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747B1 -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747B1
KR101329747B1 KR1020070002181A KR20070002181A KR101329747B1 KR 101329747 B1 KR101329747 B1 KR 101329747B1 KR 1020070002181 A KR1020070002181 A KR 1020070002181A KR 20070002181 A KR20070002181 A KR 20070002181A KR 101329747 B1 KR101329747 B1 KR 10132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mode
auxiliary fram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151A (ko
Inventor
원정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촬영될 동영상에 대한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다. 단계 (b)에서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면,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된다. 단계 (c)에서는, 재생 모드에서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면,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국부적 변조의 정보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가 변조되어 재생된다.

Description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moving-picture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촬영 모드가 구별됨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11은 촬영될 동영상에 대한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도 4의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동영상 촬영 모드의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완성된 동영상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4의 해당 모드 수행의 단계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 모드의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5...기능 버튼들, 16...ASR 모드 버튼,
17...전원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2...카메라-상태 램프,
23...특수-효과 버튼, 24...카메라 끈걸이,
25...이어폰 연결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5...디스플레이 패널,
36...+/- 버튼, 39...줌/9분할/볼륨 버튼,
42...재생/프린터 버튼, 43...모드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디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디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62...플래시 메모리.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97,431호(발명의 명칭 : Method and system for reviewing and navigating among images on an image capture unit)의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영 방식으로는 동영상 촬영 모드, 연속-촬영 모드, 및 일반 촬영 모드를 들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일련의 영상 데이터가 빠르게 저장되어야 하므로, 동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가능한 동영상 효과라면 흔들림 보정 및 전체적인 색상 조정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일반 촬영 모드에서 국부적 변조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액 자 효과 등을 부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동영상의 데이터 자체를 변조하지 않고서도 국부적 변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촬영될 동영상에 대한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면,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재생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가 변조되어 재생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만이 추가적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되고, 상기 재생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가 변조되어 재생된다.
따라서,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동영상의 데이터 자체가 변조되지 않고서도 국부적 변조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 및 위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 버튼(13), ASR(Advanced Shake Reduction)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렌즈부(20),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또한,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광을 발생시킨다.
ASR 모드 버튼(16)은 손떨림을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ASR 모드 버튼(16)은 잠금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ASR 모드 버튼(16)이 1초 미만으로 눌려진 경우에 손떨림 보상 기능이 수행되고, ASR 모드 버튼(16)이 1초 이상으로 눌려진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의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2 신호가 온(On)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SH2 신호가 온(On) 신호가 눌려진 후에 영상이 포착된다. 연속-촬영 모드에서는 SH1 신호가 온(On)되고 있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영상이 포착된 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기능 버튼들(15), 카메라-상태 램프(22), 특수-효과 버튼(23), 카메라 끈걸이(24), 이어폰 연결부(25), 디스플레이 패널(35),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이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되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대상의 파일 및 기록 매체를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카메라-상태 램프(22)는 카메라의 각종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23)은 촬영될 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5)은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한다. +/- 버튼(36)은 야경 촬영 등을 위하여 셔터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줌/9분할/볼륨 버튼(39)은, 촬영 또는 재생 모드에서 주밍(zooming) 동작을 수행하는 데, 또는 재생 모드에서 9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또는 오디오의 볼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재생/프린터 버튼(42)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
모드 버튼(43)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프리뷰(Pr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줌/9분할/볼륨 버튼(39)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 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및 카메라-상태 램프(22)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기능 버튼들(15), ASR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특수-효과 버튼(23),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 등이 포함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MCI, 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플래시 메모리(FM)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들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이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인터페이스부(2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 태이면(단계 S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 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한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단계 S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또 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 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단계 S8에서 임의의 또 다른 모드로의 변환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모드를 수행(단계 S9)한 후에 상기 단계 S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방식을 판단한 후(단계 S51),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방식에 따라 동영상 촬영 모드(단계 S52), 일반 촬영 모드(단계 S53), 또는 연속-촬영 모드(단계 S54)를 수행한다.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촬영될 동영상에 대한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도 4의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특수-효과 버튼(도 2의 23)을 누른 후, 디스플레이 패널(도 2의 35) 상에서 동영상 효과(61)의 메뉴를 구한다. 이 동영상 효과(61)의 메뉴에 있어서, 흔들림 보정(64) 및 색상 조정(65)의 기능들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 이 생략된다.
사용자가 보조 프레임의 아이콘(62)을 선택하면,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66)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보조 프레임은 동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일부 영역을 가리킨다.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6의 66)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6의 6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보조 프레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삼각형의 보조 프레임(도 8의 8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삼각형의 보조 프레임(81)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6의 6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보조 프레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원형의 보조 프레임(도 9의 9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형의 보조 프레임(91)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6의 6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3 보조 프레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각형의 보조 프레임(도 10의 10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각형의 보조 프레임(101)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보조 프레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6의 6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4 보조 프레임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꽃 모양의 보조 프레임(도 11의 11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꽃 모양의 보조 프레임(111)의 크 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는 촬영될 동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일부 영역을 가리키는 보조 프레임의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투명도의 아이콘(63)을 선택하면 투명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7의 66)이 디스플레이된다. 투명도의 상세 메뉴 아이콘(도 7의 66)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느 한 투명도 예를 들어, "3"이 선택되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정보의 보조 프레임의 투명도가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조 프레임 영상의 투명도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는 설정된 정보의 보조 프레임의 투명도의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 1, 3, 및 12를 참조하여 도 5의 동영상 촬영 모드(S52)의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로 전환 후, 오프(Off) 상태로 복원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1).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로 전환된 적이 없으면, 사용자가 촬영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H1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22).
상기 단계 S122에서, SH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므로, 상기 단계 S121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22에서, SH1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 없으므로,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 S121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로 전환된 적이 있으면, 사용자가 촬영 시작 신호를 발생시킨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기록 매체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에 한 개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123).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설정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도 6 내지 11 참조)를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한다(단계 S124).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일련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처리기(51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125).
상기 단계 S125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로 전환 후 오프(Off) 상태로 복원될 때까지 수행된다(단계 S126). 즉, 상기 단계 S125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된다.
상기 단계 S125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인 SH2 신호가 온(On) 상태로 전환 후 오프(Off) 상태로 복원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 한다(단계들 S127 및 S128).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알고리즘의 수행에 의하여 얻어진 한 동영상 파일(MF)에는, 파일 시작부(131), 헤드 데이터(132), 영상 데이터(133), 오디오 데이터(134), 기타 데이터(135), 및 파일 종료부(136)가 저장된다.
파일 시작부(131)는 파일 시작을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헤드 데이터(132)는 파일 형식을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133) 및 오디오 데이터(134)는 서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된 상태이다.
기타 데이터(13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자막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의 단계 S124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도 6 내지 11 참조)는 이 기타 데이터(135)에 저장된다. 파일 종료부(136)는 파일 종료를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4는 도 4의 해당 모드 수행의 단계(S9)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 모드의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도 2, 3, 및 14를 참조하여, 동영상 재생 모드의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영상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프린터 버튼(42)을 누름에 의하여 재생 시작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41),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에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42).
상기 단계 S142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가 없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재생/프린터 버튼(42)이 다시 눌려짐에 의하여 재생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 및 오디오를 계속 재생한다(단계들 S143 및 S144).
상기 단계 S142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가 있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와 투명도의 정보에 따라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보조 프레임 영역의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구한다(단계 S145).
상기 단계 S145에서는 잘 알려진 알파 합성(alpha blending)의 공식이 이용된다. 이용될 알파 합성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01872593-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7001872593-pat00002
는 합성 결과의 새로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영상 데이터를 가리킨다. α는 상기 보조 프레임 영역의 투명도를 가리킨다.
Figure 112007001872593-pat00003
는 상기 보조 프레임 영역에서 더해질 기준 배경 영상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영상 데이터를 가리킨다. 그리고
Figure 112007001872593-pat00004
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 영역에서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영상 데이터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보조 프레임 영역의 새로운 영상 데이터(
Figure 112013028397726-pat00005
)가 구해지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이 새로운 영상 데이터(
Figure 112013028397726-pat00006
)를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단계 S146).
상기 단계들 S146 및 S147은 재생/프린터 버튼(42)이 다시 눌려짐에 의하여 재생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단계 S147).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국부적 변조의 정보만이 추가적으로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되고, 재생 모드에서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국부적 변조의 정보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가 변조되어 재생된다.
따라서, 촬영에 의하여 얻어진 동영상의 데이터 자체가 변조되지 않고서도 국부적 변조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5)

  1.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촬영될 동영상에 대한 국부적 변조의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함;
    (b)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동영상 촬영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면,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를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함; 및
    (c) 상기 재생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재생함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적 변조의 정보가,
    상기 동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일부 영역을 가리키는 보조 프레임의 정보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의 투명도의 정보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정보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형상, 크기, 및 위치의 정보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c1)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의 영역에서의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구함; 및
    (c2) 상기 보조 프레임의 영역에서의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을 재생함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일련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 내에 저장되고,
    상기 단계 (c2)에서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들과 함께 오디오가 재생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002181A 2007-01-08 2007-01-08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32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81A KR101329747B1 (ko) 2007-01-08 2007-01-08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181A KR101329747B1 (ko) 2007-01-08 2007-01-08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51A KR20080065151A (ko) 2008-07-11
KR101329747B1 true KR101329747B1 (ko) 2013-11-14

Family

ID=3981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181A KR101329747B1 (ko) 2007-01-08 2007-01-08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70A (ko) * 2004-01-16 2005-07-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모드 정보를 저장 및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영상모드 정보의 저장 및 재생 방법
JP2005303400A (ja)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照明光源及び照明装置
JP4268612B2 (ja) 1998-05-20 2009-05-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8612B2 (ja) 1998-05-20 2009-05-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KR20050075870A (ko) * 2004-01-16 2005-07-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모드 정보를 저장 및 재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영상모드 정보의 저장 및 재생 방법
JP2005303400A (ja)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照明光源及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51A (ko) 200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45290B1 (ko)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35626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601190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96341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329747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45291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17809B1 (ko) 스티커 합성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320614B1 (ko) 합성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60152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101298210B1 (ko)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45292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64536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89B1 (ko) 영상 데이터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759583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nient reproduction
JP2006039105A (ja) 音声記録装置
KR1013597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3959B1 (ko) 신속한 파일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70105137A (ko) 지아이에프(gif) 파일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060082188A (ko)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