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950B1 -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950B1
KR0180950B1 KR1019950048630A KR19950048630A KR0180950B1 KR 0180950 B1 KR0180950 B1 KR 0180950B1 KR 1019950048630 A KR1019950048630 A KR 1019950048630A KR 19950048630 A KR19950048630 A KR 19950048630A KR 0180950 B1 KR0180950 B1 KR 018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ode
transmission
receptio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511A (ko
Inventor
야스시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기따오가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따오가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따오가 다까시
Publication of KR97000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signals are sent back to the transmitter to be checked ; ech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4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뢰성이 있고 전송효율이 좋고 또한 저렴한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 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로서 송신측노드를 반신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에 사용되는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송신제어부(101)과 수신제어부(102)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송신제어부(201)과 수신제어부(202)의 블럭도.
제7도는 제3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3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반신데이타열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3실시예의 마스터노드의 통신제어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송신데이타셀렉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5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슬레이브노드C).
제16도는 제5실시예의 마스터노드의 통신제어장치(2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슬레이브노드C).
제19도는 제6실시예의 마스터노드의 통신제어장치(2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가 송신할 때에 사용하는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슬레이브노드C).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슬레이브노드D).
제23도는 제7실시예의 마스터노드의 통신제어장치(2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4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25도는 종래의 통신프레임포맷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26도는 종래의 통신프레임포맷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27도는 종래기술의 통신제어장치(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8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29도는 종래기술의 통신제어장치(1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송로 11 : 드라이버
12 : 리시버
13 : 외부제어장치
25,26,27,28,100,200,1000 : 통신제어장치
20,30,31,32,33 : 제어계
101,201,301,401,501,601,701,801 : 송신제어부
102,202,302,402,501,602,701,802 : 수신제어부
103,203,303,403,703,1603,2603 : 송신버퍼 레지스터
104,204,304,404,704,1604,2604 : 수신버퍼 레지스터
227,427,627,1627 :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
430,630,1630 : 비교부
1 : 개시신호 2 : 상대어드레스
3 : 자기어드레스 4 : 송신데이타열
5 : 송신데이타종료신호 6 : 반신데이타열
7 : 통신종료신호 16 : 송신노드 긍정신호
66 : 긍정/비긍정신호
본 발명은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측노드에 있어서 수신신호에 에러가 없는 경우, 수신신호 그 자체를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4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4도를 사용해서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을 설명한다. 제24도의 LAN시스템의 전송로(10)에는 노드 A, B, C, D, E의 5개의 노드가 접속된다. 노드A는 통신제어장치(1000), 외부제어장치(13), 제어계(29)로 구성돈다. 다른 노드B, 노드C, 노드D, 노드E도 마찬가지로 통신제어장치, 외부제어장치, 제어계로 구성된다.
제25도는 종래의 통신프레임포맷의 1예이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송신지를 나타내는 상대어드레스(2), 송신원을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4),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종료신호(5), 송신측의 송신신호에 대한 에러 검출의 유무를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반신하는 긍정/비긍정신호(66)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영역(8)은 송신측이 송출하는 신호이고, 영역(9)는 수신측의 송출하는 신호이다. 종래, 이 긍정/비긍정신호(66)에는 자기노드에 할당되어 있는 자기어드레스를 긍정신호로서 반신하고, 비긍정의 경우는 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긍정/비그정신호(66)에는 긍정(에러없음)의 경우 「1」, 비긍정(에러있음)의 경우 「0」과 같이 1비트만을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도 있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을 사용한 통신방법에 대해서 제25도, 제2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7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27도에 있어서, (29)는 제어계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이 시스템이 자동차에 응용되는 경우, 이 제어계는 창유리의 개폐, 엔진의 제어, 와이퍼의 구동 등의 물리계로 구성된다. 또는 물리계를 제어하는 계이다. (13)은 외부제어장치를 나타내고, 이 외부제어장치는 제어계(29)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또는 제어계(29)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CPU등으로 구성된다 (1000)은 통신제어장치를 나타내고, CPU와 다른 노드의 CPU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제어장치(13)은 라인(13a)를 거쳐서 통신제어장치내의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006)에 접속된다. 외부제어장치(13)은 제어계(29)에서 송신요구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요구가 발생한 경우, 라인(13a)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송신요구를 내고,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송신데이타를 통신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전송된 송신데이타는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와 라인(1009)를 거쳐서 송신버퍼레지스터(1003)에 라이트된다. 라이트된 송신데이타는 라인(1010)을 거쳐서 송신제어부(1001)에 입력된다. 송신제어부(1001)은 이 송신데이타를 대상으로 통신프레임에 조립되고, 송신신호(1014)로서 드라이버(11)을 거쳐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송로와 접속되는 다른 노드의 리시버(12)에서 수신되는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수신신호(1015)는 수신제어부(1002)에 입력된다. 수신제어부(1002)는 수신신호의 통신프레임포맷중의 상대어드레스(2)와 외부제어장치(13)에서 자기어드레스레지스터(1005)에 미리 라이트되어 있는 자기어드레스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제어부(1002)는 라인(1011)을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1004)에 수신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수신제어부(1002)가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라인(1024)를 거쳐서 송신제어부(1001)에 반신데이타열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송신제어부(1001)은 라인(1008)을 거쳐서 접속되는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1005)에 저장되는 데이타를 대상으로 반신데이타열을 조립하고, 송신노드로 반신한다. 또, 에러가 검출되지 않았던 수신버퍼 레지스터내의 수신데이타는 라인(1012)를 거쳐서 접속되는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13)에 리드된다.
제26도는 종래의 통신프레임포맷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전송로에 접속되는 여러개의 노드로 동시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멀티캐스트(同報)코드신호(67), 송신원을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4),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종료신호(5), 송신측의 송신신호에 대한 에러 검출의 유무를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반신하는 긍정/비긍정신호(68)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영역(8)은 송신측이 송출하는 신호이고, 영역(9)는 수신측이 송출하는 신호이다. 이 예에서는 마스터노드A에서 송신되는 통신프레임을 모두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수신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긍정/비긍정신호열(68)은 (68b), (68c), (68d), (68e)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영역의 데이타는 노드B, C, D, E에 대응하는 긍정/비긍정신호이다.
수신측은 에러가 없는 경우는 각 노드에 할당되어 있는 자기어드레스를 영역(68b)∼(68d)를 거쳐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에러가 있는 경우는 긍정신호를 반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서 에러가 없는 경우는 「1」을 긍정/비긍정신호로서 송신하고, 에러가 있는 경우는 「0」을 긍정/비긍정신호로서 송신하는 방법도 있다.
제28도는 종래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9도는 종래기술의 통신제어장치(110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8도의 LAN시스템의 전송로(10)에는 노드A, B, C, D, E의 5개의 노드가 접속된다. 노드A, B, C는 통신제어장치(1000), 외부제어장치913), 제어계(29)로 구성된다. 다른 노드D, 노드E는 외부제어장치(13)이 없고, 통신제어장치(1100), 제어계(1200)으로 구성된다.
제28도의 시스템에 있어서, 제25도의 통신프레임포맷을 사용한 통신방법에 대해서 제25도, 제29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28도의 노드A에서 노드D로 데이타가 송신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송신측의 동작은 제27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송로(10)과 접속되는 리시버(12)에서 수신된다.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수신신호(1215)는 수신제어부(1202)에 입력된다. 수신제어부(1202)는 수신신호의 상대어드레스(2)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1205)에 미리 설정되는 자기어드레스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제어부는 (1211)을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1204)에 수신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수신제어부(1202)가 송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라인(1224)를 거쳐서 송신제어부(1201)로 반신데이타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송신제어부(1201)은 라인(1208)을 거쳐서 접속되는 자기어드레스레지스터(1205)에 저장되는 데이타에 의해서 반신데이타열을 조립하고, 송신노드로 반신한다. 또, 에러가 검출되지 않았던 수신버퍼레지스터내의 수신데이타는 라인(1212)를 거쳐서 접속되는 제어계인터페이스부를 거쳐서 제어계의 (1206c) 또는 (1206d)의 출력에 접속된 물리계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한다.
그러나, 제25도 및 제26도에 도시되는 종래의 통신프레임포맷을 사용한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만약, 수신측의 통신제어장치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난 경우, 수신측은 본래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통신프레임에 있어서도 정상수신으로서 처리한다. 이 경우, 수신측은 긍정/비긍정신호에 의해서 긍정신호를 송신측으로 반신하므로, 송신측은 수신측이 정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해 버린다. 그 결과, 시스템전체의 오동작으로 연결되어 버리는 폐해가 있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데이타에 대해서 본래 이와 같은 데이타는 수신하지 않는 등의 체크를 하는 프로그램이 수신측의 외부제어장치(주로 마이컴)가 갖고 있다 해도 모두를 체크하는 것을 불가능하여 완전하게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불가능하였다.
또, 가령 체크프로그램으로 불합리를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측에 재차 통신프레임을 조립하고, 전의 통신은 정상으로 수신되어 있지 않는 것을 송신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제어프로그램이 복잡하게 되고 또한 전송로에 본래 통신할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가 통신되므로 전송효율이 나빠지는 폐해가 있었다.
또,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부제어장치를 갖지 않는 노드D, E 등의 경우, 체크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CPU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하드웨어로 이러한 종류의 체크를 실현하고자 한 경우는 통신제어장치가 복잡하게 되어 고가인 통신제어장치로 되어 버리는 폐해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통신제어장치 및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4)를 비교하고, 일치한 경우 재차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받은 수신측노드는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며으이 각가의 제어게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이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만을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자기쪽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지 않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35)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서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그 데이타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면, 우효무효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스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주으이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만을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유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51)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각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경우, 다른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을 개시한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한 송신데이타열(51)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마스터노드로 송신하고,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52)를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 반신하고, 반신되어 온 긍정신호(52)를 받은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마스터노드지의 송신이 완료했다고 판단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은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갖고, 수신마스터노드는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송신데이타열(51)로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에 식별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노드에 대해서만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그 송신버퍼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 그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 및 그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수신측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그 송신버퍼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비교하는 비교수단,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브, 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지스터 및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레지스터,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는 비교수단,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 그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 중,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수신버퍼레지스터 및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소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레지스터,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데이타영역과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는 비교수단,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 중,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는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 및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마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 및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각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 수신측 마스터노드로부터의 긍정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정상으로 송신할 수 있었던 것을 판단하는 수신제어부를 갖고, 송신요구가 발생한 경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또 수신제어부에서 다른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것의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한 경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 수어부에서 해독한 수신데이타 및 슬레이브노드 식별데이타르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수신데이타 중, 슬레이브노드 식별데이타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슬레이브노드에만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영역에 긍정신호를 내고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슬레이브노드의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4)를 비교하고, 일치한 경우, 재차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받은 수신측노드는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만을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반신하고, 그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지 않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35)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서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그 데이타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면,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중의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만을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유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서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 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51)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각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경우, 다른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을 개시한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데이타열(51)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마스터노드로 송신하고,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52)를 통신측 슬레이브노드로 반신하고, 반신되어 온 긍정신호(52)를 받은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마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이 완료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의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은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갖고, 수신마스터노드는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송신데이타열(51)로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에 식별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노드에 대해서만 긍정신호를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에 있어서는 송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송신데이타를 저장하고, 송신제어부는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수신측노드에 있어서는 수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수신제어부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송신제어부는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에 있어서는 송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송신데이타를 저장하고, 반신데이타열버퍼는 수신측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고, 비교수단은 송신버퍼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비교하고, 송신제어부는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수신측노드에 있어서는 수신측노드로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수신제어부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송신데이타열에 에러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단하고, 송신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고, 수신버퍼레지스터는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송신제어부는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각가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마스터노드에 있어서는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고, 반신데이타열버퍼는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고, 비교수단은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송신제어부는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있어서 수신제어부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고, 수신버퍼레지스터는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 중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여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고, 송신제어부는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 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헤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에 있어서는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고, 반신데이타열버퍼는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데이타영역과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고, 비교수단은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대응과 비교하고, 송신제어부는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있어서는 수신제어부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중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는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고, 송신제어부는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댕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각가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는 송신측 프레임노드에 있어서는 송신버퍼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마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 및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고, 수신제어부는 각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수신측 마스터노드로부터의 긍정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정상으로 송신 할 수 있었던 것을 판단하고, 송신제어부는 송신요구가 발생한 경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또, 수신제어부에서 다른 슬레이브노드 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한 경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하고, 수신측 마스터노드에 있어서는 수신제어부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수신데이타 및 슬레이브노드 식별데이타를 저장하고, 통신제어부는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수신데이타 중, 슬레이브노드 식별데이타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노드에만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영역에 긍정신호를 내고 송신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장치의 슬레이브노드의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을 갖는다.
[실시예1]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100)에 사용되는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실시예1의 통신제어장치(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1도, 제2도르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송신지를 나타내는 상대어드레스(2), 송신원을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4),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종료신호(5), 수신측이 송신측으로부터의 송신신호에 대해 에러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 수신측이 송신측으로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6)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1)∼(5)는 송신측이 송출하는 신호, (9)는 수신측이 송신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측이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6)에는 수신측이 받은 데이타 그 자체가 반신된다. 즉, 반신데이타열(6)과 송신데이타열(4)는 동일한 데이타로 된다.
제2도는 실시예1의 통신제어장치(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를 사용해서 실시예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송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제어장치(13)은 라인(13a)를 거쳐서 통신제어장치(100)내의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06)에 접속된다. 외부제어장치(13)은 제어계(29)에서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송신요구가 발생한 경우, 라인(13a)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06)으로 송신요구를 내고, 송신데이타를 통신제어장치(100)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송신데이타는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06)과 라인(109)를 거쳐서 송신버퍼 레지스터(103)에 라이트된다. 라이트된 소신데이타는 라인(110)을 거쳐서 송신제어부(101)에 입력된다. 송신제어부(101)은 이 송신데이타를 기본으로 통신프레임을 조립해서 라인(114)상에서 드라이버(11)을 거쳐서 송신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송로(10)과 접속되는 리시버(12)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115)는 수신제어부(102)에 입력된다. 수신제어부(102)는 수신신호의 상대어드레스(2)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105)에 외부제어장치(13)에서 미리 라이트되어 있는 자기어드레스와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제어부(102)는 라인(111)을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104)에 수신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수신제어부(102)가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라인(124)를 거쳐서 송신제어부(101)에 반신데이타열을 송신측으로 반신하도록 지시한다. 송신제어부(101)은 라인(113)을 거쳐서 수신버퍼(104)에 저장된 데이타를 기본으로 반신데이타열을 조립해서 반신한다. 또, 에러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는 수신버퍼 레지스터내의 수신데이타는 라인(112) 및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06)을 거쳐서 외부제어장치(13)에 리드된다.
제3도는 송신제어부(101)과 수신제어부(102)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3도를 사용해서 송신제어부와 수신제어부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부가한다. 우선, 송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송신버퍼 레지스터(103)에 송신데이타가 라이트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송신버퍼신호(118)은 송신제어시퀀스 컨트롤부(122)에 입력된다. 이 신호(118)을 받는 것에 의해 송신제어부(101)은 기동이 걸린다. 라인(122a)로 송출되는 셀렉터 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데이타 셀렉터(119)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어드레스제어부(116)에 의해서 제어되는 송신버퍼의 송신버퍼 리드 어드레스신호(116a)에 의해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저장되는 송신데이타(110)을 선택한다. 선택된 송신데이타는 라인(119a)를 거쳐서 병렬데이타에서 직렬데이타로 변환하는 시프트레지스터(120)(이하, P/S시프트레지스터라 한다)에 입력된다. P/S시프트레지스터에 의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는 송신프레임조립수단(121)에 라인(120a)를 거쳐서 입력된다. 송신프레임조립수단(121)은 입력된 송신데이타에 개시신호(1) 등을 부가해서 통신프레임을 조립하여 송신신호(114)로서 전송로로 송출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신호(115)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1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123)에 의해서 라인(108)상의 자기어드레스 데이타와 입력수신신호상의 상대어드레스(2)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수신프레임으로서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123)에 의해 디코드된 라인(123b)상의 직렬수신데이타는 직렬데이타에서 병렬데이타로 변환하는 시프트레지스터(125)(이하, S/P시프트레지스터라 한다)에 입력된다. 수신버퍼 레지스터 어드레스 제어부(126)은 수신제어 시퀀스컨트롤부(124)에서 송출되는 라인(124e)상의 수신버퍼 레지스터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받아서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수신데이타(111)을 라이트할 수신버퍼내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24)로부터의 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124d)에 의해서 수신데이타(111)은 수신버퍼 레지스터(104)에 라이트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24)는 라인(123a)상에 수신프레임해독수단(123)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서 송신제어부(101)에 (124a)∼(c)로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라인(124a)상의 제어신호는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하였을때에 출력된다.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22)는 이 라인(124a)상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송신데이타셀력터(119)가 수신버퍼 레지스터(104)로부터의 수신데이타(113)을 선택하도록 라인(122a)를 거쳐서 지시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123)이 수신데이타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24)는 라인(124b)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22)로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송신제어부(101)내의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 제어부(117)에서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신호(117a)가 출력된다. 이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신호(117a)에 의해 수신데이타(113)이 송신데이타 셀렉터(119)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레지스터(1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그 직렬데이타는 송신프레임조립수단(121)에 의해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되어 라인(1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된다.
[실시예2]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토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 제5도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의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송신지를 나타낸느 상대어드레스(2), 송신원을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4),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종료신호(5), 수신측이 송신측으로부터의 송신신호에 대해 에러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수신측이 송신측으로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6),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15), 송신노드 긍정신호(16)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영역(8) 및 (18)의 영역은 송신측이 송출하는 신호, 영역(17)은 수신측이 송신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측이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6)으로는 수신측이 받은 데이타 그 자체가 반신된다. 즉, 반신데이타열(6)과 송신데이타열(4)는 동일한 데이타로 된다. 또,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은 송신측에서 반신데이타열(6)과 송신데이타열(4)가 치한 경우, 송신노드에서 수신노드를 향해서 송신되는 긍정신호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5도를 사용해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제어장치(13)은 라인(13a)를 거쳐서 통신제어장치내의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에 접속된다. 외부제어장치(13)은 제어계에서 예를 들면 「와이퍼를 구동시켜라」라는 송신요구를 수신한 경우, 라인(13a)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에 전송요구를 내고, 송신데이타를 통신제어장치(200)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송신데이타는 외부제어장치 인터테이스부(206)을 거쳐서 송신버퍼 레지스터(203)에 라이트된다. 라이트된 송신데이타는 라인(210)을 거쳐서 송신제어부(201)에 입력된다. 송신제어부(201)은 이 송신데이타를 기본으로 해서 통신프레임을 조립해서 라인(214)상으로 송출하고, 드라이브(11)을 거쳐서 송신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송로(10)과 접속되는 리시버(12)에서 수신되는 라인(215)상의 수신신호를 수신제어부(202)에 입력된다. 수신제어부(202)는 수신신호의 상대어드레스(2)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205)에 미리 외부제어장치에서 라이트되어 있는 자기어드레스와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제어부(202)는 라인(211)을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204)에 수신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수신제어부(202)가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수신제어부(202)는 반신데이타여(6)의 영역을 사용해서 송신측으로 반신하도록 라인(224)를 거쳐서 송신제어부(201)에 지시한다. 송신제어부(201)은 라인(213)을 거쳐서 수신버퍼(204)에 저장되는 데이타를 기본으로 해서 반신데이타열을 조립해서 반신데이타열(6)의 영역을 사용해서 송신측으로 반신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6)에 대한 송신노드측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신노드측은 반신된 반신데이타열(6)을 수신제어부(202)를 거쳐서 라인(211)에 의해 접속되는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227)에 반신데이타를 라이트한다. 수신제어부(204)에 접속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203)의 데이타와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227)의 데이타를 각각 라인(229)와 라인(228)을 거쳐서 수신제어부(204)에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라인(224)를 거쳐서 송신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송신버퍼 레지스터(203)의 데이타와 반신데이타버퍼레지스터(227)의 데이타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송신제어부(201)은 긍정신호로서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수신노드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 예에서는 자기어드레스에 설정되는 데이타를 긍정신호로서 송신하고 있다.
또, 수신노드는 송신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수신한 경우, 수신버퍼 레지스터(204)내의 수신데이타를 라인(212)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으로 송출하고,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은 외부제어장치(13)으로 데이타를 송출한다.
제6도를 사용해서 송수신제어부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6도는 송신제어부(201)과 수신제어부(202)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우선, 송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신버퍼 레지스터(203)에 송신데이타가 라이트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송신버퍼플신호(218)은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2)에 입력된다. 이 신호를 받아 송신제어부(201)은 기동이 걸린다. 라인(222a)상의 셀렉터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데이타 셀렉터(219)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어드레스 제어부(216)에서 라인(216a)상으로 송신버퍼 리드 어드레스를 송신하고, 송신버퍼 레지스터(203)에 저장된 송신데이타(210)을 선택한다. 선택된 송신데이타는 라인(219a)를 거쳐서 P/S시프트레지스터(220)에 입력된다. P/S시프트레지스터(220)에 의해서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는 라인(220a)를 거쳐서 송신II 레임조립수단(221)에 입력된다. 송신프레임조립수단(221)은 입력된 송신데이타에 개시신호 등을 부가해서 통신프레임을 조립하고, 라인(214)상의 송신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인(215)상의 수신신호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에 의해서 라인(208)상의 자기어드레스 데이타와 입력수신신호의 상대어드레스(2)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수신프레임으로서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2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223b)상의 직렬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225)에 입력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에서 출력되는 라인(224e)상의 수신/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의 어드레스제어신호를 받아서 수신/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 어드레스 제어부(226)은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수신데이타(211)을 라이트할 수신버퍼 레지스터내의 어드레스를(226a)를 거쳐서 결정한다. 그리고,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로부터의 라인(224d)상의 수신/반신데이타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데이타는 수신버퍼 레지스터(204)에 라이트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라인(223a)상에 받아서 송신제어부(201)로 라인(224a)∼(224c)를 거쳐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하였을 때에 라인(224a)상으로 제어신호가 송출되고, 이 제어신호를 받아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2)는 수신버퍼 레지스터로부터의 라인(213)상의 수신데이타를 송신데이타 셀렉터(219)가 선택하도록 라인(222a)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는 수신데이타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라인(224b)상으로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낸다. 송신제어부(201)내의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 제어부(217)에서 라인(217a)상으로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신호가 송출되고, 라인(213)상의 수신데이타는 송신데이타 셀렉터(219)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 레지스터(2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이 직렬데이타는 송신프레임조립수단(221)에 의해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되고, 라인(2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출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는 수신데이타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라인(224b)상에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낸다. 송신제어부(201)내의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 제어부(217)에서 라인(217a)상으로 수신버퍼 리드 어드레스 신호가 송출되고, 라인(213)상의 수신데이타는 송신데이타 셀렉터(219)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레지스터(2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이 직렬데이타는 송신프레임조립수단(221)에 의해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되어 라인92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출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6)에 대한 송신노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신노드에 있어서, 반신된 반신데이타열(6)은 수신신호로서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223b)상의 직렬반신데이타는 S/P시프트 레지스터(225)에 입력된다. 또, 수신/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 어드레서 제어부(26)은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에서 라인(224e)상에 수신/반신데이타 버퍼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받아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반신데이타를 라이트할 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라인(226a)상으로 송출한다. 이 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에서 송출된 라인(224d)상의 수신/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227)에 라이트된다.
반신데이타를 모두 반신데렌 버퍼 레지스터(227)에 라이트한 후, 비교부(230)은 반신데이타 버퍼 레지스터(227)에서 데이타와 수신버퍼 레지스터(203)의 데이타를 각각 라인(228)과 라인(229)를 거쳐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라인(230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로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는 비교결과가 일치했을 때, 라인(224c)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2)로 송신긍정신호를 송출한다. 이 송신긍정신호에 의해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2)는 송신데이타 셀렉터(219)에 라인(208)상의 자기 어드레스를 선택하도록 라인(222a)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자기 어드레스 레지스터(205)에 저장되는 데이타가 송신데이타 셀렉터(219)를 거쳐서 P/S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송신프레임조립수단(221)에 의해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의 데이타는 인코드되고, 라인(214)를 거쳐서 송신노드 긍정신호로서 송출된다.
또, 송신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수신한 경우, 수신프레임 해독수단(223)은 그 정보를 라인(2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로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24)는 이 수신데이타를 정상으로 수신처리할 수 있었던 것을 검출해서 수신데이타 유효신호(224f)를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에 낸다. 이 신호를 받아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06)은 수신버퍼 레지스터(204)내의 수신데이타를 라인(212)를 거쳐서 리드하고, 라인(13a)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외부제어장치로 수신데이타를 송출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통신제어장치를 사용하는 LAN시스템에 대해서 제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로(10)에 5개의 노드가 접속된다. 이 시스템을 주로 제어하는 노드를 노드A라 한다. 노드A는 통신제어장치(24), 외부제어장치(13), 제어계(29)로 구성된다. 노드A를 마스터노드라 한다. 노드B, 노드C, 노드D, 노드E는 각각 통신제어장치(25), (26), (27), (28)과 제어계(30), (31), (32), (33)으로 구성된다. 이들의 노드를 슬레이브노드라 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마스터노드에서 슬레이브노드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 송신원 즉, 마스터노드를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35),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 종료신호(5), 송신측의 송신신호에 대해 수신측에서 에러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36), 반신데이타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반신데이타열 종료신호(15), 송신노드 긍정신호(37)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영역(8) 및 영역(37)의 영역은 송신측이 송출하는 신호이다. 영역(36)은 수신측이 송출하는 신호이다. 이 제3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프레임은 마스터노드A에서 송신되고, 슬레이브노드B, C, D, E의 전부가 이 통신프레임을 수신해서 수신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데이타열(35)는 (35b), (35c), (35d), (35e)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데이타는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수신하는 데이타에 대응시켜져 있다. 반신데이타열(36)은 (36b), (36c), (36d), (36e)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슬레이브노드B, C, D, E의 반신데이타에 대응시켜져 있다. 또, 각 슬레이브노드는 송신데이타열에 할당된 영역에 대해 수신데이타 그 자체를 반신한다. 즉, 반신데이타열(36)과 송신데이타열(35)는 동일한 데이타로 된다. 또,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은 송신측에서 반신데이타열(36)과 송신데이타열(35)가 일치한 경우에 송신노드에서 수신노드를 향해서 송출되는 긍정신호이다.
우선, 마스터노드A의 송신동작을 상세하게 제1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외부제어장치(13)에서 송신데이타가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406)을 거쳐서 송신버퍼 레지스터(403)에 송신데이타가 라이트된다.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406)은 라이트를 완료한 후, 라이트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송신버퍼플신호를 라인(418)을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2)로 송출한다. 이 송신버퍼플신호를 받아 송신제어부(401)은 기동이 걸린다. 송신데이타 셀렉터(419)는 라인(422a)상의 셀렉터 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버퍼 레지스터(403)으로부터의 라인(410)상의 송신데이타를 선택하고, 라인(419a)를 거쳐서 P/S시프트 레지스터(420)으로 송출한다.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는 P/S시프트 레지스터(420)으로부터의 라인(420a)를 거쳐서 송신프레임조립수단(421)에 입력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421)은 입력된 송신데이타에 개시신호(1) 및 마스터노드에서 슬레이브노드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 등을 부가해서 통신프레임을 조립하고, 라인(414)을 거쳐서 송신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제9도는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9도는 예를 들면, 제7도의 LAN시스템상의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낸다. 노드C의 제어계(390)은 스위치(390a), (390b)와 액츄에이터(390c), (390d)로 구성되고, 각각 라인(306a), (306b), (306c), (306d)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306)에 접속된다.
제9도를 사용해서 제7도에 도시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통신프레임을 슬레이브노드C가 수신했을 때의 슬레이브노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인(315)상의 수신신호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에 의해서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를 검출한 경우, 수신제어부(302)는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323b)상의 직렬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3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311)상의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로부터의 라인(324d)상의 수신/반신버퍼 라이트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에 라이트된다.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305)에는 외부단자(391)에서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내는 0100의 데이타가 설정된다. 수신버퍼 레지스터(304)는 이 데이타에 의해 (304c)에 나타내는 영역만이 유효로 되고, 다른 영역은 리세트되어 0이 삽입된다. 즉, 제8도의 송신데이타열(35)의 00011011의 데이타중의 (35c)의 데이타01만이 유효로 된다. 이 시점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00010000으로 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수신프레임 해단(323)에서 라인(323a)상에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서 송신제어부(301)의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2)로 라인(324a)∼(324c)를 거쳐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이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했을 때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에서 라인(324a)상으로 제어신호가 송출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2)는 송신데이타 셀렉터(319)에 수신버퍼 레지스터(304)내의 수신데이타를 라인(313)을 거쳐서 선택하도록 라인(322a)상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수신데이타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라인(324b)상으로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313)상의 수신데이타가 송신데이타셀렉터(319)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 레지스터(3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이 직렬데이타는 송신프레임 조립수단에 의해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되고, 라인(3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출된다. 이때의 노드C가 반신하는 데이타열은 00010000이다.
다른 슬레이브노드B, D, E도 상기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한다. 노드B는 송신데이타열의 (35b), 노드D는 송신데이타열의 (35d), 노드E는 송신데이타열의 (35e)를 수신유효데이타로 하고, 반신하는 데이타열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B는 00000000, 노드D는 00001000, 노드E는 00000011으로 된다. 각 노드의 전송로(10)은 와이어드OR접속되어 있고, 우선비트는 1, 비우선비트는 0으로 된다. 즉, 여러개의 노드가 동시에 데이타를 송출한 경우 비트1을 송출한 노드의 데이타(비트)가 우선비트로서 전송로로 송출된다. 이 통신예에서는 노드B, C, D, E가 동시에 반신데이타열을 전송로로 송출하고 있지만, 전송로(10)상의 반신데이타열(36)은 00011011로 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에 대한 마스터노드A의 동작에 대해서 제1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마스터노드A에 있어서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은 수신신호로서 수신프레임해독수단(4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4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423b)상의 직렬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425)에 입력된다. 또,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411)상의 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에서 라인(426b)상의 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427)에 라이트된다. 반신데이타를 모두 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에 라이트한 후, 비교부(430)은 반신데이타 버퍼 레지스터(427)의 데이타와 송신버퍼 레지스터(403)의 데이타를 각각 라인(428) 및 라인(429)를 거쳐서 비교하고, 그 비교종료신호를 라인(430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로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는 비교종료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라인(424c)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2)로 송신긍정신호를 송출한다. 이 송신긍정신호에 의해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2)는 송신데이타 셀렉터(419)에 비교부의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를 선택하도록 라인(422a)를 거쳐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가 송신데이타 셀렉터(419)를 거쳐서 P/S시프트레지스터(4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송신프레임조립수단(421)에 의해 비교결과의 데이타는 인코드되고, 라인(414)를 거쳐서 송신노드 긍정신호로서 송출된다. 비교부(430)이 출력하는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는 제8도의 통신프레임포맷의 (35b)와 (36b), (35c)와 (36c), (35d),(36d), (35e)와 (36e)의 비교결과에 대응시켜지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각각 1로 된다. 이 예에서는 모든 슬레이브노드가 반신한 반신데이타열이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와 일치하였으므로, 마스터노드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은 1111로 된다.
다음에, 제9도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수신한 슬레이브노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제어부(302)내의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은 그 정보를 (3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로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송신노드 긍정신호(37) 중, 자신의 노드에 할당되어 있는 긍정비트, 이 예에서는 b1이 1인 것을 검출하고, 이 수신데이타를 정상으로 수신처리할 수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라인(324f)를 거쳐서 외부제어계 인터페이스부로 송출한다.
제어계 인터페이스부(306)은 라인(324f)상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305)로부터의 데이타에 의해서 수신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304c)의 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306c),(306d)로 출력한다. 여기서, (306c)는 L, (306d)는 H로 된다. 이 결과, 제어계(390)내의 액츄에이터(390c)는 구동되지 않고, (390d)는 구동된다.
즉, 예를 들면 엑츄에이터(390d)가 예를 들면, 「와이퍼」의 경우에는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그의 와이퍼가 구동되게 된다.
[실시예4]
실시예3에서는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전부 마스터노드A의 통신프레임에 대해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예를 설명했지만, 실시예4에서는 슬레이브노드가 수신에러를 검출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는 실시예4의 수신에러가 검출된 경우의 통신예를 나타내는 통신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통신프레임포맷에 있어서는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에서 통신 프레임종료신호(7)까지의 구성은 실시예3과 동일한다. 이 통신프레임에 있어서 슬레이브노드C가 수신에러를 검출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신데이타열(36)은 (36b), (36c), (36d), (36e)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슬레이브노드B, C, D, E로부터의 반신데이타에 대응시켜져 있다. 제12도의 예에서는 에러를 검출한 슬레이브노드C는 송신데이타열에 할당된 영역의 수신데이타를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하고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슬레이브노드B, D, E는 송신데이타열에 할당된 영역의 수신데이타 그 자체를 반신한다. 이 예에서는 노드C만 에러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송신데이타열(35c)의 수신데이타01에 대해 반전한 10을 반신데이타열(36c)의 영역을 사용해서 반신하고, 노드B, D, E는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으므로, 각각 송신데이타열(35b), (35d), (35e)의 영역의 수신데이타00, 10, 11에 대해 그대로의 데이타00, 10, 11을 (36b), (36d), (36e)의 영역을 사용해서 반신한다. 그 결과, 반신데이타열(36)의 데이타는 00101011로 된다.
제9도, 제13도를 사용해서 슬레이브노드C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인(315)상의 수신신호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이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를 검출하면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323b)상의 직렬수신데이타는 S/P시프트 레지스터(3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311)상의 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에서 송출된 라인(324d)상의 수신/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에 라이트된다.
자기어드레서 레지스터(305)에는 외부단자(391)에서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내는 0100의 데이타가 설정된다. 이 데이타에 의해 수신버퍼 레지스터(304)는 영역(304c)만 유효로 되고, 다른 영역은 리세트되어 0이 삽입된다. 즉, 제8도의 송신데이타열(35)의 00011011의 데이타중의 (35c)의 데이타01만 유효로 된다. 이 시점에서 수신버퍼레지스터(304)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00010000로 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9323)에서 라인(323a)를 거쳐서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서 수신제어부(301)로 라인(324a)∼(324c)를 거쳐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324a)상의 제어신호는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했을 때에 송출된다. 이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제어 시퀀스컨트롤부(322)는 라인(322a)를 거쳐서 신호를 송신데이타 셀렉터(319)로 송출한다. 이 신호에 의해서 송신데이타 셀렉터(319)는 수신버퍼 레지스터(304)내의 수신데이타를 라인(313)를 거쳐서 선택한다. 또,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은 이 수신데이타의 에러검출의 유무를 라인(323c)를 거쳐서 송신데이타 셀렉터(319)로 송출한다.
이 예에서는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라인(323c)는 H로 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라인(324b)상으로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수신에러를 검출한 신호(323c)가 입력된 경우의 송신데이타 셀렉터(319)의 동작에 대해서 제1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송신데이타 셀렉터부(319)내의 (350), (351), (352), (354)로 표시되는 송신데이타 셀렉터0, 1, 2, 3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고, 그 동작에 대해서는 블럭(351)로 나타내는 송신데이타 셀렉터(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비트D2와 수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비트D2, 라인(322a)상의 셀렉트신호가 송신데이타 셀레겉(1)내의 2AND-OR게이트(351a)에 접속된다. 반신데이타열 반신기간은 라인(322a)상의 송신데이타 셀렉트 제어신호가 H, 수신버퍼 셀렉트 신호(322b)가 H 송신버퍼 셀렉트신호(322c)가 L로 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의 데이타비트D2의 데이타가 2AND-OR게이트(351a)에서 출력된다. 그 출력은 후단의 EX-NOR게이트(351c)에 입력된다. 여기서, EX-NOR게이트의 다른쪽의 입력은 반전제어부(358)내의 NAND게이트(355)의 출력에 접속된다. 이 출력신호가 H일 때에는 EX-NOR게이트에서 (351a)의 데이타가 그대로 라인(319a2)로 출력되고, 출력신호가 L일 때에는 (351a)의 데이타를 반전한 신호가 출력된다. 즉, EX-NOR게이트의 반전제어부(358)내의 NAND게이트(355)로부터의 입력이 H이면, 수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비트D2의 데이타가 그대로 라인(319a2)로 출력되고, L이면 반전데이타가 출력된다. 송신데이타 셀렉터(1)내의 (351b), (351d)도 동일한 동작이고, NAND게이트(355)의 출력이 H이면 수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비트D3의 데이타가 그대로 라인(319a3)으로 출력되고, L이면 반전데이타가 출력된다.
반전제어부(358)에는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305)의 데이타0100이 라인(308)상을 거쳐서 입력되어 있고, NAND게이트(354), (356), (357)의 출력은 항상 H로 된다. 즉, 라인(319a0), (319a1), (319a4), (319a5), (319a6), (319a7)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의 데이타비트D0, D1, D4, D5, D6, D7의 데이타가 그대로 출력된다. 반전제어부내의 NAND게이트(355)의 출력은 라인(323b)상의 수신에러 검출신호가 H(에러검출시)일 때 L로 되고, 라인(319a2), (319a3)의 EX-NOR출력은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의 데이타비D2, D3의 데이타의 반전데이타가 출력된다. 이 예에서는 수신버퍼 레지스터(304)의 데이타D0∼D7은 00010000이므로, 송신데이타 셀렉터(319)의 출력D0∼D7은 00100000로 되고, D2, D3이 반전된다.
또, 라인(322a)상의 송신버퍼 셀렉트제어신호가 L일 때에는 송신버퍼 셀렉트신호(322c)가 H, 수신버퍼 셀렉트신호(322c)가 L로 되고, 반전제어부(358)의 출력은 모두 H이므로, 송신버퍼 레지스터(303)의 데이타D0∼D7이 그대로 출력된다.
반신할 송신데이타셀렉터의 출력D0∼D7(00100000)은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 레지스터(3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그 후, 송신프레임조립수단에 의해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되고, 라인(3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출된다. 이 때의 노드C가 반신하는 데이타열은 00100000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른 슬레이브노드B, D, E는 수신에러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각 노드가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은 각각 00000000, 00001000, 00000011이고, 전송로상의 반신데이타열은 제12도의 반신데이타열(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0101011로 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에 대한 마스터노드A의 동작에 대해서 제1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마스터노드A에 있어서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은 수신신호로서 수신프레임해독수단(402)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4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423b)상의 직렬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4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411)상의 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로부터의 라인(426b)상의 반신버퍼라이트제어신호에 의해서 반신데이타버퍼레지스터(427)에 라이트된다. 반신데이타를 모두 반신데이타버퍼레지스터(427)에 라이트한 후, 비교부(430)은 반신데이타 버퍼레지스터(427)의 데이타와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각각 라인(428)과 라인(429)를 거쳐서 비교하고, 비교종료신호를 라인(430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로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4)는 비교종료신호가 발생했을 때, 라인(424c)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2)로 송신긍정신호를 송출한다.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422)는 이 송신긍정신호를 수신하면, 비교부(430)로부터의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를 송신데이타 셀렉터(419)와 선택하도록 라인(422a)로 신호를 송출한다.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는 송신데이타 셀렉터(419)를 거쳐서 P/S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비교결과의 데이타는 송신프레임조립수단에 의해 인코드되고, 라인(414)를 거쳐서 송신노드긍정신호로서 송출된다. 비교부(430)이 출력하느 비교결과의 데이타(430b)은 제12도중의 송수신데이타열(35b)와 (36b), (35c)와 (36c), (35d)와 (36d), (35e)와 (36e)의 비교결과에 대응시켜져 있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1로 된다. 이 예에서는 (35c)와 (36c)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은 1011로 된다.
다음에, 제9도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수신한 슬레이브노드C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제어부(302)내의 수신프레임 해독수단(323)은 수신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라인(3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로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324)는 송신노드 긍정신호(37)중에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긍정비트, 이 예에서는 b1이 0인 것을 검출하고, 수신데이타를 정상으로 수신처리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라인(324f)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306)으로 송출한다. 제어계 인터페이스부(306)은 라인(324f)상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305)의 데이타에 따라 수신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304c)의 데이타를 무효로 한다.
[실시예5]
실시예4에서는 반신데이타열에 에러를 검출한 슬레이브노드는 송신데이타열에 할당된 수신처리대상영역에 대해 수신데이타를, 반전한 데이타를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슬레이브노드는 송신데이타열에 할당된 수신처리대상영역에 대해 수신데이타 그 자체를 반신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실시예5에서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프레임포맷을 사용해서 각 슬레이브노드가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에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1비트 부가해서 반신데이타열(36)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프레임포맷에는 예를 들면, 슬레이브노드C만이 에러를 검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수신한 송신데이타열01에 에러의 검출을 나타내는 비트1을 부가해서, 반신데이타열(36)을 형성한다. 다른 슬레이브노드B, D, E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에 에러검출을 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내는 비트0을 부가하고 있다. 이 결과, 반신데이타열은 반신데이타열(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11100110으로 된다.
제15도는 제5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제7도의 LAN시스템상의 슬레이브노드C의 경우를 예를들어서 설명한다. 슬레이브노드C의 제어계(590)(제7도에서는 31에 대응)은 스위치(590a), (590b)와 액츄에이터(590c), (590d)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라인(506a), (506b), (506c), (506d)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506)에 접속된다.
제15도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통신프레임을 수신한 슬레이브노드C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신호(515)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고수단(523)에 의해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를 검출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523b)상의 직렬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5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511)상의 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4)에서 송신된 라인(524d)상의 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버퍼 레지스터(504)중의 영역D0∼D7에 라이트된다.
외부단자(591)에서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505)에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내는 0100의 데이타가 설정된다. 이 0100의 각 비트는 슬레이브노드B, C, D, E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이 제15도는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제2비트만이 1로 설정되어 있다. 이 데이타에 의해 수신버퍼 레지스터(504)는 (504c)로 나타나는 영역(D2, D3)만이 유효로 되고, 다른 영역(D0, D1, D5∼D7)은 리세트상태(즉, 0)으로 된다. 즉, 제14도의 송신데이타열(35)의 00011011의 데이타중의 (35c)의 부분의 데이타01만 유효로 된다. 이 시점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데이타D0∼D7은 00010000으로 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에 의해서 수신에러가 검출된 경우, 라인(523d)는 H로 된다. (550)은 에러비트 부가부이고, 라인(523d)는 각 AND게이트(550a), (550b), (550c), (550d)에 접속된다. AND게이트의 다른 쪽의 입력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505)의 각 비트에 접속된다. 여기서,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의 데이타는 0100이므로, 에러비트부가부(550)의 출력E0, E2, D3은 0으로 고정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에서 수신에러가 검출된 경우, 라인(523d)은 H로 되므로, AND게이트(550b)의 출력E1은 1로 된다. 따라서, 에러비트를 포함한 수신버퍼 레지스터(504)의 데이타는 000011000000로 된다.
또,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4)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라인(523a)를 거쳐서 받고, 라인(524a)∼(524c)를 거쳐서 송신제어부(501)중의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2)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524a)상의 신호는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했을 때에 송출되고, 이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2)는 라인(522a)를 거쳐서 송신데이타셀렉터(519)로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504)에서 에러비트가 부가된 라인(513)상의 수신데이타를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524)는 라인(524b)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2)롤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513)상의 수신데이타가 송신데이타 셀렉터(519)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은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된 반신데이타열을 라인(514)를 거쳐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이 때, 노드C가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은 000011000000이다.
다른 슬레이브노드B, D, E도 상기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한다. 노드B는 송신데이타열의 (35b), 노드D는 송신데이타열의 (35d), 노드E는 송신데이타열의 (35e)를 유효데이타로 하고,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은 노드B에서는 000000000000, 노드D에서는 000000100000, 노드E에서는 000000000110로 된다. 전송로(10)은 와이어드OR접속되므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신데이타열(36)은 000011100110으로 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을 수신한 마스터노드A의 동작에 대해서 제1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마스터노드A는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을 수신신호로서 수신프레임해독수단(623)에 수신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6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623b)상의 직렬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6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611)상의 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624)의 반신버퍼 라이트제어신호(626b)에 의해서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627)에 라이트된다. 반신데이타 버퍼 레지스터(627)이 반신데이타를 모두 반신데이타 버퍼 레지스터(627)에 라이트한 후, 비교부(630)은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627)의 데이타와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라인(628) 및 라인(629)를 거쳐서 비교하고, 비교종료신호를 라인(630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624)로 송출한다.
여기서, 비교되는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627)의 데이타는 D0∼D7이고, 에러비트E0∼E3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는 비교종료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라인(624c)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622)로 송신긍정신호를 송출한다.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622)는 송신데이타셀렉터(619)가 송신긍정신호에 의해서 비교부(630)에서 비교된 비교결과의 데이타(630b)를 선택하도록 라인(622a)를 거쳐서 송신데이타 셀렉터(619)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비교결과의 데이타(630b)는 송신데이타 셀렉터(619)를 거쳐서 P/S시프트 레지스터(620)이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P/S시프트 레지스트(620)은 송신프레임조립수단에 의해 비교결과의 데이타는 인코드되고, 라인(614)를 거쳐서 송신노드 긍정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된다. 비교부(630)이 출력하는 비교결과의 데이타(630b)는 제14도에 도시되는 통신프레임포맷중의 (35b)와 (36b), (35c)와 (36c), (35d)와 (36d), (35e)와 (36e)의 비교결과에 대응시켜지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출력신호는 1로 된다. 즉,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열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C는 에러를 검출했지만, 반신데이타열은 반신측마스터노드의 송신한 데이타와 일치하였으므로, 슬레이브노드C는 이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해도 좋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제15도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수신한 슬레이브노드C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제어부(502)내의 수신프레임 해독수단(523)은 그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의 정보를 라인(5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4)로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524)는 송신노드 긍정신호(37) 중,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긍정비트, 이 예에서는 b1이 1인 것을 검출하고, 수신에러를 검출하였지만, 이 수신데이타는 유효이라고 판단하고, 정상수신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라인(524f)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506)으로 송출한다.
제어계 인터페이스부(506)은 라인(524f)상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의 데이타에 의해서 수신처리의 대상인 수신버퍼레지스터(504c)의 데이타를 유효로 해서 라인(506c), (506d)로 출력한다. 여기서, (506c)는 L, (506d)는 논리H로 된다. 이 결과, 제어계(590)내의 액츄에이터(590c)는 구동되지 않고, (590d)는 구동된다.
[실시예6]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마스터노드에서 슬레이브노드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 송신원 즉 마스터노드들 나타내는 자기어드레스(3),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35),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시;데이타종료신호(5), 수신측이 송신측의 송신신호에 대해 에러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36), 반신데이타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반신데이타열 종료신호(15), 송신노드 긍정신호(37)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마스터노드A에서 송신되고, 모든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이 통신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송신데이타열(35)는 각각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수신하는 데이타(35b), (35c), (35d), (35e)와 그 데이타를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의 유효무효비트(35b2), (35c2), (35d2), (35e2)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반신데이타열(36)은 각 슬레이브노드B, C, D, E의 송신데이타열에 대응하여 수신데이타 그 자체를 반신하는 영역이다. 즉, 반신데이타열(36)과 송신데이타열(35)는 동일한 데이타로 된다. 또,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은 송신측에서 반신데이타열(36)과 송신데이타열(35)가 일치한 경우, 송신노드에서 송신되는 수신노드를 향한 긍정신호이다.
우선, 마스터노드A의 송신동작에 대해서 제19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외부제어장치(13)에서 송출된 송신데이타는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606)을 거쳐서 송신버퍼 레지스터(1603)에 라이트된다. 여기서, 송신버퍼 레지스터(1603)에 라이트되는 송신데이타는 제17도에 도시되는 송신데이타열중의 (35b), (35b2), (35c), (35c2), (35d), (35d2), (35e), (35e2)이다.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데이타열(35b, 35b2, 35c, 35c2, 35d, 35d2, 35e, 35e2)의 내용이 (001010101111)인 데이타가 라이트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유효무효비트(35b2), (35c2), (35d2), (35e2)는 1이 유효비트, 0이 무효비트를 의미한다.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606)은 라이트완료 후, 라이트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라인(1618)상의 송신버퍼플신호는 송신제어 시퀀스컨트롤부(1622)로 송출된다. 이 송신버퍼플신호를 받아 송신제어부(1601)은 기동이 걸린다. 라인(1622a)상의 셀렉터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데이타셀렉터(1619)는 송신버퍼 레지스터(1603)에서 송출되는 라인(1610)상의 송신데이타를 선택한다. 이 선택된 송신데이타는 라인(1619a)를 거쳐서 P/S시프트레지스터(1620)으로 송출된다.
P/S시프트레지스터(1620)에 의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는 라인(1620a)를 거쳐서 송신프레임조립수단(1621)에 입력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1621)은 통신프레임포맷중의 송신데이타에 개시신호(1) 및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등을 부가해서 송신데이타열을 조립하고, 라인(1614)를 거쳐서 그 송신데이타열을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2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슬레이브노드C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8도에 있어서, 라인(715)상의 수신신호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7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723)이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34)를 검출한 경우,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수신프레임 해독수단(7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723b)상의 직렬수신데아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7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711)상의 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에서 송신되는 라인(724d)상의 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버퍼 레지스터(704)에 라이트 된다.
외부단자(791)에서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705)에 슬레이브노드C를 나타내는 0100의 데이타가 설정된다. 이 데이타에 의해 수신버퍼레지스터(704)는 라인(704c)에 나타낸 영역만 유효로 하고, 다른 영역은 리세트된다. 즉, 제17도의 송신데이타열(35)의 001010101111의 데이타중 (35c) 및 (35c2)의 데이타010만 유효로 되고, 다른(35b), (35b2), (35d), (35d2), (35e), (35e2)의 데이타는 0이 삽입된다. 따라서, 수신버퍼 레지스터(704)에 저장되는 데이타는 000010000000으로 된다. 수신버퍼 레지스터(704)에 저장되는 데이타중에서 유효무효를 나타내는 Y0∼Y3의 데이타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791)의 데이타는 유효/무효검출부(760)에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Y0∼Y3의 데이타가 0000이므로, 유효/무효검출부(760)의 출력은 0으로 되고, 라인(760a)상에 무효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에 입력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는 수신프레임 해독수단(723)에서 라인(723a)상의 수신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고, 라인(724a)∼라인(724c)를 거쳐서 송신제어부(701)중의 송신제어부 시퀀스 컨트롤부(722)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724a)는 통신프레임의 송신데이타종료신호(5)를 검출했을 때에 발생시켜진다. 이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2)는 라인(722a)를 거쳐 신호를 송신데이타 셀렉터(719)로 송출하고, 송신데이타 셀렉터(719)가 라인(713)을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704)내의 수신데이타를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는 라인(724b)를 거쳐서 반신데이타 송출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라인(713)상의 수신 데이타가 송신데이타 셀렉터를 거쳐서 반신데이타로서 P/S시프트 레지스터(720)에 입력되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은 직렬데이타를 반신데이타로서 인코드하고, 라인(714)를 거쳐서 반신데이타열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이 때, 슬레이브노드C가 마스터노드A로 반신하는 반신데이타열(36)은 000 0 1 0000000이다.
다른 슬레이브노드B, D, E도 상기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한다. 노드B는 송신데이타열의 (35b), 노드D는 송신데이타열의 (35d), 노드E는 송신데이타열의 (35e)를 유효데이타로 하고, 각 슬레이브노드B, D, E가 반신하는 데이타열은 001 00 0 0 0 0000, 00000010100, 000000000111로 된다. 전송로(10)은 와이어드OR접속되므로, 마스터노드A가 수신하는 반신데이타열(36)은 001010101111로 된다.
다음에,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에 대한 마스터노드A의 동작에 대해서 제1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9도는 제6실시예의 마스터노드A의 통신제어장치(2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9도의 마스터노드A에 있어서, 반신된 반신데이타열(36)은 수신신호로서 수신프레임해독수단(16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16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1623b)상의 직렬반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1625)에 입력된다.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라인(1611)상의 반신데이타는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624)에서 송출되는 라인(1626b)상의 반신버퍼 라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1627)에 라이트된다. 반신데이타를 모두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1627)에 라이트한 후, 비교부(1630)은 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1627)의 데이타와 송신버퍼 레지스터(1603)의 데이타를 각각 라인(1629) 및 (1628)을 거쳐서 비교하고, 비교종료신호를 라인(1630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로 송출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624)는 비교종료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라인(1624c)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622)로 송신긍정신호를 송출한다.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1622)는 이 송신긍정신호에 의해 송신데이타 셀렉터(1619)가 비교부(1630)에서 송출되는 라인(1630b)상의 비교결과를 선택하도록 라인(1622a)를 거쳐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송신데이타 셀렉터(1619)는 비교결과의 데이타를 P/S시프트레지스터(1620)으로 송출하고, P/S시프트레지스터(1620)은 그 비교결과의 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변환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은 비교부(1630)으로부터의 비교결과의 데이타(1630b)를 인코드하고, 라인(1624)를 거쳐서 송신노드 긍정신호(37)로서 전송로(10)을 거쳐서 슬레이브노드로 송출된다. 비교부(1630)이 출력하는 비교결과데이타(1630b)는 송수신데이타열(35b+35b2)와 (36b+36b2), (35c+35c2)와 (36c+36c2), (35d+35d2)와 (36d+36d2), (35e+35e2)와 (36e+36e2)의 비교결과이고,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논리 1로 된다.
이 예에서는 모든 슬레이브노드가 반신한 반신데이타열이 송신버퍼레지스터(1603)의 데이타와 일치하므로,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은 1111로 된다.
다음에, 마스터노드A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수신한 슬레이브노드C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8도에 있어서, 수신제어부(702)내의 수신프레임해독수단(723)은 그 정보를 라인(7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로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는 송신노드 긍정신호(37)중의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긍정비트, 이 예에서는 b1이 1인 것을 검출하지만, 유효/무효검출부(760)에서 검출된 무효신호가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724)에 입력되므로, 이 수신데이타를 정상으로 수신처리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라인(724f)상의 제어신호는 외부제어계 인터페이스부로 송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통신데이타는 무효로 되고, 제어계 인터페이스(706)에 접속되는 제어계(790)은 통신전의 상태로 된다.
[실시예7]
본 발명의 슬레이브노드의 송신에 대해서 실시예7에서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가 송신할 때에 사용하는 통신프레임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통신프레임포맷은 통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개시신호(1), 슬레이브노드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50), 통신할 데이타의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열(51), 송신데이타의 종료를 나타내는 송신데이타종료신호(5), 마스터노드가 반신하는 긍정신호(52) 및 통신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는 통신종료신호(7)로 구성된다.
제20도의 송신데이타열(51)은 (51b), (51c), (51d), (51e)와 (51b2), (51c2), (51d2), (51e2)의 여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데이타는 슬레이브노드B, C, D, E가 송신하는 데이타에 대응시켜져 있다.
마스터노드A의 긍정신호(52)에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해서 비트가 할당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b0이 노드B,b1이 노드C, b2가 노드D, b3이 노드 E로 송출되는 긍정신호이다.
다음에, 제7도에 도시되는 슬레이브노드C가 마스터노드A로 송신을 개시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제20도, 제2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슬레이브노드C의 통신제어장치(26)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슬레이브노드C의 제어계(890)은 스위치(890a), (890b)와 액츄에이터(890c), (890d)로 구성되어 있고, 라인(806a), (806b), (806c), (806d)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806)에 접속된다.
슬레이브노드C의 제어계(890)의 스위치(890a)를 온한 경우의 송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890a)가 온한 것의 정보는 라인(806a)를 거쳐서 제어계 인터페이스부(806)에 입력된다. 이 정보에 따라 제어계 인터페이스부(806)은 송신버퍼 레지스터(803)에 송신데이타를 라이트 한다. 스위치(806a), (806b)의 온, 오프의 상태는 D0, D1에 라이트되고, 스위치의 변화의 유무는 D2에 라이트된다. 이 예에서 스위치(806a)는 온, (806b)는 오프이므로, D0=1, D1=0, 그리고, 스위치가 변환했으므로, D2=1로 된다. 여기서, 송신버퍼 레지스터(803)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805)의 데이타(0100)이 라인(805a)를 거쳐서 입력되어 있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버퍼레지스터(803)중, (803b), (803d), (803e)의 영역은 리세트되어 0이 삽입되어 있고, 영역(803c)의 여역만 라이트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계 인터페이스부(806)은 송신버퍼 레지스터(803)에송신데이타를 라이트종료한 후, 송신데이타 라이트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송신버퍼플 신호를 라인(806)을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822)에 낸다.
이 신호를 받고, 송신제어부(801)은 기동이 걸린다. 송신데이타셀렉터(819)는 라인(822a)상의 셀렉터 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버퍼레지스터(803)에서 송출되는 라인(810)상의 송신데이타를 선택하고, 라인(819a)를 거쳐서P/S시프트레지스터(820)에 입력된다. P/S시프트레지스터(820)에 의해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는 라인(820a)를 서 송신프레임조립수단(821)에 입력된다. 송신프레임조립수단(821)은 입력송신데이타에 개시신호(1)과 슬레이브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50)등을 부가해서 통신프레임을 조립하고, 라인(814)를 거쳐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이 때, 슬레이브노드C가 송신하는 송신데이타열은 제20도의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101000000이다.
다음에, 노드C 이외의 예를 들면, 슬레이브노드D의 동작에 대해서 제2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슬레이브노드D의 스위치(990a)가 온, 스위치(990b)는 오프로 되어 있고, 이 데이타는 이미 마스터노드에 통신이 끝난 상태이다. 이 때문에 송신버퍼 레지스터(903)의 영역(903d)는 100으로 되어 있다. (903b), (903c), (903e)의 영역은 자기어드레스 레지스터(905)의 데이타 0010이므로, 리세트되어 0이 삽입된다. 이 때문에 송신버퍼 레지스터(903)의 데이타는 제22도의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100000로 되어 있다.
슬레이브노드C가 송출한 통신프레임은 라인(915)를 거쳐서 수신신호로서 슬레이브노드D의 수신프레임해독수단(923)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923)은 슬레이브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50)을 검출한 경우, 라인(923a)를 거쳐서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924)로 이 정보를 전달한다. 수신제어 시퀀스 컨톨로부(924)는 라인(924d)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922)에 기동을 건다.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922)에서 송출되는 라인(922a)상의 셀렉터 제어신호에 의해서 송신데이타 셀렉터(919)는 송신버퍼 레지스터(903)에서 송출되는 라인(910)상의 송신데이타를 선택한다. 송신데이타 셀렉터(919)는 라인(919a)를 거쳐서 그 송신데이타를 P/S시프트레지스터(920)으로 송출한다. P/S시프트 레지스터(922)는 직렬데이타로 변환된 송신데이타를 라인(920a)를 거쳐서 송신프레임 조립수단(921)에 입력한다. 송신프레임 조립수단(921)은 입력된 송신데이타에서 통신데이타를 조립하고, 라인(914)르 거쳐서 송신신호로서 전송로(10)으로 송출한다. 이 때, 노드D가 송신하는 송신데이타열은 제20도의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100000이다.
슬레이브노드B, E도 슬레이브노드D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슬레이브노드B의 스위치(990a), (990b)는 모두 오프되어 있고, 슬레이브노드E의 스위치(990a), (990b)는 모두 온으로 되었다고 가정하면(도시되어 있지 않다), 슬레이브노드B, E가 송출하는 송신데이타열(51)은 제20도의 (25),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000000, 000000000110으로 된다. 전송로(10)은 와이어드OR접속되므로, 전송로(10)상의 송신데이타열은 제20도의 송신데이타열(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101100110으로 된다.
다음에,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송신에 대한 마스터노드A의 수신동작에 대해서 제2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3도는 제7실시예의 마스터노드의 송신제어장치(2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3도에 있어서, 수신신호(2615)는 수신프레임해독수단(2623)에 입력된다. 마스터노드A는 슬레이브노드에서 송신된 송신데이타열(51)을 수신프레임해독수단(2623)에 수신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2623)에 의해서 디코드된 라인(2623b)상의 직렬송신데이타는 S/P시프트레지스터(2625)에 입력된다. 수신프레임해독수단(2623)에 의해서 슬레이브에서 마스터로의 송신을 나타내는 코드신호(50)을 검출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서 송출되어 온 수신프레임으로서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또,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수신데이타(2611)은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624)로부터 라인(2626a)상의 수신버퍼 라이트제어신호에 의해서 수신데이타버퍼 레지스터(2604)에 라이트된다.
수신데이타를 모두 수신버퍼 레지스터(2604)에 라이트한 후, 수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624)는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라인(2624a)를 거쳐서 송신제어 시퀀스 컨트롤부(2622)에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다는 정보를 부여한다. 송신제어 시퀀스컨트롤부(2622)는 각각 라인(2622a) 및(2622b)를 거쳐서 송신데이타셀렉터(2619) 및 송신프레임조립수단(2621)로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긍정신호를 반신하기 위한 기동을 실행한다. 여기서, b0은 노드B, b1은 노드C , b2는 노드D, b3은 노드E로 송출되는 긍정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의 긍정신호는 논리 1로 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 긍정신호(52)는 1111로 된다.
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다는 정보가 라인(2626f)를 거쳐서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606)으로 전달된다. 외부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2606)은 외부제어장치(13)으로 라인(13a)를 거쳐서 수신버퍼 레지스터(2604)의 수신데이타를 송출한다.
마스터노드A는 수신한 데이타에 에러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 스위치가 변화했으므로, 송신해 온 노드로만 긍정신호를 반신한다.
제20도의 긍정신호(52)의 b0은 노드B, b1은 노드C, b2는 노드D, b3은 노드E에 대한 영역이다. 마스터노드A는 예를 들면, 슬레이브노드C의 스위치가 변화한 것을 송신데이타열에서 검출하고, 긍정신호(52)를 슬레이브노드로 반신한다. 이 경우, 긍정신호는 0100으로 된다.
제7실시예에 있어서 슬레이브노도는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에 대해 송신데이타를 조립해서 송신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송신버퍼 레지스터와 수신버퍼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송신데이타로서 송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1실시예∼제6실시예의 반신데이타열로 수신데이타와 자기어드레스 데이타 쌍방울 반신데이타로서 반신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므로, 송신측노드에서 수신측노드가 수신한 데이타를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측노드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나 항상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경우에도 송신노드측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의 송신데이타열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노드는 반신되어 온 데이타열과 송신한 송신데이타열을 비교해서 일치한 경우, 재차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도록 했으므로, 송신측노드에서 수신측노드가 수신한 데이타를 송신한 데이타와 비교하여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또, 수신측노드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나 항상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를 반신하는 경우에도 송신노드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수신측노드는 송신측노드의 반신데이타열과 송신데이타열의 비교결과에 의한 송신노드 긍정신호의 내용으로 최종적으로 수신처리의 판단을 실시하므로,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만을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시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데이타열과 송신한 송신데이타열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비교해서 일치한 경우, 재차 각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에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지 않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중의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도록 했으므로, 송신측 마스터노드에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가 수신한 데이타를 송신한 데이타와 비교하여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나 항상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를 반신하는 경우에도 반신마스터노드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측마스터노드의 반신데이타열과 송신데이타열의 비교결과에 의한 송신노드 긍정신호의 내용으로 최종적으로 수신처리의 판단을 실시하므로,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동일 통신프레임에서 여러개의 노드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효율이 좋다. 또, 슬레이브노드측은 외부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통신시스템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자기앞으로의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타에 대해서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므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측 슬레이브노드가 수신에러를 검출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자기앞으로의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수신측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므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측 슬레이브노드가 수신에러를 검출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송신측 마스터노드에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가 수신한 데이타를 송신한 데이타와 비교하여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나 항상 에러를 검출하는 경우에도 송신마스터노드측에서 확인 할 수 있고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측 마스터노드의 식별비트를 포함하지 않은 반신데이타여열과 송신데이타열의 비교결과에 의한 송신노드 긍정신호의 내용으로 최종적으로 수신처리의 판단을 실시하므로,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에러를 검출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도 송신노드 긍정신호가 반신되어오면 수신처리가능으로 되므로 재차, 송신측 마스터노드가 통신프레임을 송출할 필요가 없어 통신효울이 좋아진다. 또, 동일 통신프레임에서 여러개의 노드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효율이 좋다. 또, 슬레이브노드측은 외부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통신시스템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그 데이타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 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만을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과 송신한 송신데이타열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해서 일치한 경우, 재차 각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지 않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중의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도록 했으므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여러개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중, 송신데이타를 보낼 필요가 있는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만 데이타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의 상태를 기억해 두어 송신데이타를 작성할 필요는 없고 또, 송신측 마스터노드에서수신측 슬레이브노드가 수신한 데이타를 송신한 데이타와 비교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의 에러검출기능이 고장나 항상 반신데이타열(긍성신호)를 반신하는 경우에도 송신마스터노드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유효비트가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측 마스터노드의 반신데이타열과 송신데이타열의 비교결과에 의한 송신노드 긍정신호의 내용으로 최종적으로 수신처리의 판단을 실시하므로, 통신시스템 전체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유효비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송신측 마스터노드의 반신데이타열과 송신데이타열의 비교결과에 관계없이 수신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므로, 수신버퍼레지스터의 내용은 변경되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동일 통신프레임서 여러개의 노드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효율이 좋다. 또, 슬레이브노드측은 외부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통신시스템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상태의 변화에 의해 송신했는지 안 했는지는 나타내는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각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경우, 다른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을 개시한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데이타열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마스터노드로 송신하고,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를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 반신하고, 반신되어 온 긍정신호를 받은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마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이 완료했다고 판단하므로,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여러개의 송신측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슬레이브노드가 상태가 변화하여 통신해 왔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상태가 변하고 있지 않는 슬레이브노드의 현시점의 상태도 동일 통신프레임으로 확인가능하다.
또,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측 마스터노드의 긍정신호의 내용으로 정상으로 송신할 수 있었는지 판단하므로,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슬레이브노드측은 외부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로성이 높은 통신시스템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20)

  1.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 중 상기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2.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노드는 송신데이타열(4)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중 상기 송신데이타열(4)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4)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재차 수신측노드로 송신노드긍정신호(16)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16)을 받은 수신측노드는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3.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만을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상기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에 송신노드 긍정신호(37)으로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은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지 않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송신데이타열(35)중의 자기슬레이브 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수신버퍼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6.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그 데이타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35)를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송신데이타열(35)에 대응하는 수신데이타열중의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만을 저장하고,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저장한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고,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반신되어 온 반신데이타열(36)과 자기가 송출한 송신데이타열(35)를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고, 상기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슬레이브노드에 할당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반신하고, 이 송신노드 긍정신호(37)을 받았던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유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해을 때에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에 대해 반전한 데이타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을 갖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중의 자기에 할당된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기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비트를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36)으로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로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9.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슬레이브식별영역을 갖는 송신데이타열(51)을 포함하는 통신프레임을 각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경우, 다른 슬레이브노드는 송신을 개시한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데이타열(51)중의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마스터노드로 송신하고, 수신측 마스터노드는 수시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52)를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 반신하고, 반신되어 온 긍정신호(52)를 받은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바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이 완료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식별영역은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갖고, 수신마스터노드는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송신데이타열(51)로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에 식별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노드에 대해서만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11.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에서는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레지스터와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노드에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와 상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2.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노드가 여러개 전송로에 접속되고, 각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노드에서는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수신측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상기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시하고, 상기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 수신측노드로 수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노드에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를 수신데이타로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와 상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신제어장치.
  13.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인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상기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상기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 중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한 영역은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와 상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 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6.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어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베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마스터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를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서 수신한 데이타영역과 유효무효영역을 갖는 반신데이타열을 저장하는 반신데이타열버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의 내용과 상기 반신데이타열버퍼의 내용을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상기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가 일치한 슬레이브노드에 대해 수신측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으로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고, 송신마스터노드로부터의 송신노드 긍정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데이타를 유효로 하고, 유효무효영역의 데이타가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기앞으로의 수신데이타를 무효로서 처리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데이타 중,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의 수신데이타 및 유효무효데이타는 그대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 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와 상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한 수신데이타를 그대로 반신데이타열(긍정신호)로서 송신측노드로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영역의 데이타를 반전해서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는 통신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는 각 슬레이브노드 대응에 수신에러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영역과 자기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타영역을 갖고, 수신측 슬레이브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상기 수신버퍼 레지스터에 자기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영역에 식별비트를 설정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데이타영역 및 식별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19. 각각의 제어계 및 통신제어장치를 갖는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가 전송로에 접속되고, 송출되는 데이타는 우선비트와 비우선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타가 충돌한 경우, 우선비트가 전송로로 송출되는 전송로제어방식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마스터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노드의 통신제어장치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는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마스터노드앞으로의 송신데이타 및 슬레이브측 식별영역을 저장하고, 다른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은 비우선비트를 삽입해서 저장하는 송신버퍼 레지스터, 각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수신측 마스터노드로부터의 긍정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정상으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판단하는 수신제어부를 갖고, 송신요구가 나온 경우,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송신하고 또,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다른 슬레이브노드중 어느 노드가 송신을 개시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송신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영역을 포함하는 송신데이타를 통신프레임에 조립해서 다른 송신을 개시한 슬레이브노드에 추종해서 송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고, 수신측마스터노드는 수신한 통신프레임을 해독하여 통신프레임의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는 수신제어부, 상기 수신제어부에서 해독한 수신데이타 및 슬레이브노드식별데이타를 저장하는 수신버퍼 레지스터와 상기 수신제어부가 수신한 통신프레임에 에러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송신측 슬레이브노드로부터의 수신데이타 중, 상기 슬레이브노드 식별데이타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슬레이브노드에만 각 슬레이브노드에 대응한 긍정신호영역에 긍정신호를 내고 반신하는 송신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20. 상기 슬레이브노드의 송신버퍼 레지스터는 슬레이브노드가 송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내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장치.
KR1019950048630A 1995-06-15 1995-12-12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KR0180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49072 1995-06-15
JP14907295A JP3351175B2 (ja) 1995-06-15 1995-06-15 通信制御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11A KR970004511A (ko) 1997-01-29
KR0180950B1 true KR0180950B1 (ko) 1999-05-15

Family

ID=1546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630A KR0180950B1 (ko) 1995-06-15 1995-12-12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54531A (ko)
JP (1) JP3351175B2 (ko)
KR (1) KR0180950B1 (ko)
DE (1) DE19547000C2 (ko)
FR (1) FR2735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1443A (en) * 1996-03-23 1997-09-24 Ibm Data message transfer in batches with retransmission
JPH1051514A (ja) * 1996-07-30 1998-02-20 Oki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フェース装置
DE19752031C2 (de) * 1997-11-24 2000-08-1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elektiven digitalen Übertragung von Bitfolgen
EP0920154B1 (de) * 1997-11-24 2004-11-03 STMicroelectronics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elektiven digitalen seriellen Übertragung
US6795871B2 (en) 2000-12-22 2004-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sensor and man machine interface bus
US6915444B2 (en) * 2001-09-12 2005-07-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Network independent safety protocol for industrial controller using data manipulation techniques
FR2846822B1 (fr) * 2002-10-31 2005-03-25 Mediaflow Inc Reseau local industriel ou domestique
DE10252109B4 (de) * 2002-11-08 2005-11-10 Siemens Ag Verfahren zur Parametrierung
JP5239252B2 (ja) * 2007-02-28 2013-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及び半導体ストレージ装置
CN105701058B (zh) * 2008-05-21 2019-05-03 惠普开发有限公司 具有位置检测的多站串行总线和方法
US9454504B2 (en) * 2010-09-30 2016-09-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ave device bit sequence zero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6144B1 (fr) * 1979-09-18 1986-11-07 Lignes Telegraph Telephon Procede de test d'une ligne de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entre deux modems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JPS57129050A (en) * 1981-02-03 1982-08-10 Hitachi Ltd Loop communication system
DE3137904C2 (de) * 1981-09-23 1985-10-3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für Fernmeldevermittlungsanlagen, insbesondere 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mit Einrichtungen zur Sicherung der Übertragung codierter Signale
JPS58134554A (ja) * 1982-02-03 1983-08-10 Nec Corp 伝送路監視装置
JPS63131632A (ja) * 1986-11-20 1988-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誤り制御機能付通信装置
US5289474A (en) * 1988-02-01 1994-02-22 Allen-Bradley Company, Inc.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testing system
JPH03276934A (ja) * 1990-03-27 1991-12-09 Fuji Photo Film Co Ltd データ通信の誤り検出システム
US5357525A (en) * 1991-04-02 1994-10-1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JP2662912B2 (ja) * 1991-10-08 1997-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JPH0750654A (ja) * 1993-08-04 1995-02-21 Nissin Electric Co Ltd 通信機の試験方法
US5457701A (en) * 1994-01-06 1995-10-10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for indicating packet errors in a packet-based multi-hop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511A (ko) 1997-01-29
DE19547000A1 (de) 1996-12-19
FR2735641A1 (fr) 1996-12-20
DE19547000C2 (de) 1997-06-19
JP3351175B2 (ja) 2002-11-25
FR2735641B1 (fr) 2000-01-14
JPH098831A (ja) 1997-01-10
US5754531A (en) 199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950B1 (ko) 통신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39973B1 (ko) 데이타 처리장치에서의 데이타교환 및/또는 신호처리의 동기를 위한 구조화 메시지방법
RU26209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при передаче данных в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шинной системе
RU25974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аптации надежнос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шинной системе
US7689882B2 (en) Fault diagnosis in relaying data among a plurality of networks
JPH08510625A (ja) 少なくとも2つの分散形制御装置間のデータの周期的伝送方法
JPS594906B2 (ja) デジタルデ−タを伝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3229875A (ja) Can−コントローラ内部のデータ伝送におけるエラーの認識方法,can−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制御装置
US7890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network, as well as a corresponding network
US5483661A (en) Method of verifying identification data in data driv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151306A (en) Vehicle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JP2008098901A (ja) データ通信方式
EP0739119B1 (en) Buffer apparatus
US20050066258A1 (en) Error decoding circuit, data bus control method and data bus system
CN114615353B (zh) 一种基于axi总线的rmap目标方ip核及其命令响应方法
US6987776B1 (en) Multiplex communication method, the device and the system thereof
US5479421A (en) Data input control device for serial controller
Bell Network protocols used in the automotive industry
US5559998A (en) Clock synchronous serial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reliable information even when noise is present
JPH0837464A (ja) エラーチェックコード生成装置およびエラーチェック装置
JP2654877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5339451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wherein the setting of the transmit data word number indicates whether a new 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should be sent
CN115701595A (zh) 具有帧内响应的串行数据通信
JPS62257239A (ja) 車両用デ−タ伝送システム
JPH0946266A (ja) 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