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962A -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962A
KR20060075962A KR1020040115344A KR20040115344A KR20060075962A KR 20060075962 A KR20060075962 A KR 20060075962A KR 1020040115344 A KR1020040115344 A KR 1020040115344A KR 20040115344 A KR20040115344 A KR 20040115344A KR 20060075962 A KR20060075962 A KR 2006007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formation
displaying
screen
program guide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312B1 (ko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312B1/ko
Priority to CNA2005100919784A priority patent/CN1798295A/zh
Priority to US11/319,414 priority patent/US20060143657A1/en
Publication of KR2006007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시간 슬라이딩바, 채널 슬라이딩바, 및 핸드 툴을 사용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채널별 및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 하되, 시청자가 안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바를 같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원격 제어기는, 시청자가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제1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및 발생된 제어신호를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EPG, 프로그램, 안내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broadcating programs and a remote controller for the same}
도1a은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
도1b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
도2b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시간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킨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
도2c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채널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킨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
도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시청 예약의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
도4a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줌 아웃(zoom out)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
도4b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줌 인(zoom in)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구현된 방송수신장치의 기능 블록도, 및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구현된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2, 201: 채널 안내부 103, 203: 시간 안내부(203)
105, 205: 선택바 107, 207: 광고부
109, 209: PIG 211: 시간 슬라이딩 바
213: 채널 슬라이딩 바 215: 핸드 툴
111, 217: 프로그램 안내부 501: 수신부
503: 방송신호분리부 505: 영상신호처리부
507: 오디오신호처리부 509: 데이터 메모리
511: 그래픽 엔진 513: 제어부
515: 모니터 517: 스피커
519: 적외선 수신부 521: 원격 제어기
601: 줌 인/줌 아웃 버튼 603: 핸드 툴 활성화 버튼
605: 채널 스트롤 바 607: 시간 스트롤 바
609: 이동 버튼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원격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수백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수의 채널에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었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가 그것이다.
EPG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를 통해 또는 소정의 방송신호를 송신하는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EPG 서비스는 채널별 및 시간별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낸 일정표의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 사용되는 EPG의 채널별 시간별 안내 프로그램을 탐색한다는 것은, 다채널, 다채널별로 다 프로그램화된 상황을 고려하면,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200개 방송국과 7일치 프로그램을 종래의 EPG로 탐색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한 화면에 10개 채널 4시간 분량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면, 200개의 모든 채널의 프로그램을 탐색하려면, 20번의 화면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7일치의 프로그램을 모두 보려면 42번의 화면이 전환이 필요하며, 모든 방송 채널 프로그램과 7일치의 방송 프로그램을 탐색하려면 840번의 화면 전환이 필요하다.
도1a은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1b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화면은 채널 안내부(101), 시간 안내부(103), 선택바(105), 광고부(107), PIG(Picture in Graphic)(109), 및 프로그램 안내부(111)를 포함한다. 채널 안내부(101)는 방송 채널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시간 안내부(103)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프로그램 안내부(111)는 채널별 및 시간별로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선택바(105)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툴이다. 선택바(105)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좌측 PIG 부분에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종래의 EPG는, 시청자가 채널별 시간대 별로 프로그램을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화면 전환을 필요로 한다. 선택바(105)를 이용하거나, 또는 Page up/Page down 키를 이용하여 화면 전환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빨리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EPG에서 제공되는 PIG의 화면은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서,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방송 수신장치에서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시청할 것을 예약한 경우, 예약 시간이 도래하면, 시청자에게 예약 내용을 텍스트로 알려준다. 텍스트로 시청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주의력이나 호소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예약 내용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수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채널별 및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 하되, 시청자가 안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바를 같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술한 슬라이딩 바는 시청자가 안내 정보를 채널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슬라이딩 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딩 바는 시청자가 안내 정보를 시간대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슬라이딩 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계는, 디스플레이되는 안내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을 그래픽 속 화면(PIG)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래픽 속 화면의 크기는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계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디스플레이 단계는, 디스플레이된 안내 정보 화면을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드 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청자가 안내 정보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선택된 특정 프로그램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정 프로그램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시청자에게 예약 내용을 화면 속 화면(PIP)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에서의 프로그램 안내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에 있어서, 시청자가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제1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및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제1인터페이스부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시간대 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스트롤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제1인터페이스부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채널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스트롤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원격 제어기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확대 및 축소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줌 인 및 줌 아웃 버튼을 더 포함하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줌 인 및 줌 아웃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원격 제어기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잡는 핸드 툴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핸드 툴 활성화 버튼을 더 포함하며, 제어 신호 발생부는 핸드 툴 활성화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원격 제어기는 핸드 툴 활성화 버튼에 의해 잡힌 화면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이동 버튼을 더 포함하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이동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설명을 읽으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화면(200)은 채널 안내부(201), 시간 안내부(203), 선택바(205), 광고부(207a, 207b), PIG(Picture in Graphic)(209), 시간 슬라이딩 바(211), 채널 슬라 이딩 바(213), 및 핸드 툴(Hand tool)(215), 프로그램 안내부(217)를 포함한다.
채널 안내부(201)는 방송 채널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채널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대체 실시예(alternative embodiment)에서는, 방송국의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간 안내부(203)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0분 간격으로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그램 안내부(217)는 채널별 및 시간별로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시간축과 채널축이 만나는 영역에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도2a에서, 프로그램 "U.S. Open"는 08:30분에 채널1에서 방송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바(205)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툴이다. 선택바(205)는 안내 프로그램 상(上)으로 한 단계씩 이동될 수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High school reunion"란 프로그램이 선택바(205)에 의해 선택되어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PIG(209)로 선택바(205)가 선택한 프로그램 "High school reunion" 영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선택바(205)로 지정하면, 지정된 프로그램을 PIG(209)로 나타낸다. 따라서, 시청자는 선택바(205)를 안내 프로그램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영상을 안내 받을 수 있다.
광고부(207a, 207b)는 광고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광고부(207a, 207b)는 그래픽 또는 영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고부(207a, 207b)의 크기는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PIG(그래픽 속 화면)(209)는 선택바(205)가 선택한 프로그램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PIG(209)의 크기는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시간 슬라이딩 바(211)는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간 슬라이딩 바(211)가 이동되면, 시간 안내부(203)와 평행하게 화면이 이동된다. 도2b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시간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킨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2b를 참조하면, CH1 내지 CH2 각각에 대하여, 10:00PM에 방송예정인 프로그램과 10:30PM에 방송예정인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슬라이딩 바(211)를 오른쪽으로 더 이동시키면, 그 후의 시간에 대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청자가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여 시간 슬라이딩 명령을 송신하면, 그에 따라 시간 슬라이딩 바(211)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8:30PM 부터 3시간분의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시간 슬라이딩 바(211)가 가장 왼쪽에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시간, 즉 08:30PM의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시간 슬라이딩 바(211)가 가장 오른 쪽 끝까지 이동되는 경우에는, 마지막 시간, 즉 11:30PM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채널 슬라이딩 바(213)는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채널 슬라이딩 바(213)가 이동되면, 채널 안내부(201)와 평행하게 화면이 이동된다. 도2c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채널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킨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2c를 참조하면, 채널 4와 채널 5의 방송 예정인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채널 슬라이딩 바(213)를 아래로 더 이동시키면, 그 후의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청자가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여 채널 슬라이딩 명령을 송신하면, 그에 따라 채널 슬라이딩 바(213)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개 채널분의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고 할때, 바람직하게는, 채널 슬라이딩 바(213)가 가장 위에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채널 1에 대한 프로그램 안내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채널 슬라이딩 바(213)가 가장 아래에 위치한 경우에는 마지막 10번째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핸드 툴(215)은, 화면을 슬라이딩 바(211, 213)를 이용하지 않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화면에는 아무런 손상도 주지 않는다. 시청자는, 핸드 툴(215)을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드 툴(215)은, Acrobat reader 라 불리는 프로그램의 핸드 툴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 툴(215)로 화면을 잡아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도2b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는, 핸드 툴(215)로 화면을 잡아서 위로 올리면 도2c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미도시)를 사용하여 핸드 툴(215) 활성화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핸드 툴(215)은 화면을 잡는다.
도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2d를 참조하면, abc, FOX, CBS등의 채 널 안내부와 8:00 PM, 8:30PM등의 시간 안내부, 좌측 상부에 PIG 화면, 좌측 중간과 하단에 2개의 광고부, 및 시간 슬라이딩 바와 채널 슬라이딩 바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시청 예약의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시청 예약의 확인을 위해서, 예약 확인을 물어보는 작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작은 화면을 일반적으로 화면 속 화면(Picture In Picture: PIP)라고 한다. 이처럼, 시청자에게, 예약의 확인을 위해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예약 프로그램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4a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줌 아웃(zoom out)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4a를 참조하면, 도2a의 화면(200)에서 제공하는 채널별 및 시간별 안내 프로그램 종류보다 많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4a의 화면의 글씨는, 도2a의 화면의 글씨보다 작아서 가독성은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기로 줌 인(확대) 명령을 송신한 경우, 도4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4b는 도2a의 실시예에서 줌 아웃(zoom out)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2a의 화면(200)에서 제공하는 채널별 시간별 안내 프로그램 종류보다 적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4b의 화면의 글씨는, 도2a의 화면의 글씨보다 커서 가독성은 좋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청자가 원 격 제어기로 줌 아웃(축소) 명령을 송신한 경우, 도4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구현된 방송수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는 수신부(501), 방송신호분리부(503), 영상신호처리부(505), 오디오신호처리부(507), 데이터 메모리(509), 그래픽 엔진(511), 제어부(513), 모니터(515), 스피커(517), 적외선 수신부(519), 및 원격 제어기(521)를 포함한다.
수신부(501)는 안테나(501a), 튜너(501b), 및 복조부(501c)를 구비한다.
튜너(501b)는 안테나(501a)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신호들 중 시청자가 원격 제어기(521)를 통해 선택한 방송 채널을 선국하며, 복조부(501c)는 튜너(501b)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복조한다.
방송신호분리부(503)는 수신부(501)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오디오신호,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처리부(507)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처리부(505)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메모리(509)로 각각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 신호에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오디오신호처리부(507)는 방송신호분리부(503)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재생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즉, 오디오신호처리부(507)는,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로 제생한다.
영상신호처리부(505)는 방송신호분리부(50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즉, 영상신호처리부(505)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RGB 방식으로 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생성한다. 한편, 영상신호처리부(505)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엔진(511)에 의해 송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래픽 엔진(511)에 의해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로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메모리(509)는 방송신호분리부(50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데이터로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513)는, 원격 제어기(521)를 통해서 입력되는 시청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방송수신장치가 동작되도록, 수신부(501), 데이터 메모리(509), 오디오신호처리부(507), 영상신호처리부(505), 그래픽 엔진(511)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13)는 방송신호분리부(503)로부터 출력되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또는 방송 안내 정보라고도 함)를 데이터 메모리(509)에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513)는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하여 시간 슬라이딩 바와 채널 슬라이딩 바가 모니터(515)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13)는, 원격 제어기(521)를 통해서 입력되는 시청자의 조작명령에 따라서 시간 슬라이딩 바와 채널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b처럼, 제어부(513)는, 시간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하는 경우, 다른 시간대의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 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2c처럼, 제어부(513)는, 채널 슬라이딩 바가 슬라이딩하는 경우,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13)는, 원격 제어기(521)를 통해서 입력되는 시청자의 조작 명령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모니터(515)에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a처럼, 제어부(513)는, 화면을 축소하라는 시청자의 조작 명령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축소(줌 아웃)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4b처럼, 제어부(513)는, 화면을 확대하라는 시청자의 조작 명령에 의해,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확대(줌 인)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3)는 예약한 방송의 시청 예약 시간이 도래한 경우, 예약 방송을 PIP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d처럼, 제어부(513)는 PIP 화면으로 시청자에게 예약한 방송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그래픽 엔진(511)과 영상신호처리부(50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3)는 이러한 모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CPU(513a)와 프로그램 메모리(514b)를 구비한다.
CPU(513a)는 프로그램 메모리(514b)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514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과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그래픽 엔진(511)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니터에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로 각각 생성한 후, 영상신호처리부(505)로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515)는 영상신호처리부(505)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스피커(517)는 오디오신호처리부(507)에서 출력되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적외선 수신부(519)는 원격 제어기(519)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513)으로 출력한다.
원격 제어기(521)는 시청자가 방송수신장치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구현된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원격 제어기(600)는, 줌 인/줌 아웃 버튼(601), 핸드 툴 활성화 버튼(603), 시간 스트롤 바(607), 채널 스트롤 바(605), 이동 버튼(609)을 포함한다.
줌 인/줌 아웃 버튼(601)에서, 좌측 + 를 누르면 줌 인 기능이 수행되어, 화 면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우측 - 를 누르면 줌 아웃 기능이 수행되어, 화면이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핸드 툴 활성화 버튼(603)을 누르면, 핸드 툴이 활성화되어, 화면을 잡을 수 있다. 이후에, 후술하는 이동 스틱(609)이 좌우상하 이동됨에 따라서, 잡힌 화면이 이동될 수 있다.
시간 스트롤 바(607)를 돌리면 다른 시간대별 프로그램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시간 스트롤 바(607)는 시간 슬라이딩 바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한편, 채널 스트롤 바(605)를 돌리면 다른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채널 스트롤 바(605)는 채널 슬라이딩 바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동 버튼(609)을 좌우상하 이동함으로써, 화면이 좌우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버튼(609)은 바람직하게는 조이스틱이다. 핸드 툴 활성화 버튼(603)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 버튼(609)을 이동시키면, 화면이 잡힌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핸드 툴 활성화 버튼(603)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버튼(609)을 이동시키면 화면이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600)에는, 줌 인/줌 아웃 버튼(601), 핸드 툴 활성화 버튼(603), 시간 스트롤 바(607), 채널 스트롤 바(605), 이동 스틱(609) 등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미도시), 이러한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송신부)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를 예로 들었으나, 유선 케이블을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영상신호로 수신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시간 슬라이딩바, 채널 슬라이딩바, 및 핸드 툴을 사용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기는, 시간 슬라이딩 버튼, 채널 슬라이딩 버튼, 및 핸드 툴 활성화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다.
비록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본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든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Claims (14)

  1. 방송수신장치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 서,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채널별 및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 하되, 시청자가 상기 안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바를 같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시청자가 상기 안내 정보를 채널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슬라이딩 바인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시청자가 상기 안내 정보를 시간대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슬라이딩 바인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안내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을 그래픽 속 화면(PIG)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속 화면의 크기는 조절 가능한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디스플레이된 상기 안내 정보 화면을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드 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시청자가 상기 안내 정보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선택된 특정 프로그램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시청자에게 예약 내용을 화면 속 화면(PIP)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9. 방송수신장치에서의 프로그램 안내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에 있어서,
    시청자가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및
    발생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시간대 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 스트롤바인 것인 원격 제어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채널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스트롤바인 것인 원격 제어기.
  12. 제9항에 있어서,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확대 및 축소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줌 인 및 줌 아웃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줌 인 및 줌 아웃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인 원격 제어기.
  13. 제9항에 있어서,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잡는 핸드 툴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핸드 툴 활성화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핸드 툴 활성화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인 하는 것인 원격 제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툴 활성화 버튼에 의해 잡힌 화면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이동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이동 버튼으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인 원격 제어기.
KR1020040115344A 2004-12-29 2004-12-29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KR10064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44A KR100648312B1 (ko) 2004-12-29 2004-12-29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CNA2005100919784A CN1798295A (zh) 2004-12-29 2005-08-15 用于显示广播节目引导信息的方法及其遥控器
US11/319,414 US20060143657A1 (en) 2004-12-29 2005-12-29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and remote controller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344A KR100648312B1 (ko) 2004-12-29 2004-12-29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962A true KR20060075962A (ko) 2006-07-04
KR100648312B1 KR100648312B1 (ko) 2006-11-23

Family

ID=3661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344A KR100648312B1 (ko) 2004-12-29 2004-12-29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43657A1 (ko)
KR (1) KR100648312B1 (ko)
CN (1) CN1798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8718A1 (en) * 2006-03-03 2007-09-06 Sasha Javid Method for providing web-based program guide for multimedia content
US8749426B1 (en) * 2006-03-08 2014-06-10 Netflix, Inc. User interface and pointing device for a consumer electronics device
USD628205S1 (en) 2007-06-23 2010-11-30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CN100573611C (zh) * 2007-12-25 2009-12-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的输入指导系统及方法
US9100716B2 (en) * 2008-01-07 2015-08-04 Hillcrest Laboratories, Inc. Augmenting client-server architectures and methods with personal computers to support media applications
US8799947B2 (en) * 2009-02-12 2014-08-05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USD771639S1 (en) 2012-09-13 2016-11-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8719870B1 (en) * 2013-02-22 2014-05-06 Zeebox Limite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D762680S1 (en) 2013-12-18 2016-08-0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864S1 (en) * 2014-04-25 2016-08-16 Huawei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402S1 (en) 2014-09-01 2017-06-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57740A (ko) * 2014-11-14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7216B1 (ko) * 2015-01-05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D841677S1 (en) 2017-06-04 2019-02-2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3284S1 (en) 2017-09-09 2020-01-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87669S1 (en) 2017-09-11 2023-05-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8821S1 (en) 2017-09-29 2021-08-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0495S1 (en) 2018-06-03 2020-04-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2244S1 (en) * 2018-10-28 2022-08-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3686S1 (en) * 2019-04-16 2022-09-1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575A (en) * 1995-10-02 2000-06-13 Starsight Telecast,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025837A (en) * 1996-03-29 2000-02-15 Micrsoft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hyperlinks to target resources
KR100238025B1 (ko) * 1996-08-20 2000-01-15 윤종용 영상 시스템의 부가 정보 표시 장치
US6064376A (en) * 1997-03-13 2000-05-16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djustable program guide display system
KR19990042794A (ko) * 1997-11-28 1999-06-15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의 안내 화면 표시 방법
US6133962A (en) * 1998-10-30 2000-10-17 Sony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having different modes for viewing
US6577350B1 (en) * 1998-12-21 2003-06-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628179B1 (ko) * 1999-11-04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KR100380345B1 (ko) 2000-09-20 200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오에스디 구성 방법 및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구성방법
US20030117427A1 (en) * 2001-07-13 2003-06-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program guide display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43743A (ko) * 2002-11-19 2004-05-27 주식회사 디지털앤디지털 멀티채널 검색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312B1 (ko) 2006-11-23
CN1798295A (zh) 2006-07-05
US20060143657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31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JP4240785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619749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5150831A (ja) Tv受信及び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828370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321929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217432A (ja) 番組情報表示装置
JP4159744B2 (ja) 番組選択装置および番組選択方法
KR100329273B1 (ko)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JP417858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11289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06153109A (ja) 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452639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20988B1 (ko) 커서 위치 제어 방법
KR100686134B1 (ko) 티브이의 광고 프로그램 스킵 장치 및 방법
JP2008079086A (ja) 携帯端末
JP4026148B2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615329B2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
KR100577153B1 (ko) 티브이(tv)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 방법
KR100579624B1 (ko) 영상 재생 시스템의 채널 선택 방법
KR10099177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이름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6529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프로그램 시청환경 설정방법
JP200424224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9990048934A (ko) 위성방송 수신기에서의 디지탈위성방송의 프로그램가이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