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804B1 -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804B1
KR101235804B1 KR1020060047523A KR20060047523A KR101235804B1 KR 101235804 B1 KR101235804 B1 KR 101235804B1 KR 1020060047523 A KR1020060047523 A KR 1020060047523A KR 20060047523 A KR20060047523 A KR 20060047523A KR 101235804 B1 KR101235804 B1 KR 10123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ordinate data
track pointer
digital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785A (ko
Inventor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80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장치로서,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포함한다. 트랙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확인 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

Description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트랙 포인터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새로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새로운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제어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이 선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복수 의 썸네일 영상들이 활성화 영역에 포함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제어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3...셔터 릴리즈 버튼,
14...모드 다이얼, 15...트랙 포인터,
16...확인 키, 17...뷰 파인더,
35...컬러 LCD 패널, 42...재생 모드 버튼,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CDS-ADC 소자,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디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디오 출력부, 510...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CA...캡, ST...스틱,
PA...신축성 평판, SLD, SRD...뒤틀림 센서들,
15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52...좌표 데이터 발생기,
35S...화면, CU...커서,
IN...다음 페이지 아이콘.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방향 신호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되었던 2004년도 미국 공개 번호 제119,876호(발명의 명칭 : Method of notification of inadequate picture quality)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 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방향 신호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방향 버튼들, 영상-배율 확대 버튼, 및 영상-배율 축소 버튼을 누르면서 시행착오적이고 반복적인 조작을 하여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방향 버튼들 및 확인 버튼을 사용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삭제하거나 이동시켜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게 하고,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장치로서,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확인 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트랙 포인터, 및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리는 확인 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이 제어 방법은, 재생 모드에서, 상기 확인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 안으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전자 뷰-파인더(Electronic View-Finder, 17), 컬러 LCD 패널(35), 트랙 포인터(15), 확인 키(16), 및 재생 모드 버튼(42)을 포함한다.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촬영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트랙 포인터(15)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확인 키(16)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트랙 포인터(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트랙 포인터(15)와 확인 키(16) 등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주 제어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기능 버튼들(15), 및 재생 모드 버튼(42)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컬러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트랙 포인터(15)는 사용자 조작부, 뒤틀림 센서들(SLD, SRD),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 및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부에서는, 신축성 평판(PA) 위에 스틱(ST)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틱(ST) 위에 손잡이용 캡(CA)이 부착된다.
뒤틀림 센서들(SLD, SRD)은, 신축성 평판(PA)의 각 부분 밑에 부착되어, 신축 성 평판(PA)의 각 부분의 압축 또는 늘어남에 상응하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는 뒤틀림 센서들(SLD, SRD)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로부터의 좌표 데이터는 마이크로 제어기(도 2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2의 507)에 입력된다.
도 4는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다. 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또 설정된다.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또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도 4 내지 6 참조)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를 사용하여 원하는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제어 알고리즘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최근에 저장되었던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1).
다음에,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단계 S70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705).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가 아니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커서(CU)를 이동시킨다(단계 S707).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이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킨다(단계 S709).
커서(CU)의 이동(단계 S707) 과정에서 현재 좌표가 화면상의 경계 좌표이면(단계 S71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다음 파일 또는 이전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단계 S713) 상기 단계 S703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를 급격히 조작하여 커서(CU)가 우변에 빠르게 도착하게 함으로써 다음 파일을 신속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15)를 급격히 조작하여 커서(CU)가 좌변에 빠르게 도착하게 함으로써 이전 파일을 신속히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확인 키(16)를 누름에 의하여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1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커서(CU)의 현재 위치(도 4 또는 5의 A 점)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717).
다음에, 트랙 포인터(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고(단계 S719), 확인 키(16)가 설정 시간보다 길게 눌려짐에 의한 연속적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2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좌표로부터 커서(CU)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방향에 따른 활성화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23).
다음에, 상기 연속적 확인 신호가 종료되면(단계 S72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활성화 영역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727).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 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도 4 내지 6 참조).
다음에,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름에 의하여 망원-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29),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영상-배율을 확대하여 활성화 영역을 화면(35S) 전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35, 도 4 내지 6 참조).
또한,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을 누름에 의하여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영상-배율을 축소하여 이전 화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37).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 상태에서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도 5의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737). 물론, 활성화 영역은 다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의 화면 상태에서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도 4의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737).
상기 단계들 S703 내지 S737은 외부적인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733).
도 8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이 선택됨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도 3의 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썸네일 영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 가 발생되면, 좌상단의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우하단의 썸네일 영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 우하단의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한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 경우, 동작 모드는 상기 도 7의 단일 재생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다음 페이지 아이콘(IN)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 다음 페이지의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활성화 영역에 포함됨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다. 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에 의하여, 사용자는 선택된 4 개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제어 알고리즘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최근에 저장되었던 파일의 썸네일 영상이 포함된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01).
다음에,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단계 S10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커서(CU)를 이동시킨다(단계 S105).
다음에, 사용자가 확인 키(16)를 누름에 의하여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0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커서(CU)의 현재 위치(도 9의 A 점)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109).
다음에,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다음 페이지 아이콘(IN)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다음 페이지의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3).
한편, 상기 단계 S109에서 좌표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단계 S115)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의 썸네일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S121), 상기 도 7의 단계 S703 및 그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단계 S123). 즉, 단일 재생 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 S109에서 좌표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좌표 데이터가 또다시 변경되는 상태에서(단계 S115) 확인 키(16)가 설정 시간보다 길게 눌려짐에 의한 연속적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9),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좌표로부터 커서(CU)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방향에 따른 활성화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25).
다음에, 상기 연속적 확인 신호가 종료되면(단계 S12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고유 번호들을 저장한다(단계 S129).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도 9 참조).
다음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삭제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3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기록 매체에서 삭제한다(단계 S131).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3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설정된 기록 매체 또는 폴더로 이동시킨다(단계 S139).
상기 단계들 S103 내지 S139는 외부적인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35).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 안으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10)

  1.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트랙 포인터, 및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리는 확인 키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포인터가,
    신축성 평판 위에 스틱이 연결된 사용자 조작부;
    상기 신축성 평판의 각 부분 밑에 부착되어, 상기 신축성 평판의 각 부분의 압축 또는 늘어남에 상응하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뒤틀림 센서들;
    상기 뒤틀림 센서들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좌표 데이터 발생기를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 변환부;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전체적 제어를 수행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트랙 포인터, 및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리는 확인 키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포인터가,
    신축성 평판 위에 스틱이 연결된 사용자 조작부;
    상기 신축성 평판의 각 부분 밑에 부착되어, 상기 신축성 평판의 각 부분의 압축 또는 늘어남에 상응하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뒤틀림 센서들;
    상기 뒤틀림 센서들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좌표 데이터 발생기를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삭제
  5.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트랙 포인터, 및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리는 확인 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재생 모드에서,
    상기 확인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가,
    단일 영상들 각각을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일 재생 모드와,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을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썸네일 재생 모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확대 신호에 따라 상기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재생 모드에서,
    단일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 현재 좌표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이동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재생 모드에서,
    단일 영상이 확대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경계 좌표 데이터에 도달하면, 다음 파일 또는 이전 파일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이 삭제되거나 이동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47523A 2006-05-26 2006-05-26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ko) 2006-05-26 2006-05-26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ko) 2006-05-26 2006-05-26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785A KR20070113785A (ko) 2007-11-29
KR101235804B1 true KR101235804B1 (ko) 2013-02-21

Family

ID=3909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ko) 2006-05-26 2006-05-26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8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889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랙포인터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9120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889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랙포인터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9120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785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29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037932B1 (ko) 해상도 변경을 이용한 저장공간 확보 장치 및 방법
US9154758B2 (e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with concurrent live view frame and picture image processing
JPH1031344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10228483A (ja) 情報処理装置
JP2008242812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8640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235804B1 (ko) 트랙 포인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JP4671989B2 (ja) カメラ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JP2005347885A (ja) 撮像装置、撮影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15523B2 (ja) 撮像装置、撮影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058023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JP457111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73959B1 (ko) 신속한 파일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431071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JP2006237713A (ja) 撮像装置、マーク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