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726B1 -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726B1
KR101333726B1 KR1020070069807A KR20070069807A KR101333726B1 KR 101333726 B1 KR101333726 B1 KR 101333726B1 KR 1020070069807 A KR1020070069807 A KR 1020070069807A KR 20070069807 A KR20070069807 A KR 20070069807A KR 101333726 B1 KR101333726 B1 KR 10133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user
capture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450A (ko
Inventor
은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7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51Eras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동영상 재생 모드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및 (b)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포착 신호가 발생되면, 포착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가 저장된다. 단계 (b)에서는,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면, 포착 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찾아져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Description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still images are efficiently captured from moving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해당 모드 수행 단계에서 동영상 재생이 수행되는 경우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507의 반복 수행에 의하여 얻어진 포착 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512에서,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 S519에서, 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저장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5...기능 버튼들, 16...ASR 모드 버튼,
17...전원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2...카메라-상태 램프,
23...특수-효과 버튼, 24...카메라 끈걸이,
25...이어폰 연결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5...디스플레이 패널,
36...+/- 버튼, 39...줌/9분할/볼륨 버튼,
42...재생/프린터 버튼, 43...모드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62...플래시 메모리, 28...재생/정지 버튼,
29...조그(jog) 다이얼, 61...포착 정보,
SA1 내지 SAN...포착 프레임들의 시작 어드레스들,
DS1 내지 DSN...포착 프레임들의 데이터 크기들,
CS...활성화 커서,
FRS1 내지 FRS8...포착 프레임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재생 모드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동영상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영상으로부터 어느 한 정지 영상을 포착하여 정지 영상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정지 신호를 발생시켜 원하는 정지 영상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포착하려면 많은 노고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편리하게 포착하고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동영상 재생 모드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및 (b)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포착 신호가 발생되면, 포착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가 저장된다.
단계 (b)에서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면, 상기 포착 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찾아져서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만이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정지 영상을 포착하기 위하여 동영상 재생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원하는 시점에서 상기 포착 신호만을 발생시키면 되므로,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편리하게 포착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 및 위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 버튼(13), ASR(Advanced Shake Reduction)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렌즈부(20),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또한,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광을 발생시킨다.
ASR 모드 버튼(16)은 손떨림을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ASR 모드 버튼(16)은 잠금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ASR 모드 버튼(16)이 1초 미만으로 눌려진 경우에 손떨림 보상 기능이 수행되고, ASR 모드 버튼(16)이 1초 이상으로 눌려진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의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2 신호가 온(On)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SH2 신호가 온(On)된 후에 영상이 포착된다. 연속-촬영 모드에서는 SH1 신호가 온(On)되고 있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영상이 포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기능 버튼들(15), 카메라-상태 램프(22), 특수-효과 버튼(23), 카메라 끈걸이(24), 이어폰 연결부(25), 디스플레이 패널(35),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모드 버튼(43), 조그(jog) 다이얼(29), 및 재생/정지 버튼(28)이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되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대상의 파일 및 기록 매체를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카메라-상태 램프(22)는 카메라의 각종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23)은 촬영될 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 버튼(36)은 야경 촬영 등을 위하여 셔터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줌/9분할/볼륨 버튼(39)은, 촬영 또는 재생 모드에서 주밍(zooming) 동작을 수행하는 데, 또는 재생 모드에서 9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또는 오디오의 볼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재생/프린터 버튼(42)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
모드 버튼(43)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조그(jog) 다이얼(29)은 인덱스 영상들과 같은 일련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사용된다.
재생/정지 버튼(28)은 동영상 재생 모드에서 재생 신호 또는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프리뷰(Pr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줌/9분할/볼륨 버튼(39)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 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및 카메라-상태 램프(22)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기능 버튼들(15), ASR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특수-효과 버튼(23),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모드 버튼(43), 조그(jog) 다이얼(29), 및 재생/정지 버튼(28) 등이 포함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MCI, 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플래시 메모리(FM)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들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이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인터페이스부(2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한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단계 S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 예를 들어, 재생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모드를 수행(단계 S9)한 후에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도 5는 도 4의 해당 모드 수행 단계(S9)에서 동영상 재생이 수행되는 경우의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507의 반복 수행에 의하여 얻어진 포착 정보(61)가 일시적으로 저장됨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참조 부호들 SA1 내지 SAN은 포착 프레임들의 시작 어드레스들을, 그리고 DS1 내지 DSN은 포착 프레임들의 데이터 크기들을 가리킨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512에서,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4)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 S519에서, 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의 정지 영상들이 저장됨을 보여준다. 도 7 및 8에서 참조 부호 35는 칼라 LCD 패널을 가리킨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단계들 S501 내지 S509에서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포착 신호가 발생되면, 포착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SA1 내지 SAN 중에서 어느 하나)와 데이터 크기(DS1 내지 DSN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저장된다. 단계들 S509 내지 S519에서는,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면,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 각각의 시작 어드레스(SA1 내지 SAN)와 데이터 크기(DS1 내지 DSN)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의 정지 영상들이 찾아져서 기록 매체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따라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SA1 내지 SAN)와 데이터 크기(DS1 내지 DSN)만이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정지 영상을 포착하기 위하여 동영상 재생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원하는 시점에서 포착 신호만을 발생시키면 되므로,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편리하게 포착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도 5의 제어 알고리듬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정지 버튼(도 2의 28)을 누름에 의하여 재생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50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는 동영상 재생을 수행한다(단계 S503).
단계 S503의 수행 도중에 사용자가 기능 버튼들(도 2의 15) 중에서 "MENU OK" 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포착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50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포착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SA1 내지 SAN 중에서 어느 하나)와 데이터 크기(DS1 내지 DS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단계 S507). 여기에서, 포착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동영상의 재생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단계들 S505 및 S507은 사용자가 재생/정지 버튼(28)을 누름에 의하여 정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09).
상기 단계 S509에서 정지 신호가 발생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재생을 정지하고(단계 S511),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 각각의 시작 어드레스(SA1 내지 SAN)와 데이터 크기(DS1 내지 DSN)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의 정지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12). 여기에서,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4)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 프레임(FRS1)의 영상을 활성화 커서(CS)로써 활성화시킨 후에 기능 버튼들(15) 중에서 삭제 기능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삭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단계 S513).
이와 같이 포착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삭제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51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되어 있는 포착 프레임(FRS1)의 정지 영상을 삭제한다(단계 S515).
다음에,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13)을 누름에 의하여 저장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51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 형식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을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단계 S519).
여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정지 영상 파일에 한 포착 프레임의 정지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정지 영상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 의 정지 영상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S519를 수행함에 있어서 파일 형식의 안내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정지 영상의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파일, 복합 정지 영상들의 JPEG 파일, 및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라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재생될 경우,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FRS1 내지 FRS8)의 정지 영상들 각각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도 8 참조).
상기 모든 단계들(S501 내지 S519)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21).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만이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정지 영상을 포착하기 위하여 동영상 재생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원하는 시점에서 포착 신호만을 발생시키면 되므로, 다수의 정지 영상들을 편리하게 포착하고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10)

  1. 동영상 재생 모드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포착 신호가 발생되면, 포착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포착 프레임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를 저장함; 및
    (b)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면, 상기 포착 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어드레스와 데이터 크기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을 찾아서 기록 매체에 저장함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포착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동영상의 재생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포착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삭제 신호가 발생되면, 활성화되어 있는 포착 프레임의 정지 영상이 삭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 형식에 따라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정지 영상 파일에 한 포착 프레임의 정지 영상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정지 영상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축소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파일에 복수의 포착 프레임들의 정지 영상들이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항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70069807A 2007-07-11 2007-07-11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33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07A KR101333726B1 (ko) 2007-07-11 2007-07-11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07A KR101333726B1 (ko) 2007-07-11 2007-07-11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50A KR20090006450A (ko) 2009-01-15
KR101333726B1 true KR101333726B1 (ko) 2013-11-27

Family

ID=4048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07A KR101333726B1 (ko) 2007-07-11 2007-07-11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7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08A (ko) * 2003-04-22 200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는장치 및방법
KR20050077809A (ko) * 2005-06-24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신호 전송 방법
KR20060062723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70044303A (ko) * 2005-10-24 200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08A (ko) * 2003-04-22 2004-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는장치 및방법
KR20060062723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50077809A (ko) * 2005-06-24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신호 전송 방법
KR20070044303A (ko) * 2005-10-24 200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50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813788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45290B1 (ko)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35626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96341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08640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60123857A (ko)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91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98210B1 (ko)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20614B1 (ko) 합성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17809B1 (ko) 스티커 합성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7450168B1 (en) Digital camera having flash memory for setting start information sig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camera
KR101329747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345292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236466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364536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597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203151B1 (ko) 효율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72855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50036252A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날짜 데이터를 사용하여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휴대용 디지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