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815B1 -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815B1
KR100285815B1 KR1019970073399A KR19970073399A KR100285815B1 KR 100285815 B1 KR100285815 B1 KR 100285815B1 KR 1019970073399 A KR1019970073399 A KR 1019970073399A KR 19970073399 A KR19970073399 A KR 19970073399A KR 100285815 B1 KR100285815 B1 KR 100285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larged
area
magnifica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709A (ko
Inventor
홍순학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7007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8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화상 확대 모드가 설정/해제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과,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가변 수단과, 가변되는 확대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과,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확대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하고, 확대 모드 설정시 초기 확대 영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의 위치를 판단한 후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판단한 확대 위치를 이용하여 확대 위치에 포함되는 화상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화상 정보를 전체 화상 영역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 확대 영역을 나타내고, 화상 확대 영역 설정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화상을 전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는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화상 확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을 증가시켜 주어 화상 확대 영역 선택 폭 제한에 따른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고, 카메라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 및 그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IMAGE EXTENTION REGION IN DIGITAL STILL CAMERA}
이 발명은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이하 DSC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사체의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영역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확대된 영역의 화상의 화질이 확대 이전의 화상의 화질과 동일하도록 한 DSC의 확대 영역 이동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SC는 일반 카메라와 달리 피사체의 상을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를 이용하여 화상을 나타나도록 하는 카메라이다.
다시말해,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디지탈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고, 이미지(image) 처리하여 각각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기 LCD를 구성하는 화소를 구동시켜 화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카메라이다.
그러므로, DSC는 상기 LCD에 의해 나타나는 화상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면 선택된 부분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시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종래에 있어서 DSC의 피사체 확대 영역 가변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DSC는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LCD로 이루어진 화상 표시 장치가 있으며,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는 확대시킬 수 있는 4개의 영역 즉, 좌상측 확대 영역(A), 우상측 확대 영역(B), 좌하측 확대 영역(C), 우하측 확대 영역(D)이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다.
즉, 화상 표시 장치는 화면의 가로 중심선과 세로 중심선을 경계로 하는 4개의 영역이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화상을 확대시키고자 특정 장치, 즉 화상 확대 스위치와 같은 장치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확대 영역을 알 수 있도록 사각의 LCD로 표시된 영역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화상 표시 장치에 나타난 사각 LCD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각 LCD 영역을 가변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확대 부분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된 확대 영역을 가지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 영역을 4개 영역(A∼D)에 국한시킬 수 밖에 없게되며, 또한 자신이 원하는 영역이 고정된 4개의 영역(A∼D)과 일치하지 않으면 자신이 원하는 영역 전부를 확대시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화상을 확대시켜 보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기와 같은 스트레스를 주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을 확대시키는 영역을 고정시키지 않고 하나의 초기 확대 영역을 지정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어느 위치로든지 초기 확대 영역이 가변되어 지정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지정된 위치의 화상이 확대이전의 화질과 동일한 화질로 확대되어 나타나도록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탈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에 나타난 화상 확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화상 확대 모드가 설정/해제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과;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가변 수단과;
가변되는 확대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과;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확대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하고, 확대 모드 설정시 초기 확대 영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의 위치를 판단한 후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판단한 확대 위치를 이용하여 확대 위치에 포함되는 화상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화상 정보를 전체 화상 영역에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 확대 영역을 나타내고, 화상 확대 영역 설정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화상을 전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는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수단은,
확대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확대 모드 설정에 따라 초기 확대 영역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이동 위치를 초기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위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와;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한 이동된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탈 영상 정보를 계산하여 해당 비율로 확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C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화상 확대 모드가 설정/해제되도록 또는 가변된 화상 확대 영역이 설정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와;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화상 확대 영역이 설정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선택 설정 스위치(S2)와;
사용자에 의해 전, 후, 좌, 우로 이동되어 화상 확대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키(1)와;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화상 확대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화상 확대 영역을 확인 및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정한 초기 위치에 화상 확대 영역이 나타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방향키(1)의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좌표값을 계산하고, 이때 상기 확대 선택 설정 스위치(S2)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화상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한 화상 정보가 확대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2)와;
상기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화상 확대 모드 설정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 확대 영역을 알 수 있도록 확대 영역 선택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상표시 제어부(on screen display control)(3)와;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내에 사각 확대 영역 선택 창을 표시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화상 확대 영역 선택시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확대 영역에 포함되는 화상 정보가 확대되어 나타나도록 하는 화상 표시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 2∼도 4를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화상 표시부(4)에 나타난 피사체의 화상을 확인하는 과정을 가지게 되며, 이때 상기 화상 표시부(4)에 나타난 화상 중 특정 부분을 확대시켜 보고자 하면,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따라 현재 설정하고 있는 소정의 카메라 모드를 확대 모드로 전환하여 설정한다(S100, S200).
그런 다음,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사용자가 확대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확대 영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는 상기 화상 표시부(4)의 LCD상에 나타나는 화상을 제외한 문자 및 부호를 카메라 동작에 해당하는 적절한 표시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카메라 동작을 확인 및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S300).
그러므로,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는 상기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확대 모드에 따른 표시를 판단하고, 판단한 확대 모드에 따른 표시가 상기 화상 표시부(4)의 화면내에 표시하기 위해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부(4)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화상 표시부(4)는 피사체의 화상을 LCD상에 나타내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LCD상의 좌상측에 사각의 LCD 확대 영역 선택 창(W1) 즉, 종래의 좌상측 확대 영역(A)과 동일한 확대 선택 창을 표시한다.
그러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크기는 좀더 작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상측에 표시되는 확대 영역 선택 창(W1)은 초기 위치로 설정된 확대 영역 선택 창이다.
여기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초기 위치는 좌상측 뿐만 아니라 좌하, 우상, 우하측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 설정 위치에 표시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은 상기 화상 표시부(4)에 나타난 화상위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화상 표시부(4)의 화면에 표시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을 확인함으로써, 카메라가 확대 모드로 전환되었고, 확대될 화상 영역이 좌상측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화상 표시부(4)에 표시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이 자신이 원하는 확대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상기 방향키(1)를 조작하여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창(W1)이 자신이 원하는 확대 영역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방향키(1)는 상, 하, 좌, 우를 누를 수 있는 버튼(button)이 일체화된 버튼식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는 죠이 스틱(joy stick)으로 제작하여 상, 하, 좌, 우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상기 방향키(1)는 버튼식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상기 방향키(1)는 사용자가 버튼의 상, 하, 좌, 우측을 누름에 따라 상, 하, 좌, 우에 해당하는 스위치가 동작하여 일정 시간마다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동작 제어부(2)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화상 표시부(4)에 표시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초기 설정한 위치에 따른 우하측 모서리 좌표(X1, Y1)(여기서 제1 좌표라 한다)를 판단하고 있는 상태이며, 판단하고 있는 좌표(X1, Y1)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의 나머지 3개의 모서리 좌표를 계산하여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범위를 판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방향키(1)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방향키 조작 상태 즉, 좌 또는 우 또는 상 또는 하측으로의 조작 정도를 판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좌표(X1, Y1)의 가변 상태를 계산하여 새로운 좌표(X2, Y2∼Xn, Yn)를 얻고, 얻어진 새로운 좌표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범위가 상기 화상 표시부(4)에 가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로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400∼S600).
그러면,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는 상기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새로운 좌표값(X2, Y2∼Xn, Yn)값을 판단하고, 판단한 새로운 좌표값에 해당하는 확대 영역 선택 창(W1)이 상기 화상 표시부(4)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부(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화상 표시부(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표시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위치를 가변시켜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를 동작시키면,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스위치(S1)의 동작 신호에 따라 확대 모드 설정 이전의 모드로 전환한다(S700, S710).
그러나, 사용자가 확대 선택 설정 스위치(S2)를 누르면,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확대 선택 설정 스위치(S2)의 동작 신호에 따라 가변되어 표시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한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범위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탈 화상 정보를 연산하여 판단한다(S800).
그런다음,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화상 표시부(4)의 전체 화면 크기: 확대 영역 선택 창(W1)의 크기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연산, 판단한 확대 영역 선택 창(W1)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탈 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 표시부(4)의 화면 크기에 적합한 량의 디지탈 화상 정보로 변환시킨다(S900).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2)는 상기 화상 표시부(4)의 화면 전체에 확대되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화상 표시부(4)로 출력한다(S1000).
그러면, 상기 화상 표시부(4)는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확대 영역 선택 창(W1)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탈 영상 정보를 화면 전체에 확대시켜 나타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화상 범위가 확대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은 화상 확대 영역을 화상 표시부의 화면내에 자유로이 가변되도록 하고, 가변되어 선택된 화상 확대 영역을 확대시켜 화상 표시부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상 확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을 증가시켜 주어 화상 확대 영역 선택 폭 제한에 따른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고, 카메라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상 확대 모드가 설정/해제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과;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가변 수단과;
    이동된 확대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과;
    상기 확대 모드 설정/해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확대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하고, 확대 모드 설정시 초기 확대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확대 영역의 이동 위치를 판단한 후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설정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판단한 확대 영역의 이동 위치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털 영상 정보를 계산하여 해당 비율로 확대되도록 제어하고, 확대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초기 확대 영역의 테두리 좌표 중 하나의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새로운 이동 좌표값을 계산한 후, 계산한 하나의 새로운 이동 좌표값을 이용하여 확대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피사체의 상을 화상으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확대 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화상 확대 영역을 표시하고, 화상 확대 영역 설정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확대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확대 영역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 하, 좌, 우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확대 영역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의 화면을 4∼n등분한 영역중 어디라도 초기 확대 영역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확대 모드 설정시 설정한 초기 위치에 확대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확대 영역 이동 장치.
  4. 확대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확대 모드 설정에 따라 초기 확대 영역 선택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이동 위치를 초기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위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와;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한 이동된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디지탈 영상 정보를 계산하여 해당 비율로 확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영역 선택 창의 이동 위치 계산 단계는
    초기 설정한 확대 영역의 테두리 좌표중 하나의 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확대 영역 가변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새로운 이동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한 하나의 새로운 이동 좌표값을 이용하여 확대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확대 영역 이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해당 비율로 확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확대 영역 크기 :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전체 크기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디지탈 영상 정보를 확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확대 영역 이동 방법.
KR1019970073399A 1997-12-24 1997-12-24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KR10028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399A KR100285815B1 (ko) 1997-12-24 1997-12-24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399A KR100285815B1 (ko) 1997-12-24 1997-12-24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709A KR19990053709A (ko) 1999-07-15
KR100285815B1 true KR100285815B1 (ko) 2001-04-16

Family

ID=3751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399A KR100285815B1 (ko) 1997-12-24 1997-12-24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03B1 (ko) 2006-04-17 201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82B1 (ko) * 2004-11-02 2012-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03290B1 (ko) * 2005-04-1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KR101356482B1 (ko) * 2006-11-01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501A (ko) * 1994-07-28 1996-02-23 배순훈 디지탈 화상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501A (ko) * 1994-07-28 1996-02-23 배순훈 디지탈 화상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03B1 (ko) 2006-04-17 201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70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8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 position on a view finder based on motion detection
US6400377B1 (en) Video monitor adjustment system
RU21812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регулировки уровн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регулировки уровня
US5986642A (en) Color adjustment device
JP2012108479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69611B2 (ja) 画面焼き付き防止装置および画面焼き付き防止方法
KR20040071945A (ko) 부화면 조정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방법
KR20020013164A (ko) 모니터의 osd 메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50243073A1 (en) Present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9006684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285815B1 (ko) 디지탈스틸카메라의화상확대영역이동장치및그방법
EP0918310A2 (en) Display unit for vehicle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338449A (ja) 拡大表示装置
EP0805604B1 (en) Video monitor adjustment system
JP4378978B2 (ja) 表示処理装置および固定画素型表示システム
US6307575B1 (en) Display unit having a screen adjustment function
JP4717140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ズーム方法
JP2000298516A (ja) Itv監視方法及びitv監視装置
JP2001175385A (ja) ウィンドウの操作方式及び入力装置
TWI258632B (en) Projector
JPH11201738A (ja) ワーク画像の表示倍率変更方法及び画像測定装置
JP304906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167A (ja) 抵抗膜式アナログ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JPH08289194A (ja) ビデオカメラ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