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49B1 -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049B1
KR100247049B1 KR1019970033499A KR19970033499A KR100247049B1 KR 100247049 B1 KR100247049 B1 KR 100247049B1 KR 1019970033499 A KR1019970033499 A KR 1019970033499A KR 19970033499 A KR19970033499 A KR 19970033499A KR 100247049 B1 KR100247049 B1 KR 10024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zoom
user
microproces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658A (ko
Inventor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에 수상되는 영상을 줌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의 줌명령에 응답하여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커서를 통하여 수상관의 특정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커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커서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삭제후 사용자의 줌명령에 응답하여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METHOD OF ZOOM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는 사용자가 수상된 상을 확대하여 보고자 하여도 줌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가 수상하는 상의 해상도가 낮아서 화면을 확대하는 경우에 상의 식별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는 수상하는 상의 해상도가 낮아서 줌기능을 제공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상을 확대하여 볼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수상한 상을 확대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구성도,
도 2a내지 도 2b(이하 도 2라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의 흐름도.
도 3내지 도 6은 상의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줌명령에 응답하여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커서를 통하여 수상관의 특정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커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커서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삭제후 사용자의 줌명령에 응답하여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다채널 방송 수상기인 HDTV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튜너(tuner)(102)는 안테나(100)를 통한 방송 수신신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RF 채널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제어에 따라 선국한다. 이에따라 튜너(102)에서는 채널 선국된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가 출력되고 IF 모듈(module)(104)에서 베이스 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되어 채널 디코더(decoder) (106)로 출력된다. 채널 디코더(106)는 IF 모듈(104)로부터 입력하는 베이스 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TS(Transport Stream)를 재생한다.
TS 디코더(10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TS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에 따른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110)에 인가되어 오디오 데이터가 복원되고, 복원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부(112)에서 음성신호로 처리된후 스피커(114)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116)에 인가되어 비디오 데이터가 복원되고,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는 OSG(On Screen Graphic) 믹서(mixer)(118)에 인가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제어에 따른 OSG 데이터와 합쳐져 영상 처리 출력부(120)에서 처리된 후 비디오 신호로 수상관(122)에 인가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키패드(keypad)(128)나 포인팅 디바이스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13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3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메모리부(12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상기 키패드(128)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130)에는 줌버튼과 프리즈버튼, 업키, 다운키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13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은 무선신호로 리모트 수신부(132)에 수신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34)에 인가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에는 TS 디코더(108)로부터 부가 데이터가 인가된다.
그리고 메모리부(1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24)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줌 및 프리즈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13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키패드(128)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130)를 조작하여 줌배율설정을 명령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상기 사용자가 줌배율설정을 명령하였으면 (172)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3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3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30)에 구비된 줌버튼을 입력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줌버튼을 입력하였으면 (14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5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4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플레그가 세트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줌이 실행된 상태로 판단하고 (15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줌이 실행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14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수상관(122)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커서의 디스플레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인 리모트 콘트롤러(130)를 이동하여 상기 커서를 움직일 수 있으며, 줌하기 원하는 부분으로 상기 커서를 옮긴 후에 클릭을 한다.
상기 커서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14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클릭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클릭하면 (14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클릭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14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커서를 중심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줌 배율만큼 상을 확대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확대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14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4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 플레그를 세트한다. 상기 세트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1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을 확대 디스플레이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152)단계로 진행하여 수상관(122)에 디스플레이하였던 커서를 삭제하고 다시 (1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5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원래의 상의 크기로 복귀한다. 상기 복귀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 플레그를 리세트하고 상기 (1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5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130)에 구비된 프리즈 버튼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프리즈 버튼을 입력하면 (16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16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16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프리즈 플레그가 세트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프리즈 플레그가 세트되었으면 현재가 프리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16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가 프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16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4)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현재의 상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계속하여 출력함으로서 프리즈 시킨다. 상기 현재 상을 프리즈한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166)단계로 진행하여 프리즈 플레그를 세트한다. 상기 프리즈 플레그의 세트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상기 (1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프리즈를 해제한다. 상기 프리즈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프리즈 플레그를 리세트하고 다시 (1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배율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줌배율 설정 메뉴는 현재의 줌 배율과 사용자가 업 또는 다운 키를 조작하여 상기 현재의 줌 배율을 가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안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줌 배율 설정 메뉴의 디스플레이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업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업키를 입력하면 (17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7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6)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현재의 줌배율을 증가하고 (18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8)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다운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다운키를 입력하면 (18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8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줌배율을 감소하고 (18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2)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4)는 사용자가 설정완료명령을 키패드(128)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130)를 통하여 입력하면 줌배율을 저장하고 상기 (136)단계로 진행한다.
이제, 줌시의 수상관의 출력을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시청중에 줌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줌버튼이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상관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커서를 줌하여 보고 싶은 위치로 이동하여 클릭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수상되는 상에서 상기 커서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줌배율에 따라 확대한다. 즉, 도 3의 커서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클릭하였을 경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이 확대되어 출력된다.
상기 커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삭제되는데, 상기 커서의 삭제전에 사용자가 다시 클릭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커서가 위치하는 부분을 다시 확대한다. 상기 도 4의 상태에서 다시 클릭하였을 경우를 도시한 것이 도 6이며, 상기 도 6은 다시 도 4의 커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다시 확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확대된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줌버튼을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래 상의 크기로 복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확대한 상을 프리즈하고 싶을 경우에 프리즈 버튼을 입력한다. 상기 프리즈 버튼이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을 프리즈한다. 상기 프리즈 중에 사용자가 다시 프리즈 버튼을 입력하면 프리즈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줌배율의 설정을 위하여 사용자가 줌배율 설정을 명령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수상관에 줌배율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줌배율을 사용자의 업키와 다운키의 조작에 따라 증감하여 설정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줌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상된 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텔레비젼 수상기에 수상된 상을 확대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줌배율 설정명령에 응답하여 현재 저장된 줌배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줌배율을 입력하면 그 입력된 줌배율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줌명령에 응답하여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서를 통해 수상관의 어느 한 위치를 선택하면,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을 상기 저장된 줌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후 일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가 다시 커서를 통하여 상기 수상관의 어느 한 위치를 선택하면,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를 상기 저장된 줌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커서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상을 확대하고 상기 커서가 삭제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줌명령을 입력하면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프리즈 명령에 응답하여 현재의 상을 프리즈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을 프리즈하여 출력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가 다시 프리즈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응답하여 프리즈를 해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KR1019970033499A 1997-07-18 1997-07-18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KR10024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499A KR100247049B1 (ko) 1997-07-18 1997-07-18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499A KR100247049B1 (ko) 1997-07-18 1997-07-18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58A KR19990010658A (ko) 1999-02-18
KR100247049B1 true KR100247049B1 (ko) 2000-03-15

Family

ID=1951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499A KR100247049B1 (ko) 1997-07-18 1997-07-18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08B1 (ko) * 2000-04-17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모니터의 화면 조정방법
KR101017362B1 (ko) 2004-01-08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나믹 영상 재생을 위한 자동 줌 장치 및 방법
KR101109582B1 (ko) * 2004-11-02 2012-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377A (ko) * 1995-11-29 1997-06-26 구자홍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윈도우 줌재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377A (ko) * 1995-11-29 1997-06-26 구자홍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윈도우 줌재생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 5,30,2968 사본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58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hannel from a multiple channel display
KR100246792B1 (ko) 프로그램 진행시간 안내방법과 장치
KR101174659B1 (ko)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US8407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KR20060075962A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JPH1198428A (ja) 電子番組情報表示装置
KR100247049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줌방법
KR1007220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EP2077034B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searching in image display device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539515B1 (ko) 티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TV Electro n i c P r o gram Guide)의 프로그램간 이동방법
KR100238681B1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 수상기의 채널선택방법
KR100238680B1 (ko) 채널선택방법
KR19990008837A (ko) 그래픽 데이타 다운로딩방법과 그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
JPH1155593A (ja) 受信装置
KR20010044861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JP4763408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KR100246794B1 (ko) 프로그램 안내방법
KR19990031861A (ko) 프로그램 자동안내방법
KR100222698B1 (ko) 다채널 방송 수상기의 채널선국방법
KR100320733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온스크린메뉴디스플레이방법
KR19990052304A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JP3111406U (ja) テレビ受信装置
JP2001346115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542556B1 (ko) 텔레텍스트 표시 기능 내장형 텔레비전 및 상기텔레텍스트 포맷 변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