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92B1 -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92B1
KR101345292B1 KR1020070075797A KR20070075797A KR101345292B1 KR 101345292 B1 KR101345292 B1 KR 101345292B1 KR 1020070075797 A KR1020070075797 A KR 1020070075797A KR 20070075797 A KR20070075797 A KR 20070075797A KR 101345292 B1 KR101345292 B1 KR 10134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im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828A (ko
Inventor
이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에서만 얼굴 영역이 검색된다.
Figure R1020070075797
얼굴 인식

Description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face area is efficiently searche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이 주기적으로 검색되고 검색된 얼굴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된다. 이와 같이 검색된 얼굴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 모드에서 자동 포커싱의 대상 영역로 설정될 수 있다.
얼굴 영역이 주기적으로 검색됨에 있어서 잘 알려진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알고리즘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은 현재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 통제 시스템, 근태 관리 시스템, 실시간 감시 시스템, 화상 회의, 사용자 인증, 파일 암호화, 장난감, 및 원격 교육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교 단계들이 존재하므로, 그 실행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이 주기적으로 검색됨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효율적으로 얼굴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에서만 얼굴 영역이 검색하고,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으면,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한다.
상기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효율적으로 얼굴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 역이 존재하였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할 확률이 높으므로,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 및 위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 버튼(13), ASR(Advanced Shake Reduction)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렌즈부(20),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또한,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광을 발생시킨다.
ASR 모드 버튼(16)은 손떨림을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ASR 모드 버튼(16)은 잠금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ASR 모드 버튼(16)이 1초 미만으로 눌려진 경우에 손떨림 보상 기능이 수행되고, ASR 모드 버튼(16)이 1초 이상으로 눌려진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의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2 신호가 온(On)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SH2 신호가 온(On)된 후에 영상이 포착된다. 연속-촬영 모드에서는 SH1 신호가 온(On)되고 있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영상이 포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기능 버튼들(15), 카메라-상태 램프(22), 특수-효과 버튼(23), 카메라 끈걸이(24), 이어폰 연결부(25), 디스플레이 패널(35),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이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되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대상의 파일 및 기록 매체를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카메라-상태 램프(22)는 카메라의 각종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23)은 촬영될 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 버튼(36)은 야경 촬영 등을 위하여 셔터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줌/9분할/볼륨 버튼(39)은, 촬영 또는 재생 모드에서 주밍(zooming) 동작을 수행하는 데, 또는 재생 모드에서 9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또는 오디오의 볼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재생/프린터 버튼(42)은 재생 모드와 라이브-뷰(liv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
모드 버튼(43)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라이브-뷰(liv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줌/9분할/볼륨 버튼(39)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 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및 카메라-상태 램프(22)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기능 버튼들(15), ASR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특수-효과 버튼(23),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 등이 포함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MCI, 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플래시 메모리(FM)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들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이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인터페이스부(2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라이브-뷰(liv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라이브-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 태이면(단계 S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한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단계 S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다른 모드 예를 들어, 재생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모드를 수행(단계 S9)한 후에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도 5는,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S6)에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S2)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단계들 S52 및 S53과 관련된 단위 프레임의 화소 구조를 보여준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601은 단위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601은 단위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R은 적색 데이터를, G는 녹색 데이터를, 그리고 B는 청색 데이터를 각각 가리킨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55의 수행에 의하여 얼굴들이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marking)됨을 보여준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35는 칼라 LCD 패널을, 701 및 702는 얼굴 마크들을 가리킨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S2)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
여기에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602)에서만 얼굴 영역을 검색한다(단계 S52).
한편,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601)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한다(단계 S53).
따라서, 효율적으로 얼굴 검색 시간을 줄어들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함에 있어서 잘 알려진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로서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는데, 본 발명처럼 빠른 인식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 기술이 적합하다. 이 기술은 다양한 얼굴 인식 기술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 기술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 크기,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 인자들을 사용하여 개인들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기하학적 특징들은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었을 때에 최종적으로 남는 요소들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에서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602) 또는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601)의 해상도가 낮아진 후에 얼굴 인식이 수행되므로, 단계들 S52 및 S53의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상기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의 수행 결과,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602) 또는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601)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면(단계 S54),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얼굴 영역(들)을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한다(단계 S55, 도 7 참조). 참고로, 이와 같이 검색된 얼굴 영역(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 모드에서 자동 포커싱의 대상 영역(들)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S6)에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S2)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S2)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 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1).
상기 단계 S81에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최근에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되었던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TPA)을 측정하여, 이 경과 시간(TPA)이 설정 시간(TSET)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602)에서만 얼굴 영역을 검색한다(단계들 S82와 S83).
또한, 상기 경과 시간(TPA)이 상기 설정 시간(TSET)에 도달하였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601)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한다(단계 S82와 S84).
본 실시예의 경우, 경과 시간(TPA)은 경과 프레임 개수이고, 설정 시간(TSET)은 설정 프레임 개수이다.
상기 단계 S83 또는 단계 S84의 수행 결과,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602) 또는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601)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면(단계 S8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얼굴 영역(들)을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한다(단계 S86, 도 7 참조).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효율적으로 얼굴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이전 프레임의 영상 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으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에서도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할 확률이 높으므로,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이 채용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에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들 S52 및 S53과 관련된 단위 프레임의 화소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55의 수행에 의하여 얼굴들이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marking)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설정 모드 수행 단계에서 얼굴 검색 모드가 설정된 경우, 도 4의 라이브-뷰(live-view) 모드 수행 단계에서 프레임 단위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얼굴 검색 알고리즘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5...기능 버튼들, 16...ASR 모드 버튼,
17...전원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2...카메라-상태 램프,
23...특수-효과 버튼, 24...카메라 끈걸이,
25...이어폰 연결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5...칼라 LCD 패널,
36...+/- 버튼, 39...줌/9분할/볼륨 버튼,
42...재생/프린터 버튼, 43...모드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62...플래시 메모리, 601...단위 프레임의 전체 영역,
602...설정 부분 영역.

Claims (6)

  1.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에서만 얼굴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 또는 상기 설정 부분 영역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상에 마킹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최근에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되었던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측정함;
    (b)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에서만 얼굴 영역을 검색함; 및
    (c)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함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 (a) 내지 (c)에서,
    상기 경과 시간이 경과 프레임 개수이고, 상기 설정 시간이 설정 프레임 개수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라이브-뷰(live-view) 모드에서 얼굴 영역을 검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지 않았으면, 현재 프레임의 설정 부분 영역에서만 얼굴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의 영상에서 적어도 한 얼굴 영역이 존재하였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얼굴 영역이 검색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70075797A 2007-07-27 2007-07-27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97A KR101345292B1 (ko) 2007-07-27 2007-07-27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97A KR101345292B1 (ko) 2007-07-27 2007-07-27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28A KR20090011828A (ko) 2009-02-02
KR101345292B1 true KR101345292B1 (ko) 2013-12-27

Family

ID=4068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797A KR101345292B1 (ko) 2007-07-27 2007-07-27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010B1 (ko) 2018-06-19 2020-03-24 (주)금오전자 터치펜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28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50059639A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US1034174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90040339A1 (en)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335626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96341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92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298646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427653B1 (ko)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987772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298210B1 (ko)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69751B1 (ko)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91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11908B1 (ko)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090032294A (ko) 효과적 포커싱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72855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64536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320614B1 (ko) 합성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29747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26898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20090030492A (ko)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