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188A -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188A
KR20060082188A KR1020050002447A KR20050002447A KR20060082188A KR 20060082188 A KR20060082188 A KR 20060082188A KR 1020050002447 A KR1020050002447 A KR 1020050002447A KR 20050002447 A KR20050002447 A KR 20050002447A KR 20060082188 A KR20060082188 A KR 20060082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e
mode
images
digital camera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188A/ko
Priority to US11/109,588 priority patent/US20060152778A1/en
Priority to CN2005100727695A priority patent/CN1805498B/zh
Publication of KR2006008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1Printing or st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될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어 있으면,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ccurate printing,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리뷰(Preview)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촬영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단계 S10의 통신 대기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USB 케이블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인쇄기가 서로 연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통신 모드 수행 단계(S11)의 일 예로서, 도 7의 연결 조건에 서 수행되는 인쇄 모드 수행 단계(S11P)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12는 도 8의 단계들 S802 내지 S806이 수행됨에 의하여 칼라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8의 단계 S808에서 출력 명령 신호가 발생되기 직전에 칼라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의 복수-영상 출력 모드(S820)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4...모드 다이얼, 15...기능 버튼들,
15R...셀프-타이머/우향 버튼, 15L...플래시/좌향 버튼,
15D...매크로/하향 버튼, 15U...음성-메모/상향 버튼,
15M...메뉴/선택-확인 버튼, 17a, 17b...뷰 파인더,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1...외부 인터페이스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1...전원 버튼,
32...모니터 버튼, 33...자동-초점 램프,
34...플래시 대기 램프, 35...칼라 LCD 패널,
36...수동-포커싱/삭제 버튼, 37...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되었던 2004년도 미국 공개 번호 제119,876호(발명의 명칭 : Method of notification of inadequate picture quality)의 디지털 카메라는,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되는 영상에 날짜를 기입할 수 있는 날짜 기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촬영시 얻어진 영상에 날짜를 기입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인쇄된 영상에 날짜가 이중적으로 기입됨으로 인하여 인쇄된 영상의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된 영상에 날짜가 이중적으로 기입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인쇄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될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어 있으면,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날짜 영상이 합성된 영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쇄된 영상에 날짜가 이중적으로 기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인쇄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채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의 위쪽에는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 전원 스위치(31), 및 마이크로폰(MIC)이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3의 5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입력시킨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도 4 및 6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칼라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14MY)는, 각 촬영 모드에 필요한 촬영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14MP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가리킨다.
한편, 상기 녹음 모드(14V)는 소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만을 단순히 녹음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녹음 모드(14V)로의 전환 후,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일차 누르면, 저장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오디오(audio)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이 완성된다.
광각-줌 버튼(39W)과 망원-줌 버튼(39T)은 촬영 모드 뿐만 아니라 재생 모드에서도 이용된다. 예를 들어, 재생 모드에서 영상이 기준 규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망원-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상기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광각-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인덱스 재생 모드가 수행된다. 이 인덱스 재생 모드에서는, 설정 개수의 인덱스 영상들이 설정 순서대로 모든 분할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된다. 인덱스 재생 모드인 상태에서 망원-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영상이 기준 규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된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칼라 LCD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기능 버튼들(15)의 각 기능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 모드에서 영상이 기준 규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정방향 순서의 다음 파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 한,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사용자가 셀프-타이머/우향 버튼(15R)을 누르면, 셀프-타이머 동작 예를 들어, 10 초 후에 자동적으로 촬영이 수행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재생 모드에서 영상이 기준 규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르면 역방향 순서의 다음 파일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왼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좌향 버튼(15L)을 누름에 따라 촬영 모드를 위한 어느 한 플래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윗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자가 매크로/하향 버튼(15D)을 누름으로써 촬영 모드를 위한 근접 자동 포커싱이 설정된다.
재생 모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확대된 경우,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누르면 확대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랫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 버튼(15U)을 누르면, 이어지는 촬영 동작 후에 10 초 동안 녹음이 가능하다.
설정 모드에서 활성화 커서가 어느 한 선택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르면 상기 선택 항목에 상응하는 동작 조건이 설정된다.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동-조정/재생/중지 버튼(37)을 누르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중지시킬수 있다.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칼라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 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에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의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율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인쇄기와 USB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 인쇄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은 도 8 내지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프리뷰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름에 따라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면(단계 S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의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하는 알고리듬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 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또한,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단계 S7).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 안의 재생 모드 버튼(42)으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8),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9).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통신 대기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0),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발생된 통신 대기 신호에 상응하는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1).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인쇄기와 USB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한다(도 7 참조). 이 인쇄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은 도 8 내지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통신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단계들이 반복 수행된다.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여, 도 4의 프리뷰(Preview) 모드 수행(S2)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자동 백색 균형(AWB, Automatic White Balance) 동작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201).
다음에, 자동 노광(AE, Automatic Exposure)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202).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며 노광 시간을 설정한다. 다음에,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ocusing)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203).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감마(gamma) 보정을 수행하고(단계 S204), 감마 보정이 수행된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규격에 맞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단계 S205).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스케일링이 수행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적색(R)-녹색(G)-청색(B)의 형식에서 휘도-색도의 형식으로 변환한다(단계 S206).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위치 등과 관련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필터링을 수행한다(단계 S207).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다이나믹 램(도 3의 504)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단계 S208).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다이나믹 램(도 3의 5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와 오에스디(On-Screen Display) 데이터를 합성한다(단계 S209).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합성된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휘도-색도의 형식에서 적색(R)-녹색(G)-청색(B)의 형식으로 변환하고(단계 S210), 변환된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도 3의 514)로 출력한다(단계 S211).
도 6은 도 4의 촬영 모드 수행(단계 S4)의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4의 촬영 모드 수행(S4)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메모리 카드의 잔량을 검사하여(단계 S40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02). 저장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을 표시한 후, 촬영 모드의 수행(S41)을 종료한다(단계 S403). 저장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들에 따라 백색 균형(White Balance) 설정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404).
다음에, 자동 노광(AE, Automatic Exposure) 모드이면(단계 S410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고 노광 시간을 설정한다(단계 S406).
다음에, 자동 포커싱(Automatic Focusing) 모드이면(단계 S40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단계 S408).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09)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 다(단계 S410).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들 S405 내지 S410을 반복 수행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저장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411).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영상 포착을 수행한다(단계 S412). 즉,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시킨다(단계 S413).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414).
도 7은, 도 4의 단계 S10의 통신 대기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USB 케이블(701)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1)와 인쇄기(PR)가 서로 연결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1)의 외부 인터페이스부(21) 안의 USB 접속부(도 3의 21a)와 인쇄기(PR)의 USB 접속부(도시되지 않음)가 USB 케이블(70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8은, 도 4의 통신 모드 수행 단계(S11)의 일 예로서, 도 7의 연결 조건에서 수행되는 인쇄 모드 수행 단계(S11P)의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9 내지 12는 도 8의 단계들 S802 내지 S806이 수행됨에 의하여 칼라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준다. 도 3, 7, 8, 및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도 8의 인쇄 모드 수행 단계(S11P)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LCD 구동부(514)를 제어하여, 인쇄 안내 메세지를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802).
또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 입력된 인쇄 조건 신호에 따라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단계들 S804 및 S806).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기능 버튼들(도 2의 15)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인쇄 매수(도 9 참조), 프린터 동작 조건(도 10 참조), DPOF(Digital Print Order Format) 출력 여부(도 11 참조), 및 초기화 여부(도 12 참조) 등을 설정한다. 참고로, 상기 프린터 동작 조건으로는 용지 크기, 용지 1장 당 영상 개수, 용지 재질, 인쇄 해상도, 날짜 기입 여부, 및 파일명 기입 여부 등이 있다. 한편, 상기 DPOF 출력이란,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쇄 조건에 따라 인쇄를 수행함을 의미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 출력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점검한다(단계 S808).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표준 출력 또는 인덱스 출력을 선택한 상태에서 메뉴/선택-확인 버튼(도 2의 15M)을 누르면 상기 출력 명령 신호가 발생된다. 출력 명령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인쇄 모드 수행(S11P)을 종료한다. 출력 명령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 어 있는지를 점검한다(단계 S810).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상기 단계 S80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단계들 S810 및 S818).
단계 S810에서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설정 조건에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영상 개수를 확인한다(단계 S812).
선택된 영상 개수가 한 장이면(도 9 참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었는지를 점검한다(단계 S814). 선택된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상기 단계 S80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단계들 S814 및 S818). 선택된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날짜의 중복 기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816). 또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상기 단계 S802 및 그 다음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단계 S818).
한편, 선택된 영상 개수가 복수 예를 드어, 전부이면(도 9 참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복수-영상 출력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820). 도 3, 7, 및 14를 참조하여, 도 8의 복수-영상 출력 모드(S820)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모든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단계 S141).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선택된 모든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날짜의 중복 기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142). 또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복수-영상 출력 모드(단계 S820)의 수행을 종료한다(단계 S148).
한편, 선택된 모든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모든 영상들중에서 일부 영상들만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었는지를 점검한다(단계 S143). 여기에서, 일부 영상들만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지 않았으면, 선택된 모든 영상들 각각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복수-영상 출력 모드(단계 S820)의 수행을 종료한다(단계들 S143 및 S148).
한편,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일부 영상들만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는 영상들의 개수가 과반수인지를 점검한다(단계 S144).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는 영상들의 개수가 과반수 이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지 않은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을 합성시키고(단계 S145), 인쇄기(PR)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146). 이에 따라, 날짜의 중복 기입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복수-영상 출력 모드(단계 S820)의 수행을 종료한다(단계 S148).
한편,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는 영상들의 개수가 과반수가 아니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합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짜 영상의 데이터를 그 인접 영상의 데이터가 되도록 변경시킨다(단계들 S144 및 S147). 이에 따라, 선택된 영상들 각각에 합성되어 있는 날짜 영상들 각각이 효과적으로 삭제되므로, 날짜의 중복 기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선택된 영상들의 데이터를 USB 접속부(21a)로 출력하고 복수-영상 출력 모드(단계 S820)의 수행을 종료한다(단계 S148).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날짜 영상이 합성된 영상에 대해서는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쇄된 영상에 날짜가 이중적으로 기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인쇄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5)

  1.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될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어 있으면,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복수의 영상들이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인쇄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된 모든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으면,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복수의 영상들이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인쇄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일부 영상들만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고, 상기 일부 영상들의 개수가 과반수이면,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지 않은 영상들에 날짜 영상들을 합성시키고,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복수의 영상들이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인쇄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된 영상들중에서 일부 영상들만에 날짜 영상들이 합성되어 있고, 상기 일부 영상들의 개수가 과반수가 아니면,
    상기 일부 영상들의 날짜 영상 데이터를 그 인접 영상의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인쇄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인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인쇄기에 의하여 인쇄될 영상에 날짜 영상이 합성되어 있으면,
    상기 인쇄기에 의한 날짜 기입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는 제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50002447A 2005-01-11 2005-01-11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60082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47A KR20060082188A (ko) 2005-01-11 2005-01-11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11/109,588 US20060152778A1 (en) 2005-01-11 2005-04-19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ccurate printing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CN2005100727695A CN1805498B (zh) 2005-01-11 2005-05-19 控制数字图像处理设备的方法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47A KR20060082188A (ko) 2005-01-11 2005-01-11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88A true KR20060082188A (ko) 2006-07-18

Family

ID=3665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447A KR20060082188A (ko) 2005-01-11 2005-01-11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52778A1 (ko)
KR (1) KR20060082188A (ko)
CN (1) CN1805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115B2 (ja) * 2005-05-31 2011-06-01 株式会社リコー 制御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4973A (ja) * 1982-03-10 1983-09-14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書込み手段を備えた電子撮像装置
US6002888A (en) * 1993-01-27 1999-12-14 Nikon Corporation Camera having multiple display functions and/or a date imprinting function
US6337954B1 (en) * 1993-01-28 2002-01-08 Nikon Corporation Camera having a display unit including multiple display areas and a connector mounted parallel to said multiple display areas
US6741278B1 (en) * 1998-06-11 2004-05-25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photographing device
JP2001103269A (ja) * 1999-09-28 2001-04-13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タ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装置
JP2002314931A (ja) * 2001-04-10 2002-10-2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US7301569B2 (en) * 2001-09-28 2007-11-27 Fujifilm Corporation Image identifying apparatus and method, order process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JP2003202987A (ja) * 2002-01-07 2003-07-18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ドライバ用のインストーラ
KR100530746B1 (ko) * 2002-12-24 2005-1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방법
JP2005130143A (ja) * 2003-10-22 2005-05-19 Canon Inc プリントシステム、撮像装置、プリント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5223758A (ja) * 2004-02-06 2005-08-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129382B1 (ko) * 2004-11-16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5498A (zh) 2006-07-19
CN1805498B (zh) 2011-12-14
US20060152778A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027B1 (ko) 셔터 반누름 시에 osd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58024B1 (ko) 아이콘들이 적응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및 그 제어 방법
US1034174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45016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lay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037932B1 (ko) 해상도 변경을 이용한 저장공간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108640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058026B1 (ko)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의 저장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2005011703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file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149090B1 (ko) 개인적 촬영 조건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80057048A (ko) 야간 촬영 모드에서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60082188A (ko) 정확한 인쇄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20060152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56113B1 (ko) 편리한 통신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6039105A (ja) 音声記録装置
KR100673959B1 (ko) 신속한 파일 관리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05801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메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20060099233A (ko) 디지털 이미지 장치의 에이브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장치
KR20060100571A (ko) 영상을 용이하게 편집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7017504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