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261B1 - 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261B1
KR0184261B1 KR1019900021035A KR900021035A KR0184261B1 KR 0184261 B1 KR0184261 B1 KR 0184261B1 KR 1019900021035 A KR1019900021035 A KR 1019900021035A KR 900021035 A KR900021035 A KR 900021035A KR 0184261 B1 KR0184261 B1 KR 018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resistor
variable resistor
slid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308A (ko
Inventor
유끼노리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무라다 아끼라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 아끼라,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무라다 아끼라
Publication of KR91001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4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auxiliary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기판(10)에 설치한 대략 원호형상의 저항체(12)위에, 이 저항체(12)의 중심부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접동자(15)의 아암부(17)를 접초시켜, 접동자(15)를 드라이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저항치를 조정하는 타입의 가변저항기에 있어서, 접동자(15)의 드라이버플레이트(16)를 보울(bowl)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와, 아암부(17)와를 드라이버홈부(19)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양쪽에서 연결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 연결부(18)에 폭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고, 그 결과, 드라이버홈의 길이를 짧게 하는 일없이, 연결부(18)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연결부(18)의 강도를 높이고, 드라이버 선단의 삽입성이 양호한 접동자에 의해서 저항치를 간단,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저항기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저항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저면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상기한 가변저항기에 사용되고 있는 접동자를 표시하고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정면도.
제6도는 저면도.
제7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선행하는 가변저항기의 평면도.
제9도는 동 중앙단면도.
제10도는 그의 접동자의 평면도.
제11도는 다른 접동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저항체
15 : 접동자 16 : 드라이버플레이트
16a : 돌출부 17 : 아암부
17a : 접점부 18 : 연결부
19 : 드라이버 홈부
본 발명은, 가변저항기 특히 칩타입의 반고정 가변저항기에 구성되는 접동자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타입의 반고정가변기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제공되고 있으나, 접동자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홈부(접동자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가 폭 0.5-0.6mm, 길이 2.2-2.6mm로 작고, 수동조정 혹은 자동조정의 어느 경우에도, 드라이버 선단의 삽입성이 나쁘고, 조정작업이 비능률적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1990. 5. 26자 출원 1990년-7660호로서, 제8도,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자(15)의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를 대략 보울(bowl)형상으로 하고, 이 보울부에 드라이버홈부(19)를 형성한 가변저항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 가변저항기는 기판(10)위에 대략 원호형상의 저항체(12)를 설치하고, 기판(10)의 중심공(11)에 위치하는 콜렉터단자(20)의 통부(21)을 코우킹(caulking)하여 접동자(15)를 회전가능하게 부설한 것이다.
접동자(15)는 외주의 일부에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아암부(17)의 접점부(17a)가 저항체(12)에 접촉한다.
(12a)(12a)는 외부전극이며, 저항체(12)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칩타입의 가변저항기의 소형화가 다시 진척되어, 제8도, 제9도에 표시한 구조에서는 드라이버에 의한 조정의 용이성에 한계가 생겼다.
예컨대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3mm 사이즈의 칩타입에서도 드라이버의 삽입성, 걸림도를 좋게하기 위해서 드라이버홈부(19)의 길이(L)가 2.4-2.6mm 필요하다.
그러나, 아암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와를 되접은 연결부(18)가 드라이버홈부(19)의 일단부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부(18')의 폭치수(t1)(t2)가 0.2-0.3mm 밖에 잡히지 않고, 프레스가공이 곤란하여 강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생겼다.
그 결과,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드라이버홈부(19a)(19a)의 길이를 짧게 하던가, 다른쪽의 드라이버홈부(19b)만으로 하지않을 수 없게 되어, 조정의 용이성면에서 오히려 후퇴하는 것이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아암부와 드라이버플레이트부와의 연결부 가공성, 강도를 손상하는 일없이, 종래와 같은 형상의 드라이버홈부를 형성할 수 있는 소형의 접동자를 비치한 가변저항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변저항기는 드라이버홈부를 형성한 드라이버플레이트부와, 접점부를 보유하는 대략 링형상의 아암부를, 드라이버홈부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양측에서 연결한 상태로 타발하고, 연결부에서 180°되젖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접동자는 연결부가 드라이버홈부의 일단에 대향하는 일없이, 양측에 이른바 위치를 밀리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홈부에 제약됨이 없이 필요한 폭치수를 확보할 수 있고, 가공상, 강도상의 문제가 해소된다.
물론 드라이버홈부로 드라이버 선단의 삽입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드라이버플레이트부를 대략 보울(bowl)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부분에 드라이버홈부를 형성하면, 조정용드라이버의 선단은 보울형상부에 안내되어서 확실하게 드라이버홈부에 삽입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변저항기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가변저항기는 저항체(12)를 보유하는 기판(10)과, 접동자(15)와, 코렉터단자(20)와, 저항체 전극(12a)(12b)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는 제8도, 제9도에 표시한 가변저항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같은 부재,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기판(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동자(15)는, 제4도-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와 아암부(17)를 랩하도록 되젖힌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접동자(15)는 1매의 전도성 박판에서, 중앙에 대략 접시모양의 돌출부(16a)을 보유하는 드라이버플레이트(16)와, 돌출한 접점부(17a)를 보유하는 대략 링형상의 아암부(17)를 연결한 상태로 타발하고, 연결부(18)(18)에서 되젖혀서 제작되며, 돌출부(16a)는 아암부(17)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드라이버플레이트(16)는 외경이 아암부(17)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보울(bowl)형상으로 되고, 보울형상의 경사면에는 프러스(+)형상의 드라이버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18)(18)는 하나의 드라이버홈부(19)일단부에 인접하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홈부의 길이(L)를 2.4-2.6mm와, 드라이버 삽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길이로 설정하여도, 연결부(18)(18)의 치수(t3)을 프레스가 공성, 강도성의 점에서 필요한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접동자(15)를 기판(10)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접점부(17a)는 아암부(17)의 스프링 뿐 아니라, 연결부(18)(18)등의 스프링 힘이 작용해서 저항체(12)위에 양호한 스프링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저항치의 조성에 관하여는, 자동조정, 수동조정, 어느 경우에도, 드라이버의 선단이 드라이버홈부(19)에 밀려서 맞닿았다하더라도,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는 보울형상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의 선단은 드라이버플레이트(16)으로 부터 삐져나오는 일없이, 보울내에서 회전하면서 드라이버홈부(19)에 확실하게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조정에 있어서, 드라이버홈부(19)의 위치검출은 대략이라도 좋고,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한 CCD카메라등의 화상인식장치는 불필요하다.
물론, 화상인식장치를 사용하면, 드라이버 삽입의 확실서은 월등하게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동자(15)의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의 외주부를 플랫트한 형상(플랫트부(16c))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 가변저항기를 칩프레서의 흡인 노즐로 흡착보전지지해서 프린트기판 상으로 반송할 때, 플랫트부(16c)에서 흡인노즐과의 접촉성도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가변저항기는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를 보울(bowl)형상으로 하는 것은, 드라이버 삽입성의 개선이라는 점에서는 중요하지만, 연결부(18)(18)의 가공특성, 강도보강이라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과제에서 보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플레이트부와 아암부를 드라이버홈부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양쪽에서 연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연결부의 폭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드라이버홈의 길이를 짧게 하는 일없이, 연결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높힐 수 있다.

Claims (1)

  1. 기판에 설치한 대략 원호형상의 저항체위에, 그 저항체의 중심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접동자의 아암부를 접촉시킨 가변저항기에 있어서, 1매의 도전성박판에서, 중앙에 대략 접시모양의 돌출부(16a)를 보유하고 드라이버홈부(19)를 형성한 드라이버플레이트부(16)와, 접점부(17a)를 보유하는 대략 링형상의 아암부(17)를, 드라이버홈부(19)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양쪽에서 연결한 상태로 타발하고, 또한, 전기연결부(18)에서 되젖혀서 전기한 돌출부(16a)를 아암부(17)에서 돌출시킨 접동자(15)를 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기.
KR1019900021035A 1989-12-28 1990-12-19 가변저항기 KR0184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1295A JPH0738327B2 (ja) 1989-12-28 1989-12-28 可変抵抗器
JP1-341295 198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08A KR910013308A (ko) 1991-08-08
KR0184261B1 true KR0184261B1 (ko) 1999-05-15

Family

ID=1834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035A KR0184261B1 (ko) 1989-12-28 1990-12-19 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34383A (ko)
JP (1) JPH0738327B2 (ko)
KR (1) KR0184261B1 (ko)
DE (1) DE4040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404U (ko) * 1990-01-31 1991-10-17
JP2602419Y2 (ja) * 1991-09-13 2000-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半固定可変抵抗器
JPH0529106U (ja) * 1991-09-24 1993-04-16 ローム株式会社 チツプ型可変電子部品
JP4039283B2 (ja) * 2003-03-17 2008-0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JP4659375B2 (ja) * 2004-03-10 2011-03-30 ローム株式会社 可変式電子部品
JP2009258449A (ja) * 2008-04-17 2009-11-05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4280U (de) * 1958-11-14 1959-08-27 Preh Elektro Feinmechanik Als sogenannter flachtrimmer ausgefuehrter schichtdrehregler.
US3195092A (en) * 1963-05-31 1965-07-13 Techno Components Corp Potentiometer
US3328707A (en) * 1965-06-01 1967-06-27 Markite Corp Wiper assembly for potentiometers
US3432790A (en) * 1967-03-06 1969-03-11 Karl Yanovich Svilpe Adjustable rheostat means for liquid level gauges
US3397374A (en) * 1967-07-06 1968-08-13 Stackpole Carbon Co Two-piece potentiometer
JPS6388805A (ja) * 1986-10-01 1988-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抵抗器
JPH031501A (ja) * 1989-05-29 1991-01-08 Murata Mfg Co Ltd 可変抵抗器
US5047746A (en) * 1990-05-24 1991-09-10 Bourns, Inc. Potentiometer wip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08A (ko) 1991-08-08
DE4040964A1 (de) 1991-07-04
JPH0738327B2 (ja) 1995-04-26
US5134383A (en) 1992-07-28
JPH03201506A (ja) 199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258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flexible and rigid printed circuits
KR100894201B1 (ko) 커넥터
EP1174692A1 (en) Liquid level detector
US6358097B1 (en) Contact element,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6128181A (en) Electric component unit
US6062885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KR0184261B1 (ko) 가변저항기
KR0158876B1 (ko) 가변저항기
US6320144B1 (en) Coaxial connector switch
US20020151211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EP1063728A1 (en) Hot-line plug terminal
US5525956A (en) Electrical terminal construction for an electronic component
US5997356A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having card-biasing means
US4219796A (en) Semi-fixed type variable resistor
EP0408451A1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17204Y2 (ko)
JP2585466Y2 (ja) 可変抵抗器
JPS6133606Y2 (ko)
JPS6244496Y2 (ko)
KR200166207Y1 (ko) 마이크로 스위치의 구조
JPH0747841Y2 (ja) 電子素子
KR800000851Y1 (ko) 전기 부품의 단자(端子)
JPH02119103A (ja) 半固定型可変抵抗器の製造方法
JP3634206B2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H08102408A (ja) 半固定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