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905B1 -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905B1
KR0184905B1 KR1019940006310A KR19940006310A KR0184905B1 KR 0184905 B1 KR0184905 B1 KR 0184905B1 KR 1019940006310 A KR1019940006310 A KR 1019940006310A KR 19940006310 A KR19940006310 A KR 19940006310A KR 0184905 B1 KR0184905 B1 KR 018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data
quantization
code amou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252A (ko
Inventor
테쯔야 시미쯔
노부히로 호시
도시히꼬 스쯔끼
유끼노리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55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44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9561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90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560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21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185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69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185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740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4002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2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샘플값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제 1블록으로 각각 구성된 제 2블록의 단위로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양자화파라미터로 제 2블록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유니트와, 양자화유니트에 의해 양자화된 제 2블록데이터의 부호량을 검출하는 검출유니트와, 검출유니트의 출력에 따라서 제 1블록의 단위로 양자화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한 부호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입력신호를, 복수의 샘플값으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형성유니트와, 입력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유니트와, 직교변환유니트에 의해 얻은 직교변환계수에 따라서 각 블록의 특성을 검출하는 검출유니트와, 입력신호블록이 복수의 입려신호블록으로 구성된 단위로 부호화될때에 얻어지는 일정한 부호량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양자화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선택유니트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변경유니트와, 변경유니트에 의해 변경된 양자화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직교변환유니트로부터의 직교변환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유니트를 포함한 부호화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제1도는 종래의 부호화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 (a)와 제2도 (b)는 종래의 부호량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말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부호량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1양자화기를 선택할 때까지의 처리를 도시한 차트.
제5도는 제3도의 연산유니트(110),(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제3도의 연산유니트(1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7도는 제3도의 양자화파라미터변환유니트(11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부호량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9도는 제8도의 연산유니트(308)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0도는 제8도의 양자화파라미터연산유니트(38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부호화장치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3도는 제 3실시예에 의한 양자화번호의 2치화탐색처리를 도시한 차트.
제14도는 본 발명의 5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5도는 DCT변환계수데이터와 화상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저주파화상에서 AC성분의 유의계수(Important coefficient)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수평고주파화상에서 AC성분의 유의계수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수직고주파화상에서 AC성분의 유의계수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대각선방향의 고주파화상에서 AC성분의 유의계수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제14도의 화상특성판정회로(604)에 의해서 DC성분에 의거한 화상특성판정을 실현하는 회로도.
제21도(a)와 제21도(b)는 화상특성의 무게계수(weighting coefficient)의 변경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2도는 양자화시에 주파수 영역분할을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에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4도 (a)와 제24(b)는 주파수영역분할의 적응적변경(adaptive change)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5도 (a)와 제25(b)는 DCT무게계수의 변경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7도는 제 7실시예에 의한 클래스(class)와 양자화스텝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제28도는 제 7실시예에 의한 클래스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2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장치를 채택한 VTR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대블록형성회로 3 : 소블록형성회로
9, 207, 406, 607, 708 : 가변길이부호화회로
11 : 버퍼회로 12 : 분류회로
12a : |AC|max검출회로 12c : 판정회로
13 : 부호량견적회로
13a, 13b, 13c, 13d : 연산유니트
14 : 양자화회로 14a, 20 : 양자화테이블회로
14b, 21, 603, 704a, 704b, 704c, 704d : 양자화기
22 : 0검출회로
23 : 후프만(HUFFMAX)테이블회로
24 : 카운트회로 25 : 판정회로
102 : 파라미터판정유니트
104 : 초기양자화기번호발생기
109 : 목표부호량발생기
110, 110', 115 : 연산유니트
113 : 양자화파라미터변환유니트
118, 416 : 스위치
205, 404 : 양자화유니트
206, 405 : 양자화기번호선택유니트
208, 407 : 부호량적산유니트
209 : 감산기
210, 412 : 부호판정유니트
211, 417 : 양자화기선택유니트
302 : 양자화파라미터판정유니트
304 : 초기의 짧은 데이터량 발생기
305 : 초기의 과다한 데이터량 발생기
307 : 목표부호량 발생기 308 : 연산유니트
322 : 양자화파라미터유니트 505 : 분할기
507 : 승산기 509 : 가산기
511 : 비교기 602 : DCT회로
604 : 화상특성판정회로 605 : 양자화제어회로
606, 611 : 지연회로 612 : 화상특성판정회로
610 : 2차원저대역통과필터 702 : 블록형성유니트
703 : 직교변환유니트 705 : 선택기
706a, 706b, 706c, 706d : 지연유니트
709 : 다중화기 710 : 움직임검출기
711 : 분류유니트 801 : 촬상유니트
802 : 카메라처리회로 803 : 부호화회로
804 : 기록처리회로
본 발명은 가변길이부호화를 사용한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호량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고, 또한 자기테이프등의 기록매체에서 부호화된 화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상업용 VTR이 제안되고 있다.
화상신호를 압축하여 고능률부호화하는 기술로서는, 직교변환을 이용한 부호화 장치가 주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화상을, 소성수의 화소로 각각 구성된 블록(이제부터는 이산코사인변형(DCT)블록으로 칭함)으로 분할한 후에, DCT블록에 대해서 DCT변환등의 직교변환을 행하고, 예를 들면 엔트로피부호화를 행하여 변환된 DCT계수를 양자화한다.
고능률부호화의 방법으로서, 고압축비율로 부호화를 행하는 가변길이부호화 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가변길이부호를 사용하여 기록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소정수의 DCT블록은 특정한 재생모드, 오차전파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정보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부호화장치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부호화장치의 블록도이다. 화상신호의 8화소(수평)×8화소(수직)로 각각 구성된 소블록단위로 2차원 DCT변환을 행하고, 30개의 DCT블록으로 각각 구성하는 대블록단위로 정보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제1도에서, 화상신호의 샘플값은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되고 대블록형성회로(2)는 임의의 룰(rule)을 따라서 1프레임데이터로부터 30개의 DCT블록을 대블록으로 선택한다.
다음에, 이 화상신호는 소블록형성회로(3)에 공급되고, 8×8화소를 각각 구성하는 소블록으로 분할된다.
소블록으로 분할된 화상신호의 샘플값은 직교변환회로(4)에 입력되어 소블록을 DCT변환하고, 따라서 소블록단위로 64개의 변환계수를 출력한다.
변환계수는 대블록단위로 버퍼회로(5)에 축적되고, 또한 부호량산출회로(7)에 공급된다. 부호량산출회로(7)는 부호화시의 각각의 대블록의 부호량을 산출하고 양자회기선택회로(8)에 산출결과를 출력한다.
양자화기선택회로(8)는 입력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부호량, 즉 목표부호량 이하인 부호량을 달성할 수 있는 양자화기(또는 양자화테이블)를 선택한다.
양자화기(6)는 양자화기선택회로(8)에 의해서 선택된 양자화기를 사용하여 버퍼회로(5)에 의해 지연된 변환계수를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변환계수는 가변길이부호화회로(9)에 의해 후프만 부호화(Huffman encoding)등의 가변길이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출력단자(10)으로부터 출력한다.
제2도(A)와 제2도(B)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2도(A)와 제2도(B)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양자화기(Qn)에 의해 얻는 부호량과, 양자화기(Qn)보다 1적은 양자화기(Qn-1)에 의해 얻은 부호량 및 목표부호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제2도(A), 제2도(B)에서 화살표(a), (b)각각 목표부호량과 양자화기(Qn)에 의해 얻은 부호량간의 차분 및 목표부호량과 양자화기(Qn-1)에 의해 얻은 부호량간의 차분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자화기(Qn)에 의해 데이터가 양자화된때에는, 부호량은 목표부호량보다 a만큼 작게 된다. 데이터가 양자화기(Qn-1)에 의해 양자화된때에는, 부호량은 목표부호량보다 b만큼 크게 된다.
제2도(A)의 경우에는, 값(a)이 작으므로 부호화효율이 높다. 그러나, 제2도(B)의 경우에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에 비해서 상당히 큰 값(a)만큼 작으므로 부호화효율이 낮다. 이 경우에는 가능한 한 양자화기(Qn-1)가 선택된다. 그러나, 양자화기(Qn-1)에 의해 양자화된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b만큼 근소하게 크기 때문에, 양자화기(Qn)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종래의 장치에서는 고능률부호화를 항상 행할 수 없다.
종래의 부호량 제어는 인간의 시각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인간의 시각특성은 상대적으로 밝고 정세한(fine) 화상에 대해서는 급준한 판별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어둡고 정세한 화상에 대해서는 낮은 식별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휘도화상데이터의 고조파성분과, 중휘도화상데이터의 고주파성분 또는 고휘도화상데이터의 고주파성분에 대해서 동일한 양자화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종래의 제어에서는, 저휘도와, 고정세도를 가지는 부분에서 고주파잡음이 나타나고, 따라서 시각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인간의 시각특성이 움직임화상에 대해서 떨어지기 때문에, 큰 움직임을 가진 블록보다 작은 움직임을 가진 블록에 보다 많은 정보량을 할당함으로써 화질을 평균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움직임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제어를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표부호량을 가능한 한 낭비함이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 부호량제어장치를 사용한 부호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샘플값 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제 1블록으로 각각 구성된 제 2블록의 단위로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제 2블록데이터를 소정의 양자화파라미터로 양자화하는 양자화수단과, 이 양자화수단에 의해 양자화된 제 2블록데이터의 부호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제 1블록의 단위로 양자화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부호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간의 시각특성을 고려하여 고능률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상정보를, 복수의 화소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하고 블록단위로 직교변환과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화상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직교변환한 변환계수로부터 화상정보의 국부적인 정세(fineness)특성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양자화특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부호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목적과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관련한 이하의 상세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부호량제어장치에 대해여 이하 설명한다.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부호량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제3도의 부호량제어장치는 종래의 부호화장치의 부호량산술회로에 대응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3도에서, 장치는, 화상데이터등의 입력데이터(101), 양자화파라미터판정유니트(102), 양자화파라미터(103), 초기양자화기번호발생기(104), 양자화기번호데이터(105)∼(108), 목표부호량발생기(109), 연산유니트(110), 부호량처분데이터(111), 변경되지 않은 야자화파라미터(112), 양자화파라미터변환유니트(113), 변경된 양자화파라미터(114), (116), 연산유니트(110)의 처리와 상이한 처리를 행하는 연산유니트(115), 부호량판정결과를 나타내는 판정데이터(117), 스위치(118), 최종의 양자화파라미터(119), 최종의 양자화기(또는 양자화테이블)을 나타내는 양자화기번호데이터(120), 부호량차분데이터(111)가 목표부호량 이상인 차분데이터인지 목표부호량이하인 차분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121)를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입력으로부터 제 3연산유니트(110)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하 설명한다.
N양자화기가 이용 가능한 경우, 보다 작은 양자화폭을 가지는 양자화기로부터 순차적으로 1내지 N의 번호를 양자화기에 부여하고, 이 양자화기는 Qn(n=1∼N)에 의해 명세된다.
적절한 양자화기를 판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2치화탐색방법을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의 양자화기(Qn/2)를 선택하고, 양자화와 가변길이부호화를 실제로 행하여 부호량을 산출한다. 산출된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목표양자화기기 Q1과 Qn/2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양자화기 사이의 양자화기(Qn/4)를 사용하여 동일한 연산을 반복한다. 이에 대해서, 산출된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큰 경우에는, 양자화기(Q3n/4)를 사용하여 동일한 연산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N개의 양자화기가 있을 때에는, 목표양자화기는 log2N의 계산에 의해 판정된다.
제4도는 N=16일 경우의 양자화기 선택처리를 도시한다.
제4도에서, 화살표(130)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적은 때의 선택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131)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많은 때의 선택방향을 나타낸다. 제4도에서, 화살표(132)는 양자화기(Q6)가 선택될 때까지의 선택경로를 나타낸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1개의 대블록에 포함되는 소블록의 수를 k로 하면, 입력데이터(101)는 k개의 소블록에 대한 변환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된다.
양자화파라미터판정유니트(102)는 k개의 소블록에 대한 각 블록의 특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할당하고, 이들의 파라미터를 양자화파라미터(103)로서 출력한다.
특정한 양자화기(Qn)가 1개의 대블록에 대해서 선택될 때에, 양자화기파라미터(103)는 1개의 양자화기(Qn)에 의해서 대블록에 포함된 k개의 모든 소블록을 양자화하지 않고 소블록에 대해서 양자화기(Qn)로부터 상대적으로 근소하게 시프트된 양자화기(즉, Qn+2, Qn+1, Qn-1, Qn-2등)를 선택하는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연산유니트(110), (110')는 상기한 계산이 1사이클을 행하는 부분이다. 제1연산유니트(110)는 입력데이터(101), 양자화파라미터(103), 초기양자화기 번호발생기(104)로부터의 초기양자화기번호데이터, 목표부호량발생기(109)로부터의 목표부호량을 수신하고, 1개의 대블록(k개의 소블록)에 대한 부호량을 계산한다. 다음에, 제 1연산유니트(110)는 다음의 연산유니트의 계산에서 사용되는 양자화기번호(105)를 출력한다.
연산유니트(110), (110')에 의해 상기 계산을 반복함으로써, 1개의 대블록에 대한 양자화기번호데이터(108)를 구한다.
본 실시예는 16개의 상이한 양자화기를 가지기 때문에, 1개의 양자화기번호데이터를 4개의 연산유니트(110), (110')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초기양자화기번호발생기(104)는 양자화기번호(8)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 1연산유니트(110)에 공급한다(제4도 참조).
양자화기파라미터변환유니트(113)는, 목표부호량에 근접한 산출부호량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산유니트(110')로부터 출력된 부호량차분데이터(111)의 절대값에 따라서 k개의 소블록에 대응하는 k개의 양자화기파라미터(112)중 일부를 변경한다. 다음에, 유니트(113)는 변경된 양자화파라미터(114)를 출력한다. 연산유니트(115)는 연산유니트(110')에 의해 얻은 양자화파라미터(114)와 양자화기번호데이터(108)를 사용하여 다시 부호량을 산출한다.
이 계산의 결과로서, 산출된 부호량이 목표부호량 이하인 경우에는, 즉 판정데이터(117)가 부(-)인 경우에는, 신규하게 변경된 양자화파라미터(116)(양자화파라미터(114)와 동일함)를, 스위치(118)를 통하여 최종의 양자화파라미터로서 출력한다.
이에 대해서, 산출된 부호량이 목표부호량이상인 경우에는, 즉 판정데이터(117)가 정(+)인 경우에는, 변경되지 않은 양자화파라미터(112)(양자화파라미터(103)와 동일함)를 최종의 양자화파라미터(119)로서 출력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부호화효율이 개선될 수 없다.
연산유니트(110), (1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5도는 연산유니트(110), (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5도에서, 연산유니트(110), (110')는, 화상데이터등의 입력데이터(201), 양자화파라미터(202), 입력양자화기번호데이터(203), 목표부호량데이터(204), 양자화유니트(205), 양자화기선택유니트(206), 가변길이 부호화유니트(207), 부호량적산유니트(208), 감산기(209), 부호판정유니트(210), 양자화기번호선택유니트(211), 출력양자화기번호데이터(212), 부호량차분데이터(213), 부호판정유니트(210)의 판정결과를 나타내는 판정데이터(214), 실제의 부호량데이터(215)를 포함한다.
연산유니트(110')는 외부회로에 부호량차분데이터(213)와 판정데이터(214)를 출력하지만, 연산유니트(110)는 외부회로에 이들의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연산유니트(110)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양자화기선택유니트(206)는 양자화기번호데이터(203)와 양자화파라미터(202)에 따라서 1개의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기테이블을 선택하고, 양자화유니트(205)는 선택된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테이블을 사용하여 입력데이터(201)를 양자화한다.
입력데이터(201)는 예를 들면 k개의 소블럭에 대해서 1개의 대블럭에 대한 변환계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화파라미터(202)는 소블록단위로 변경되고, 양자화기선택유니트(206)는 이들 데이터에 따라서 선택된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테이블을 시프트한다.
가변길이부호화유니트(207)는 양자화된 데이터를 가변길이부호화하여, 부호량적산유니트(208)에 부호화된 데이터의 부호길이를 출력한다.
부호량적산유니트(208)는 k개의 소블록에 대해서 입력부호길이를 부가하여 적분하고, 입력양자화기번호데이터(203)에 대응하는 대블록의 실제부호량을 감산기(209)에 출력한다. 감산기(209)는 부호량적산유니트(208)의 출력데이터(15)로부터 목표부호량데이터(204)를 감산하고 부호량차분데이터(213)를 출력한다.
부호량차분데이터(213)가 정(+)인 때에는, 현행의 양자화기번호에 의한 양자화는 상당히 많은 부호량을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부(-)인 때에는 부호량이 적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호판정유니트(210)는 부호량차분데이터(213)의 극성(즉, 정 또는 부)을 판정한다. 양자화기번호선택유니트(211)는 부호판정유니트(210)의 판정결과 데이터(214)에 따라서 양자화기번호데이터(203)를 변환하고, 다음의 회로에 출력양자화기번호데이터(212)를 출력한다.
양자화기번호선택유니트(211)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양자화기번호가 n인 경우에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을 초과할 때에는 선택유니트(211)는 n+(N/2m+1)을 선택하고, 부호량이 목표부호량 이하일 때에는, 선택유니트(211)는 n-(N/2m+1)을 선택한다.
N은 양자화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m은 제3도에 도시된 연산유니트의 m번째 단계를 나타내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3도에서, N=16이고, m=1∼4이다. 연산유니트(110')에서, 출력양자화번호가 소수점이하의 값으로 되고, 부호량이 목표부호량 이상일 때에는 n+1로 하고, 부호량이 목표부호량 이하일 때에는 n으로 한다.
연산유니트(115)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6도는 제3도의 연산유니트(11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6도에서 제5도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제5도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양자화기선택유니트(206)는 양자화기번호데이터(108)와 양자화파라미터(114)에 따라서 1개의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테이블을 선택한다. 양자화유니트(205)는 선택된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테이블을 사용하여 입력데이터(제3도의 입력데이터(101)와 동일함)를 양자화한다. 양자화파라미터(114)는 다음회로에 출력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제13도의 양자화파라미터(116)와 동일함).
입력데이터는 1개의 소블록, 즉 k개의 소블록에 대한 변환계수를 포함하기 때문에, 양자화파라미터(202)는 소블록단위로 변경되고, 양자화기선택유니트(206)는 이들 데이터에 따라서 선택된 양자화기 또는 양자화테이블을 시프트한다.
가변길이부호화유니트(207)는 양자화데이터의 가별길이부호화를 행하고, 부호량적산유니트(208)에 부호화데이터의 부호길이를 출력한다.
부호량적산유니트(208)는 K개의 소블록에 대한 입력부호길이를 가산하여 적분하고, 입력양자화기번호데이터(108)에 대응하는 대불록의 실제부호량을 감산기(209)에 출력한다. 감산기(209)는 부호량적산유니트(208)의 출력데이터(215)로부터 목표부호량데이터를(204)를 감산하고, 부호량차분데이터(213)를 출력한다.
부호량차분데이터(213)가 정(+)일 때에는, 현행의 양자화기수에 의한 양자화가 상당히 많은 부호량을 발생하는 것을 부호량차분데이터(213)가 나타내고, 부(-)일 때에는 부호량이 적은 것을 부호량차분데이터가 나타낸다.
따라서, 부호판정유니트(210)는 부호량차분데이터(213)의 극성(즉, 정 또는 부)을 판정하고, 판정된 극성에 따라서 판정데이터(214)(제3도의 판정데이터(117)에 대응함)를 출력한다.
제3도의 양자화파라미터변환유닛(113)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7도는 제3도의 양자화파라미터변환유니트(11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량차분데이터(111)가 부(-)일 때에는, 이 값은 제2도(A)에 대응하기 때문에, 차분데이터가 드레숄드값(TH1)과 같거나 부(-)의 쪽으로 크게 될 때에 양자화 파라미터가 변경된다. 차분데이터가 0∼TH1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는, 효율이 충분히 높고, 양자화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다.
부호량차분데이터(111)가 정(+)일 때에는, 이 값은 제2도(B)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보다 크기 때문에, 제 4연산유니트(110')에 의해서 얻은 양자화기번호데이터(108)보다 1만큼 작은 양자화기에 대한 계산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차분값이 드레숄드값(TH2)보가 크거나 같을 때에, 양자화파라미터가 변경되고, 차분데이터가 0∼TH2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는 양자화기파라미터는 변경되지 않는다.
양자화기파라미터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즉, k개의 소블록에 대응하는 k파라미터의 일부가 선택되고, 부호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면, k개의 소블록이 휘도신호의 색차신호로 구성될 때에, 화질에 대폭적으로 영향을 주는 휘도신호의 블록의 양자화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부호량제어장치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8도는 제 2실시예의 부호량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제8도에 도시된 부호량제어장치는종래의 부호화장치의 부호량산출회로에 대응한다.
제8도에서, 부호량제어장치는 화상데이터등의 입력데이터(301), 양자화파라미터판정유니트(302), 양자화파라미터(303), 초기 양자화기번호발생기(304), 초기의 짧은 데이터량 발생기(305), 초기의 과다한 데이터발생기(306), 목표부호량발생기(307), 연산유니트(308), 양자화기번호데이터(309), (312), (315), (310), 짧은 데이터량(신호선)(310), (313), (316), (320), 과다 데이터량(신호선)(311), (314), (317), (321), 연산전의 양자화파라미터(318), 양자화파라미터연산유니트(322), 연산후의 양자화파라미터(323)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산유니트(308)에 대하여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 2연산유니트에 대하여 예시한다.
부호량산출을 양자화기번호데이터(309)에 의거하여 행하고, 선행의 연산유니트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량(301)또는 과다한 데이터량(311)중 하나를 갱신한다. 갱신된 데이터량은 짧은 데이터량(313)또는 과다한 데이터량(314)으로서 다음의 연산유니트에 출력된다. 짧은/과다한 데이터량은 현해의 양자화기번호에 의거하여 얻은 부호량과 목표부호량 사이의 차분을 나타낸다.
상기한 연산을 연산유니트(308)에 의해 행하고, 최종적으로 짧거나 과다한 데이터량(320), (321)을 얻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최종적으로 결정된 양자화기번호데이터(319)에 의해 나타난 양자화가 Qn일 경우에는 데이터(320)는, 양자화기(Qn)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할 때에 목표부호량으로부터 짧은 데이터량을 나타내고, 데이터(321)는, 양자화기(Qn-1)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할 때에 목표부호량으로부터 과다한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이들 데이터량은 각각 제2도(A) 와 제3도(B)에 대응한다.
양자화기파라미터연산유니트(322)는 짧은/과다한 데이터량을 사용하여 양자화파라미터(318)(양자화파라미터(303)의 내용과 동일하지만 지연되어 있음)를 연산하여 신규한 양자화기파라미터(323)를 출력한다.양자화파라미터(323)는 대블록 단위로 선택된 양자화기(Qn)에 대해서 소블록의 단위로 양자화기(Qn)에서 상대적으로 시프트된 양자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명령하는 파라미터이다. 부호량은 k파라미터의 일부를 연산시키기 위하여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연산유니트(308)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9도는 연산유니트(308)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9도에서, 연산유니트(308)는, 입력데이터(401), 양자화파라미터(402), 입력양자화기번호(403), 양자화유니트(404), 양자화기선택유니트(405), 가변길이 부호화유니트(406), 부호량적산유니트(407), 실제의 부호량(출력선)(408), 목표부호량(409), 감산기(410), 부호량차분(411), 부호판정유니트(412), 부호판정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413), 짧은 입력데이터량(414), 과다한 입력데이터량(415), 스위치(416), 양자화기번호선택유니트(417), 출력양자화기번호(418), 짧은 출력데이터량(출력선)(419), 과다한 출력데이터량(출력선)(420)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제5도와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유니트는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부호량적산유니트(407)는 입력양자화기번호(403)에 대응하는 실제부호량을 출력선(408)에 출력한다. 감산기(410)는 실제부호량(408)으로부터 목표부호량(409)을 감산하여 부호량차분(411)을 출력한다. 부호판정유니트(412)는 부호량차분의 부호, 즉 극성(정 또는 부)을 판정한다.
스위치(416)는 부호판정유니트(4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413)에 따라서 부호량차분(411)과 함께 짧은 입력데이터량(414) 또는 과다한 데이터량(415)을 갱신하고, 출력선(419), (420)중 어느 하나에 갱신된 데이터량을 출력한다. 갱신되지 않은 데이터량은 직접 출력된다. 예를 들면, 부호량이 목표부호량 이상일 때에는, 짧은 데이터량(114)을 직접 출력하고, 과다한 데이터량(415)은 이 연산유니트에 의해, 목표부호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량차분(411)으로 대치한 후에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짧은/과다한 목표데이터량을 제8도에 4개의 연산유니트(308)를 통하여 신호선(320)또는 (321)상에서 얻는다. 이것에 대해서 제4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4도에서, 화살표(132)는 양자화기(Q6)가 선택될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낸다. 역방향으로 화살표를 따르면, 양자화기(Q6),(Q5)에 대한 부호량산출이 제 4, 제 3단계에서 행해지고 목표데이터량을 얻는다.
다른 경우(Q9)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양자화기(Q9)에 의한 짧은 데이터량을 제 4단계에서 얻고, 양자화기(Q8)에 의한 과다한 데이터량을 제 1단계에서 얻는다. 특히, 제 1단계에서의 과다한 데이터량을, 부호량이 제 2내지 제 4단계에서 목표부호량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단계에서 재기록함이 없이 최종단계로 전송된다. Q1과 Q16의 경우에는, 짧거나 과다한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한 양자화파라미터연산유니트(322)의 상세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양자화파라미터연산유니트(322)는, 입력양자화파라미터(501), 선택된 양자화기번호(Qn)(502), 짧은 데이터량(503), 과다한 데이터량(504), 분할기(505), 승산기(507), 가산기(509), 비교기(511), 스위치(512), 출력양자화파라미터(513)를 포함한다.
짧은 입력데이터량(503)과 과다한 입력데이터량(504)은 각각 제2도(A)와 제2도(B)에 따라서 a와 b(a≥0, b≥0)로 나타내고, 분할기(505)는 a/(a+b)를 계산하고, 양자화기번호가 1만큼 감소될 때에 부호량이 증가되는 현행의 짧은 데이터량의 비율(506)을 출력한다. 양자화기번호를 1만큼씩 감소하는 것은, 1만큼씩 감소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소블록의 양자화번호를 이동하기 위하여 양자화기번호를 변경함이 없이 k개의 양자화파라미터를 모두 연산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 비율(506)은 승산기(507)에 의해 k배 승산하고, 따라서 k개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동작되는 파라미터의 번호를 얻는다.
가산기(509)는 양자화파라미터를 동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에는, 양자화기는, 1만큼씩 파라미터를 증가함으로써, 1만큼씩 작아지는 파라미터로 시프트된다. k개의 입력양자화파라미터(501)중에서 승산기(507)의 출력(508)에 의해 지정된 파라미터의 번호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의 값이 가산기(509)에 의해 1만큼씩 증가하고, 갱신된 파라미터를 신규한 파라미터(510)로서 출력한다.
비교기(511)는 양자화기번호(502)가 1또는 16인 경우를 체크한다. 양자화기번호가 1 또는 16인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에, 스위치(512)는 동작전에 파라미터(501)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산기(507)의 출력(508)에 의해 지정된 파라미터의 번호는 비율(506)에 의해서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호량이 목표부호량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파라미터의 번호는 근소하게 작은 값으로 바람직하게 설정된다.
가산기(509)가 양자화파라미터 값을 증가할 때에, 동작되는 소블록의 순서가 다른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이 Y신호와 색차신호를 포함하고 있을 때에, 블록은 Y신호에 대응하는 블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동작한다. 대안으로, 양자화파라미터 값이 큰 블록은 나중에 동작하고, 즉 파라미터 값이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블록이 동작된다.
이제까지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원리에 대해서 다시 설명한다. 소블록의 k개으 양자화파라미터가 모두 1만큼 작은 양자화기를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은, 양자화파라미터를 동작함이 없이 대블록전체의 양자화기번호(Qn)대신에 양자화기번호(Qn-1)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0∼k의 양자화파라미터를 동작할 때에, 양자화기(Qn)∼(Qn-1)를 동일하게 얻는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호량제어장치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부호량제어장치를 가지는 부호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제 3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1도에서 제1도와 동일한 도면번호는 제1도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부호화장치와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부호화장치사이의 차이점은, 버퍼회로(11), 분류회로(12), 부호량견적회로(13), 양자화회로(14)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12도는 이들 회로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부호화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테이블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블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하고, Y/Cr/Cb에 대응하여 1개의 테이블상에 대블록의 양자화NO에 오프세트를 할당함으로써 소블록 단위로 양자화기가 선택될 때에 양자화 NO에 대응하는 오프세트량을 요약한 것이다.
테이블 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양자화테이블이고, 테이블 3은 클래스정보에 대응하는 일정한 오프세트량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화상신호의 8화소(수평) × 8화소(수직)로 각각 구성된 소블록단위로 2차원 DCT변환을 행하고, 30개의 DCT블록을 각각 구성하는 대블록의 단위로 일정하게 되도록 정보량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에 대하여 제12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부호화장치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2도에서, 입력단자(t)로부터 입력된 신호(S1)의 샘플값은 임의의 룰(rule)을 따라서 1프레임데이터의 단위로 30개의 DCT블록을 선택함으로써 대블록으로 분할디고, 각각의 대블록은 8×8화소로 각각 구성된 소블록으로 분할된다. 소블록은 2차원 DCT변환이 행해지고, 소블록단위로 64개의 변환계수가 출력된다.
변환계수(S1)는 버퍼회로(11)에 입력되고, 또한 분류회로(12)에 공급된다. 버퍼회로(11)는 복수의 버퍼회로(11a), (11b), (11c), (11d)를 포함하고, 입력변환계수는 대블록단위로 순차적으로 지연된다.
분류회로(12)는 |AC|max검출회로(12a)와 분류회로(12b)를 포함한다.
|AC|max검출회로(12a)는 예를 들면 소블록단위로 DC성분을 제외한 63개의 계수의 최대진폭값을 얻고, 분류회로(12b)는 |AC|max검출회로(12a)에 의해서 얻은 값에 따라서 소블록을 4개의 클래스로 분류한다. 또한, 분류회로(12)는, 입력신호가 Y/Cr/Cb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는 판정회로(12c)를 포함하고, 판정회로(12c)의 판정결과를 나타내는 식별신호와 클래스정보를 출력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량견적회로(13)는 양자화 NO.에 대해서 2치화탐색방법을 사용해서 부호량의 견적계산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부호량견적회로(13)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연산유니트(13a), (13b), (13c), (13d)를 포함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연산회로(13a), (13b), (13c), (13d)의 각각에 배치된 양자화테이블회로(20)는 분류회로(12)에 의해 판정된 클래스정보와 Y/Cr/Cb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양자화NO.에 대응하는 테이블 3에 나타난 오프세트는, 테이블 2에 나타난 양자화테이블상(직교변환계수영역이 2차원테이블을 구성하는 4개의 대역으로 분할됨)에서, 소블록의 단위로 클래스정보와 Y/Cr/Cb식별신호에 의거한 양자화 NO.7의 양자화테이블로 할당된다.
또한, 테이블 1에 표시된 양자화 NO.에 대응하는 오프세트는 양자화NO.와 Y/Cr/Cb식별신호에 의거하여 할당된다. 예를 들면, 클래스정보 3과 Cb에 대응하는 소블록은 7-2+0=5로 되기 때문에, 양자화 NO.5의 테이블에 의거하여 양자화된다.
양자화테이블회로(20)에 의해서 선택된 양자화시스템은 소블록의 4개의 분할대역의 단위로 양자화기(21)에 공급된다. 양자화기(21)는 양자화테이블회로(20)로부터 공급된 양자화스텝에서 입력변수계수(S1)를 양자화한다. 양자화결과는 계수0의 연속을 검출하는 0검출회로(22)와 후프만 테이블(Huffman table)회로(23)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주행길이와 진폭에 의거하여 2차원 후프만 부호화를 행할 때 얻은 부호길이를 출력한다.
2차원후프만 부호화를 행할 때에 얻은 부호길이는 후프만 테이블회로(23)의 출력쪽에 접속된 카운트회로(24)에 공급된다. 카운트회로(24)는 후프만 부호화후에 부호량을 부가하여 적분하고, 적분된 결과를 판정회로(25)에 출력한다. 판정회로(25)는 입력적분결과와 소정의 정보량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다음의 연산회로(13b)에 공급한다.
연산회로(3b)는 연산회로(3a)의 결과에 따라서 양자화테이블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양자화 NO.7의 테이블이 연산회로(13a)에서 선택되고 또한 부호량이 소정의 정보량을 초과할 때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회로(13b)는 연산회로(1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자화 NO.11의 테이블에 소블록단위로 오프세트를 할당함으로써 각각의 대블록의 부호량을 견적한다. 한편, 부호량이 소정의 정보량을 초과하지 않을 때에는, 연산회로(13B)는 마찬가지로 양자화 NO.3의 테이블에 소블록단위로 오프세트를 할당함으로써 각각의 대블록의 부호량을 견적한다. 다음에, 연산회로(13b)는 견적부호량과 소정의 정보량을 비교하고, 이에 의해 다음단계의 양자화 NO.를 판정한다.
다음의 연산회로(13c), (13d)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연산을 행하고, 이에 의해 소정의 정보량을 초과하지는 않지만 이에 가장 가까운 정보량에 대응하는 양자화NO.를 판정한다. 다음에, 부호량견적회로(13)는 양자화회로(14)에 판정된 양자화 NO.를 공급한다. 양자화회로(14)는 양자화테이블회로(14a)와 양자화기(14b)를 포함한다. 양자화테이블회로(14a)는 판정된 양자화번호, 클래스정보, T/Cr/Cb식별신호에 의거하여 양자화스텝을 판정하고, 양자화기(14b)에 출력한다.
양자화기(14b)는 버퍼회로(11)에 의해서 부호량견적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변환계수를 수신하고, 양자화테이블회로(14a)로부터 공급된 양자화스텝에서 변환계수를 최종적으로 양자화한다. 양자화 계수는 출력단자(t)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양자화된 계수는 양자화회로(14)의 출력쪽에 접속된 가변길이부호화회로(9)에 의해 2차원 후프만 부호화등의 가변길이 부호화를 행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부호화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서는, 테이블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화 NO에 대응하는 Y/Cr/Cb에 대해서 우선 순서를 할당함으로써 오프세트를 정의한다. 그러나, 직교변환계수영역은 다소의 대역으로 분할되고 대역에 대응하여 오프세트가 정의될 수 있다.
이하의 테이블 4는 계수영역이 4개의 대역으로 분할될 때에 양자화 NO.에 대응하는 오프세트의 일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화테이블이 소블록단위로 선택될때에, 테이블 1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대신에 테이블 4를 사용하여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3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양자화No에 대응하는 오프세트량은 Y/Cr/Cb와 계수영역의 대역의 양자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 제 4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대블록의 부호화후에 얻은 정보량은 소정의 값에 근접하도록 제어되고, 소블록의 단위로 성질에 대응하는 양자화기의 선택방법은 대블록단위로 선택된 양자화기의 양자화특성에 따라서 변경된다. 따라서, 시각특성을 고려하여 Y/Cr/Cb, 계수영역의 대역등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면서 클래스정보 등의 양자화파라미터를 정의함으로써 대블록의 단위로 판정되는 양자화테이블의 양자화특성에 따라서 소블록단위로 최적의 양자화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14도는 제 5실시예에 따라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 14도에서, 부호화할 원화상데이터(60)는 프레임의 단위로 8화소×8행으로 각각 구성되는 블록으로 분할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부호화장치는, 블록으로 분할된 화상데이터(601)의 DCT변환을 행하고 또한 DCT계수의 AC성분(602a)을 출력하는 DCT회로(602), AC성분(602a)을 양자화하는 양자화기(603),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된 출력(602a)과 DCT계수의 DC성분(602b)에 의거하여 화상의 정세(finenes)특성을 판정하고 판정결과(604a)를 출력하는 화상특성판정회로(604), 화상특성판정회로(604)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양자화기(603)의 양자화특성을 제어하는 양자화제어회로(605), 양자화기(603)의 처리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의해서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되는 DCT계수의 DC성분(602b)을 지연하는 지연회로(606), 양자화기(603)와 지연회로(606)의 출력을 가변길이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터(608)를 출력하는 가변길이부호화회로(607)를 포함한다.
DCT회로(602)는 원화상데이터(601)의 2차원 DCT변환을 행하고,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64개의 변환계수데이터(64개의 화소의 평균휘도레벨을 나타내는 1개의 DC성분과 63개의 AC성분을 포함함)를 출력한다. AC성분(602a)은 양자화기(603)와 화상특성판정회로(604)에 공급되고, DC성분(602b)은 지연회로(606)와 화상특성판정회로(604)에 공급된다.
화상특성판정회로(604)는 AC성분(602a)과 DC성분(602b)으로부터 화상의 활성레벨, 즉 정세도의 국부적인 정도를 판정한다. 화상특성판정회로(604)는, 제16도에 도시된 저주파수화상, 제17도에 도시된 수평저주파수화상, 제18도에 도시된 수직주파수화상 또는 제19도에 도시된 대각선방향의 고주파수화상에 입력화상이 대응하는 경우, AC성분(602a)으로부터 화상데이터의 고주파유의계수(important coefficient)의 분포상태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또한, 화상특성판정회로(604)는 DC성분(602b)으로부터 화상의 국부적인 휘도레벨을 판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604)는 제20도에 도시된 비교기구성을 사용하여 DC성분(602b)의 레벨(K)과 저휘도판정드레숄드값(M)을 비교하고 K≤M일 때 저휘도를 판정한다. 회로(604)가 DC성분(602b)에 의거하여 저휘도를 판정할 때에, 제21도(A)와 제21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성분(602a)에 의거하여 판정된 활성레벨은 저주파주쪽으로 변경된다. 다시말하면, 회로(604)는 소정의 값이상에 의해 고주파수부분에 대해서 중량계수(weighting coefficient)를 감소한다. 따라서, 정세화상(제21도(A))을 나타내는 판정결과는 저주파화상(제21도(B))을 나타내는 판정결과로 변경된다.
저주파화상이 AC성분(602a)에 의거해서 본래적으로 검출될때에, 이 판정결과는 DC성분(602b)의 평가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음은 물론이다.
양자화제어회로(605)는 양자화기(603)의 화상특성판정회로(604)의 판정결과(604a)에 따라서 적정한 양자화특성을 결정한다. 양자화기(603)는 DC회로(602)로부터 출력된 AC성분(602a)을 양자화하고, 지연회로(606)는 양자화기(603)의 처리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된 DC성분(602b)을 지연한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화기(603)는 DCT회로(602)로부터의 변환계수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제22도의 4영역)으로 분류하고 영역단위로 상이한 스텝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육안의 판정특성은 저주파영역에 대해서 민감하지만 고주파영역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저주파수영역의 데이터가 작은 스탭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되고 고주파영역의 데이터가 큰 스텝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될때에, 양자화왜곡이 화상의 고주파수의 영역에 집중되고, 따라서 화질의 시각적인 열화를 억제한다.
제22도에 도시된 분할영역에서는, 4개의 상이한 양자스텝폭이 저주파수성분(클래스#0)으로부터 고주파수성분(클래스#3)까지 설정된다.
클래스의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화스텝폭이 증가한다.
가변길이부호화회로(607)는 지연회로(606)로부터의 DC성분과 양자화기(603)로부터 양자화된 AC성분에 대해서 가변길이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데이터(608)를 출력한다.
가변길이부호화회로(607)는, 양자화기(603)로부터 출력된 2차원양자화데이터를, 저주파영역으로부터 고주파영역까지의 데이터를 지그재그주사함으로써 1차원데이터로 변환한 다음에 주행길이부호화의 2차원 후프만 부호화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가변길이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데이터(608)를 출력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주행길이부호화시에, 0주행(zero run)을 카운트함으로써 데이터를 역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후프만 부호화시에, 짧은 부호어를, 발생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로 할당하고, 긴부호어를, 발생가능성이 낮은 데이터로 할당함으로서, 부호어길이를 평균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23도는 제 6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3도에서 제14도와 동일한 도면번호는 제14도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이에 대한 상세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3도에서, 부호화장치는, 외부제어신호에 따라서 2차원공간에서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되는 AC성분(602a)을 선택적으로 대역제한하는 2차원저대역통과필터(LPF)(610), 2차원LPF(610)의 필터링시간에 대응한 시간만큼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되는 DC성분(602b)을 지연하는 지연회로(611)를 포함한다. 2차원LPF(610)로부터의 출력은 양자화기(603)에 공급되고, 지연회로(611)로부터의 출력은 지연회로(606)에 공급된다.
또한, 부호화장치는, DCT회로(602)로부터 출력되는 AC성분(602a)과 DC성분(602b)에 따라서 화상특성을 판정하고 판정결과(612a)를 출력하는 화상특성판정회로(612)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특성판정회로(612)는 판정결과에 따라서 통과상태 또는 필터상태에서 2차원 LPF(61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612b)를 출력한다. 판정결과(612a)의 내용은 화상특성판정회로(604)의 판정결과(604a)(제14도 참조)와 동일하다.
2차원 LPF(610), 지연회로(611), 화상특성판정회로(612)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특성판정회로(612)는, 화상특성판정회로(604)(제4도 참조)와 마찬가지로, DC성분(602b)에 의거하여 AC성분(602a)의 유의계수의 분포와 휘도판정결과에 따라서 활성레벨을 총괄적으로 판정하고, 판정결과(604a)와 동일한 판정결과(612a)를 양자화제어회로(605)에 출력한다.
또한, 화상특성판정회로(612)는 저휘도에서 고정세화상을 판정할때에, 제어신호(612b)에 의해 2차원LPF(610)를 가동하여 AC성분(602a)을 대역 제한한다. 그렇지 않으면, 회로(612)는, 통과상태에서 2차원LPF(610)를 설정하고, 지연회로(611)와 동일한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킨 후에 AC성분(602a)을 출력시킨다. 지연회로(611)는 2차원LPF(610)의 처리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DC성분(602b)을 지연시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저휘도에서 고정세화상의 경우에는, AC성분(602a)의 고주파성분은 2차원적으로 제거되고, 이에 의해 고주파영역에서 화상의 신장을 억제한다.
다음에,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자화기(603)와 가변길이부호화회로(607)에 의해 양자화와 가변길이부호화를 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AC성분(602a)에 의거한 활성판정결과는 DC성분(602b)에 의거해서 정정되고, 양자화제어회로(605)는 정정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양자화기(603)의 양자화특성을 제어한다. 대안으로, 화상특성은 AC성분만을 사용하여 판정될 수 있고, 양자화영역의 분류는 DC성분에 의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24도(a)와 제24도(B)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화상의 활성레벨이 AC성분에 의해 판정되고 화상이 전체적으로 저휘도를 가지는 DC성분에 의거하여 판정될 때에, 영역은, 중휘도양자화영역과 고휘도양자화영역의 양자화스탭폭을 증가하도록 영역이 변경된다(영역은 제24도(A)로부터 제24도(B)로 변경됨).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국부적인 고정세화상데이터의 양자화클래스가 DC성분에 따라서 변경될때에, 화상이 지휘도를 가지면, 저휘도영역의 데이터는 작은 스텝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될 수 있고, 고주파영역의 데이터는 큰 스텝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될 수 있고, 따라서 시각특성과 일치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시각특성과 일치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성분에 적용되는 것에 비해서 고주파성분을 감소하는 중량계수 DC성분에 따라서 고주파성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 제25도(A)와 제25도(B)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제25도(A)는, DCT변환계수데이터에 대한 종래의 중량계수의 3차원 표시예를 도시하고, 제25도(B)는 본 실시예에의 한 중량계수의 3차원 표시예를 도시한다.
제25도(A)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최고주파수성분에 대한 중량계수는 DC값에 대해서 0.7이고, 따라서 대각선방향의 최고주파수성분에 대한 중량계수는 0.49(=0.7×0.7)이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레벨이 a에서 b로 낮아지고, 저휘도가 판정될때에, 수평, 수직주파수에 대한 중량계수는 계수(α)(0α1)에 의해 승산되고, 이에 의해 고주파성분의 유의계수를 제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DC중량계수자체는, 수평, 수직주파수축에 대해서는 0.7α를 계산하고 대각선방향의 제한주파수성분에 대해서는 0.7α×0.7α를 계산함으로써 DC성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고주파성분의 유의계수는 저휘도에서 0에 근접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5,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저휘도에서 국부적인 고정세화면의 시각S/N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26도는 제 7실시예에 의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6도는, 입력단자(701)로부터 입력된 화상데이터는 블록형성유니트(702)에 의해서 8화소(수평)×8화소(수직)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된다. 화상데이터블록은 직교변환유니트(703)에 의해 변환된다. 예를들면, 직각변환유니트(703)은 이산코사인변환(이제부터는 DCT로 칭함)으로 칭하는 직교변환부호화방법을 채택한다.
또한, 블록형성유니트(702)로부터의 화상데이터블록은 움직임검출기(710)에 공급된다. 움직임검출기(710)는 각 블록의 이동을 검출하고 움직임검출값을 분류유니트(711)에 출력한다.
분류유니트(711)는 블록의 정보량(블록의 화상의 고정세)에 따라서 처리되는 블록을 4개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분류된 블록을 양자화기(704a), (704b), (704c), (704d), 다중화기(709)에 출력된다. 분류유니트(711)의 분류방법으로서, DC변환데이터의 AC성분의 절대값의 최대값에 의거하여 블록을 분류하는 방법, AC성분의 합계의 2승에 의거하여 블록을 분류하는 방법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이 4개의 클래스로 분류되고 양자화스탭폭이 클래스 0으로부터 클래스 3의 방향으로 증가된다.
상이한 양자화스텝폭을 가지는 양자화기(704a), (704b), (704c), (704d)는 클래스에 대응해서 제27도에 도시된 양자화폭을 사용하여 직교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양자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정보량을 가지는 블록은, 각각의 블록에 의해 발생된 정보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큰 양자화스탭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되고, 이에 의해 화질을 균일화한다.
분류유니트(711)에서는, 움직임이 클때에, 인간의 시각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27도에 도시된 클래스의 값이 보다 큰 양자화스텝폭을 가지는 것으로 변경되고,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화기(704a), (704b), (704c), (704d), 다중화기(709)에 출력되고, 따라서 보다 큰 양자화스텝폭에 의거하여 양자화를 행한다. 예를들면, 통상시에 클래스 1로 판정되는 화상이 큰 움직임을 가질때에, 이 클래스 1은 클래스 2로 변경되고, 이 화상의 양자화는 통상시보다 큰 양자화스텝폭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클래스의 값이 움직임량에 응답하여 변경되기 때문에, 제27도에 도시된 양자화스텝폭은 제28도에 도시된 것으로 변경되고, 큰 움직임을 가지는 화상은 보다 큰 양자화스텝폭을 사용하여 양자화될 수 있다.
양자화된 에이터는 선택기(705)에 출력되고 또한 지연유니트(706a), (706b), (706c), (706d)에 출력된다. 지연유니트(706a), (706b), (706c), (704d)은 선택기(705)의 출력결과가 나타날때까지 양자화된 데이터를 지연하고, 다음에 지연된 데이터를 스위치(707)의 단자(707a), (707b), (707c), (707d)에 출력한다. 선택기(705)는 소정의 처리단위(예를 들면, 30블록)로 소정이하의 정보량을 실현할 수 있는 양자화기를 선택하도록 스위치(707)를 절환하고, 선택된 양자화기번호를 다중화기(709)에 출력한다. 가변길이부호기(708)는 발생된 부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부호어를 할당한다. 즉, 짧은 부호어를 발생빈도가 높은 부호에 할당하고, 긴부호어를 발생빈도가 낮은 데이터에 할당함으로써, 발생하는 정보량을 삭감한다. 부호화기(708)는 부호화데이터를 다중화기(709)에 출력한다.
다중화기(709)는 압축된 화상데이터와, 분류유니트(711)로부터 출력된 클래스값과, 선택기(705)로부터 출력된 양자화기번호를 다중화하고 출력단자(712)로부터 다중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7실시예에 의하면, 각 블록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각 블록의 클래스값이 이 움직임정보에 따라서 변경되기 때문에, 실제적인 양자화스텝폭은 신규한 변경정보를 부가함이 없이 절환될 수 있다. 양자화스텝폭은 화상의 움직임량에 따라서 선택되기 때문에, 큰 움직임을 가지는 블록과 작은 움직임을 가지는 블록의 화질레벨이 균일하게 되고, 따라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기술적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환경과 수정을 행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각각의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장치는 비디오카메라, 디지탈VTR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9도는 각각의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장치를 포함하는 VTR에 일체화된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제29도에서, VTR은, 광학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유니트(801), 촬상유니트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처리회로(802), 상기 실시예의 각각의 부호화방법을 채택한 부호화회로(803), 기록시에 소정의 처리(예를들면, 디지틀 변조)를 행하는 기록처리회로(804), 기록헤드(805), 기록매체인 자기테으프(806)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실시예의 각각의 부호화장치를 VTR과 일체화된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설명만을 위해 부여된 것이고, 모든점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을 부여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기술적범위내에 있는 청구의 범위와 동일한 범위내에서 이루어진 명세서의 본문과 대안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31)

  1. 부호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양자화된 정보데이터로부터 부호화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입력정보데이터를 양자화할 수 있는 부호화파라미터를 예측하고 정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부호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정보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정보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샘플값 데이터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형성수단과, m블록(m은 정수이고, 1m의 조건을 만족함)의 정보데이터의 단위로 소정의 영역내의 부호량을 얻기 위하여 양자화파라미터를 예측하는 예측수단과, 각 블록의 단위로 상기 예측수단에 의해 예측된 양자화파라미터를 정세하게 조정하고, 또한 조정된 양자화파라미터에 의거해서 상기 m블록이 부호화될 때 상기 m블록의 부호량이 소정의 부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양자화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서 조정되는 양자화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블록형성 수단에 의해서 분할된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정보데이터를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데이터는 화상데이터이고, 상기 직교변환수단은 DCT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광학화상을 전기적으로 변환하는 촬상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7. 복수의 샘플값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제 1블록으로 각각 구성된 제 2블록의 단위로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양자화파라미터로 제 2블록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수단과, 상기 양자화수단에 의해 양자화된 제 2블록데이터의 부호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제 1블록의 단위로 양자화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 1블록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값데이터는 화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제 1블록데이터를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제어장치.
  12. 입력신호를, 복수의 샘플값으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형성수단과, 입력신호블록을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이 직교변환수단에 의해 얻은 직교변환계수에 따라서 각각의 블록의 특성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복수의 입력신호블록으로 구성된 단위로 입력신호블록을 부호화할때에 얻은 일정한 부호량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양자화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변경수단과, 상기 변경수단에 의해 변경된 양자화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직교변환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화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직교변환수계수의 AC성분의 최대진폭값에 의거하여 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입력신호가 휘도성분신호인지 색성분신호인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으 출력에 따라서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7. 화상정보를, 복수의 화소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하고, 블록단위로 직교변환과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화상정보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직교변환된 변환계수로부터 화상정보의 국부적인 명세(fineness)특성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양자화특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상에 부호화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변환계수의 DC성분에 의거하여 정세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변환계수의 AC성분의 분포상태와 DC성분에 의거하여 정세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1. 블록단위로 복수의 화소로 각각 구성된 블록으로 분할된 화상정보를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직교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2개이상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클래스단위로 일정한 양자화폭으로 화상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수단과, 상기 직교변환수단에 의해 직교변환된 화상데이터의 평균휘도레벨에 따라서 클래스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양자화수단에 의해 양자화된 화상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분류를 제어하는 대신에 클래스의 단위로 양자화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4.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하상데이터를 블록을 분할하는 블록형성수단과, 화상데이터블록을 직교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직교변환된 화상데이터의 평균휘도레벨에 의거하여 직교변환된 화상데이터의 변환계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변환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7.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화상데이터를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형성수단과, 화상데이터블록을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직교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수단과, 양자화된 화상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화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따라서 상기 양자화수단의 양자화특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9. 제27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광학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30.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화상데이터를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형성수단과, 화상데이터블록을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과, 상기 직교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2개 이상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클래스단위로 일정한 양자화폭으로 화상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수단과, 화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클래스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양자화수단에 의해 양자화된 화상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변환수단은 DCT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KR1019940006310A 1993-03-29 1994-03-29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KR0184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5793A JPH06284407A (ja) 1993-03-29 1993-03-29 符号化装置
JP93-93557 1993-03-29
JP93-95612 1993-03-30
JP93-95606 1993-03-30
JP9561293A JP3359086B2 (ja) 1993-03-30 1993-03-30 符号量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9560693A JP3232160B2 (ja) 1993-03-30 1993-03-30 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93-211853 1993-08-26
JP21185393A JPH0766982A (ja) 1993-08-26 1993-08-26 符号量制御装置
JP21185593A JP3347409B2 (ja) 1993-08-26 1993-08-26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93-211855 1993-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252A KR940023252A (ko) 1994-10-22
KR0184905B1 true KR0184905B1 (ko) 1999-05-01

Family

ID=2752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310A KR0184905B1 (ko) 1993-03-29 1994-03-29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61921A (ko)
EP (2) EP0618733B1 (ko)
KR (1) KR0184905B1 (ko)
DE (2) DE694349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5014B1 (en) * 1990-07-31 2005-07-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0618733B1 (en) * 1993-03-29 2000-05-24 Canon Kabushiki Kaisha Code amount control method and encoding apparatus for carrying it out.
US6456655B1 (en) 1994-09-30 2002-09-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ncoding using activity discrimination and color detection to control quantizing characteristics
AU703049B2 (en) * 1995-02-15 1999-03-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transcoding video signals
KR0186112B1 (ko) * 1995-05-19 1999-04-15 구자홍 영상 시스템의 양자수 결정 장치
KR100188934B1 (ko) * 1995-08-28 1999-06-01 윤종용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9990036188A (ko) * 1996-06-05 1999-05-25 엠. 제이. 엠. 반캄 부호화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571027B1 (ko) * 1996-09-06 2006-11-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부호화방법및장치
US6553068B1 (en) 1997-03-12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coding method and device adapted to control code amou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US6266375B1 (en) * 1997-11-13 2001-07-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quantization table for encoding a digital image
JP4332249B2 (ja) 1999-02-18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ットストリーム復号化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FR2792798B1 (fr) 1999-04-26 2001-05-25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et dispositif de quantification pour compression video
DE60035740T2 (de) * 1999-06-22 2007-12-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Yokoham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dierung von Bewegtbildsignalen
US6658157B1 (en) * 1999-06-29 2003-12-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US6738423B1 (en) * 2000-01-21 2004-05-18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information, a motion compensated video encoder and a corresponding decoder
JP2001211310A (ja) * 2000-01-27 2001-08-03 Hitachi Ltd 画像データ操作方法およ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GB2361132B (en) * 2000-04-07 2004-09-08 Snell & Wilcox Ltd Multiplexing compressed signals
EP1173024B1 (en) * 2000-07-10 2004-03-03 STMicroelectronics S.r.l. A method of compressing digital images
US6834080B1 (en) 2000-09-05 2004-12-21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encoding method and video encoding apparatus
EP1189451A1 (en) * 2000-09-13 2002-03-20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encoder
CA2467266A1 (en) * 2001-11-22 2003-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riable length coding method and variable length decoding method
WO2003056839A1 (en) * 2001-12-31 2003-07-10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Video encoding
CN100370828C (zh) * 2002-04-26 2008-02-20 诺基亚有限公司 用于将参数值映像到码字索引的自适应方法和系统
WO2004091221A2 (en) * 2003-04-04 2004-10-21 Avid Technology, Inc. Fixed bit rate, intrafram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video
US7433519B2 (en) * 2003-04-04 2008-10-07 Avid Technology, Inc. Bitstream format for compressed image data
US7403561B2 (en) * 2003-04-04 2008-07-22 Avid Technology, Inc. Fixed bit rate, intrafram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video
EP1892965A3 (en) * 2003-04-04 2011-04-06 Avid Technology, Inc. Fixed bit rate, intrafram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video
KR100555419B1 (ko) * 2003-05-23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코딩 방법
US7580584B2 (en) * 2003-07-18 2009-08-2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multiple quantization
US10554985B2 (en) 2003-07-18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C coefficient signaling at small quantization step sizes
US7602851B2 (en) * 2003-07-18 2009-10-13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differential quantization of video coding
US8218624B2 (en) * 2003-07-18 2012-07-10 Microsoft Corporation Fractional quantization step sizes for high bit rates
US7738554B2 (en) 2003-07-18 2010-06-15 Microsoft Corporation DC coefficient signaling at small quantization step sizes
EP1722572B1 (en) * 2004-02-23 2013-02-20 NEC Corporation 2-dimensional signal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US7801383B2 (en) 2004-05-15 2010-09-21 Microsoft Corporation Embedded scalar quantizers with arbitrary dead-zone ratios
US7102549B1 (en) * 2005-03-31 2006-09-05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codeword encoding and decoding using truncated codewords
US8422546B2 (en) 2005-05-25 2013-04-16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video encoding using a perceptual model
EP3179720B1 (en) * 2006-03-16 2019-07-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Quan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encoding/decoding
US7995649B2 (en) 2006-04-07 2011-08-09 Microsoft Corporation Quantization adjustment based on texture level
US7974340B2 (en) 2006-04-07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B-picture quantization control
US8130828B2 (en) 2006-04-07 2012-03-06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quantization to preserve non-zero AC coefficients
US8059721B2 (en) 2006-04-07 2011-11-15 Microsoft Corporation Estimating sample-domain distortion in the transform domain with rounding compensation
US8503536B2 (en) 2006-04-07 2013-08-06 Microsoft Corporation Quantization adjustments for DC shift artifacts
US8711925B2 (en) 2006-05-05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quantization
US8238424B2 (en) 2007-02-09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Complexity-based adaptive preprocessing for multiple-pass video compression
US8498335B2 (en) 2007-03-26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deadzone size adjustment in quantization
US8243797B2 (en) 2007-03-30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Regions of interest for quality adjustments
US8442337B2 (en) 2007-04-18 2013-05-14 Microsoft Corporation Encoding adjustments for animation content
US8213498B2 (en) * 2007-05-31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Bitrate reduction techniques for image transcoding
US8331438B2 (en) 2007-06-05 2012-12-11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selection of picture-level quantization parameters for predicted video pictures
JP4569840B2 (ja) * 2007-09-12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
US8189933B2 (en) 2008-03-31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Classifying and controlling encoding quality for textured, dark smooth and smooth video content
US8897359B2 (en) 2008-06-03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quantization for enhancement layer video coding
CN101779467B (zh) * 2008-06-27 2012-06-27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BRPI0904325A2 (pt) * 2008-06-27 2015-06-30 Sony Corp Dispositiv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magem.
RU2471306C2 (ru) * 2008-06-27 2012-12-27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WO2010035378A1 (ja) * 2008-09-29 2010-04-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US9832460B2 (en) * 2011-03-09 2017-11-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ding apparatus, method for coding image, program therefor, image decoding apparatus, method for decoding image, and program therefor
JP2013038768A (ja) * 2011-07-13 2013-02-21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69732B2 (en) 2012-10-08 2016-06-14 Google Inc. Lossless intra-prediction video coding
US9756346B2 (en) 2012-10-08 2017-09-05 Google Inc. Edge-selective intra coding
US9407915B2 (en) * 2012-10-08 2016-08-02 Google Inc. Lossless video coding with sub-frame level optimal quantization values
US9979969B2 (en) * 2015-04-24 2018-05-22 Fingra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ompression using image block characteristics
JP6857970B2 (ja) * 2016-06-01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06466B2 (ja) * 2016-06-01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57973B2 (ja) * 2016-06-14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13330B2 (ja) * 2017-07-05 2023-07-24 レッド.コム,エルエルシー 電子機器でのビデオ画像データ処理
WO2021132595A1 (ja) * 2019-12-26 2021-07-0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三次元データ符号化方法、三次元データ復号方法、三次元データ符号化装置、及び三次元データ復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821A (en) * 1989-01-30 1991-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thogonal transform 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ded signals to be processed and transmitted
CA2000156C (en) * 1989-02-14 1995-05-02 Kohtaro Asai Picture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JPH031662A (ja) * 1989-05-30 1991-01-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圧縮符号化装置
DE69025364T2 (de) * 1989-08-05 1996-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zur Bildkodierung
US5164828A (en) * 1990-02-26 1992-11-17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transmiss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video signal used in this
IT1241184B (it) * 1990-03-02 1993-12-29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erfezionamenti ai sistemi ibridi di codifica di segnali video.
US5150432A (en) * 1990-03-26 1992-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s to improve quality of a specific region
JPH042276A (ja) * 1990-04-19 1992-01-0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圧縮符号化装置
JP2839339B2 (ja) * 1990-08-06 1998-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直交変換符号化装置および直交変換符号化方法
EP0475251B1 (en) * 1990-09-10 1997-03-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ding apparatus for digital image data
KR960010392B1 (ko) * 1990-09-29 1996-07-31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적응 양자화를 이용한 화상 신호 부호화 복호화 장치
US5150208A (en) * 1990-10-19 1992-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oding apparatus
JP2587534B2 (ja) * 1990-11-09 1997-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DE59108742D1 (de) * 1990-11-16 1997-07-10 Siemens Ag Verfahren zur adaptiven quantisierung zwecks datenreduktion bei der übertragung von digitalen bildern
DE69231426T2 (de) * 1991-02-07 2001-02-22 Canon K.K., Tokio/Tokyo Vorrichtung zum Kodieren von Bildern
JP2620163B2 (ja) 1991-06-19 1997-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JP2507204B2 (ja) * 1991-08-30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符号化装置
US5351083A (en) * 1991-10-17 1994-09-27 Sony Corporation Picture encoding and/or decoding system
US5398078A (en) * 1991-10-31 1995-03-1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detecting a motion vector in an image coding apparatus
US5227878A (en) * 1991-11-15 1993-07-13 At&T Bell Laboratories Adaptive coding and decoding of frames and fields of video
US5349384A (en) * 1992-01-14 1994-09-2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image signals
JPH05236427A (ja) * 1992-02-25 1993-09-10 Sony Corp 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3166291B2 (ja) * 1992-04-03 2001-05-14 ソニー株式会社 量子化コントロール回路
JP3250260B2 (ja) * 1992-06-17 2002-01-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記録装置及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JP3245977B2 (ja) * 1992-06-30 2002-01-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伝送装置
EP0618733B1 (en) * 1993-03-29 2000-05-24 Canon Kabushiki Kaisha Code amount control method and encoding apparatus for carrying it 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1921A (en) 1999-01-19
DE69434989D1 (de) 2007-07-26
US6438167B1 (en) 2002-08-20
EP0618733A2 (en) 1994-10-05
KR940023252A (ko) 1994-10-22
DE69424591T2 (de) 2001-01-18
EP1006731A2 (en) 2000-06-07
DE69434989T2 (de) 2008-02-14
EP1006731A3 (en) 2003-01-22
DE69424591D1 (de) 2000-06-29
EP0618733A3 (en) 1995-08-09
EP1006731B1 (en) 2007-06-13
EP0618733B1 (en)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905B1 (ko) 부호량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호화장치
JP3109854B2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KR100213018B1 (ko) 동화상 부호화장치
US66581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JPH1013834A (ja) 連続画像の適応型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H0595536A (ja) 高能率符号化信号処理装置
JPH09307904A (ja) 映像信号符号化システム用量子化器
JP2003018599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H09200758A (ja) 画像符号化装置
KR100229796B1 (ko) 열화영상에 대한 보상기능을 갖는 영상 복호화 시스템
JPH1010818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10336654A (ja) 画像符号化装置
US5905578A (en) Coding apparatus
JPH1066079A (ja) 適応量子化制御装置
JP2901656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7236142A (ja) 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2614661B2 (ja) 高能率画像符号化装置
JPH10336656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3232160B2 (ja) 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3397682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4007398B2 (ja) 量子化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818952A (ja) 画像信号符号化装置
JPH05227513A (ja) 映像信号伝送装置
KR100261251B1 (ko) 영상신호 특성분류를 이용한 양자화 간격 결정방법 및 장치
JP4404232B2 (ja) 量子化方法、量子化装置、量子化ステツプ決定方法及び量子化ステツプ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