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891B1 -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891B1
KR100186891B1 KR1019940015902A KR19940015902A KR100186891B1 KR 100186891 B1 KR100186891 B1 KR 100186891B1 KR 1019940015902 A KR1019940015902 A KR 1019940015902A KR 19940015902 A KR19940015902 A KR 19940015902A KR 100186891 B1 KR100186891 B1 KR 10018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medium
rom
software
physical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124A (ko
Inventor
마사루 나까하라
까즈오 나까시마
겐이씨 우쓰미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5000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with a user or administ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6Reducing size or complex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61Format or protocol convers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06F3/0677Optical disk device, e.g. CD-ROM,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11B20/0032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the key being embossed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11B20/0034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wherein the medium identifier is used as a ke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discontinuous data, e.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computer programme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007Encryption, En-/decode, En-/decipher, En-/decypher, Scramble, (De-)compr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1Discs having both read-only and rewritable or recordable areas containing application data; Partial ROM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디스크는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그중의 적어도 하나(제1구획)는 CD-ROM의 논리포맷과는 다른 포맷을 갖는 구획(예를들어 MS-DOS로 포맷된)으로 되어 있다. 출판물데이터는 CD-ROM 논리포맷에 따른 제1구획과는 다른 구획인 적어도 하나의 구획(제2구획)에 광학적으로 기록된다.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 데이터를 이용하는 CD-ROM이용도구와, CD-ROM이용도구에 의해 발행된 CD-ROM 논리구획으로의 접근요구를 광디스크로의 접근요구로 변환하는 CD-ROM 에물레이터는 제1구획에 기록된다. 이에따라 CD-ROM 전자 출판물의 세계에 축적되고, CD-ROM 논리포맷에 따른 출판물데이터, 이 데이터를 작성하고 변환하는 도구 및CD-ROM 이용도구를 헛됨이 없이 이용할수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 설명도.
제2a도 제2b도는 CD-ROM 에물레이터의 동작원리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설명도.
제4도는 전기적 구성의 블록도.
제5도는 광디스크의 구성 설명도.
제6도는 접근 가능영역의 구성도.
제7도는 구획구조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 매체에 기록되는 정보의 설명도.
제9a도는 CD-ROM에서의 데이터 블록포맷의 설명도.
제9b도는 광자기 디스크에서의 데이터블록포맷의 설명도.
제10도는 출판물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에 보존하는 경우의 설명도.
제11도는 출판물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에 보존하는 경우의 다른 설명도.
제12도는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처리의 설명도.
제13도는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처리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제14도는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처리의 또다른 실시예 설명도.
제15a-15c도는 해독소프트웨어의 설명도.
제16도는 제어 존(zone)에 스탬퍼(stamper)ID를 기록한 경우의 설명도.
제17도는 스탬퍼 ID의 설명도.
제18도는 CD-ROM 드라이브를 MS-DOS 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설명도.
제19도는 CD-ROM 에뮬레이터의 동작 설명도.
제20도는 CD-ROM의 동작 플로차트.
제21도는 CD-ROM의 다른 동작 플로차트.
제22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설명도.
제23도는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을 기존 이용도구(tool)로 이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제24도는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 작성장치의 구성도.
제25도는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 작성의 처리 플로차트.
제26a도. 제26b도는 스탬퍼 ID에 의한 복사방지 설명도.
제27도는 스탬퍼 ID에 의한 복사방지처리의 플로차트.
제28도는 스탬퍼 ID에 의한 복사방지처리의 다른 플로차트.
제29도는 스탬퍼 ID에 의한 복사방지처리의 또다른 플로차트.
제30a도, 제30b도는 CD-ROM의 설명도.
제31a-31c도는 광자기디스크의 기입/판독 설명도.
제32a-32c도는 부분 ROM 광자기디스크 매체의 구성도.
발명은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의 외부기록매체로서 이용되는 광디스크매체에 사전이나 출판정보를 저장한 광디스크매체 등의 기록, 이 기록매체의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가 기업이나 가정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종래에는 종이로 제공되던 사전, 매뉴얼, 참고서, 용어집등의 원고가 전자화되어 전자화된 문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화된 원고는 디지털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사본을 쉽게 작성할 수 있고 종이보다 쉽게 삭제나 변경할수 있다. 그러나 원고에는 저작권보호등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자화된 문서를 자유로이 변경할수 없도록 규제하여야 한다. 아울러서 전자화된 원고는 저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복사가 어려워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자출판물이라 일컬어지는 원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록매체로서 CD-RO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30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CD-ROM은 투명한 플라스틱층(1)에 정보를 피트(2)로서 기록하고, 이 피트면에 증착등에 의해 금속막(예를들어 알루미늄)(3)을 형성하고, 금속막(3)상에 보호층(4)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CD-ROM에서는 신호층 (피트와 금속막)에 제3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물렌즈 OL을 통해 레이저 빔LB를 조사한다. 이렇게 하면 피트가 없는 곳으로부터는 광이 그대로 거의 되돌아오나 피트가 있는 곳에서는 광이 회절된다. 광의 일부는 대물렌즈의 시야 밖으로 나가버려서 광의 일부만이 실제로 대물렌즈 OL에 되돌아오는데 불과하다. 따라서 되돌아온 광을 포토다이오드로 검출함으로써 정보를 판독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CD-ROM에서는 정보를 피트에 기록한다. 이는 자기기록에 비하여 정보가 손상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를 재기입할 수가 없으며, 스탬핑에 의해 대량의 정보를 대량의 디스크에 작성할 수가 있다.
반면에 CD-ROM에는 CD-ROM의 규격으로 인해 접근속도가 늦는 단점이 있다. 또 CD-ROM에는 데이터의 기록이나 갱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사전/ 매뉴얼, 참고서, 용어집 등의 원고를 판독할 경우에 독자는 이해도를 넒히기 위하여 문장에 언더라인을 친다거나 공백부에 주석을 단다거나 혹은 식의 풀이를 써넣는다. 언더라인이나 주석등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작성한 정보를 자유로이 기입하여 출판물의 내용과 동시에 표시할수 있으면 전자화출판물은 마치 종이의 출판물과 같이 읽거나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화출판물은 사용자가 다루기에 더욱 편리하다. 그러나 CD-ROM에서는 데이터의 기록이나 갱신을 할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이용법이 어렵다.
따라서 전자화출판물의 기록매체로서 기입이 가능한 광자기디스크(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광자기디스크는 기판과 이 기판상에 퇴적된 Tb, Fe, Co등의 무정형자성박막으로 된다. 이러한 디스크는 자성막의 자화반전에 필요한 보자력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적어지는 성질(큐리점에서는 보자력이 0)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디스크매체의 온도를 200℃ 부근까지 상승시켜 보자력을 약화시킨 상태에서 약자계를 인가하여 자화방향을 제어하여 기록이나 소거를 하는 것이다. 제31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성막(5)의 자화방향이 하향의 상태에서 기입코일(6)에 의해 상향의 자계를 인가한다. 제3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화방향을 반전하고자 하는 부분에 레이저빔 LB를 대물렌즈 OL을 통해 조사하면 이 부분의 자화방향이 반전하여 예를들어 상향으로 된다. 따라서 정보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경보를 판독할 때는 제31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y축 방향의 편광면을 갖는 레이저빔 LB을 자성막(5)에 조사한다. 이렇게 하면 자기커효과(kerr effect)에 의해 자화방향이 하향의 부분에서는 편광면이 시계방향으로 θk회전한 반사광 LBO가 얻어진다. 자화방향이 상향의 부분에서는 편광면이 반시계방향으로 θk회전한 반사광 LB1이 얻어진다. 따라서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자화의 방향 즉 정보를 판독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광자기디스크(전 RAM 디스크라 한다)는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며, 저장 매체로서의 용량도 CD-ROM의 용량과 마찬가지이다. 전 RAM 디스크의 규격은 CD-ROM의 규격보다 판독속도가 빠르다는 이점도 있다.
광자기디스크는 전면이 기입가능한 상기의 전 RAM 디스크에 덧붙여서 일부가 기입가능한 영역(RAM 영역)이고, 나머지가 재생전용의 영역(ROM 영역)인 이른바 부분 ROM디스크와 전면이 ROM영역인 이른바 전 ROM디스크를 포함한다.
부분 ROM디스크는 전RAM디스크의 이점에 덧붙여서 ① ROM영역(제32A도의 11a)에 CD-ROM과 마찬가지로 스탬핑에 의해 대량의 출판물정보를 쉽게 기록할 수 있고, ② RAM영역(제32A도의 11b)에 주석이나 언더라인을 할수 있고, ③ 대량면수의 전자출판물을 쉽게 작성할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ROM디스크의 경우에는 기입은 불가능하나 CD-R○M과 마찬가지의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접근을 할수 있는 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제32A도∼제32C도는 직경이 예를 들어 3. 5인치인 ROM 광자기디스크의 구성설명 도이다. 제32A도는 개략평면도, 제32B도는 부분ROM광자기디스크의 일부확대설명도, 제32C도는 일부 단면도이다. 부분 ROM광자기디스크(11)는 동심원 형상 또는 나선형상의 트랙을 한쪽면에 10. 000트랙 갖추고 있다. 전 트랙은 25섹터 ST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섹터ST는 51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섹터ST의 선두부에는 번지필드AF가 마련되고 나머지 섹터는 데이터필드DF가 마련되어 있다. 번지필드AF에는 번지정보가 기록되고 데이터필드 DF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번지정보는 섹터마크, 트랙 번지, 동기신호재생용의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접근가능 영역(기억영역)(11')의 내측과 외측에는 결함관리영역(DMA:defect management area)이 마련되어 있다. 결함 관리영역 DMA의 내외주부분에는 내주 및 외주 제어트랙(내주제어존, 외주제어존)TRC가 디스크정의 섹터 DDS와 더불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접근가능영역(11')의 외측영역이 ROM영역(11a)이고, 접근가능영역(11')의 내측영역이 RAM영역(11b)으로 되어 있다.
제32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ROM광자기디스크(11)는 스탬핑에 의해 일부영역에 피트PT가 형성된 투명한 플라스틱층(기판)PLS를 준비하고, 이 플라스틱층 PLS상에 기록층(기록막)MGF를 퇴적하고, 기록막상에 보호층PRF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트PT가 형성된 영역이 ROM영역이고, 피트PT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RAM영역으로 되어있다.
이에 따라 광자기디스크는 제공자와 사용자가 다같이 CD-ROM에 비해 더욱 바람직하게 전자출판물을 이용할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이와 같은 디스크는 사용자가 다루기에 편리하다.
거의 모든 CD-ROM은 상이한 컴퓨터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ISO9660포맷에 준하도록 되어 있다. ISO9660은 CD-ROM의 표준포맷이며 볼륨(한개의 CD-ROM전체에 적용되는 호칭)의 구성이나 디렉토리 및 파일의 관리구조를 정한 것이다.
CD-ROM에 의한 전자출판물의 데이터구조도 ISO 9660에 준한 볼륨 및 파일구성을 가짐으로써, 또 현재의 전자출판물의 거의 모두는 CD-ROM으로 제공되고 있음으로써 전자출판물의 출판물 데이터를 변환 및 작성하는 도구는 거의 모두가 ISO9660에 준하고 있다. 전자출판물을 검색 및 표시하는 도구도 거의 모두가 ISO9660에 준하고 있다 (이들은 CD-ROM이용도구라 불리어지고 있다).
전자출판물이 기록매체로서 광자기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CD-ROM에 비해 뛰어난 점이 많이 았으나 이러한 디스크는 아직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광자기디스크를 전자출판물의 기록매체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자산을 출발점부터 구축하여야 한다.
즉 이것은 ① 광자기 디스크용의 포맷에 준하도록한 출판물데이터, ② 광자기디스크용의 포맷에 준하도록 한 데이터변환도구, ③ 검색 및 표시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는 대단히 많은 개발시간과 경비를 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ISO9660포맷의 데이터, 즉 CD-ROM에 기록된 전자출판물의 세계에 축적되어 있는 출판물데이터를 취하여 이 데이터를 그대로 광자기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CD-ROM장치와 광자기디스크장치는 접근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CD-ROM이용 소프트웨어는 그대로 사용할수가 없다.
또한 광자기디스크는 CD-ROM에 비해 사용자가 불법으로 복사하기 쉽기 때문에 저작권이 침해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예를 들어 MS-DOS(Microsoft Disc Operating System)의 시스템은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CD-ROM에 접근할수가 없다. 그러나 광자기 디스크가 MS-DOS로 포맷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MS-DOS시스템의 사용자는 광자기 디스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다른 광자기디스크에 쉽게 복사할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전자출판물의 이용시스템(컴퓨터시스템)에서는 CD-ROM에 출판물데이터만을 기록하고 검색소프트웨어는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등의 다른 기억매체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CD-ROM 전자출판물의 이용시스템은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CD-ROM 전자출판물의 세계에 축적되어 있는 출판물데이터등과 이데이터를 작성 및 변환하는도구와 CD-ROM이용도구등의 이용도구를 낭비가 없이 이용할수 있는 광디스크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ROM 출판물로부터 광디스크출판물로 원할하게 이행할 수 있는 광디스크매체, 그 제어방법,및 전자출판물 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부정복사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수 있는 광디스크매체등의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용량인 한개의 기록매체에 출판물데이터, 이용도구, 해독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격납하여 운용성과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한 광디스크등의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목적은 적어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기억시키는 제 1 구획과 원래의 물리적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포멧으로 변환된 출판물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제 2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획은 원래의 물리적포맷에 대응한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을 상기 제 2 구획의 출판물판독명령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영역을 갖는 광디스크등의 기록매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목적은 (a)기억용 데이터의 기록매체에 소정의 물리적 포맷을 제공하고, (b)원래의 물리적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데이터로 변환된 출판물데이터를 제공하고, (c)원래의 물리적포맷에 대응한 출판물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소프트웨어와 제1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을 기록매체의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으로 변환하는 제2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d)상기 제1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을 제2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록매체의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으로 변환하고, (e)변환된 명령을 사용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출판물데이터를 판독하는 공정으로 된 전자출판물시스템의 출판물데이터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은 원래의 물리적포맷을 갖는 출판물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광디스크등의 기록매체에 출판물데이터를 기록하고, 소정의 물리적포맷을 갖는 상기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원래의 물리적포맷을 갖는 출판물데이터로 복원하는 해독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소프트웨어에 의해 해독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은 암호환된 정보를 광디스크의 기록영역에 제공하고, 상기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에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전용정보가 스탬핑에 의해 작성되는 피트의 형상으로 기록되는 영역에 제공하고,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에 필요한 데이터가 상기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시에 존재하는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가 판독전용영역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독의 실행을 억제하고, 상기 데이터가 판독전용영역에 존재할 경우에는 해독을 실행하는 공정으로된 광디스크에 출판물데이터의 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원래의 물리적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포맷으로 변환된 출판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매체와 :
소정의 물리적포맷의 출판물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
제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을 기록매체의 판독명령으로 변환하는 제2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2기억수단과 :
변환된 명령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출판물데이터를 판독하는 드라이브와 :
제1 및 제2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1 및 제2소프트 웨어를 기억하고, 제1소프트웨어에 의한 출판물의 판독명령을 발행하고, 이 명령을 기록매체의 출판물데이터의 판독명령으로 변환하는 처리장치로 된 전자출판물 이용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에 관해서는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에서 명백해질것이며, 전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발명의 일반적 특징)
(1) 제1도는 본발명의 원리설명도, 제2도는 CD-ROM 에물레이터의 동작원리 설명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광디스크(11), CD-ROM드라이브(21'), 주장치(31), 표시장치(51)가 있다. 광디스크(11)는 복수의 구획(제1 및 제2구획 )(12,13)을 갖는다. 13a는 CD-ROM논리포맷의 출판물데이터, 12a는 CD-ROM논리포맷을 갖는 출판물데이터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이 소프트웨어는 기존 CD-ROM을 이용하기 위한 도구이다). 12b는 기존 CD-ROM이용도구로 부터 발행되는 CD-ROM접근요구를 광디스크접근요구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 소프트웨어는 CD-ROM에물레이터이다). 12C는 암호화되어 기록된 소정의 물리적포맷을 갖는 출판물데이터를 복원시키는 헤독소프트웨어이다.
광디스크(11)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획 (제2구획(13))을 CD-ROM논리포맷에 따라 광기록한다. 상기 구획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구획(제1구획(12)을 CD-ROM 논리포맷과는 별개의 소정 포맷(예를 들어 MS-DOS포맷)의 구획으로 한다. 이 제1구획(12)에 ① CD-R○M논리포맷의 출판물데이터(13a)를 이용하는 CD-ROM이용도구(12a)와 ② CD-ROM이용도구(12a)에 의해 발행된 CD-ROM논리구획에 대한 접근요구를 광디스크에 대한 접근요구로 변환하는 CD-ROM에물레이터(12b)를 기억시킨다. 이렇게 하여 광디스크전자출판물을 구성한다.
이와같이 광디스크전자출판물을 구성하면 CD-ROM 전자출판물용으로서 축적되어 있는 출판물데이터를 원래의 물리적 포맷인 CD-ROM논리포맷(ISO9660포맷)에 따라 제 2구획(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13)에 그대로 광기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출판물데이터의 작성시간, ISO포멧의 출판물데이터를 소정의 물리적 포멧을 갖는 MS-DOS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의 변환도구의 개발작성시간, 변환작업시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기존 CD-ROM이용도구(12a)는 CD-ROM드라이브(21')에만 유효한 도구이며 광디스크드라이브(21)에서는 이용할수 없다. 그러나 CD-ROM에물레이터(12b)를 설치함으로써 광디스크에서도 기존 CD-ROM이 용도구(12a)를 이용할수 있게 된다.
즉 제2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ROM드라이브(21')는 기존CD-ROM이용도구(12a)의 데이터판독코맨드에 의거해서 CD-ROM에 접근하여 이 CD-ROM으로부터 소망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할수 있으나 광디스크드라이브 (21)는 이 기존 CD-ROM이용도구를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존 CD-ROM이용도구(12a)와 광디스크드라이브(21)간에 CD-ROM에뮬레이터(12b)를 개재 한다. CD-ROM 에뮬레이터(12b)는 기존CD-ROM 이용도구(12a)로 부터 데이터판독명령등(CD-ROM접근요구)이 CD-ROM드라이브(21')에 나와 있지 않는가를 감시하여 CD-ROM에 대한 접근이 있을 경우에는 접근선을 광디스크드라이브(21)로 변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 CD-ROM이용도구(12a)를 실행하면 광디스크(11)의 제2구획(13)에 대하여 출판물데이터(13a)의 판독이 행하여지고, 이 보존영역이 마치 1개의 CD-ROM으로 간주할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개발자측은 새롭게 광디스크용의 출판물이용도구를 개발,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측은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CD-ROM이용도구를 그대로 광디스크출판물의 이용도구로서 사용할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CD- ROM 전자출판물의 세계에 축적된CD-ROM논리포맷(ISO9660포맷 )에 따른 출판물데이터나 이 데이터를 작성, 변환하는 도구 및 CD-ROM이용도구를 헛되게 함이 없이 이용할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CD-ROM논리포맷의 출판물데이터를 플라스틱기판상에 스템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하여 재생전용의 ROM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디스크부분에 기록막을 퇴적하여 재기입가능한 영역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를 부분ROM광디스크로 하면 스템핑에 의해 출판물데이터를 일괄하여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전기적으로 기입할 필요가 없어, 광디스크전자출판물의 작성이 용이해져서 단시간, 저경비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판물데이터(13a)를 암호화하여 제2구획(13)에 기록하고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복원하는 해독소프트웨어(12c)를 제1구획(12)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 함으로써 출판물을 데이터를 다른 기억매체(예를 들어 RAM디스크등)에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의미불명의 것이 되어 정상적인 정보는 판독할수가 없어 부정복사를 방지할수 있다. 이경우에 사용자가 이용할수 없는 영역에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해두고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독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암호화된 출판물 데이터나 해독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도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로 복원할 수가 없어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판물 데이터의 암호화 방법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용할수 없는 영역에 기록함과 동시에 복수의 해독소프트웨어를 제1구획(12)에 기록하고, 이 암호화방법 데이터에 대응한 해독소프트웨어에 의해 해독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나 해독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도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로 복원할 수가 없어서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자출판물데이터, CD-ROM이용도구, CD-ROM에물레이터, 해독소프트웨어를 1개의 광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므로, 1개의 광디스크 출판물을 이용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어 다루기가 편리하다. 또 CD-ROM이용도구나 CD-ROM 에뮬레이터는 반드시 광디스크에 기억해 둘 필요는 없으며 하드디스크등의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둘 수도 있다.
또한 전자출판물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정보를 광디스크에 암호화하여 기록하고, 또한 스탬핑에 의해 피트로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에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스탬퍼 ID)를 기록하여 광디스크매체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하면 정보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원래의 정보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스탬퍼 ID)를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복사정보는 의미가 없으며, 부정복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실시예
(시스템의 구성)
제3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이 시스템은 광자기디스크(11),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21), 주장치(31) (컴퓨터의 본체), 키보드(41a)와 마우스(41b)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제어패널)(41)를 포함한다. 51은 CRT나 액정표시등의 표시장치, 61은 프린터이다. 광자기디스크(11)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며, 예를들어 재기입가능한 RAM영역에 마련된 구획(제1영역)(12)과 재생전용의 ROM영역에 마련된 구획(제2영역)(13)을 가지고 있다.
제4도는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도이며, 제3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21은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 2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31은 주장치, 71a-71b는 I/O제어기, 72는 SCSI(smal1 computer system interface)버스이다. SCSI는 컴퓨터 본체와 외부기억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서 ANSI(Amerci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로 규격이 규정되어 있다. SCSI버스(72)는 예를들어 8비트와 패리티비트로된 데이터버스와 9개의 제어버스로 구성된다. 이 SCSI버스에는 최대 8대까지 SCSI장치(주컴퓨터, 디스크드라이브 제어기 등)을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각각의 장치는 ID(식별자)라고 불리우는 0-7까지의 식별번호를 갖는다. 제4도에서는 I/O제어기(71a,71b)에 식별자 ID0-ID1이 각각 할당되고, 주장치(31)에 ID7이 할당되어 있다. I/O제어기(71a,71b)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21),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가 접속되어 있으나 2대 이상의 드라이브를 접속할 수가 있다.
주장치(31)는 중앙처리장치(31a), 메모리(31b), DMA 제어기(31c), 주어댑터(31d), I/O제어기(71c,71d)를 포함하며, 각 부는 주버스(31e)에 접속되어 있다. 주장치(31)는 I/O제어기(71c)에 접속되어 있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23)를 사용한다. 주장치는 또한 제어패널(41), 표시장치(51), 프린터(61)를 포함하며, 각부는 I/O제어 기(71d)에 접속되어 있다.
주장치(31)와 I/O제어기(71a,71b)간은 SCSI인터페이스로 결합되고, I/O제어기(71a/71b)와 각 드라이브(21,22)간은 예를들어 ESD 인터페이스(enhanced small device interfaces)로 결합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광자기디스크 드라이브(21), 하드디스크드라이브(22)를 주버스(31e)로 부터 떼어내어 주버스와는 별도로 SCSI버스를 설치하여 이 SCSI버스에 각 드라이브용의 I/O제어기(71a,71b)를 접속하고, I/O제어기(7la,71b)에 의해 제어 하도록 하여 주버스의 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광자기디스크의 일반적 구성)
(a)전체의 구성
제5도는 국제표준규격(ISO)에 의거한 광자기디스크의 구성설명도이다. 제5도는 3.5인치 광자기디스크의 예이다. 수평방향을 블록(섹터)번호(0-24), 수직방향을 트랙 번호로 한것이다. 제3트랙으로 부터 9996 트랙까지가 사용자가 통상적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접근가능영역 (사용자데이터 존)(11')이다. 접근가능영역(11')은 ①전영역이 RAM부(12')인 경우(전 RAM디스크), ② 전영역이 ROM부(13')인 경우(전 ROM디스크), ③내측은 RAM부(12'), 외측은 ROM부(13')인 경우 (부분 ROM디스크)가 있다. 접근가능영역(11')의 내측과 외측의 각 트랙에는 결함관리영역(DMA)(14a,14b)이 마련된다. 그 내외주부에는 내주제어트랙(내주제어존)(15a), 외주제어트랙(의주제어존)(15b), 여백부(16a,16b)가 마련되어 있다. 결함관리 영역 DMA는 접근가능영역(11')에 결함섹터가 발생했을 때의 에러정보, 대체섹터등을 관리하는 영역이다.
(b)제어 존
디스크드라이브 제어용의 데이터는 스탬핑에 의해 제어존(15a,15b)에 피트의 형태로 기록된다. 제어존은 피트정보이기 때문에 디스크 제조시에 스탬퍼로 부터 전사되어 기록되며, 따라서 같은 스탬퍼로부터 제조한 광자기디스크는 같은 제어존을 갖게 되나, 다른 스탬퍼로 부터 제조한 디스크 상호간은 서로 다른 내용의 제어존을 갖게 된다.
사용자는 이 제어존(15a,15b)에 정보를 기입할 수가 없으며, 또한 자유롭게 접근할 수가 없다. 또 제어존(15a,15b)에 는 512바이트(=1블록)의 제어데이터(예 를들어 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에 관련되는 설정조건 등)가 되풀이해서 기록된다. 광자기디스크 드라이브(21)는 광자기 디스크의 제어존(15a,15b)의 제어데이터를 판독하여, 이 제어데이터에 따라 정보의 기록, 판독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들어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21)는 판독한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1800rpm일대 기입전력 7.0mW로 하여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 제어존(15a,15b)의 512바이트 데이터중의 수개바이트의 조합을 채용하여 암호화 정보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스탬퍼 ID라 한다)로 한다.
(c)접근가능영
접근가능영역(11')은 ECMA167(ISO-DIS13356)포맷에 따를 경우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종 영역이 마련된다. 즉, 접근가능영역(11')에는 ①섹터0-63의 시스템영역(111) ②섹터64에는 논리포맷 식별자영역(112), ③섹터 65-256의 부트영역(113), ④섹터 257-소정섹터의 구획테이블영역 (114), ⑤ n개 의 구획영역 (제1-제 n구획)(1151-115n)이 마련되어 있다.
시스템영역(111)은 ECMA167과 기존하드디스크시스템, CD-ROM,CD-WO(CD-writeonce)간의 호완성을 배려한 영역이다. 논리포맷식별자 영역(112)은 매체(media)의 논리포맷(MS-DOS, UNIX등)의 식별자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부트영역(113)은 메이커나 기종을 표시하는 식별정보와 각 기종의 부트프로그램(다중부트)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구획테이블영역(114)은 각 구획의 정보(구획정보)가 기입되는 영역이다. 제6도는 n구획(제1-제n구획)으로 나눈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제n구획(1141-1l4n)은 구획테이블영역 (114)에 기입된다. 각 구 획(1141-114n)정보로는 ①구획의 개시섹터, ②구획의 죄종 섹터,③구획의 섹터수, ④구획내의 포맷(예를들어 DOS, UNIX, CD-ROM 논리포맷 등), ⑤ 재기입금지인가의 여부를 표시하는 기입보호 플랙, ⑥어떠한 기밀보호가 되어 있는가를 표시하는 기밀보호타입 등의 속성정보가 기록 된다.
(d)구획
예를들어 DOS의 구획에 따라 설명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구획(1151-115n)에는 파일관리정보를 기억하는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115i는 구획, 17a는 파일관리영역, 17b는 파일영역이다. 파일관리영역(17a)에는 부트섹터(디스크기술자, IPL등)(17a-1), 2중화된 제1, 제2의 파일할당테이블(FAT)(l7a-2, 17a-3), 각 파일의 선두클러스터번호를 지시하는 디렉토리(17a-4)가 마련되어 있다.
부트섹터(17a-1)의 디스크기술자(BISO매개변수 블록정보, 또는 BPB정보)는 디스크의 볼륨구조 매개변수를 기술하는 것으로서 섹더크기(1섹터당의 바이트수)SS,1클러스터당의 섹터(블록)수 SC, FAT의 수FN(=2), 루트 디렉토리의 엔트리수 RDE, 전 섹터수 TS, 1lFAT당의 섹터수SF, 1트랙당의 섹터수 SPT등을 기술한다. IPL은 구획의 운용체제(OS)를 기동하는 것이다.
각 FAT(17a-2, 17a-3)는 포맷식별자(FI)와 FAT엔트리부(FATentries)로 구성된다. FAT엔트리부는 구획의 클러스수와 같은 수의 FAT엔트리를 갖는다. FAT엔 트리는 각각 0000, 0002-MAX, FFF7, FFFF의 값을 취하며, 이중에서 0000은 클러스터가 미사용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0002-MAX는 클러스터가 사용중인 것을 의미하고, 그값에 의해 파일의 다음 저장장소가 지시된다. 또 FFF7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섹터에 결함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FFFF는 파일의 종료를 의미한다.
디렉토리(l7a-4)에서의 각 디렉토리 엔트리(32바이트)는 파일명란, 파일명 확장자란, 속성표시란/ 예약영역란, 파일변경시각란, 파일변경일자란, 파일의 선두 클러스터 번호란, 파일크기란을 갖는다.
(e)시스템의 기동
광자기디스크의 볼륨관리방법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며, 교환가능한 광자기를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면 호환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용 포맷의 표준으로서 ISO의 소위원회 SC15등에 의해 작성이 진행되고 있는 것에 상기 ECMA-167(ISO-DIS 13356)이다. 이 ECMA-167(ISO-DIS 13356)포맷에 따르면 1개의 디스크로 복수의 상이한 시스템(예를들어 PC-9800, Macintosh, UNlX등)을 기동할 수가 있다. 즉 소정의 시스템의 기동프로그램(IPL)은 부트영역(113)(제6도)을 주사(scan)하여 자체의 기종에 알맞는 부트프로그램을 발견하여 시스템의 주기억장치에 적재(load)한다. 이에 따라 제어는 기동프로그램으로 부터 적재된 부트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부트프로그램은 구획테이블영역(114)을 조사하여 기동가능한 구획(즉 자체와 같은 포맷의 구획)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 구획의 부트섹터(17a-1)를 주기억장치에서 판독하여 제어를 이 부트섹터의 IPL로 이행시킨다. 부트섹터의 IPL은 이 구획의 OS(MS-DOS등)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OS를 기동한다.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의 구성]
(a)전체의 구성
제8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디스크매체에 기록되는 정보의 설명도이다. 11은 광자기 디스크 매체로서 부분 ROM의 구성을 가지며, 기입가능한 RAM 영역(12')과 기록데이터가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되는 ROM영역(13')을 갖추고 있다. 광자기디스크 매체(11)는 ECMA-167(ISO-DIS13356)에 따라 RAM영역, ROM 영역에 각각 하나의 구획을 갖는 볼륨구조로 되어 있다. 본발명은 부분 ROM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 이상의 구획을 갖는 광자기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RAM영역(12')은 시스템영역(111), 논리포맷 식별자영역(112), 부트영역(113), 구획테이블영역(114) 을 갖는다. 12는 제1구획이다. ROM영역(13')에서 13은 제2구획(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이다.
제1구획 (12)은 ISO9293(MS-DOS)에 따라 포맷되어 있다. 이 구획에는 기존 CD-ROM이용도구(12a), CD-ROM에뮬레이터(12b), 해독소프트웨어(12c)가 기록되어 있다.
ISO9660포맷(CD-ROM논리포맷)에 따른 출판물 데이터 (13a)는 암호화되어 미리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제2구획(13)에 기록되어 있다.
기존 CD-ROM 이용도구 (12a)는 ISO9660 포맷의 기존의 출판물 데이터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CD-ROM에뮬레이터(12b)는 기존CD-ROM 이용도구에 의해 발행된 CD-ROM 접근요구(판독코맨드등)를 광자기 디스크 접근요구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해독소프트웨어(12c)는 암호화되어 기록된 출판물데이터(13a)를 복원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기존CD-ROM이용도구(12a), CD-ROM 에뮬레이터(12b), 해독소프트웨어(12c)의 기록하는 순서, 위치는 자유이며, ISO 9293에 따라 파일로서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ISO9660포맷에 따른 출판물데이터(13a)는 암호화하여 제1구획(12)에 기록하고, 제2구픽(13)을 ISO9293 포맷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출판물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나서 ISO9660 포맷에 따라 제2구획(13)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 출판물 데이터(13a)를 부분 ROM 디스크의 ROM영역에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하였으나, 전 RAM디스크를 사용하여 출판물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영역에 기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b)제2구획(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
제9A도, 제9B도는 각각 CD-ROM 및 광자기디스크에서의 데이터블록(섹터라고도 한다)의 물리적 포맷의 설명도이다. 제9A도는 CD-ROM에서의 데이터블록의 물리적 포맷, 제9B도는 ISO규격에 따라 결정된 3.5인치의 광자기디스크에서의 데이터 블록의 물리적 포맷이다.
제9A도에시 75는 CD-ROM의 데이터 블록을 표시한다. 데이터 블록(75)는 동기신호영역 (75a), ID영역(75b), 데이타영역(75c)을 가지고 있다. 동기신호영역(75a)에는 연속하는 데이타를 정확히 재생하기 위한 동기신호가 기록된다. ID영역(756)에는 데이터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번지정보)가 기록된다. 데이타영역(75c)은 2048 바이트의 사용자데이타영역(75c-1)과 에러검출, 정정용의 228바이트의 에러정정정보영역(75c-2)으로 구성된다.
제9B도에서 76은 광자기디스크의 1데이터블록을 표시 한다. 데이터블록(76)은 선두 영역(76a)과 데이터영역(76b)을 가지고 있다. 선두영역(76a)에는 동기신호나 이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ID(번지정보)가 기록된다. 데이터영역(76b)는 512바이트의 사용자영역(76b-1)과 정정정보영역(76b-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것은 CD-ROM의 1블록의 데이터크기는 2048바이트로서 광자기디스크의 데이터크기의 4배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CD-ROM의 1블록의 데이터(2048 바이트)를 512바이트의 4개로 분할하여 광자기디스크의 4블록에 기입할수가 있다.
제10도는 3.5인치광자기디스크의 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제2구획)(13)에 데이터를 보존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11a는 3.5인치광자기디스크를 표시하며, 이 디스크는 출판물데이터를 보존하는 영역(제2구획)을 가지고 있다. 81은 CD-ROM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ROM(81)의 1데이터블록의 사용자영역은 2048바이트이며, 3.5인지광자기디스크(11a)의 1데이터블록의 사용자 영역은 512바이트이다. 따라서 CD-ROM(81)의 1데이터 블록(75)의 사용자데이터를 4개로 분할하여 각각을 3.5인치 광자기디스크(11a)의 4개의 데이터블록(761∼ 764)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CD-ROM(81)의 각 데이터블록의 사용자데이터를 4개로 분할하여 각각을 3.5인치광자기디스크(11a)의 4개의 데이터블록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CD-ROM(81)의 x번째의 데이터블록과 같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3.5인치광자기디스크(11a)의 4개의 데이터블록번호는 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13)의 선두블록번호를A라 하면 A+4·X, A+(4·X+1), A+(4·X+2), A+(4·X+3) 이 된다. 기호 ·는 승산을 의미한다.
제11도는 5인치광자기디스크의 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에 데이터를 보존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11b는 5인치광자기디스크를 표시하며 1개데이터블록의 사용자데이터영역의 크기는 512바이트 또는 1,024바이트이다. 데이타영역이 l,024바이트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CD-ROM(81)의 1개의 데이터블록(75)의 사용자 데이터를 2개로 분할하여 각각을 5인치광자기디스크(11b)의 2개의 데이터블록(761, 762)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CD-ROM(81)의 X번째 데이터블록과 같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5인치광자기디스크의 2개의 데이터블록번호는 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13)의 선두블록번호를 A라하면
A+2·X, A+(2·X+1)
이 된다.
(C) 출판부데이터의 암호화
ⓛ 암호화의 제1실시예
제12도는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 처리의 설명도이다.
11a는 3.5인치광자기디스크, 81은 CD-ROM을 표시한다. 데이터 A∼데이터D는 CD-ROM의 1블록데이터를 512바이트의 4개로 분할한 경우의 분할 데이터이다. 기호 A, B, C, D 는 데이터의 개시로부터 순차적으로 붙인 것이다. 암호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는 A, B, C, D의 순서로 광자기디스크(11a)의 4개의 블록(76l, 762,763, 764)에 기록된다. 그러나 암호화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A, B, C, D의 기록순서를 역순으로 하여 블록 (76l, 762,763, 764)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측이 기록된 순서를 알지못하면 출판물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올바르게 재배치를 할 수 없으므르 데이터의 보호, 저작권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주목할것은 기록시의 데이터A∼데이터D의 재배치는 역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데이터C→ 데이터A→ 데이터D→ 데이터B 등과 같이 임의의 순서로 재배치할 수가 있다. 또한 4개의 데이터A∼데이터D중에서의 자리바꿈에 한정되지 않으며, 4·m개의 데이터중에서의 자리바꿈도 할수가 있다.
② 암호화의 제2실시예
제13도는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처리의 다른 설명도이다. 11a는 3.5인치광자기디스크, 81은 CD-ROM, 82는 암호화처리부, 83은 버퍼메모리를 표시한다. 암호화처리부(82)는 CD-ROM에서의 2,048바이트의 사용자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암호화처리를 한다. 암호화된 2,048바이트의 데이터를 각각 512바이트의 4개의 데이터 A'∼데이터D'로 분할하고 이들을 상기 순서로 광자기디스크(11a)의 4개의 블록 (761, 762, 763, 764)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암호화처리는 1바이트마다 일정치C(1바이트데이터)와의 배타적OR을 연산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1바이트마다 상기 일정치(1바이트데이터)와의 배타적OR를 연산하면 된다.
이와같이하면 사용자측은 암호화방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올바르게 해독할수가 없으므로 데이터의 보호, 저작권의 보호가 가능해진다.
데이터A'∼데이터D'는 데이터 A'∼데이터D'의 순서가 바꾸어질 경우에도 3.5인지광자기디스크(11a)에 기록할 수가 있으므로 가일층 출판물데이터의 복사에 의한 부정 이용을 방지할수 있다.
제13도에서는 암호화처리후의 데이터는 2048바이트로 하였으나 반드시 2048바이트가 되지 앞아도 좋다. 제14도는 이와 같은 경우의 설명도이다. 이는 암호화처리 후의 데이터크기가 2×2048바이트가 된 경우의 예이다. 암호화처리후의 데이터는 8개의 512바이트 데이터A∼H로 분할되어 광자기디스크의 각블록(761∼768)에 기록된다.
(d) 해독소프트웨어
해독소프트웨어(12C)는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이다.
① 해독소프트웨어의 제1실시예
제15A도는 해독소프트웨어(12C)의 가장 단순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키워드KWD를 해독소프트웨어(12c)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2도에 따라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배치순서를 키워드KWD로서 설정해둔다. 또한 제13도에 따라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려면 소프트웨어(12c)에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일정치C를 키워드KWD로서 설정해둔다.
② 해독소프트웨어의 제2실시예
제15B도는 다른 해독소프트웨어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1)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는 데 필요한 키워드KWD를 해독소프트웨어(12C)와 분리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없는 영역, 예를 들어, 디스크의 제어존(15a)(제5도 참조)에 기억시키고, (2)해독 소프트웨어(12c)의 키워드판독코맨드(12c -1)가 이 키워드KWD를 판독하고, (3)해독소프트웨어본체(12c -2)가 해독 처리를 행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어존(15a, 15b)의 512바이트데이터 중의 수개바이트의 조합을 가지고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키워드KWD로 한다. 실제로는 제어존의 정보는 피트정보이다. 이 정보는 디스크 제조시에 스탬핑에 의해 기록되며, 스템퍼마다 다르다. 이 키워드KWD는 이후에는 스템퍼ID라 부른다.
제16도는 내주의 제어존(15a)에 스탬퍼ID를 기록한 예이며, 제17도는 내주의 제어존(15a)에서의 소정블록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에 스탬퍼ID(0124FF32)H를 배치한 예이다. 여기서 H는 16진수치를 의미한다. 스탬퍼ID를 스탬퍼마다 변경함으로써 출판물데이터가 기록된 광자기디스크의 스뎀퍼ID와 출판물데이터를 복사한 디스크의 스탬퍼ID를 다르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로부터 출판물데이터와 더불어 해독소프트웨어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스탬퍼ID는 복사할수 없다) 해독에 필요한 스탬퍼ID가 다르기 때문에 원래의 출판물 데이터를 복원할수 없으므로 출판물데이터의 보호가 가능하다.
③ 해독소프트웨어의 제3실시예
제l5C도는 다른 해독소프트웨어의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1)암호화방법을 특정하는 데이터 CMW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할수 없는 영역, 예를들어 디스크의 제어본(15a)에 기억해 둔다. (2)해독소프트웨어(12c)의 암호화방법식별부(12c -3)는 이 데이터 CMW를 판독하여 암호화방법을 식별하고, (3)암호화방법에 대응한 해독소프트웨어(12c1∼12cn)를 기동하여 해독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광자기 디스크전자출판물로 부터 출판물데이터와 더불어 해독소프트웨어를 부정하게 복사 하여도 해독에 필요한 암호화방법을 특정하는 데이터 CMW를 복사할수 없으므로 어떤 해독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해독하는가가 불명해져서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를 복원할 수가 없으므로 출판물데이터의 보호가 가능하다,
제1-제3실시예 중의 어느 것인가의 해독소프트웨어는 제8도의 광자기디스크(11)의 제1구획(12)에 기입된다.
(e) 기존 CD-ROM 도구
제18도는 MS-DOS상에 CD-ROM 드라이브를 사용할 경우의 동작 설명도이다. 12a는 CD-ROM 이용도구(소프트웨어), 21'는 CD-ROM드라이브, 91은 CD-ROM BIOS를 표시한다. CD-ROM이용도구(12a)는 CD-ROM(21')에 데이터판독등의 접근을 하는 것이다. 이 도구(12a)는 CD-ROM BIOS(91)에 BIOS 호출을 발행한다. CD-ROM BIOS(91)은 CD-ROM드라이브(21')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CD-ROM이용도구(12a)로 부터, 발행된 BIOS 호출을 해석하여 CD-ROM 드라이브(21')를 제어하고, CD-ROM으로 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CD-ROM 전자출판물을 이용하는 기존의 CD-ROM이용도구(12a)는 제8도의 광자기디스크(11)의 제1구획(12)에 기입된다.
(f) CD-ROM 에뮬레이터
① CD-ROM 에뮬레이터의 기능과 배치
제19도는 MS-DOS 상에서 동작하는 CD-ROM에뮬레이터(12b)의 동작설명도이다. 12a는 기존 CD-ROM 이용도구, 12b는 CD-ROM 에뮬레이터, 21'는 CD-ROM드라이브, 21은 광자기디스크 드라이브, 90은 BIOS 91은 CD-ROM BIOS, 92는 광자기디스크 BIOS를 표시한다. CD-ROM 에뮬레이터(12b)는 CD-ROM 드라이브(21')에 대한 접근요구를 광자기디스크 드라이브(21)로 변경한다. 광자기디스크 BIOS(92)는 MS-DOS 상의 시스템이며, 광자기디스크를 이용가능케 하는 BIOS이다.
기존 CD-ROM 이용도구(12a)는 CD-ROM 드라이브(21')만에 유효한 도구이며, 광자기디시크 드라이브(21)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 CD-ROM 이용도구(12a)와 광자기디스크 BIOS(92)사이에 CD-ROM 에뮬레이터(12b)를 개재시킨다. CD-ROM에뮬레이터(12b)는 기존 CD-ROM이용도구(12a)로 부터 CD-ROM BIOS(91)(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하여 BIOS호출(데이터 판독 명령등)이 나와있는가를 감시하여 BIOS 호출이 나와있는 경우에는 접근선을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21)로 변경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기존 CD-ROM 이용도구(l2a)를 실행하면 광자기디스크(11)(제8도)의 제2구획(13)에 대하여 출판물데이터(13a)의 판독을 할수 있게 되고, 이 보존영역이 마치 1개의 CD-ROM으로 간주할 수가 있게 된다.
② CD-ROM에뮬레이터의 동작플로우
제20도는 CD-ROM에뮬레이터(12b)의 동작플로차트이다.
CD-ROM에뮬레이터(12b) 는 CD-ROM으로의 BIOS 호출이 발행되어 있는가를 감시한다(스텝 101). BIOS호출은 기종번호, 코맨드 종별번호,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BIOS호출은 주장치의 소정의 레지스터에 설정된다. 기종번호는 접근선의 기종(CD-ROM드라이브, 광자기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표시장치, 키보드등)을 특정지우는 것이다. 코맨드기종번호는 판독, 기입, 탐색등을 특정지우는 것, 매개변수는 접근선두 번지나 데이터수등을 특정지우는 것이다. 따라서 레지스터에 설정된 BIOS호출에 포함되는 기종번호를 참조함으로써 CD-ROM으로의 BIOS호출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CD-ROM에 BIOS호출이 있으면 접근선을 CD-ROM으로 부터 광자기디스크로 변경한다(스텝 102). 이어서 변경의 필요가 있는 매개변수를 광자기디스크용으로 변경한다(스텝 103). 예를들어 CD-ROM의 x번째의 블록으로 부터 y개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명령의 경우에는 CD-ROM의 x번째의 데이터가 기록된 광자기 디스크의 블록번호 x'와 판독블록수 y'를 계산하여 매개변수 x, y를 x', y'로 변경한다. 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제2구획)(13)의 선두블록번호를 A,광자기디스크(11)에서의 1블록 데이터의 크기를 512 바이트로 하면
x' = A+ 4·x
y' = 4·y
가 된다.
매개변수의 변경처리가 종료되면 CD-ROM에뮬레이러(12b)는 변경한 매개면수를 갖는 BIOS호출에 의해 광자기디스크 BIOS(92)를 호출한다(스텝 104). 이에따라 광자기디스크 BIOS(92)가 기동하여 제2구획(13)으로부터의 판독이 실행된다.
데이터판독 완료후에 광자기디스크 BIOS로 부터 돌아온 값을 CD-ROM용의 값으로 변경한다(스텝 l05). 예를들어 데이터의 크기(블록수)를 구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에 실제로는 광자기디스크의 크기가 복귀하므로, 이것을 CD-ROM의 크기로 변경한다. 이어서 변경한 복귀값을 소정의 레지스터에 세트하여 동작을 종료한다(스텝 106).
스텝101에서 BIOS호출이 CD-ROM이외일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종료한다(제1방식). 혹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CD-ROM이외의 BIOS호출에 아무런 변경도 가하지 않고 그대로 BIOS(92)를 호출한다(제2방식). 이 제2방식에 의하면 CD-ROM에뮬레이터(12b)를 컴퓨터에 등록하고 있어도 CD-ROM이외의 BIOS호출을 통상과 같도록 사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③ CD-ROM 에뮬레이터의 다른 동작플로우
제21도는 CD-ROM에뮬레이터의 다른 동작플로차트이다.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제2구획)(13)의 선두블록번호 A를 CD-ROM에뮬레이터(12b)가 갖지 않은 대신에 구획테이블영역(114)(제6도 참조)에 기록되어 있는 구획정보로 부터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13)의 선두블록(선두섹터)A를 구하는 예이다.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구획)이 복수존재할 경우, 즉 2종류 이상의 출판물이 별개의 구획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CD-ROM에뮬레이터(12b)는 CD-ROM으로 BIOS 호출이 발행되어 있는가를 감시한다(스텝 201). CD-ROM으로 BIOS호출이 있으면 접근선을 CD-ROM으로 부터 광자기디스크로 변경한다(스텝 202). 이어서 구획테이블영역(114)(제6도 참조)에 기록되어 있는 구획정보를 판독한다(스텝 203).
구획정보를 참조하여 출판물데이터보존영역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04). 구획의 포맷정보가 CD-ROM포맷의 경우에는 출판물보존영역이 있다고 판정한다.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경고등의 메시지를 표시장치(51)(제3도 참조)에 표시하고(스텝 205)처리를 종료한다(에러종료). 이와같이 에러일때의 처리를 종료함으로써 의미없는 처리를 신속히 종료할수 있고,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으며, 또한 처리시간을 단축할수 있다.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이 존재하면 출판물 보존영역이 2 이상인가를 판단하고(스텝 206), 1개밖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 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의 선두 블록 번호 A를 설정하여 (스텝 207)변경의 필요가 있는 BIOS호출 매개 변수를 광자기디스크용으로 변경한다(스텝 208). 다음에 제20도의 스텝 104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이 2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출판물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장치(51)에 표시하고, 이용하는 출판물을 사용자에게 선택케 한다(스텝 209). 출판물이 선택되면(스텝 210)이 출판물의 구획의 선두블록번호 A를 설정하고(스텝 207)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같이 하면 광자기 디스크출판물을 다루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CD-ROM 에뮬레이터(12b)에 해독소프트웨어(12c)이 기능을 갖도록 하여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할 수도 있다.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실시예)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실시예이다. 여기에서 CD-ROM의 데이터(출판물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에 기록된다. 11은 3.5인치 광자기디스크매체로서 부분 ROM의 구성을 갖는다. 이 매채는 기입가능한 RAM영역(12')과 기록데이터가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되는 ROM영역(13')을 갖춘다. 광자기디스크매체(11)는 RAM 영역, ROM영역에 각각 1개의 구획을 갖는 볼륨구조로 되어 있다. RAM영역(12')은 시스템영역(111), 논리포맷 식별자영역(112), 부트영역(113), 구획테이블영역(114)을 갖는다. 12는 제1구획을 표시한다. ROM영역(13')에서 13은 제2구획(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을 표시한다. 81은 CD-ROM, 82는 암호화처리부이다.
제 1구획 (12)은 ISO9293(MS-DOS)에 따라 포맷되어 있다. 이 구획에는 기존CD-ROM이용도구(12a), CD-ROM에뮬레이터(12b), 해독소프트웨어(12c)가 기록되어 있다. 제 2구획(13)에는 ISO9660포맷(CD-ROM포맷)에 따른 출판물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미리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출판물 데이터의 암호화는 제12도에서 설명한 제1의 암호화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즉 CD-ROM의 제1블록의 데이터(2048 바이트)를 광자기디스크의 각각 1블록 데이터의 크기(512 바이트)를 갖는 데이터 Data 1-1, Data 1-2, data 1-3, Data 1-4로 분할하고, 이들 데이터 Data 1-1, Data 1-2, Data 1-3, Data 1-4를 역순으로 하여 제2 구획(13)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CD-ROM의 제 i블록(i=1,2,3,4, ......)의 데이터를 512바이트의 4개 데이터 Data i-1, Data i-2, Data i-3, Data i-4로 분할하고, 이들 데이터 Data i-1, Data i-2, Data i-3, Data i-4를 역순으로 하여 제2구획(13)에 기록한다.
(광자기디스크출판물의 이용제어)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21)(제3도, 제4도 참조)에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11)을 세트하면 주장치(31)의 기동프로그램(IPL)은 부트영역(113)(제22도)을 주사하여 자체 기종에 적합한 부트 프로그램을 발견하여 시스템의 주기억 장치에 적재한다. 이에따라 제어는 기동프로그램으로부터 적재한 부트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부트프로그램은 구획테이블영역(l14)을 조사하여 기동가능한구획, 즉 제1구획(12)을 발견한다. 제1구획(12)의 부트섹터(17a-1)는 주기억장치에시 판독되어 제어를 이 부트섹터의 IPL에 이행한다. 부트섹터의 IPL은 제1구획(12)에 기억되어 있는 기존CD-ROM이용도구(12a), CD-ROM 에뮬레이터(12b), 해독소프트웨어(12c)를 주기억장지에 적재한다. 이렇게 하여 시스템의 개시조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패널(41)(제3도)로 부터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11)을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기존 CD-ROM이용도구(12a)가 기동한다. 제23도는 광자기디스크전자 출판물을 기존 CD-ROM이용도구(12a)로 이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CD-ROM이용도구(12a)는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CD-ROM에 BIOS호출을 발행한다. CD-ROM에 BIOS 호출이 발행되면 CD-ROM에뮬레이터(12b)는 제20도 또는 제21도의 플로차트에 따라 이 BIOS호출을 광자기디스크(11)로의 BIOS호출로 변경한다. 예를들어 데이터 판독의 경우에 CD-ROM으로의 BIOS호출에는 선두블록 번호 x와 판독블록수 y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매개변수 x,y를 광자기디스크의 블록번호 x'와 판독블록수y' 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CD-ROM으로의 BIOS호출은 광자기디스크의 BIOS호출로 변경된다. 매개변수는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제2구획)(13)의 선두블록번호 A, 광자기디스크(11)에서의 1블록데이터의 크기를 512 바이트라하면 다음식
x' = A+4·x
y' =4·y
에 의해 변경된다.
상기의 결과에 따라 광자기디스크 BIOS(92)가 기동하고, 제2구획(13)의 소정블록 x'로 부터 y'개의 데이터 판독이 실행된다.
해독소프트웨어(12c)는 판독된 블록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각각 4개씩 조로 하여 이 4개의 블록데이터 Data i-4, Data i-3, Data i-2, Data i-1를 역순으로 재배치하여 2048바이트의 데이터로 해서 CD-ROM이용도구(12a)에 인도한다. 이에 따라 CD-ROM이용도구(12a)는 Data i-1, Data i-2, Data i-3, Data i-4의 순으로 조합된 2048 바이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장치(51)에 표시한다.
(광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작성장치)
(a) 전체의 구성
제24도는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 작성장치의 전체의 구성도이다.
11은 광자기(MO)디스크매체, 81은CD-ROM, 311은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 312는 CD- ROM디스크 드라이브, 313은 주장치(컴퓨터 본체부), 316a316b는 I/O제어기, 3l7은 SCSI 버스를 표시한다. 광자기디스크매체(11)는 설명을 위해 전RAM디스크로 한다.
주장치(313)은 중앙처리장치(CPU)(313a), 메모리(313b), DMA제어기 (313c), 주어댑 터(3l3d), 데이터입력부(제어패널)(314), CRT나 액정표시등의 표시장치(315), I/O제어기 (316c)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CUP)(313a), 메모리(313b), DMA제어기(313c), 주어댑터(313d), I/O제 어기(316c)는 주버스(313e)에 접속되어 있다. 주장치(313)는 SCSI 인터페이스를 개재하여 I/O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13b)에는 제어프로그램 기억부(321), 제어데이터 기억부(322), 각종 암호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암호화방법기억부(323), 광자기디스크나 CD-ROM으로 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판독데이터 기억부(324), 암호화된 출판물 데이터를 기억하는 암호화 데이터 기억부(325)가 설치되어 있다.
(b)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 작성처리
제25도는 광자기디스크전자출판물 작성처리의 플로차트이다. 광자기디스크매체(11)는 이미 포맷되어 있으며, 제1, 제2구획(12,13)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제어패널(314)로 부터 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작성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입력한다(스텝401). 매개면수의 예로서는 ①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311)의 SCSI번호, ② CD-ROM드라이브(312)의 SCSI번호, ③ 광자기디스크 매체(11)상의 출판물 데이터 기입위치(선두블록번호 A), ④ 출판물데이터의 암호화방법등이 있다.
이들 매개변수가 입력되면 CPU(3l3a)는 제어데이터 기억부(322)에 이들 매개변수를 기억시킨다(스텝 402).
다음에 CPU(313a)는 CD-ROM으로 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403). 예를들어 CPU(131a)는 입력된 CD-ROM드라이브(312)의 SCSI 번 호가 올바른가, CD-ROM 드라이브가 정상인가, CD-ROM(81)이 적재되어 있는가 등을 판단한다.
CD-ROM으로 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상태가 아니면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CD-ROM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상태이면 CPU(131)는 광자기디스크 매체(11)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404). 예를들어 CPU(131)는 입력된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311)의 SCSI번호가 올바른가 광자기드라이브가 정상인가, 광자기디스크매체(11)가 적재되어 있는가 등의 판단을 한다.
광자기디스크매체(11)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면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광자기디스크(11)에 데이터를 기입할수 있는 상태이면 이 광자기디스크매체에서의 1블록당의 바이트수를 판독하여(스텝405) 제어데이터 기억부(322)에 기억시킨다(스텝406).
다음에 CPU(313a)는 제어데이터를 참조하여 CD-ROM으로부터 출판물데이터를 1블록씩 판독하여 판독데이터기억부(324)에 기억시킨다(스텝407). 그러고나서 CD-ROM으로부터 판독한 1블록의 출판물데이터를 지정된 암호화방법에 의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기억부(325)에 기억시키고(스텝 408), 광자기디스크매체(11)의 제2구획 에 1블록씩 기입한다(스텝409). 기입완료후 CPU(313a)는 전출판물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매체(11)에 기입하였는가를 판단하여(스텝410), 기입되어 있지않으면 스텝407이후의 처리를 되풀이한다. 전출판물데이터가 기입되면 CPU(313a)는 광자기디스크전자출판물의 작성처리를 종료한다.
소정 블록수의 데이터를 일괄해서 CD-ROM으로 부터 판독하여 판독데이터기억부(324)에 기억시키고 이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데이터기억부(325)에 기억시키고, 전 데이터의 암호화완료후에 광자기디스크매체(11)에 기입하고, 이들 동작을 되풀이하여 전출판물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광자기디스크매체에 기입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변형예)
(a) 스템퍼 ID에 의한 복사방지
해독소프트웨어의 제2실시예(제15B도)에서는 출판물데이터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키워드 KWD(스탬퍼ID)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없는 영역, 예를들어 디스크의 제어존(15a)(제16도)에 기억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스탬퍼ID는 광자기디스크전자출판물의 복사방지뿐만 아니라 통상의 광자기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복사방지에도 유효하다.
① 제1적용예
스탬퍼 ID는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존(15a)에서의 소정 블록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얻어진다고 한다. 광자기디스크(예를들어 부분 ROM이라 한다)의 ROM영역에 이 스탬퍼 ID를 키로하여 암호화 한 실행형식의 파일TEST·EXE를 기억시킨다. 제26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TEST. EXE파일(501)은 파일선두에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해독루틴(501a)이 배치되고, 해독루틴후에 프로그램본체(표시기능)(501b)가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7도는 TEST. EXE 파일(501)을 실행할때의 플로차트이다. 이 플로차트는 스탬퍼 ID에 의한 복사방지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키보드로 부터 실행하여야 할 TEST. EXE를 입력하여 리턴키를 누른다(스텝 601). 이에따라 TEST. EXE 파일이 기동한다. TEST. EXE 파일(501)의 선두부분에는 해독루틴(501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해독루틴이 먼저 동작한다.
해독루틴(501a)에는 스탬퍼 ID가 존재하는 번지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 번지로 부터 데이터(스탬퍼 ID)를 판독한다(스텝602). 본 실시예에서는 스탬퍼 ID의 번지는 블록번호 BN=-150으로 하였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6도에서의 트랙(3)의 0섹터를 BN=0이 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BN=-150은 내주의 제어존(15a)에 있는 블록을 가리킨다. 해독루틴(501a)은 이 BN=-l50에서의 블록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의 데이터(스탬퍼 ID)를 판독한다. 원래의 광자기디스크(원디스크)의 경우에는 판독한 데이터(스탬퍼 ID)는 해독에 적합한 것이다.
다음에 판독한 데이터(스탬퍼 ID)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프로그램 본체(501b)를 해독(디코딩)한다(스텝 603). 해독종료시에 해독결과가 출력되므로(스텝 604), 해독결과가 OK인가 판단한다(스텝 605). 해독결과가 OK인경우에는 즉, 광자기디스크매체가 원디스크이면 해독된프로그램 본체를 실행하고(스텝 606), 표시부상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여(스템 607)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605에서 해독결과가 NG(OK가 아님)인 경우에는 해독루틴(501a)은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스텝 608)처리를 종료한다. 해독결과가 NG가 되는 것은 다른 스탬퍼로 제조된 광자기디스크에 TEST. EXE파일(501)을 원디스크로 복사하여 실행한 경우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해독루틴(501a)이 제어존(15a)의 블록번호 BN=-150에서의 블록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의 데이터를 판독하여도 그 데이터는 원디스크의 스탬퍼 ID와 다르다. 따라서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독하여도 올바르게 해독할 수가 없으므로 해독결과가 NG가 된다. 해독루틴(501a)은 이 결과를 받아서 다른디스크를 부정하게 복사한 것이므로 동작하지 앞습니다등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같이 프로그램등을 다른 광자기디스크매체에 복사하여도 이 복사한 프로그램은 동작하지 않으므로 부정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② 제2적용예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탬퍼 ID는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존(15a)의 소정블록에서의 제l0바이트,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에 기록해둔다. 또한 광자기디스크(예를들어 부분 ROM이라 한다)의 RAN 영역에 이 스탬퍼 ID를 키로 하여 암호화 된 데이터 파일 SAMPLE.TXT를 기록하고, 광자기디스크의 ROM영역에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A.EXE를 기록한다. 제26B도 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SAMPLE.TXT 파일(502)은 스탬퍼 ID에 의해 암호화 된 출장보고서이며, 해독루틴을 가지고 있지 않다.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A.EXE (503)은 SAMPL.TXT파일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해독루틴(503a)이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8도는 SAMPLE.TXT(502)를 실행할때의 처리 플로차트이다. 이 플로차트는 스탬퍼ID에 의한 복사방지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키보드로 부터 A. EXE를 입력하고 리턴키를 누른다(스텝 701), 이에따라 A.EXE 파일(503)이 기동한다. A.EXE 파일은 최초에 대상 문서파일을 요구하므로 목표로 하는 문서파일명 SAMIPLE.TXT를 키보드로부터 입력한다(스텝 702).
A.EXE파일(503)의 내부에는 해독루틴(503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해독루틴이 동작한다. 해독루틴(503a)에는 스탬퍼 ID가 존재하는 번지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번지로 부터 데이터(스탬퍼 ID)를 판독한다(스텝 703). 본 실시예에서는 스탬퍼 ID의 번지는 블록번호 BN=-150으로 하였다. 해독루틴(50la)은 이 BN=-150의 블록에서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 바이트의 데이터(스탬퍼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판독한 데이터(스탬퍼ID)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문서파일 SAMPLE.TXT를 해독한다(스텝 704). 해독종료시에 해독결과가 출력되므로(스텝 705) 해독결과가 OK인가 판단한다(스텝 706). 해독결과가 OK인 경우에는 해독된 문서파일 SAMPLE.TXT를 표시하고(스텝707)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A.EXE에 제어를 이행시킨다.
스탭 706에서 해독결과가 NG인 경우에는 해독루틴(503a)은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스탭 708)처리를 종료한다. 해독결과가 NG가 되는 것은 다른 스탬퍼로제조된 광자기디스크에 문서파일 SAMPLE.TXT 및 위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A.EXE를 원디스크로 복사하여 실행한 경우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해독루틴(503a)이 제어존(15a)의 블록번호 BN=-150에서의 제10바이트, 제25바이트, 제200바이트, 제490바이트의 데이터를 판독하여도 그 데이터는 원디스크의 스탬퍼 ID와 다르다. 이 때문에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독하여도 올바르게 해독할 수가 없으므로 NG가 된다. 해독루틴(503a)은 이 결과를 받아서 다른디스크를 부정하게 복사한 것이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등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즉, 문서파일을 다른 광자기디스크 매체에 복사하여도 이 복사한 문서파일을 판독할 수 없으므로,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피트의 형태로 스탬퍼 ID를 기록하면 이 스탬퍼 ID를 복사목표의 디스크에 기입할 수가 없다. 따라서 원디스크로 부터 다른 디스크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해독할 수가 없다. 결과적으로 복사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의미가 없으므로 부정복사를 방지할수 있다.
③ 제3적용예
제1,제2적용예에서는 해독에 필요한 스탬퍼 ID를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존에 피트의 형태로 기록한 경우이나, 스탬퍼 ID는 제어존만에 한정되지 앞고 부분 ROM디스크의 ROM부에 피트로서 기록할수도 있다·
제29도는 ROM부에 스탬퍼 ID를 기록한 경우의 TEST.EXE파일(501)(제26A도 참조)을 실행할 때의 처리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스탬퍼 ID는 예를들어 BN=225000의 블록에 기록된다.
우선 키보드로 부터 실행하여야 할 TEST.EXE를 입력하고, 리턴키를 누른다(스텝801). 이에 따라 TEST.EXE 파일이 기동한다. TEST.EXE파일(501)의 선두부분에는 해독루틴(50l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해독루틴이 우선 동작한다.
해독루틴(501a)에는 스탬퍼 ID가 존재하는 번지(BN=225000)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번지로부터 데이터(스탬퍼 ID)를 판독한다(스텝 802). 다음에 스탬퍼 ID의 저장장소(블록번호 BN=225000)가 ROM부인가를 판별한다(스텝 803). 저장장소가 ROM부가 아니고 RAM 부이면 원래 광자기디스크(원디스크)로 부터 다른 디스크에 부정복사를 실행한 경우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다른 디스크를 부정하게 복사한 것이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등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스텝 804)처리를 종료한다.
스탬퍼 ID의 저장장소가 ROM부인 경우에는 판독된 데이터(스탬퍼 ID)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프로그램 본체(501b)를 해독(디코딩)한다(스텝 805). 해독종료시에 해독결과가 출력되므로(스텝806) 해독결과가 OK인가를 판단한다(스텝 807). 해독결과가 OK인 경우에는 즉, 광자기디스크 매체가 원디스크이면 그후에 해독된 프로그램 본체를 실행하고(스텝 808) 표시부상에 소정의 화상으로 표시하여(스텝 809)처리를 종료한다.
스텝807에서 해독결과가 NG(OK가 아님)인 경우에는 해독루틴(501a)은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스텝 810)처리를 종료한다. 해독결과가 NG가 되는 것은 다른 스탬퍼로 제조된 광자기디스크에 TEST.EXE파일(501)을 원디스크로 부터 복사하여 실행한 경우이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해독루틴(501a)이 ROM부의 블록번호 BN=225000에서의 데이터를 판독하여도 그 데이터는 원디스크의 스탬퍼 ID와 다르다. 이 때문에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독하여도 올바르게 해독할수가 없으므로, 해독결과가 NG가 된다. 복호루틴(501a)은 이 결과를 받아서 다른디스크를 부정하게 복사한 것이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등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같이 프로그램등을 다른 광자기디스크매체에 복사하여도 스탬퍼 ID는 복사할 수 없다. 따라서 복사한 프로그램은 동작하지 않으므로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부정복사한 프로그램을 동작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스탬퍼 ID가 있는 장소(BN=225000)를 ROM부로 하여 스탬퍼 ID를 피트의 형태로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자기디스크 제조용의 스탬퍼를 작성할 필요가 있어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고, 또 제조설비를 갖지 않은 자에게는 불가능하다.
상기에 실행형의 소프트웨어 TEST.EXE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제26B도에 나타낸 SAMPLE.TXT를 실행할 경우에도 스탬퍼 ID의 저장장소가 ROM 인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부정복사의 이용을 방지할수가 있다.
(b)광자기디스크 전자출판물의 변형예
① 상기와 같이 기존 CD-ROM이용도구(12a)나 CD-ROM 에뮬레이터(12b), 해독소프트웨어(12c)를 광자기디스크의 제1구획(12)에 기억시켰으나, 이들은 반드시 광자기디스크에 기입해 둘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이들을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등의 다른 기억매체에 지장해둘수도 있다.
② 또한 상기에서는 주로 본발명을 부분 ROM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 RAM디스크나 전 ROM디스크 등의 광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③ 또한 본발명은 광자기디스크외에 다른 광디스크에도 적용할수 있다. 즉, 구멍뚫은형 광디스크, 유기광디스크, PHB 광디스크등을 포함한다.
④ 또한 본 발명은 광디스크외에 IC메모리, 플로피디스크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⑤ 또한 상기에서는 기록매체의 제2구획에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 데이터가 기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구획에 CD-I(CD-Interactive)논리포맷등의 소정의 포맷을 가진 출판물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물데이터를 CD-ROM 논리포맷으로 광디스크에 기록하고,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의 소프트웨어(기존 CD-ROM이용도구)와 이 제1의 소프트웨어로 부터 CD-ROM논리구획에 대한 접근요구를 광디스크에 대한 접근요구로 변환하는 제2의 소프트웨어(CD-ROM에뮬레이터)를 각각 설치하고, 제 1소프트웨어로부터 CD-ROM논리구획에 대한 접근요구가 발행될때 제2소프트웨어는 이 접근요구를 광디스크에 대한 접근요구로 변환하고, 광디스크로 부터 출판물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 하였으므로, CD-ROM전자출판물로서 축적되어 있는 출판물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출판물 데이터의 작성시간,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 데이터를 MS-DOS등의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도구의 개발작성시간, 변환작업시간 없이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CD-ROM이용도구를 실행하면 광디스크의 출판물 데이터 보존영역에 기입되어 있는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데이터의 판독을 할 수가 있으므로, 이 보존영역을 마치 하나의 CD-ROM으로 간주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개발자측은 새롭게 광디스크용의 출판물 이용도구를 개발,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측은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CD-ROM이용도구를 그대로 광디스크출판물의 이용 도구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CD-ROM논리포맷의 출판물 데이터를 플라스틱 기판상에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기록하여 재생전용의 ROM영역으로 하고, 나머지 디스크부분에 자성막을 도포하여 재기입가능한 RAM영역으로 하였으므로, 스탬핑에 의해 출판물 데이터를 일괄하여 기록할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전기적으로 기입 할 필요가 없으므로, 광디스크 전자출판물의 작성이 용이해져서 단시간, 저경비로 제공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판물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출판물데이터 보존영역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므로, 출판물 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의미 불명한 것이 되어 부정복사를 방지할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용할수 없는 영역에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해 두고, 암호화된 출판물데이터를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독하도록 하였으므로 암호화된 출판물 데이터나 해독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도 원래의 출판물데이터로 복원할수가 없어서 유효하게 부정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출판물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광디스크에 암호화해서 기록하고, 또한 스탬핑에 의해 피트의 형태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에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스탬퍼ID)를 기록하여 광디스크매체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암호화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부정하게 복사하여도 원래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스탬퍼 ID를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복사정보에 의미가 없어서 부정복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1개의 구획(제1구획)을 CD-ROM 논리포맷과는 별개의 포맷의 구획으로 하여, 이 구획 이외의 1 이상의 구획(제2구획)에 출판물 데이터를 CD-ROM논리포맷에 따라 기록하고, 제1구획에 CD-ROM 논리포맷의 출판물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의 소프트웨어(기존 CD-ROM이용도구)와 이 제1의 소프트웨어로 부터 발생되는 CD-ROM논리구획에 대한 접근요구에 대한 접근 요구를 광디스크에 대한 접근요구로 변환하는 제2의 소프트웨어 (CD-ROM에뮬레이터)와 해독 소프트웨어를 기록하여 광디스크전자출판물을 구성하였으므로, 1개의 광디스크로 전자출판물을 이용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서 다루기가 더욱 편리하다.
본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징되는 것은아니다.

Claims (39)

  1. (2회 정정)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물리적 포맷을 가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1 구획과;
    원래의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원래의 물리적 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획은 원래의 물리적 포맷에 따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원래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를 상기 제 2구획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로 변환토록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영역을 가지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원래의 논리 포맷을 유지하면서 제 2 구획에 기억되는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는 광디스크매체인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원래의 물리적 포맷은 CD-ROM의 물리적 포맷인 기록매체.
  5. (2회 정정)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물리적 포맷을 가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1 구획과;
    원래의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원래의 물리적 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획은 제 1의 소프트웨어와 제 2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분리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의 소프트웨어는 원래의 물리적 포맷에 따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코맨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2의 소프트웨어는 제 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원래의 물리적 포맷에 따라 상기 제 2구획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로 변환하는것인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원래의 논리포맷을 유지하면서 제 2 구획에 기억되는 기록매체.
  7. 제 5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매체는 광디스크 매체인 기록매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원래의 물리적 포맷은 CD-ROM 물리적 포맷인 기록매체.
  9. (정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소프트웨어는 제 1 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코맨드에 의해 특정지워진 다 기종을 실제로 접근되는 기종을 나타내는 다른 다 기종으로 변환하는 기록매체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소프트웨어는 제 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를 소정의 물리적 포맷에 따른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로 변환하는 기록매체.
  11. 제 5 항에 있어서, 소정의 물리적 포맷의 블록의 크기는 원래의 물리적 포맷의 블록의 크기와 다른 기록매체.
  12. (정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재기입이 가능한 RAM구획과 판독전용 ROM구획을 갖는 광디스크매체이며, 상기 ROM구획은 스탬핑에 의해 작성되는 피트의 형태로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제 1 구획은 RAM구획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획은 ROM구획상에 구비되는 기록매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암호화되고, 이 암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구획에 기억되는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소정의 물리적 포맷의 데이터는 복수의 기록매체블록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데이터 블록부들은 상기 데이터가 암호화 되도록 순서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제 2 구획에 기억되는 기록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소정의 물리적 포맷의 데이터는 암호화되고, 이 암호화된 데이터는 복수의 기록매체 블록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블록부들은 상기 데이터가 암호화 되도록 순서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제 2 구획에 기록되는 기록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구획에 데이터의 암호화방법을 특정 지우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영역을 더 갖춘 기록매체.
  17. (2회 정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은 암호화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그 원래의 형태로 해독하는 해독소프트웨어용 영역을 갖는 기록매체.
  18. (2회 정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데이터의 암호화방법을 특정지우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암호화방법 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구획은 복수의 해독소프트웨어부용 영역을 갖는 기록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방법 기록영역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제공되는 기록매체.
  20. (2회 정정) (a) 원래의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데이터를 원래의 물리적 포맷으로부터 소정의 물리적 포맷으로 변환하는 스텝과;
    (b)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물리적 포맷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과:
    (c)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원래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제 1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발행된 코맨드를 제 2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소정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로 변환하는 스텝과;
    (d) 상기 변환된 코맨드에 따라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1. (정정) 제 20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는 광디스크매체인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2. (정정) 제 20 항에 있어서, 소정의 물리적 포맷은 CD-ROM 물리적 포맷인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3. (2회 정정)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c)은 원래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를 소정의 물리적 포맷과 연관된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로 변환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4. (2회 정정)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데이터는 스탬핑에 의해 작성된 피트의 형태로 광디스크매체에 제공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5. (2회 정정)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스템과;
    상기 기록매체상의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해독소프트웨어를 판독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될 때, 상기 해독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건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6. (2회 정정) 제 25 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암호화방법을 특정지우는 특정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영역내의 상기 특정데이터를 판독하는 스템과;
    상기 특정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데이터에 의해 특정지워진 암호화방법에 대응하는 해독소프트웨어를 찾아내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27. (2회 정정) 암호화된 정보가 기억되는 제 1의 영역과;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을 가능케 하는 키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제 2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키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는 스탬핑에 의해 작성되어 복사가 불가능한 피트의 형태로 상기 제 2의 영역에 기록되는 광기록매체.
  28. (2회 정정) 제 27 항에 있어서,
    정보의 재기입이 가능한 RAM영역과;
    정보가 스탬핑에 의해 작성된 피트의 형태로 기록되는 판독전용 ROM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ROM영역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영역을 구비하는 광기록매체.
  29. (2회 정정)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광디스크상에 제공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상의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을 가능케 하는데 필요하며, 스탬핑에 의해 작성되어 복사가 불가능한 피트의 형대로 광디스크상에 기록된 키데이터를 판독하는 스텝과;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 해독소프트웨어를 판독하는 스텝과;
    상기 키데이터를 이용한 상기 해독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30. (2회 정정)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광디스크인 기록매체상에 제공되는 전자출판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영역내의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판독하는 스템과;
    판독전용 정보가 스탬핑에 의해 작성된 피트의 형태로 기록된 영역상의 상기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을 가능케 하는 데 필요한 키데이터를 판독하는 스텝과;
    상기 암호화된 정보의 판독 코맨드가 발행될 때, 상기 암호화된 정보의 해독을 가능케 하는 데 필요한 키데이터가 판독전용 영역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키데이터가 판독전용 영역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해독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키데이터가 판독전용 영역에 존재할 경우에는 해독을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전자출판물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방법.
  31. (2회 정정) 원래의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원래의 물리적 포맷으로부터 기록매체내의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물리적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매체와; 상기 소정의 물리적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 1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1의 기억수단과;
    상기 제 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를 상기 소정의 물리적 포맷에 따라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로 변환하는 제 2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2의 기억수단과;
    상기 변환된 코맨드에 의거하여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매체 드라이브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제 1 및 제 2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제 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를 발행함으로써 제 1 및 제 2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며, 상기 코맨드를 상기 소정의 포맷에 따라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2. (2회 정정)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억된 데이터의 사용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패널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후에 상기 요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1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를 발행하고, 이 코맨드를 제 2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코맨드로 변환하며,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입력하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원래의 논리포맷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기억되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광디스크매체인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물리적 포맷은 CD-ROM 물리적 포맷인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억수단은 상기 제 1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1 구획을 갖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 구획을 갖는 전자출판물이용 시스템.
  37. (2회 정정)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기억수단은 상기 제 2의 소프트웨어를 기억하는 제 1 구획을 갖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2 구획을 갖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소프트웨어는 상기 원래의 물리적 포맷에 따라 제 1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행된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를 소정의 물리적 포맷에 따른 코맨드의 판독개시블록수와 판독블록수로 변환하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39. (2회 정정)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억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제 1 및 제 2 구획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구획에 암호화된 형태로 기록되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해독소프트웨어가 상기 기록매체의 제 1 구획에 기억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해독소프트웨어를 판독 및 기억하고 상기 해독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구획으로부터 판독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이 해독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입력하는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KR1019940015902A 1993-07-16 1994-07-04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KR100186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6613 1993-07-16
JP17661393 1993-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124A KR950004124A (ko) 1995-02-17
KR100186891B1 true KR100186891B1 (ko) 1999-04-15

Family

ID=160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902A KR100186891B1 (ko) 1993-07-16 1994-07-04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52009A (ko)
EP (2) EP0634741B1 (ko)
KR (1) KR100186891B1 (ko)
DE (1) DE694317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639A (en) * 1993-07-26 1997-01-21 Elonex Ip Holdings Ltd. Cd-prom
JPH08287653A (ja) * 1995-04-12 1996-11-01 Fujitsu Ltd 光記録媒体
JPH0917119A (ja) * 1995-06-30 1997-01-17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H09167429A (ja) * 1995-12-15 1997-06-24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US5870756A (en) * 1996-04-26 1999-02-09 Fujitsu Limited Interchange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program for processing data files thereupon to match a data file format to a computer system
US6600713B1 (en) * 1996-06-26 2003-07-29 Sun Microsystems, Inc. Recording media having separate read only and read/write areas
DE19643204A1 (de) * 1996-10-19 1998-04-23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onisches Gerät
TW408313B (en) * 1997-08-22 2000-10-11 Sega Enterprises Kk Optical disk type storage media
WO1999063424A1 (en) * 1998-06-05 1999-12-09 Digital Video Express, L.P.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pen and closed file systems on a storage medium
US6597648B1 (en) * 1998-07-30 2003-07-22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k having anti-piracy func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and authenticating the optical disk
EP0997899B1 (en) * 1998-09-22 2005-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method for reproduc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
JP3745150B2 (ja) 1999-02-2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媒体、画像形成方法及び印字物
EP1450362A3 (en) * 1999-04-28 2007-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deleting data on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330210B1 (en) 1999-04-29 2001-12-11 Hewlett-Packard Company Data structure for control information on rewriteable data storage media
EP1054395B1 (en) 1999-05-17 2007-06-27 Sony Corporatio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s, and optical discs
US6538961B2 (en) 1999-05-18 2003-03-25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 optical disc identification code
KR100656687B1 (ko) * 1999-05-19 2006-12-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 디스크 기록 장치, 광 디스크 기록 방법, 광 디스크 및 광디스크 재생장치
JP3783909B2 (ja) * 1999-05-20 2006-06-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カッティング方法
TWI239447B (en) * 2000-06-02 2005-09-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able storage medium with protected data area
US20070143863A1 (en) * 2000-08-16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py-resistant read-only digital optical disc and adaptable player
JP4595182B2 (ja) * 2000-09-0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US7958376B2 (en) * 2000-11-02 2011-06-07 Ati Technologies Ulc Write once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igital encrypted transmissions
US20020141583A1 (en) * 2001-01-29 2002-10-03 Eastman Kodak Company Copy protection using a preformed ID and a unique ID on a programmable CD-ROM
FR2820843B1 (fr) * 2001-02-09 2003-05-30 Thomson Csf Systeme de protection contre la copie d'informations pour la creation d'un disque optique protege et procede de protection correspondant
KR20040077681A (ko) * 2001-12-21 2004-09-06 소니 디에이디씨 오스트리아 에이쥐 여러가지의 레이턴시를 갖는 기록 매체
US20050086249A1 (en) * 2003-10-16 2005-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logical volume conversions
US7475186B2 (en) * 2003-10-31 2009-01-06 Superspeed Software System and method for persistent RAM disk
US7383386B1 (en) * 2004-05-21 2008-06-03 Mcm Portfolio Llc Multi partitioned storage device emulating dissimilar storage media
US20060136746A1 (en) * 2004-12-18 2006-06-22 Al-Khateeb Osama O M Security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of digital data
TWI266988B (en) * 2005-03-01 2006-11-21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V data in computer apparatus
KR20070103117A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
US20100125741A1 (en) * 2008-11-20 2010-05-20 Seagate Technology Llc Optical disc e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958A (ja) * 1984-03-19 1985-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イスク
JP2556682B2 (ja) * 1986-07-03 1996-11-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イスク装置
JPS6314372A (ja) * 1986-07-07 1988-01-21 Hitachi Ltd 磁気デイスク装置
JP2771808B2 (ja) * 1986-12-27 1998-07-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
US5166921A (en) * 1987-06-17 1992-11-2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carrying tracking information in multiple format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ame
US4866601A (en) * 1987-09-24 1989-09-12 Ncr Corporation Digital data bus architecture for computer disk drive controller
US4947367A (en) * 1988-03-28 1990-08-07 Emc Corporation System for converting digital data from magnetic tape forma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equentially accessible magnetic tape data format to directly accessible write-once disk data format to worm optical disk format
JPH02115995A (ja) * 1988-10-26 1990-04-27 Hitachi Maxell Ltd データ管理方式およびそのための記録媒体
JPH02123522A (ja) * 1988-11-02 1990-05-11 Fujitsu Ltd コンパクトディスク互換型書換え可能光ディスクの記録・消去方法
JPH03149614A (ja) * 1989-08-31 1991-06-26 Univ Californi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憶処理方法
JP2577335B2 (ja) * 1989-11-14 1997-01-29 株式会社リコス ディスクコピー防止装置
JPH04184650A (ja) * 1990-11-20 1992-07-01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プログラム保護方式
JP2940208B2 (ja) * 1991-04-12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光ディスク
EP0545472B1 (en) * 1991-12-02 1999-10-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osed information system with physical copy protection
JPH05289612A (ja) * 1992-04-06 1993-11-05 Nhk Spring Co Ltd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124A (ko) 1995-02-17
EP1076331A3 (en) 2006-11-29
DE69431777D1 (de) 2003-01-09
DE69431777T2 (de) 2003-04-10
EP0634741B1 (en) 2002-11-27
EP0634741A1 (en) 1995-01-18
EP1076331A2 (en) 2001-02-14
US5752009A (en) 1998-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6891B1 (ko) 기록매체 그 제어방법 및 전자출판물 이용 시스템
KR100470372B1 (ko) 기록매체및인스톨관리방법
JP2883791B2 (ja) 記憶媒体とその制御方法
JP3454700B2 (ja) 情報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378071B1 (en) File access system for efficiently accessing a file having encrypted data within a storage device
US8782089B2 (en) Selective file erasure using metadata modifications and apparatus
US7076662B2 (en) Data alteration che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8287653A (ja) 光記録媒体
JP2891877B2 (ja) 記録媒体及び電子出版物利用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4352601B2 (ja) データ改竄チェック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1109665A (ja) 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の記録読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99504B1 (ko) 정보처리시스템
JP3220387B2 (ja) ディスクコピープロテクト方法およびディスク読み取り機構およびディスク記録媒体
US20080123481A1 (en) Method for Saving ther Keylockers on Optical Discs
JP3182129B2 (ja) 記憶媒体とその制御方法
JP2004246851A (ja) 記録媒体の読み出し制限方式
JP4333758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ならびに、データ改竄チェック方法、データ改竄チェック装置およびデータ改竄チェックシステム
JP2012108672A (ja) 記録媒体
JPS62256176A (ja) イメージデータ蓄積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