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857A -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857A
KR20060123857A KR1020050045476A KR20050045476A KR20060123857A KR 20060123857 A KR20060123857 A KR 20060123857A KR 1020050045476 A KR1020050045476 A KR 1020050045476A KR 20050045476 A KR20050045476 A KR 20050045476A KR 20060123857 A KR20060123857 A KR 20060123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hooting
digital camera
still imag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821B1 (ko
Inventor
김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to KR102005004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에서 정지영상 촬영보다 먼저 동영상 촬영을 하고 정지영상 촬영이 되고 나서 동영상이 촬영되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영상이나 인물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디스플레이 미디어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촬영에서 제일 첫단계로 촬영에 들어가기 전의 모습들을 저장하는 앞동영상 촬영수단; 상기 촬영되는 영상들의 정지된 상태를 촬영하는 정지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이 끝나고 촬영 장소의 분위기를 알 수 있도록 촬영하는 뒤동영상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저장된 파일이 한 파일 형태로 되어 있어, 재생시 동영상 부분과 정지영상 부분을 별도로 재생하지 않고 정지영상을 재생할 경우 녹화된 앞동영상이 자동 재생된 후, 중간에 정지영상에 머물렀다가 다시 뒤동영상이 계속 재생되어 촬영에 있어 촬영 당시의 분위기와 느낌을 함께 저장,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Divice and method taking the picture of digital came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및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개략적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에 적용되는 촬영 파일의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재생파일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시간설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00 : 촬영 파일 101 : 앞동영상 촬영
102 : 정지영상 촬영 103 : 뒤동영상 촬영
200 : 재생 파일 300 : 저장 파일
A : 셔터 반누름 상태
B : 셔터 반누름 상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에서 정지영상 촬영보다 먼저 동영상 촬영을 하고 그후 정지영상 촬영이 되고 나서 동영상 촬영을 하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피사체의 정지영상만을 촬영할 뿐 그 전후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없어 사진 촬영 및 재생시에 단조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디지털 캠코더의 동영상 기능으로는 정지영상을 캡쳐할 수는 있으나, 정지영상 중심의 촬영이 아니기 때문에 해상도 및 표현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지영상 촬영시 촬영 전후의 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준비버튼과 셔터버튼으로 동작시키는 것과 셔터를 반누름 상태인 경우 동영상 촬영을 하여 정지영상 촬영에 대한 그 당시의 분위기와 느낌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서 영상이나 인물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디스플레이 미디어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촬영에서 제일 첫단계로 촬영에 들어가기 전의 모습들을 저장하는 앞동영상 촬영수단; 상기 촬영되는 영상들의 정지된 상태를 촬영하는 정지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이 끝나고 촬영 장소의 분위기를 알 수 있도록 촬영하는 뒤동영상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의 앞과 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촬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시 음성 데이터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생 수단은 촬영된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우선 촬영에 들어가기 전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앞동영상 재생; 상기 정지된 촬영을 재생하는 정지영상 재생; 및 상기 정지영상 촬영이후에 촬영 장소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뒤동영상 재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생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의 앞과 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 수단은 촬영하여 파일로 만들어지는 촬영 파일을 소정의 파일로 만들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촬영당시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가 반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1 단계; 셔터가 반눌러졌을 경우, 앞동영상을 촬영하는 제 2 단계; 상기 앞동영상을 촬영한 후 셔터가 완전히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3 단계;셔터가 완전히 눌러졌을 경우,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고 셔터가 반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셔터가 반눌러졌을 경우, 뒤동영상을 촬영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지영상 촬영 전후의 시간을 셋팅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촬영을 하다가 셔터를 눌러 정지영상 촬영을 한 후 다시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저장을 해제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17)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드 선택 버튼은 특히,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토글하게 할 수 있고, 재생모드에서의 파일 삭제 작업이,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메모리 카드에 반영되도록 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본체(208)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및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같이 정지영상을 셔터를 누르기 전에 제 1 셔터(51) 또는 제 2 셔터(52)가 반이 눌러지면 제어부(54)가 이를 인식하여 동영상 촬영부(55)를 동작시켜 앞동영상촬영이 되고 제 2 셔터(52)가 완전히 눌러졌으면 제어부(54)가 이를 인식하여 정지영상 촬영부(56)를 동작시켜 정지영상 촬영이 된다. 또한, 제 1 셔터(51) 또는 제 2 셔터(52)가 반이 눌러지면 제어부(54)가 이를 인식하여 동영상 촬영부(55)를 동작시켜 뒤동영상촬영이 된다.
제 2 방법으로는 미리 정지영상 촬영 전후의 시간을 셋팅하게 되는 데 이 경우는 시간 셋팅(53)에 시간이 설정이 되서 이를 제어부(54)가 인식을 하여 동영상 촬영부(55)와 정지영상 촬영부(56)을 동작시킨다.
제 3 방법으로는 별도의 준비버튼을 누르면 제어부(54)가 이를 인식하여 동 영상 촬영부(55)를 통하여 동영상 촬영을 하다가 셔터를 누르면 이를 제어부(54)가 인식하여 정지영상 촬영부(56)을 통해 정지영상 촬영을 한 후 다시 준비버튼을 누르면 제어부(54)가 이를 인식하여 동영상 촬영부(55)가 실시하는 동영상 저장을 해제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에 적용되는 촬영 파일의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셔터 반누름 상태(A)는 정지영상 촬영(102)이 있기 전에 정지영상 촬영(102)를 찍기위해서 사전에 취했던 촬영자들의 모습들을 담기 위해 앞동영상 촬영을 하기위한 시작지점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셔터를 반만 누르는 경우도 있고 임의로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한 시간이 되었을 때 앞동영상 촬영(101)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앞동영상 촬영(101)은 정지영상 촬영(102)을 하기 이전에 촬영장소의 분위기와 느낌을 보는이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정지영상 촬영(102)이 끝나고 상기 앞동영상 촬영(101)과 같이 뒤동영상 촬영(103)을 실시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사진을 촬영하고 난 다음에 사람들의 움직임이나 촬영 후의 분위기와 느낌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가 있다.
일반적인 상태의 정지영상 촬영 기기에서 정지영상 촬영시 그 촬영 전 후에 동영상 촬영 시간을 설정한다.
설정된 시간에 의해 실제 촬영 셔터를 누르기 전에 미리 동영상 녹화가 시작 된다.
다음으로 동영상 촬영 중에 셔터를 누르면 정지영상이 촬영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그 뒷부분의 녹화가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동영상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방법으로는 미리 정지영상 촬영 전후의 시간을 셋팅하는 방법이 있다.
제 2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같이 정지영상을 셔터를 누르기 전에 셔터를 반누름 상태에서 동영상촬영이 시작되고 완전히 눌렸을 경우 정지영상 촬영이 되는 방법이 있다.
제 3 방법으로는 별도의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촬영을 하다가 셔터를 눌러 정지영상 촬영을 한 후 다시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저장을 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정지영상 촬영시 저장하지 못했던 음성 데이터도 함께 입력을 해서 생생한 현장 분위기를 그대로 담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촬영 파일(100)이 만들어 지는데 이 파일은 xxx.xxx와 같은 파일로 저장수단에 저장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재생파일의 구성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재생파일(200)과 저장파일(3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촬영 파일(100)은 xxx.xxx와 같은 파일로 작성이 되어 저장파일(300)에 저장이 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저장된 파일을 디지털 카메라나 컴퓨터로 재생을 할 때 재생파일(200)하나 하나를 선택해서 열어보게 된다.
상기 재생파일(200)도 앞동영상 재생이 되고 정지영상 재생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뒤동영상 재생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정지상만을 재생하기도 한다.
또한, 정지상과 동영상을 함께 재생하기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디지털 카메라의 제 1 셔터(51)또는 제 2 셔터(52)의 반이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10).
상기 셔터가 반이 눌러지면 디지털 카메라는 이를 인식하여 앞동영상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S20). 다음 단계로 제 2 셔터(52)가 완전히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 한다(S30). 상기 셔터가 완전히 눌러지면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영상 촬영을 실시 한다(S40). 또 다음으로 사진 촬영을 끝내고 셔터를 놓을 때 제 1 셔터(51)또는 제 2 셔터(52)가 반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50). 상기 셔터가 반 눌러지면 뒤동영상 촬영을 실시한다(S6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적용되는 시간설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에 들어가기에 앞서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에 정지영상 촬영시간과 동영상 촬영 정지 시간을 셋팅한다(S100).
다음 단계로 제어부((54)는 셔터가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200). 셔터가 눌러지면 제어부(54)는 동영상 촬영부(55)를 이용해 앞동영상 촬영을 한다(S300). 동영상 촬영부(55)가 앞동영상 촬영을 하고 동시에 제어부(54)는 정지영상 촬영시간이 되었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400). 정지영상 촬영 시간이 되었을 때 제어부(54)는 정지영상 촬영부(56)을 이용해 정지 영상 촬영을 실시한다(S500). 상기와 같이 정지영상 촬영이 되고 바로 뒤동영상 촬영을 한다(S600). 상기와 같이 뒤동영상 촬영을 하면서 제어부(54)는 동영상 촬영 정지시간이 되었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700).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저장된 파일이 한 파일 형태로 되어 있어, 재생시 동영상 부분과 정지영상 부분을 별도로 재생하지 않고 정지영상을 재생할 경우 녹화된 앞동영상이 자동 재생된 후, 중간에 정지영상에 머물렀다가 다시 뒤동영상이 계속 재생 또는, 정지영상의 앞이나 뒤중 하나의 지점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에 있어 촬영 당시의 분 위기와 느낌을 함께 저장,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서 영상이나 인물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디스플레이 미디어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 전후에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수단; 및
    정지 상태를 촬영하는 정지영상 촬영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2.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서 영상이나 인물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디스플레이 미디어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촬영된 촬영 파일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촬영에서 제일 첫단계로 촬영에 들어가기 전의 모습들을 저장하는 앞동영상 촬영수단;
    상기 촬영되는 영상들의 정지된 상태를 촬영하는 정지영상 촬영수단; 및
    상기 촬영이 끝나고 촬영 장소의 분위기를 알 수 있도록 촬영하는 뒤동영상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 수단은 미리 정지영상 촬영 전후의 시간을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4.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 수단은 셔터를 누르기 전에 셔터를 반누름 상태에서 동영상촬영이 시작되고 완전히 눌렸을 경우 정지영상 촬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5.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 수단은 별도의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촬영을 하다가 셔터를 눌러 정지영상 촬영을 한 후 다시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저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6.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촬영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시 음성 데이터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촬영된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우선 촬영에 들어가기 전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앞동영상 재생수단;
    상기 정지된 촬영을 재생하는 정지영상 재생수단; 및
    상기 정지영상 촬영이후에 촬영 장소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뒤동영상 재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정지영상 촬영의 앞과 뒤 중 어느하나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정지영상 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 라의 촬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촬영하여 파일로 만들어지는 촬영 파일을 소정의 파일로 만들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장치.
  11. 촬영당시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가 반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1 단계;
    셔터가 반눌러졌을 경우, 앞동영상을 촬영하는 제 2 단계;
    상기 앞동영상을 촬영한 후 셔터가 완전히 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3 단계;
    셔터가 완전히 눌러졌을 경우,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제 4 단계;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고 셔터가 반눌러졌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셔터가 반눌러졌을 경우, 뒤동영상을 촬영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2.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지영상 촬영 전후의 시간을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3.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촬영을 하다가 셔터를 눌러 정지영상 촬영을 한 후 다시 준비버튼을 눌러 동영상 저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4.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이 정지영상 의 앞과 뒤의 어느하나의 위치에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5. 동영상을 설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이 정지영상 의 앞과 뒤 모두에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방법.
KR1020050045476A 2005-05-30 2005-05-30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755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476A KR100755821B1 (ko) 2005-05-30 2005-05-30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476A KR100755821B1 (ko) 2005-05-30 2005-05-30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857A true KR20060123857A (ko) 2006-12-05
KR100755821B1 KR100755821B1 (ko) 2007-09-06

Family

ID=377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476A KR100755821B1 (ko) 2005-05-30 2005-05-30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8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49B1 (ko) * 2006-12-06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합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510100B1 (ko) * 2008-01-1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38120A (ko) * 2020-11-30 2020-12-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WO2022231180A1 (ko) * 2021-04-27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90B1 (ko) * 2009-10-20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방법,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101642400B1 (ko) * 2009-12-03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96A (ko) * 1998-09-23 2000-04-15 윤종용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4416462B2 (ja) * 2003-09-19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方法、および自動焦点調節カメ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49B1 (ko) * 2006-12-06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합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510100B1 (ko) * 2008-01-1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38120A (ko) * 2020-11-30 2020-12-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WO2022231180A1 (ko) * 2021-04-27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821B1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755821B1 (ko) 디지털 카메라 촬영 장치 및 방법
US745016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lay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20090016141A (ko)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7330207B2 (en) Method of managing storage space in a digital camera
JP2004207805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KR100627049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JP4085320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627070B1 (ko)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KR10070295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3978522B2 (ja) 電子カメラ
KR101320614B1 (ko) 합성 촬영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368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333726B1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들이 효율적으로 포착되는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JP2005278059A (ja) 撮像装置
JP2017199986A (ja) 撮像装置
KR20090031095A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0714266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