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304A -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304A
KR20010069304A KR1020010011297A KR20010011297A KR20010069304A KR 20010069304 A KR20010069304 A KR 20010069304A KR 1020010011297 A KR1020010011297 A KR 1020010011297A KR 20010011297 A KR20010011297 A KR 20010011297A KR 20010069304 A KR20010069304 A KR 2001006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atile memory
data
portabl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이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102001001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304A/ko
Publication of KR2001006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 동작용 데이터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장치의 전원을 켜면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외부 입력을 차단하고 절전상태로 돌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장치를 초기화한 후 절전상태에 돌입하고,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으면 장치 초기화 없이 절전상태에 돌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외부 입력을 대기하고, 입력이 있거나 장치가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다시 절전상태로 돌입하고, 맞으면 장치 동작 정지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절전 상태로 돌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장치를 활성화하고 지시된 특정 동작을 수행한 후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각 단계에서 전원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면서 전원부가 저 전력상태이면 외부입력을 차단하고 절전 상태로 돌입한 후 종료하며 아니면 계속해서 전원 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의 휴대용 시스템에서 시스템 동작용 데이터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고가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큰 변형 없이 저가의 휘발성 메모리로 대체 함으로써 휴대용 장치의 획기적인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고속의 기록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장치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PORTABLE APPARATUS USING VOLATILE MEMORY AND METHOD FOR KEEPING DATA THEREBY}
본 발명은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 동작용 데이터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가 개발된 이래 불과 몇 십년 동안 해당 업계는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왔다. 개인용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의 고성능화는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하도록 점차 그 크기는 작아지고, 그 용량 및 성능은 대단히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점점 크기가 작아지는 제품들은 휴대가 가능하도록 그 크기가 줄었으면서도 그 성능이나 용량은 점점 커져가게 되었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크기와 성능의 반비례관계는 가속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 개발의 정점에 있는 기술로서, 메모리 소자의 성능 개선을 들 수 있는데, 개인용 컴퓨터 및 휴대용 장치의 확산에 힘입어 메모리 소자의 양대축 중 하나인 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은 대단히 빠른 속도로 그 성능과 용량이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예를 들면,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DRAM), 정적 임의 접근 메모리(SRAM) 등이 있다.
메모리 소자의 다른 한 축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이 있는데, 내부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읽고 쓰기가 자유로운 대용량의 제품들도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서, 마스크 롬(MASK ROM),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롬(Flash ROM)등이 있다.
현재 휴대용 장치는 보다 많은 용량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많은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MP3 포멧으로 저장된 음악을 실시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MP3 재생기,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PDA(개인용 정보 단말기), 문서를 전자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한 전자책, 음성을 메모리에 녹취 및 재생할 수 있는 보이스 저장 기기, 사진을 찍어 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카메라 등은 모두 내부적으로 방대한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휴대용 장치들은 메모리의 내용을 수시로 갱신할 수 있어야하며 전원이 없는 경우라도 기록된 내용을 보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주로 기록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해 왔다. 이러한 경우에 많이 쓰이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가 있는데, 현재 개발된 휘발성 메모리의 용량에 비해 수십분의 일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비용은 같은 용량인 경우 수배에서 수십배 정도에 이를 정도로 고가이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경우 그 기록 방법이 휘발성 메모리와 상이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내장된 휘발성 메모리에 빠른 속도로 입력하면 이를 내부적으로 메모리에 느리게 기록하며, 그 기록 시간동안 새로운 데이터 입력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대단히 긴 시간동안 지루하게 대기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며, 이는 휴대용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다시 정리하면, 현재의 휴대용 시스템에서 시스템 동작용 데이터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휴대용 기기의 생산가격 중 대부분을 차지하며, 저속으로 기록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된다.
따라서, 저가의 휘발성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장기간 데이터를 보존 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가이면서 고속인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사용을 멈춤으로써, 잔류하는 전원으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의 데이터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휘발성 메모리와; 초기 시스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방전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전원 관리부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전원 관리부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은, 휴대용 장치의 전원을 켜면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외부 입력을 차단하고 절전상태로 돌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장치를 초기화한 후 절전상태에 돌입하고,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으면 장치 초기화 없이 절전상태에 돌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외부 입력을 대기하고, 입력이 있거나 장치가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다시 절전상태로 돌입하고, 맞으면 장치 동작 정지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절전 상태로 돌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장치를 활성화 하고 지시된 특정 동작을 수행한 후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각 단계에서 전원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면서 전원부가 저 전력상태이면 외부입력을 차단하고 절전 상태로 돌입한 후 종료하며 아니면 계속해서 전원 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 예에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가 소실되는 경우의 장치 동작용 데이터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휘발성 메모리, 20: 비휘발성 메모리
30: 오디오 처리부, 40: 외부 데이터 입/출력부
50: 전원부, 60: 전원 관리부
70: 중앙처리부(CPU)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로서, 본 실시예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휴대용 장치(100)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휘발성 메모리(10)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와 연결되어 초기 시스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20)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와 연결되어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처리부(30)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와 연결되어 외부 데이터를 입력하고 내부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데이터 입/출력부(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와, 상기 전원부(50)의 방전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전원 관리부(60)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10), 비휘발성 메모리(20), 오디오 처리부(30), 외부 데이터 입/출력부(40) 및 전원 관리부(6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70)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장치(100)는, 먼저 전원이 켜지는 경우, 상기 휴대용 장치(100)를 초기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압축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20)로부터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의 소정 영역에 압축 해제하면서 기록하도록 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20)는 프로그램의 최초 초기화에 관한 프로그램을 압축상태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크기가 작을 수 있고, 기록의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면, 마스크롬일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 바이오스(bios) 갱신을 허용하기 위해 기록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 또는 플래시 롬(Flash Rom)일 수 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손실한 경우에도 기본적인 초기화 프로그램은 보존할 수 있게된다. 부가적으로, 중앙 처리부(70)는 내부 프로그램 메모리가 작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경우는 중앙처리부(70)가 휘발성 메모리(10)를 프로그램 메모리 혹은 프로그램 동작 참조용 데이터 메모리의 일부로 사용하는 경우이며, 초기화 프로그램은 비휘발성 메모리(20)에 압축이 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어 이를 프로그램 메모리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중앙처리부(70)가 마이크로 컴퓨터라면, 내장 메모리에 초기화 프로그램을 작성해 둘 수 도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상기 휴대용 장치(100)를 초기화한 경우, 상기 초기화 프로그램은 휘발성 메모리(10)가 데이터를 손실하는 시점까지 항상 휘발성 메모리(10)의 소정 영역에 존재하게된다.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장치(100)에 입출력하기 위해서,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외부 데이터 입/출력부(40)를 통해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에 입력받거나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30)는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디코딩, 필터링 및 증폭 작용을 한다.
상기 모든 작업을 하는 동안 전원 관리부(60)는 지속적으로 전원부(50)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방전량 이상으로 방전되면 이를 상기 중앙 처리부(70)에 알리고, 이를 감지한 중앙 처리부(70)는 모든 입력을 차단한 후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전원부(50)에 충분한 전원이 새롭게 인가되기를 기다리게된다.
여기서, 휘발성 메모리(10)는 절전기능을 내장하는 디바이스라는 것에 주의해야 하며, 현재 생산되는 대부분의 정적(static) 휘발성 메모리(10)는 절전모드를 가지고 있다. 절전모드가 설정되면 소비전류를 수∼수십㎂정도까지 줄이는 디바이스가 상용화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중앙처리부(70)는 슬립모드(sleep mode)와 같은 절전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역시 수∼수십㎂정도까지 소비전류를 낮추면서도 특정 외부 및 내부 인터럽트를 활성화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모드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20), 오디오 처리부(30) 그리고 외부 데이터 입/출력부(40)는 전원을 거의 혹은 전혀 소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설정되는 방전량에 따라서, 잔류하는 전원부(50)의 전원을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의 데이터를 유지하는데 사용한다면 극단적인 경우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된다. 보통 사용자가 전원을 재충전하는 시간이 수일에서 수주를 넘지 않는다면 비휘발성 메모리(1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와 초기화 프로그램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몇 가지 대안적인 방법들이 제기될 수 있는데, 상기 전원부(50)는 충전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할 수 없도록 상기 휴대용 장치(100) 내부에 봉입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장치(100) 내부에 포함되는 충전기를 주 전원으로 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내부에 충전기를 포함하여 이를 상기 휘발성 메모리(10)의 데이터 유지용으로 사용함과 동시에는 일반 건전지등을 주 전원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전원의 방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비휘발성 시스템에 2∼3개의 집적회로(IC) 칩을 부가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단계에서는 휴대용 장치의 전원을 켜면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단하는데, 만일 저전력 상태라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 외부의 입력을 차단하고 절전상태에 돌입한다. 위와 같이 외부 입력을차단하면 전원이 재충전 될때 까지 휴대용 장치가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상기 장치 초기화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상기 휘발성 저장 데이터로 풀어서 옮기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이전에 한번 실시되고 그 데이터가 유지되는 상태라면 이미 장치 초기화가 완료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최초 사용이거나 이전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이 소실된 경우이므로 장치를 초기화한 후 절전상태에 돌입하고,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으면 장치 초기화 없이 절전상태에 돌입한다. 여기서 상기 절전상태에 돌입한다는 의미는 상기 휴대용 장치의 휘발성 메모리 및 중앙처리부를 절전모드로 유지하며, 전원 관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절전상태는 예를 들어 워치독(watch dog) 타이머 등과 같은 내부적인 인터럽트와 외부 입력에 의한 인터럽트를 통해 다시 일반모드로 돌아을 수 있는데, 이를 웨이크 업이라 한다. 이를 통해서 저전력 소모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제 2 단계 후 사용자의 키 조작과 같은 외부 입력을 대기하고, 입력이 있거나 미리 조작된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장치가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다시 절전상태로 돌입하고, 맞으면 장치 동작 정지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절전 상태로 돌입한다.
그 다음, 제 4 단계에서는 상기 제 3 단계 후 장치를 활성화하고 지시된 특정 동작을 수행한 후 다시 제 3 단계로 진행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휴대용 장치의 사용을 허용한다.
그리고, 제 5 단계는 상기 각 단계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원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면서 전원부가 저 전력상태이면 이를 중앙처리부에 인터럽트 등의 수단을 통해 알리고, 이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부는 전원 스위치를 제외한 외부입력을 차단하고 절전 상태로 돌입한 후 종료하며 아니면 계속해서 전원 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의 일 실시 예에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가 소실되는 경우의 장치 동작용 데이터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에서는, 최초 또는 충전지의 완전 방전 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휴대용 장치는 중앙처리부 자신과 저장장치를 초기화한다.
제 2 단계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압축되어 저장된 휴대장치 동작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압축을 풀면서 옮긴다.
제 3 단계에서는, 중앙처리부가 상기 휘발성 메모리 상에 저장된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시스템을 구동한다.
제 4 단계에서는, 상기 동작 시스템의 구동을 통해 주변 장치들에 대한 초기화 및 휴대장치의 자체 진단을 실시한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4 단계를 통해 휴대용 장치의 초기화가 완료되며, 한번 압축이 풀려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 동작 데이터는 충전기의 완전 방전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항상 유지되므로 두 번째 전원 스위치를 켜는 경우에는 생략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를 재충전하거나 전원부를 교체하기 전까지, 혹은 미리 설정된 소정 기간동안 보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의 휴대용 시스템에 소정의 직접회로를 부가함과 아울러 저가이며 고속인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사용을 멈추게하여, 잔류하는 전원으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스템 동작용 데이터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고가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큰 변형 없이 저가의 휘발성 메모리로 대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장치의 획기적인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고속의 기록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장치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데이터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휘발성 메모리와;
    초기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방전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전원 관리부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전원 관리부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사용자가 임으로 분리할 수 없는 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전원부를 항상 감시하면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방전량 이상 방전되는 경우 이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알림으로써 절전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시스템 데이터는 압축된 형태이며, 이를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압축 해제한 후 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5. 휴대용 장치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장치의 전원을 켜면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외부 입력을 차단하고 절전상태로 돌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원부가 저전력 상태가 아니면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장치를 초기화한 후 절전상태에 돌입하고, 장치 초기화가 완료되었으면 장치 초기화 없이 절전상태에 돌입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외부 입력을 대기하고, 입력이 있거나 장치가 동작 중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다시 절전상태로 돌입하고, 맞으면 장치 동작 정지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맞으면 절전 상태로 돌입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장치를 활성화하고 지시된 특정 동작을 수행한 후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각 단계에서 전원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면서 전원부가 저 전력상태이면 외부입력을 차단하고 절전 상태로 돌입한 후 종료하며 아니면 계속해서 전원 상태를 백그라운드로 감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장치 초기화는 최초 또는 충전지의 완전 방전 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중앙처리부외 저장장치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압축되어 저장된 휴대장치 동작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압축을 풀면서 옮기는 제 2 단계와;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휘발성 메모리 상에 저장된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시스템을 구동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동작 시스템의 구동을 통해 주변 장치들에 대한 초기화 및 휴대장치의 자체 진단을 실시한후 종료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보존 방법.
KR1020010011297A 2001-03-05 2001-03-05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KR20010069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97A KR20010069304A (ko) 2001-03-05 2001-03-05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97A KR20010069304A (ko) 2001-03-05 2001-03-05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304A true KR20010069304A (ko) 2001-07-25

Family

ID=1970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297A KR20010069304A (ko) 2001-03-05 2001-03-05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3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21A (ko) * 2002-02-21 2003-08-27 (주)아지오 컴퓨터 저장장치
KR100506303B1 (ko) * 2001-12-19 2005-08-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US7873769B2 (en) 2007-02-07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 controller unit (MCU) capable of increasing data retention time and method of driving the MCU
KR101359713B1 (ko) * 2007-01-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813A (ja) * 1991-12-05 1993-06-25 Olympus Optical Co Ltd 半導体メモリー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H09330278A (ja) * 1996-06-11 1997-12-22 Sony Corp メモリバックアップ装置、メモリ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9980076636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휴대용기기의 전원 중단시 데이터 보호방법
JPH113292A (ja) * 1997-06-12 1999-01-06 Nec Shizuoka Ltd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1149332A (ja) * 1997-11-14 1999-06-02 Toshiba Corp 携帯情報機器、データ管理方法
JPH11175414A (ja) * 1997-12-16 199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ム格納方法及び携帯型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813A (ja) * 1991-12-05 1993-06-25 Olympus Optical Co Ltd 半導体メモリー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H09330278A (ja) * 1996-06-11 1997-12-22 Sony Corp メモリバックアップ装置、メモリ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9980076636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휴대용기기의 전원 중단시 데이터 보호방법
JPH113292A (ja) * 1997-06-12 1999-01-06 Nec Shizuoka Ltd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1149332A (ja) * 1997-11-14 1999-06-02 Toshiba Corp 携帯情報機器、データ管理方法
JPH11175414A (ja) * 1997-12-16 199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ム格納方法及び携帯型情報端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303B1 (ko) * 2001-12-19 2005-08-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30069521A (ko) * 2002-02-21 2003-08-27 (주)아지오 컴퓨터 저장장치
KR101359713B1 (ko) * 2007-01-30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873769B2 (en) 2007-02-07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 controller unit (MCU) capable of increasing data retention time and method of driving the MC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0444B1 (en) Media player with instant play capability
US75198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reanimating devices from hibernation
EP0961283B1 (en) Memory circuit
US7900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reanimating devices from hibernation
KR100731363B1 (ko) 오디오 플레이어용 개인용 컴퓨터 및 이의 작동 방법
US8683238B2 (en) Mobile system on chip (SoC)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mobile SoC
JP2006525598A (ja) 携帯電子機器のためのコントローラ
US20020087225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 low power media player
US7522964B2 (en)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US20090259863A1 (en) Responding to interrupts while in a reduced power state
US96325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volatile memory standby power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0727493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US20230297156A1 (en) Low power state staging
US20120233451A1 (en) Method for fast resuming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US20060227605A1 (en) Memory architectures includ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20010069304A (ko)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US20040042768A1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video data
US20060206652A1 (en) Machine sta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US86824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dio processing operations by storing information within multiple memories
US20010005878A1 (en) Data reproduction device
JPH09161489A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
JPH08335193A (ja) 情報処理装置
JPH102077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WO2004074971A2 (en) Method and circuit for writing data to a disk
JP2000250668A (ja) 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中でソフトウェアの応用を一時停止ならびに再継続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