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493B1 -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493B1
KR100727493B1 KR1020060015768A KR20060015768A KR100727493B1 KR 100727493 B1 KR100727493 B1 KR 100727493B1 KR 1020060015768 A KR1020060015768 A KR 1020060015768A KR 20060015768 A KR20060015768 A KR 20060015768A KR 100727493 B1 KR100727493 B1 KR 10072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playback
nand flash
data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585A (ko
Inventor
최영준
정재성
앤디 양
아반 케이 그린버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9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1Blocking transmission of caller identification to call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여기에 제공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는 램과;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재생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정보 중 일부가 저장되는 플레이백 버퍼 영역을 구비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정상 동작 모드시,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일정 단위로 상기 램에 로드되고; 슬립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램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핀-업 없이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램으로 로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PORTABLE DIGITAL AUDIO/VIDEO PLAYER}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메모리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콜드 부트 동작시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재생 동작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인스턴트 재생 동작시 데이터 흐름을 개 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메모리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재생 장치 110 : HDD
120 : 플래시 메모리 130 : DRAM
140 : 배터리 150 : 오디오 컨트롤러
160 : 디코더 1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80 : USB 인터페이스 190 : MCU/MPU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는 HDD(11)를 기반으로 한 재생 장치이다. HDD(11)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들)가 저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1)는 NOR 플래시 메모리(12) 및 DRAM(13)를 더 포함한다. NOR 플래시 메모리(12)는 부트 코드와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DRAM(13)은 워크 메모리(work memory)로서 사용된다. 도 1의 재생 장치(1)는 내장된 배터리(1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휴대용 재생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마이크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오디오 컨트롤러(15), 디코더(16), 표시 장치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7),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18)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1)의 동작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HDD(11)를 기반으로 한 재생 장치(1)의 MPU 또는 MCU(19)는 파워-업시(S10) NOR 플래시 메모리(12)에 저장된 부트 코드를 사용하여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S20). 그 다음에,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재생 장치(1)의 MPU 또는 MCU(19)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S30).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완료된 후, HDD(11)가 초기화된다(S40). 즉, HDD(11)의 스핀-업 동작이 수행된다. 다음 단계(S50)에서는 파일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초기화 동작이 수행된다(S60). 마지막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이전에 재생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MCU 또는 MPU(19)의 제어 하에 HDD(11)에서 DRAM(13)으로 로드된다.
앞서 설명된 재생 장치(1)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HDD(11)의 스핀-업 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즉, 오디오/비디오 파일)의 일부를 램(13)에 임시 저장하고, 램(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가 저장되는 램(13)의 일정 영역은 플레이백 버퍼 영역(playback buffer region)이라 불린다. 파워-업 이후에, 재생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재생 장치(1)는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슬립 모드는 배터리(14)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슬립 모드 동안 DRAM(13)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슬립 모드에서는 DRAM(13)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만약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재생 동작을 "웜 부트 동작(warm boot operation)"이라 칭한다.
만약 슬립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어떠한 입력이 없으면, 재생 장치(1)는 슬립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다. 재생 장치(1)가 슬립 모드(DRAM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경우, DRAM(13)의 동작 특성(리프레쉬 동작이 요구되는 특성)상 계속해서 전력이 소모된다. 그러한 까닭에, 재생 장치(1)는 슬립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다. 만약 전술한 기능(슬립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 기능)이 재생 장치(1)에 제공되지 않으면, 재생 장치(1)의 배터리(14)는 계속해서 전력을 소모하게 되며, 그 결과 배터리(14)의 전원 공급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 일단 재생 장치(1)가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면, 더 이상의 전력 소모는 생기지 않는다. 파워-다운 모드에서는 DRAM(1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DRAM(13)에 저장된 모든 정보는 소실된다. 파워-다운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재생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S10-S60)을 통해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재생 동작을 "콜드 부트 동작(cold boot operation)"이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는 인스턴트 재생 기능(instant replay function)을 지원한다. 인스턴트 재생 기능에 따르면, 웜/콜드 부트 동작시 정상 동작 모드에서 마지막으로 재생되었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이 바로 수행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먼저, 플레이백 버퍼 기능(HDD 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대용량의 DRAM이 요구되고, 슬립 모드시 대용량의 DRAM의 셀프-리프레쉬 동작으로 인한 전력 소모가 크다. 부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서 고가의 NOR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된다. 콜드 부트 동작시 전력 소모가 크고, 콜드 부트 동작시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준비하는 시간이 길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콜드 부트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단계들(S20-S60)을 통해 수행된다. 특히, 잘 알려진 바와 같이,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를 구성하기 위한 HDD에서 DRAM으로의 데이터 복사 동작은 긴 시간 뿐만 아니라 많은 전력 소모를 필요로 한다. 또한, 콜드 부트 동작시, 인스턴트 재생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DRAM(13)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HDD(11)로부터 다시 로드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의 경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 역시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재생 시간을 갖는 휴대용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콜드 부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휴대용 재생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재생 장치는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는 램과;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재생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부트 코드가 저장되는 부트 코드 영역,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코드 영역, 그리고 플레이백 버퍼 영역을 구비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은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 중 일부를 저장하고; 정상 동작 모드시,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일정 단위로 상기 램에 로드되고; 슬립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램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화 동작 없이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램으로 로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부트 코드를 이용하여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은 워크 메모리로서 그리고 섀도우 메모리로서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코드 영역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섀도우 방식에 따라 수행되도록 상기 램에 로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상기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의 전/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플래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무효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재생 데이터가 로드되도록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 유니트는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은 DRAM 또는 상기 제어 유니트 내에 포함된 SRAM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재생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비한 휴대용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 중 일부를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로드하고; 정상 동작 모드시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로드된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램에 로드하고; 슬립/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상기 램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를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를 상기 램으로 로드하고;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부터의 플래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만약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하면,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화 동작 없이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무효한 경우,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재생 데이터가 로드되도록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초기화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초기화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는 부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부트 코드를 이용하여 부팅 동작이 수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코드 영역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섀도우 방식에 따라 수행되도록 상기 램에 로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상기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의 전/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다.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아래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 정통한 사람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성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을 통해 또한,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 기술적 사상 그리고 다른 목적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지 않고 관점 및 응용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는 HDD를 기반으로 한 재생 장치이며, MP3 재생 장치, 포터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을 포함한다. HDD(110)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들)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00)는 NAND 플래시 메모리(120) 및 DRAM(130)를 더 포함한다. NAND 플래시 메모리(120)는 도 1에 도시된 NOR 플래시 메모리(12)에 저장되는 부트 코드와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NAND 플래시 메모리(120)는 도 1의 DRAM(13)의 플레이백 버퍼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저장 영역은 부트 코드 영역, NAND 플래시 드라이버, 플래시 파일 레이어(FTL), 파일 재생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는 코드 영역, 그리고 플레이백 버퍼 영역을 포함하며(도 6 참조),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코드 영역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섀도잉 기법을 사용하여 DRAM(130)에서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는 내장된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휴대용 재생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마이크 및 스피커와 연결되는 오디오 컨트롤러(150), 디코더(160), 표시 장치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180)를 더 포함한다.
앞서의 설명에 따르면, 부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이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기 때문에, 고가의 NOR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플레이백 버퍼 영역이 DRAM(130)이 아니라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제공되 기 때문에, 예를 들면, DRAM의 용량을 수십Mb에서 수Mb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의 동작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동작 설명에 앞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는 NOR 플래시 메모리 대신 NAND 플래시 메모리(120)를 사용하여 부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파워-업시(S110), HDD(110)를 기반으로 한 재생 장치(100)의 MPU 또는 MCU(190)는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부트 코드를 사용하여 부팅 동작을 수행한다(S120). 그 다음에,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재생 장치(100)의 MPU 또는 MCU(19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S130).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완료된 후, HDD(110)가 초기화된다(S140). 즉, HDD(110)의 스핀-업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상태를 재생 장치(100)의 스탠바이 상태라 칭한다. 다음 단계(S150)에서는 파일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초기화 동작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이전에 재생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MCU 또는 MPU(190)의 제어 하에 HDD(110)에서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로드된다(S160). 즉,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가 저장되는 플레이백 버퍼의 구성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00)의 경우,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직접 액세스되어 재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의 경우,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 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 단위로 DRAM(130)의 워크 영역으로 로드되고, DRAM(130)의 워크 영역에 로드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파일)가 재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에 있어서,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코드 영역에는 재생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NAND 플래시 메모리(120)용 드라이버가 저장된다. 이 드라이버는 구조화된 소프트웨어로서 잘 알려진 파일 시스템(예를 들면, 플래시 변환 레이어(flash translation layer: FTL))이거나, 단순히 소거, 읽기, 쓰기 동작들만을 지원하는 간단한 드라이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CU/MPU(190)는 NAND 플래시 메모리(13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NOR 인터페이스 또는 NAND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NAND 플래시 메모리(120)는 표준 NAND 플래시 메모리 및 OneNAND 플래시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이다. 예시적인 표준 NAND 플래시 메모리 및 예시적인 OneNAND 플래시 메모리는 2003년도 데이터북(31쪽 및 641쪽 참조)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 출원의 레퍼런스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의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도 7a,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따라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정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 재생 동작이 중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재생 장치(100)는 슬립 모드로 진입한다. 슬립 모드는 배터리(14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슬립 모드 동안 DRAM(130)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슬립 모드에서는 DRAM(130)을 제외 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비록 슬립 모드에서 DRAM(1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된다. 만약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DRAM(130)의 워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즉, 웜 부트 동작이 수행된다.
만약 슬립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어떠한 입력이 없으면, 재생 장치(100)는 슬립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한다. 파워-다운 모드로의 진입 전에, DRAM(130)의 워크 영역에 저장된 재생 정보(이하,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라 칭함)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MPU(190)의 제어 하에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일단 재생 장치(100)가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면, 더 이상의 전력 소모는 생기지 않는다. 즉, 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100% 차단된다. 파워-다운 모드에서는 DRAM(13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DRAM(130)에 저장된 모든 정보는 소실된다. 마찬가지로,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즉, 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 직접 스위치되는 경우에도 앞서 언급된 과정 (NAND 플래시 메모리로의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의 백업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전원의 갑작스런 차단이 생기는 경우,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의 백업 동작은 보장될 수도 있고 보장되지 않을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는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의 전/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다.
파워-다운 모드에서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또는,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S210),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부트 코드를 사용하여 부팅 동작이 수행된다(S220). 그 다음에,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재생 장치(100)의 MPU 또는 MCU(19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S230). 하드웨어 초기화 동작이 완료된 후, NAND 플래시 메모리(120)가 초기화된다(S240). 본원 발명의 경우, 파워-다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시, HDD(110)의 스핀-업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 단계(S250)에서는 소프트웨어 초기화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은 DRAM(130)에 섀도우된다. 그 다음에,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가 DRAM(130)의 워크 메모리 영역에 로드된다(S260).
DRAM(130)으로의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의 로드 동작이 수행된 후, MPU/MCU(190)는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270).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다운 모드로의 정상적인 전환시, MPU/MCU(190)는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와 함께 NAND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DRAM(130)으로의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의 로딩시 또는 인스턴트 재생 데이터의 로딩 이전에 플래그 정보가 MPU/MCU(190)에 의해서 참조될 것이다. 파워-다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시, MPU/MCU(190)는 NAND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를 근거로 하여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이면,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로부터 로드된 미디어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재생된다. 즉,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S270 단계로 돌아가면, 만약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가 아니면, 플레이백 버퍼가 새롭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단계들(S290-S310)을 통해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290 단계에서는 HDD(110)가 초기화된다. 즉, HDD(110)의 스핀-업 동작이 수행된다. 파일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초기화 동작이 수행된 후(S300),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MCU 또는 MPU(190)의 제어 하에 HDD(110)에서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로드된다(S3100). 즉,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일부가 저장되는 플레이백 버퍼의 구성이 완료된다. 이후, 앞서 설명된 방식(즉, 일정 단위로 NAND 플레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서 DRAM으로의 재생 데이터 로딩 방식)과 동일하게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HDD의 초기화 과정없이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다음에 재생될 데이터를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복사하기 위해서는 HDD를 초기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재생될 데이터를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복사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재생 동작 동안 HDD의 초기화 동 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의 초기화 과정없이 재생 동작이 수행될 때(S400), MPU/MCU(190)는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동싱에 HDD 초기화/파일 시스템 및 SW 초기화 과정들(S410, S420)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후,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의 갱신이 요구될 때, HDD(110)의 미디어 데이터는 지체없이 또는 대기 시간없이 NAND 플래시 메모리(120)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복사한다(S440).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의 재생 장치의 콜드 부트 동작은 상당한 전력 소모 및 시간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플레이백 버퍼 기능을 제공하는 DRAM(13)의 모든 정보가 파워-다운 모드에서 소실되기 때문이다. 즉, 파워-다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시,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이 모두 수행되어야 한다. 도 2에 따른 콜드 부트 동작은 DD 스핀-업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많은 전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위한 긴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재생 장치(1)와 달리, 본원 발명의 재생 장치는 인스턴트 재생을 위한 콜드 부트 동작시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콜드 부트 동작은 웜 부트 동작에 필요한 시간만큼 짧은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100)는 인스턴트 재생을 위한 콜드 부트 동작시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시스템 구동과 동시에 재생 동작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특히, 본원 발명에 따른 콜드 부트 동작은 재생 장치의 주기적인 사용시에 전력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즉, 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 그리고 파워-다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 즉, 콜드 부트 동작이 빈번히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주기적인 사용시에 본원 발명의 콜드 부트 동작에 따라 전력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는 재생 시간의 향상을 의미한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HDD-DRAM 기반의 구조에 따른 에너지 소모 HDD-NAND 기반의 구조에 따른 에너지 소모 총에너지절약
HDD DRAM HDD NAND
14시간 연속사용 226 42 264 3 1
1주일간 매일 2시간 사용 226 490 264 3 449
(단위: Joule)
본원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00)의 경우, 만약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DRAM(130)의 용량이 크지 않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M(130)은 응용처에 따라 MCU/MPU(190) 내에 제공되는 SRAM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RAM(200)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그리고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될 것이다. 이를 제외하면, 도 9에 도시된 재생 장치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도 9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가의 NOR 플래시 메모리를 제거하고 DRAM의 용량을 줄임으로써 재생 장치의 단가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인스턴트 재생을 위한 콜드 부트 동작을 웜 부트 동작처럼 빠른 시간 내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콜드 부트 동작시 HDD 스핀-업 동작 및 플레이백 버퍼의 재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는 램과;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재생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며, 부트 코드가 저장되는 부트 코드 영역,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코드 영역, 그리고 플레이백 버퍼 영역을 구비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은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 중 일부를 저장하고; 정상 동작 모드시,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일정 단위로 상기 램에 로드되고; 슬립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램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화 동작 없이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램으로 로드되는 휴대용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부트 코드를 이용하여 부팅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은 워크 영역과 섀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코드 영역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섀도우 방식에 따라 수행되도록 상기 램에 로드되는 휴대용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상기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의 전/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휴대용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플래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휴대용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무효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니트는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재생 데이터가 로드되도록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는 휴대용 재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 유니트는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는 휴대용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은 DRAM인 휴대용 재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은 상기 제어 유니트 내에 포함된 SRAM인 휴대용 재생 장치.
  12. 재생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비한 휴대용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 중 일부를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로드하고;
    정상 동작 모드시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에 로드된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램에 로드하고;
    슬립/정상 동작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상기 램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를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턴트 재생 정보를 상기 램으로 로드하고;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부터의 플래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만약 상기 플레이백 버퍼 영역의 데이터가 유효하면,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기화 동작 없이 인스턴트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 데이터 정보가 무효한 경우,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플레이백 버퍼 영역으로 재생 데이터가 로드되도록 대기 상 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대기 상태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는 부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 부트 동작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부트 코드를 이용하여 부팅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코드 영역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섀도우 방식에 따라 수행되도록 상기 램에 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재생 정보는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와 상기 마지막으로 재생된 데이터의 전/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60015768A 2005-03-11 2006-02-17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KR100727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075705P 2005-03-11 2005-03-11
US60/660,757 2005-03-11
US11/324,024 US20060224875A1 (en) 2005-03-11 2005-12-29 Portable digital player
US11/324,024 2005-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85A KR20060097585A (ko) 2006-09-14
KR100727493B1 true KR100727493B1 (ko) 2007-06-13

Family

ID=3707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768A KR100727493B1 (ko) 2005-03-11 2006-02-17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24875A1 (ko)
JP (1) JP2006252754A (ko)
KR (1) KR100727493B1 (ko)
DE (1) DE102006011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198B1 (ko) * 2006-02-06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시스템의 부팅 장치 및 방법
KR20070082691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장치
KR100833235B1 (ko) * 2006-03-18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스트림 저장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스트림 저장 기능을갖는 텔레비전
CN100530038C (zh) * 2006-03-31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微控制器的开机控制装置及方法
US8427552B2 (en) * 2008-03-03 2013-04-23 Videoiq, Inc. Extending the operational lifetime of a hard-disk drive used in video data storage applications
US9325951B2 (en) 2008-03-03 2016-04-26 Avigilon Patent Holding 2 Corporation Content-aware computer networking devices with video analytics for reducing video storage and video communication bandwidth requirements of a video surveillance network camera system
WO2010019471A1 (en) * 2008-08-14 2010-02-18 Zora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video and audio instant replay for digital television
KR20150074637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4695A (ko) * 2014-03-06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10580B1 (ko) 2014-10-24 2021-10-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103A (ko) * 2003-06-30 2005-01-07 (주)파인칩스 암호 프로세서를 내장한 휴대용 저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904A (en) * 1991-05-17 1995-08-29 Zenith Data Systems Corporation Suspend/resume capability for a protected mode microprocessor
US5371551A (en) * 1992-10-29 1994-12-06 Logan; James Time delayed digital video system using concurrent recording and playback
JP3604466B2 (ja) * 1995-09-13 2004-12-2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フラッシュディスクカード
US6195723B1 (en) * 1998-12-16 2001-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control in an expanded slot environment using a bridge as an agent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US6332175B1 (en) * 1999-02-12 2001-12-1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ow power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mpressed audio data
US6377530B1 (en) * 1999-02-12 2002-04-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mpressed audio data
US20030070065A1 (en) * 1999-03-31 2003-04-10 Fleming Bruce L. Suspending to nonvolatile storage
US6502194B1 (en) * 1999-04-16 2002-12-31 Synetix Technologies System for playback of network audio material on dem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103A (ko) * 2003-06-30 2005-01-07 (주)파인칩스 암호 프로세서를 내장한 휴대용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52754A (ja) 2006-09-21
DE102006011905A1 (de) 2006-11-09
KR20060097585A (ko) 2006-09-14
US20060224875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493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
US7574590B2 (en) Method for booting a system on a chip integrated circuit
JP5054682B2 (ja) 第2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の高速ブート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40006690A1 (en)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US20080082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for a computing system by providing instant-on resuming from a hibernation state
US20120191961A1 (en) Computer System and Operating System Switching Method Thereof
JPH11339484A (ja) メモリデバイス
US7522966B2 (en)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KR20110021200A (ko) 영상 재생 장치의 부팅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6525598A (ja) 携帯電子機器のためのコントローラ
US8683238B2 (en) Mobile system on chip (SoC)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mobile SoC
KR100769557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유닛
US20170068304A1 (en) Low-power memory-access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030060911A1 (en)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JPH10207588A (ja) 情報処理装置
US68510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adable-by-computer recording medium
JPWO2009011104A1 (ja) 映像音声処理装置及びその待機及び復帰方法
JP2000003233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ウェイクアップ制御方法
CN113986001A (zh) 芯片及控制方法
US731294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ard disk driv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183879A (ja) 情報処理装置
JP2008516330A (ja) 電力節約のための方法及び回路
KR20010069304A (ko)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데이터 보존 방법
JP5846795B2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200603985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