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713B1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713B1
KR101359713B1 KR1020070009638A KR20070009638A KR101359713B1 KR 101359713 B1 KR101359713 B1 KR 101359713B1 KR 1020070009638 A KR1020070009638 A KR 1020070009638A KR 20070009638 A KR20070009638 A KR 20070009638A KR 101359713 B1 KR101359713 B1 KR 10135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s
dram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418A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7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68Immediately runnable code
    • G06F9/44578Preparing or optimising for 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5In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refresh, e.g. hidden refresh, self refresh, pseudo-S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램(RAM)에 로딩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면, 초기화가 수행되고, 이로 인하여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전지가 새롭게 삽입된 경우에 도 3 및 4에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5...기능 버튼들, 16...ASR 모드 버튼,
17...전원 버튼,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2...카메라-상태 램프,
23...특수-효과 버튼, 24...카메라 끈걸이,
25...이어폰 연결부, 303...마이크로폰,
305...스피커, 35...디스플레이 패널,
36...+/- 버튼, 39...줌/9분할/볼륨 버튼,
42...재생/프린터 버튼, 43...모드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디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디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301...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62...플래시 메모리, 520...전압 공급 소자.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램(RAM)에 로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097,431호(발명의 명칭 : Method and system for reviewing and navigating among images on an image capture unit)의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잘 알려진 웜(Warm) 부팅 방법에 의하면, 전원 버튼으로부터 오프(Off)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램(RAM)에는 동작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전원 버튼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에 초기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는 경우, 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지가 새롭게 삽입되는 경우, 초기화 과정이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수행되어야만 하므로, 초기화 시간이 상당히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더라도 초기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램(RAM)에 로딩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면, 초기화가 수행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을 램(RAM)에 로딩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면, 초기화를 수행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을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는 초기화 과정들이 미리 수행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인가되더라도 초기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 및 위쪽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 버튼(13), ASR(Advanced Shake Reduction)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렌즈 부(20), 마이크로폰(303), 및 스피커(305)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또한,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광을 발생시킨다.
ASR 모드 버튼(16)은 손떨림을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ASR 모드 버튼(16)은 잠금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ASR 모드 버튼(16)이 1초 미만으로 눌려진 경우에 손떨림 보상 기능이 수행되고, ASR 모드 버튼(16)이 1초 이상으로 눌려진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의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H2 신호가 온(On)된다. 정지영상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는 SH2 신호가 온(On) 신호가 눌려진 후에 영상이 포착된다. 연속-촬영 모드에서는 SH1 신호가 온(On)되고 있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영상이 포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기능 버튼들(15), 카메라-상태 램프(22), 특수-효과 버튼(23), 카메라 끈걸이(24), 이어폰 연결부(25), 디스플레이 패널(35),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이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로서 사용되며, 재생 모드에서 재생 대상의 파일 및 기록 매체를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카메라-상태 램프(22)는 카메라의 각종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된다. 특수-효과 버튼(23)은 촬영될 영상에 특수한 효과들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5)은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한다. +/- 버튼(36)은 야경 촬영 등을 위하여 셔터 속도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줌/9분할/볼륨 버튼(39)은, 촬영 또는 재생 모드에서 주밍(zooming) 동작을 수행하는 데, 또는 재생 모드에서 9 장의 사진들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데, 또는 오디오의 볼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재생/프린터 버튼(42)은 재생 모드와 프리뷰(preview) 모드의 상호 전환 또는 프린터로의 직접 출력을 위하여 사용된다.
모드 버튼(43)은 PMP(Portable Media Player) 모드 또는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프리뷰(Pr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줌/9분할/볼륨 버튼(39)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301)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및 카메라-상태 램프(22)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기능 버튼들(15), ASR 모드 버튼(16), 전원 버튼(17), 특수-효과 버튼(23), +/- 버튼(36), 줌/9분할/볼륨 버튼(39), 재생/프린터 버튼(42), 및 모드 버튼(43) 등이 포함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플래시 메모리(62)로부터의 프로그램 코드들이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MCI, 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플래시 메모리(FM)에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응용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들로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이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인터페이스부(2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303)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305)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05)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전압 공급 소자(520)는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예를 들어, 전지(도 4의 41)의 전압을 처리하여 각 부에 필요한 전압들(V1 내지 VN)을 공급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카메라(1)에서의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으로서의 전지(41)는 DRAM(504),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마이크로제어기(512), 및 전압 공급 소자(5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나머지 각 부들은 전압 공급 소자(520)로부터 적절한 전압들(V1 내지 VN)을 공급받는다.
전원 버튼(도 1의 17)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면, 이는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입력되고, 마이크로제어기(512)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압 공급 소자(520)의 출력 전압들(V1 내지 VN)을 인에이블(enable)시킨다.
이와 반대로, 전원 버튼(17)으로부터 오프(On) 신호가 발생되면, 이는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입력되고, 마이크로제어기(512)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압 공급 소자(520)의 출력 전압들(V1 내지 VN)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
상기와 같은 전원 공급 구조에 의하면, 전지(41)의 전원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직접 공급되므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가 전지(41)의 삽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41)가 새롭게 삽입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필요한 초기화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지(41)의 전원이 DRAM(504)에 직접 공급되므로, 전지(41)가 새롭게 삽입된 후부터 DRAM(504)이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초기화에 의하여 DRAM(504)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정상 동작 중에 전원 버튼(17)로부터 오프(On)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DRAM(504)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DRAM(504)의 메모리 셀들이 캐페시터들(capacitors)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캐페시터들(capacitors)을 재충전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도 4에서의 전지(41)가 새롭게 삽입된 경우에 도 3 및 4에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전압 공급 소자(520)를 제어하여 플래시 메모리(62)에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501).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플래시 메모리(62)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OS)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DRAM(504)에 로딩한다(단계 S503).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DRAM(504)에 로딩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OS)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한다(단계 S505).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플래시 메모리(62)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DRAM(504)에 로딩한다(단계 S507).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DRAM(504)에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한다(단계 S509).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전원 버튼(17)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11).
상기 단계 S511에서 전원 버튼(17)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DRAM(504)이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513). 또한, 전압 공급 소자(520)를 제어하여 플래시 메모리(62)의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515).
상기 단계 S511에서 전원 버튼(17)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전압 공급 소자(520)로부터 모든 전압들(V1 내지 VN)이 출력되게 한다(단계 S517). 이에 따라, 오디오 처리기(513), 발광부(301), LCD 구동부(514), 및 컬러 LCD 패널(35) 등등 각 부에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LCD 구동부(514)를 제어하여 초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19).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는 초기화 과정들이 미리 수행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다시 인가되더라도 초기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11)

  1.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램(RAM)에 로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면, 초기화가 수행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전지이고, 상기 램(RAM)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전지가 새롭게 삽입되면, 상기 전지의 전원이 상기 DRAM에 직접 공급되고, 상기 DRAM이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상기 DRAM에 로딩된 후에,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S501)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S503)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상기 DRAM에 로딩하는 단계,
    (S505) 상기 DRAM에 로딩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하는 단계,
    (S507)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상기 DRAM에 로딩하는 단계, 및
    (S509) 상기 DRAM에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초기화 과정에서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램(RAM)에 로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되면, 초기화를 수행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을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이 전지이고, 상기 램(RAM)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상기 전지가 새롭게 삽입되면, 상기 전지의 전원이 상기 DRAM에 직접 공급되고, 상기 DRAM이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램(RAM)에 로딩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들이 지워지지 않도록 유지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이 상기 DRAM에 로딩된 후에,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S501)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S503)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상기 DRAM에 로딩하는 단계,
    (S505) 상기 DRAM에 로딩되어 있는 운영 시스템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하는 단계,
    (S507)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을 복사하여 상기 DRAM에 로딩하는 단계, 및
    (S509) 상기 DRAM에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코드들을 실행 가능한 코드들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S511) 전원 버튼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11)에서 상기 전원 버튼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S513) 상기 DRAM이 자기(Self) 리플래시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S515)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11)에서 상기 전원 버튼으로부터 온(On)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S517) 전압 공급 소자로부터 모든 전압들이 출력되게 하는 단계, 및
    (S519) 초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009638A 2007-01-30 2007-01-3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38A KR101359713B1 (ko) 2007-01-30 2007-01-3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38A KR101359713B1 (ko) 2007-01-30 2007-01-3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18A KR20080071418A (ko) 2008-08-04
KR101359713B1 true KR101359713B1 (ko) 2014-02-07

Family

ID=3988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638A KR101359713B1 (ko) 2007-01-30 2007-01-3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04A (ko) * 2001-03-05 2001-07-25 이창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04A (ko) * 2001-03-05 2001-07-25 이창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18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813788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35626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396341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919978B1 (ko)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0515961B1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35971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09361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15959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304466B1 (ko) 연속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57048A (ko) 야간 촬영 모드에서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987772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1345291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98210B1 (ko) 얼굴 영역이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KR101345292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987771B1 (ko)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 방법
KR101320614B1 (ko) 합성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03151B1 (ko) 효율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86406B1 (ko) 간략화된 전원 입력 시퀀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KR101329747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KR101372855B1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50036252A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날짜 데이터를 사용하여데이터-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휴대용 디지털 장치
KR101364536B1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