-08-18 1999-03-15 전주범 텔레비전 화면의 부분확대 제어장치
KR100285815B1 (ko) * 1997-12-24 2001-04-16 이중구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JP3345600B2 (ja) * 2000-04-10 2002-11-18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US6970202B1 (en) * 2000-06-27 2005-11-29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mounting a camera on a computer
US6970199B2 (en) * 2001-10-05 2005-11-29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amera using exposure information acquired from a scene
KR100547992B1 (ko) * 2003-01-16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와 그의 제어 방법
KR100587862B1 (ko) * 2003-10-14 2006-06-1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US20050111735A1 (en) * 2003-11-21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base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JP4250543B2 (ja) * 2004-02-0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04B1 (ko) * 2006-05-26 201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35956B1 (ko) * 2006-12-04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242531B1 (ko) * 2009-09-30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KR101103161B1 (ko) * 2010-02-03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해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582B1 (ko) 2012-02-06
US20060092181A1 (en) 2006-05-04
CN1770255A (zh) 2006-05-10
CN100535985C (zh) 2009-09-02
US7213215B2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US72132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ge enlarged or reduced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US757352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on-screen display when a shutter mechanis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half-pressed
US7433591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photograph in user set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US74713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age in digital camera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92939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7012145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7748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5803B1 (ko)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118215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80406B1 (ko) 이미지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