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290B1 -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290B1
KR100703290B1 KR1020050030758A KR20050030758A KR100703290B1 KR 100703290 B1 KR100703290 B1 KR 100703290B1 KR 1020050030758 A KR1020050030758 A KR 1020050030758A KR 20050030758 A KR20050030758 A KR 20050030758A KR 100703290 B1 KR100703290 B1 KR 10070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larged
magnification
are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402A (ko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29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촬영에 있어서 특정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 선택받아 해당 영역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영상대로 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이미지 중에서 확대할 부분인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확대 영역을 상기 확대 배율로 확대한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확대 영상을 상기 원본 영상 이미지에 오버레이시킨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확대 뷰 영상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카메라, 촬영, 이동통신단말기, 확대, 배율

Description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SPECIFIC P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확대 뷰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일 실시 예.
도 4는 확대 뷰 영상 생성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204: 전체 원본 영상 디스플레이 S206: 확대영역/확대배율 설정
S208: 확대 영상 생성 S210: 확대 뷰 영상 합성
S212: 확대 뷰 영상 디스플레이 S216: 촬영 및 저장
본 발명은 카메라 촬영에 있어서 특정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 선택받아 해당 영역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영상대로 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부가 기능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단순한 통화목적으로만 사용되던 종래와 달리 최근에는 GPRS, CDMA EV-DE, CDMA EV-DV, WCDMA HSDPA 등과 같이 데이터 통신의 기능에 대해서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는 VOD 스트리밍 방송, 화상 통화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등이 부가되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촬영에 있어서 전체 확대, 특수효과(스티커촬영) 등과 같은 특수 촬영기능이 제공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체 확대의 경우 사용자는 촬영할 화면 전체를 확대(zoom in)해서 촬영할 수밖에 없어 단조로운 사진 촬영밖에 할 수 없었다. 즉,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전체 영상 중에서 특정 부분만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영상대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구현할 방법이 없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아이를 포함한 여러 아이들이 함께 있는 모습을 찍을 때, 자신의 아이만 확대하고 나머지 아이들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구현할 방법이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영상 중에서 특정 부분만을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본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전체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이미지 중에서 확대할 부분인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확대 영역을 상기 확대 배율로 확대한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확대 영상을 상기 원본 영상 이미지에 오버레이시킨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확대 뷰 영상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이외에도 카메라 기능을 갖는 모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02)는 화상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02)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04)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04)는 상대방의 화상 단말기로 전송되어 오는 화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코덱을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6)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08)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해서는 사용자로부터 확대 영영 및 확대 배율을 입력받는 단축 키 등을 제공하며, 또한, 촬영 키를 별도로 두어서 촬영 키 입력이 있을 때에는 영상 촬영 및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카메라(116)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영상신호를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CCD)로서, 상기의 상기 카메라 센서(CCD)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처리부(114)로 전송한다.
영상처리부(114)는 상기 카메라(11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14)는 카메라(11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12; LCD)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14)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소정의 설정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4)는 카메라(11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변환한 후 표시부로 전송해주고, 표시부(112)는 수신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뷰(view) 영상이란, 카메라(116)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이미지를 말한다.
특히, 본원발명에서 영상처리부(114)는 프레임 영상데이터의 특정 영역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하여 생성한 확대 뷰 영상을 표시부로 전송해 주고, 상기 표시부(112)는 수신한 확대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 가 사용자로부터 확대할 영역과 확대 배율을 입력받은 후 이를 영상처리부에 전송해주면, 영상처리부(114)는 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영역만을 확대한 새로운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송하여 주고, 표시부(112)는 영상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프레임데이터를 뷰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확대 뷰(view) 영상이란 카메라(116)에 입력되는 영상 중에서 특정 부분만을 확대하여 생성한 영상 이미지로서, 사용자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뷰(view) 영상을 보고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다.
표시부(112)는 LCD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로 구현되어 영상처리부(11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며, 상대방 화상 단말기에서 전송되어 오는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OS가 들어가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는 이동통신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곳이다.
제어부(1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확대할 영역과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영상처리부에 제공해줌으로써, 영상처리부가 특정 영역을 일정 크기로 확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영역을 확대한 뷰 영상 생성 및 촬영 과정을 도 시한 플로차트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촬영모드에 진입(S202)하게 되면, 영상처리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로 전송한다. 표시부는 수신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전체 화면크기로 뷰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S204)하는데, 도 3a에 상기와 같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뷰 영상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표시부에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선택받는 과정(S206)을 갖는다.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크기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과정을 갖는 것인데, 확대할 영역 설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틀을 뷰 영상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선택 틀(302)을 이동시켜 확대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택 틀(302)의 크기는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틀의 크기를 20 * 32 픽셀로 하거나, 40 * 64 픽셀로 할 수 있는 등 그 크기에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3b에서는 선택 틀의 모습을 사각 선택 틀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기 선택 틀이 상기 도시한 사각 틀이 아닌 원 선택 틀, 삼각 선택 틀, 사람얼굴 선택 틀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은 자명할 사실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확대할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에는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도록 구현하거나, 확대배율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특정 확대배율 항목을 선택받을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결국, 제어부는 상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기 위하여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설정받는 메뉴를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 설정(S206)이 있은 후에,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설정된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확대 영상을 생성(S208)한 후 확대 뷰 영상을 합성(S210)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의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영상 처리부로 전송해줌으로써, 영상처리부가 해당 확대 영역을 해당 확대 배율로 확대하여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S208)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영상처리부로 전송되는 확대 영역에 관련된 정보는 확대 영역으로 설정된 가로, 세로 픽셀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각 선택 틀을 이용하여 확대 영역 설정이 있는 경우, 사각 선택 틀의 가로 픽셀 값[가로 시작 픽셀 점의 값, 가로 종료 픽셀 점의 값], 세로 픽셀 값[세로 시작 픽셀 점의 값, 세로 종료 픽셀 점의 값]을 영상처리부로 전송해주는 것이다.
상기 확대 영역의 확대 영상 생성 과정(S208) 및 확대 뷰 영상 합성 과정(S210)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뷰 영상 중에서 특정 부분이 확대 영역으로 선택된 경우, 영상 처리부는 제어부로부터 해당 확대 영역의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영역을 확대하여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S208)을 가진다. 상기 확대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 신호의 전체 원래 이미지 중에서 설정된 확대 영역만을 카메라의 CCD센서에서 논리적 조합에 의하여 디지털 줌 방식의 확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디지털 줌 확대 방법은 종래 공지된 것 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디지털 줌 확대 방식에 의한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종래 확대 방법과 다른 점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신호의 원래 이미지 전체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고, 제어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확대 영역만 확대 처리하는 것에 특징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확대 영상의 생성(S208)이 있은 후에는 확대된 확대 영상을 원래의 이미지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합성하는 과정(S210)을 가짐으로써, 최종적으로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확대 뷰 영상이란, 전체 원래 영상 중에서 특정 부분만 확대하여 종래의 원래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합성한 영상을 말한다.
상기 확대 뷰 영상의 합성(S210)이 완료된 후에는, 합성된 확대 뷰 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S212)을 갖는다. 확대 뷰 영상의 디스플레이 모습을 도 3c에 도시하였다. 상기 확대 뷰 영상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촬영키 입력(S214)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뷰 영상대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과정(S216)을 갖는다. 촬영 모드 상태에서 종료키 입력(S218)이 있게 되면, 촬영모드를 종료하고 콜(call) 대기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2는 영상처리부에서 확대 뷰 영상을 처리하는 블록도를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 도움 없이 제어부에서 직접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기능 블록에서는, 제어부(404)가 사용자로부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을 설정 받아 이를 영상 처리부로 전송해주어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영상 처리부의 작업 없이 제어부에서 직접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도록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4의 블록도에서는 카메라(402)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프레임 단위로 변환함은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제어부(404) 자체에서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처리되어 들어오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한 후 표시부(406)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있는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순한 촬영 방식을 탈피하여 다양한 촬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좀 더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1과정과,
    선택된 상기 메뉴의 서브 메뉴인 확대 영역과 확대 배율을 설정받는 제2과정과,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원본 영상 중 상기 확대 영역에 표시될 영상을 추출하는 제3과정과,
    추출한 상기 영상을 설정받은 확대 배율로 확대한 확대 영상을 생성하는 제4과정과,
    상기 확대 영상을 상기 원본 영상 이미지에 오버레이시킨 확대 뷰 영상을 생성하는 제5과정과,
    사용자의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확대 뷰 영상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6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의 설정은,
    폐곡선 형태의 선택 틀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영상 중 상기 확대 영역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틀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틀의 크기를 입력받아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 영역 및 확대 배율에 대한 위치 픽셀 값과 확대 배율 값을 입력받아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영상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신호 중 선택된 상기 확대 영역만 디지털 논리 조합에 의하여 디지털 줌 방식으로 확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KR1020050030758A 2005-04-13 2005-04-13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KR10070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758A KR100703290B1 (ko) 2005-04-13 2005-04-13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758A KR100703290B1 (ko) 2005-04-13 2005-04-13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02A KR20060108402A (ko) 2006-10-18
KR100703290B1 true KR100703290B1 (ko) 2007-04-03

Family

ID=376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758A KR100703290B1 (ko) 2005-04-13 2005-04-13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68B1 (ko) * 2006-06-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0811796B1 (ko) 2007-03-30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초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0787611B1 (ko) * 2007-04-03 2007-12-21 재형 손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출력 방법
KR101331055B1 (ko) * 2010-08-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 주의 분석에 근거한 시각 보조 시스템 및 상기 시각 주의 분석을 이용한 시각 보조 방법
US10516829B2 (en) 2014-05-22 2019-12-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889A (ja) * 1996-05-29 1997-12-12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画像部分拡大表示方法
KR19990031720A (ko) * 1997-10-14 1999-05-06 윤종용 디지털스틸카메라
KR19990053709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5786A (ko) * 2003-01-16 2004-07-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와 그의 제어 방법
KR20050030758A (ko) * 2003-09-26 2005-03-31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889A (ja) * 1996-05-29 1997-12-12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画像部分拡大表示方法
KR19990031720A (ko) * 1997-10-14 1999-05-06 윤종용 디지털스틸카메라
KR19990053709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화상 확대 영역 이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5786A (ko) * 2003-01-16 2004-07-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와 그의 제어 방법
KR20050030758A (ko) * 2003-09-26 2005-03-31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30758 - 7373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02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제어방법
KR100749337B1 (ko) 복수의 카메라렌즈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방법 및 장치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689480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크기 변환방법
KR100651368B1 (ko)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제어방법
CN111050062B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US2012000800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KR100703290B1 (ko)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KR100735415B1 (ko) 휴대단말기의 다자간 화상통화수행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1773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
US20070013784A1 (en) Method of comparing motion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64154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10060607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KR2006008349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증명사진 촬영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82714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8171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to digital zoom mode
KR10067812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