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78B1 -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78B1
KR0178778B1 KR1019900012707A KR900012707A KR0178778B1 KR 0178778 B1 KR0178778 B1 KR 0178778B1 KR 1019900012707 A KR1019900012707 A KR 1019900012707A KR 900012707 A KR900012707 A KR 900012707A KR 0178778 B1 KR0178778 B1 KR 017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mpoule
shutter
discharge plat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446A (ko
Inventor
토시야스 에하라
터쓰 고바야시
마사오 타까다
Original Assignee
나이토우 하루오
에자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우 하루오, 에자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토우 하루오
Publication of KR91000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보급장치의 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4도는 앰플등을 반송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케이스를 뒷쪽에서 본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케이스의 세로 홈 부근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도.
제7도는 케이스를 쌓아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8도는 케이스 반입부, 케이스 반출부 및 앰플 보급부의 내면을 표시하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
제9도는 반입 콘베이어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좌측면도.
제10도는 케이스 반입부와 케이스 반출부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케이스 반입부와 케이스 반출부의 각 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12도는 케이스 반입부와 케이스 반출부의 평면도.
제13도는 케이스 반입부의 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제14도는 쌓아 올려진 케이스를 리프터로 밀어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케이스 반입부의 설명도.
제15도는 종축 슬라이드 아암의 부근 및 앰플 보급부의 하방에 설치된 리프터 부근의 정면도.
제16도는 종축 슬라이드 아암 및 횡축 슬라이드 아암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7도는 앰플 보급부의 하방에 설치된 리프터 부근과 케이스 반출부의 리프터 부근의 좌측면도.
제18도는 앰플 보급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19도, 제20도, 제21도는, 각각 이동 케이스체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제22도는 앰플 보급부의 상부 근처 및 콘베이어 부근의 측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평면도.
제24도는 케이스 전진장치 및 퓨셔(pusher) 실린더 부근의 측면도.
제25도는 퓨셔 및 돌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제26도는 제24도의 정면도.
제27도는 케이스의 셔터가 수직상태로 된 것을 보여주는 케이스 전방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설명도.
제28도는 앞배출판을 전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제29도는 압압판이 돌기에 의하여 앞으로 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케이스 후방의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설명도.
제30도는 이동 케이스체에 의하여, 앰플을 콘베이어위에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1도는 후배출판의 좌우에 카바를 설치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32도는 제30도의 앰플의 이동이 종료하고, 앞 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떼어낸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3도는 케이스 반출부의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제34도 내지 제37도는 앰플을 반출한 후 빈 케이스를 케이스 반출부의 레버에 적층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제34도에서는, 최초의 빈 케이스를 하부 레버로부터 상부 레버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제35도에서는, 제34도의 이송을 종료한 상태를 보여주고,
제36도에서는, 두 번째의 빈 케이스가 하부 레버로 반송되어 온 상태를 보여주고,
제37도는 여러단에 적층된 빈 케이스를 케이스 반출부의 리프터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급장치 11 : 장치 본체
12 : 제어장치 13 : 조작박스
14 : 문짝 15 : 지지 레그
16 : 캐스터(caster) 60 : 케이스
60,61 : 측면판 62 : 셔터
63 : 후면판 64,65 : 세로홈
66,67 : 굴곡부분 68,69 : 돌기
70 : 압압판 71 : 후크(hook)
72 : 창구멍 73 : 윗쪽 플랜지
74 : 아랫쪽 플랜지 75,76 : 위치결정용 돌기편
77 : 후측 요홈부 78 : 앞쪽 요홈부
100 : 케이스 반입부 101 : 캐리지
102 : 반입 콘베이어 103,104 : 무단벨트
105,106 : 종동 스프로케트(sprocket)
107,108 : 구동 스프로케트 109 : 종동축
110,111 : 지지레일 112 : 모터
113,114 : 톱니바퀴 115 : 구동축
117 : 리프터 118 : 실린더
119,120 : 가이드 봉 121,122 : 센서
123,124 : 도입 가이드판 125,126 : 레버
127,128 : 회전축 129,130 : 크랭크 아암
131,132 : 실린더 133,134 : 플레이트
135 : 고정구멍 136 : 스토퍼
140 : 리프터 141 : 실린더
142,143 : 가이드 봉 144 : 회전체
145 : 종축 슬라이드 아암 146 : 기단부
147 : 가이드 148 : 로드리스(rodless) 실린더
149,150 : 스위치 153 : 리프터
154 : 회전체 155 : 센서
156 : 가이드 157 : 퓨셔
158 : 실린더 159,160 : 가이드
162 : 실린더 163,164 : 가이드 로드
170 : 횡축 슬라이드 아암 171 : 로드리스 실린더
172,173 : 스위치 174,175 : 레일
200 : 앰플 보급부 201 : 이동 블록체
202,203 : 레일 204 : 회전 나사봉
205,206 : 타이밍풀리 207 : 타이밍벨트
208 : 모터 210 : 브라케트
213 : 제1 플레이트 214 : 제2플레이트
215 : 제3플레이트 216 : 콘베이어
217,218 : 센서 220,221,222 : 로드리스 실린더
223,224,225,226,227,228 : 가이드 지주
230 : 브라케트 231 : 회전축
232 : 크랭크 233 : 척
234 : 모터 235,236 : 타이밍 풀리
237 : 타이밍벨트 238 : 실린더
239 : 피스톤 240 : 볼트
241 : 앞배출판 242 : 후배출판
243 : 공간부 250 : 전진장치
251 : 전진장치 본체 252,253 : 레일
254 : 실린더 255,256 : 크램프
257,258 : 실린더 260 : 퓨셔
261,262 : 돌기 263 : 퓨셔 실린더
264 : 브라케트 265,266 : 터널
267,268 : 로드 270,271 : 가이드
272 : 앰플 도입판 273,274 : 로울러
281 : 틈 283,284 : 가이드 레일
285,286, 박판형상의 카바 300 : 케이스 반출부
301,302 : 상부 레버 303,304 : 하부 레버
305,306 : 회전축 307,308 : 크랭크 아암
309,310 : 실린더 311,312 : 회전축
313,314 : 크랭크 아암 315,316 : 실린더
320 : 리프터 324,325 : 가이드 지주
326 : 구동 스프로케트 327 : 종동 스프로케트
328 : 모터 329 : 톱니바퀴
본 발명은, 앰플등의 직입체를 수납한 케이스로부터 앰플등을 한번에 인출하여 포장이나 멸균처리 등의 다른 공정으로 반송하는 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 반송에 사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컨대 앰플을 일시 수납한 후에 포장공정 등에 반송하기 위하여 케이스내로부터 기계를 사용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특별한 케이스나, 앰플을 콘베이어 등에 자동적으로 보급하는 장치 등이 없었다.
따라서, 앰플을 보통 상자 등에 수납하고, 오직 사람의 손으로 인출하여, 콘베이어 등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인간이 손으로 보급해서는 공정의 자동화, 라인화가 도모되지 않고, 노력을 경감할 수 없다.
한편, 앰플은 길게 세워져 있어 넘어지기 쉬운 형상이므로, 앰플을 넘어지게 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장치 등에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하기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를 사용하여 앰플등의 길다랗고 넘어지기 쉬운 형상인 직입체를 일시 수납하고 있던 케이스로부터 간편하고 또한 안전하게 인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1)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 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 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끼워넣어 구성한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내에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끼워넣는 공정과,
2) 상기 케이스로부터 셔터를 빼내는 공정과,
3) 상기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까지 횡축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4) 상기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의 윗쪽에서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케이스내에 전후로 끼워넣은 각 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앰플등의 직입체의 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으로서,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내도록 끼워넣은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내에 출입하는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과, 상기 케이스로부터 셔터를 빼낼 수 있는 척과, 상기의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횡축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앰플등의 직입체를 반송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앰플등의 직입체의 케이스로부터의 인출, 반송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발명은 다음 효과를 얻는다.
A) 케이스내에 들어간 각 배출판에서 앰플의 전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척으로 셔터를 빼낸 후에도 앰플이 튀어나와 넘어지는 일이 없다.
B) 각 배출판에서 앰플의 전후를 유지하여 세워진 대로 앰플을 케이스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종래 곤란하였던 앰플의 장치적 이송이 실현되고, 공정의 자동화, 라인화가 도모되고, 작업자의 노력이 현저히 경감된다.
C) 또한,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의 세로 홈에 끼워넣은 셔터가 케이스의 반송방향으로 앞으로 경사지게 해서 이 셔터를 걸수 있는 돌기를 설치하면, 셔터가 돌기에 걸리게 되어 반송방향으로 향하여 앞으로 기울어져 유지되므로, 미리 그 상태로 앰플을 케이스내로 수납해 두고, 후에 셔터를 돌기로부터 해방하여, 셔터를 수직으로 되게하면 셔터와 앰플과의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앞배출판을 무리없이 하강시켜서 앰플을 유지할 수 있어 앰플을 파손하는 일이 없다.
또한, 케이스의 후면판의 내면에 앰플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압압판을 장착하면, 압압판을 앞쪽으로 밀어내므로서, 앰플을 이동시켜 틈이 생기므로, 후배출판을 무리없이 하강시켜서 앰플을 유지할 수 있어 앰플을 파손하는 일이 없다.
D)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내에 전후로 끼워넣은 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에 있어서, 후배출판을 인출한 후에, 압배출판을 빼내고, 앞배출판의 이동속도를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의 반송 속도보다도 빠르도록 하면,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의 앰플등의 직입체는, 마찰을 발생하지 않고 앰플의 파손 없이 반송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를 반입해서 이송하는 반입 콘베이어를 구비한 반입부와,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로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반송을 끝낸 속이 빈 케이스를 반출하는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앰플등의 직입체를 인간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앰플등의 직입체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고,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으로 반송할 수 있다.
더욱이,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에는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홈을 설치하고, 이 세로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끼워넣은 것을 사용하면 알맞게 된다.
이하, 본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보급장치(10)의 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제2도는 동 전면도, 제3도는 동 좌측면도이다.
도면번호(11)은 장치 본체이며, (12)는 제어장치, (13)은 조작박스이다. 제어장치(12)는 문짝(14)이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치본체(11)는 통상은 지지 레그(15)로 지지되어 있으나, 캐스터(16)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50)은 다수의 앰플(a)이 정열되어 채워져 있는 케이스이며, 단적(段積)된 케이스(50)가 케이스 반입부(100)로부터 순차로 하나씩 장치본체(11)내로 반입되어서, 장치 본체(11)의 하부를 횡축으로 이동한 후, 세로로 이동하고, 앰플 보급부(200)의 하부에 도달한다. 리프터(153)에 의하여 상승하고, 앰플 보급부(200)로 도달한다. 이곳에서 케이스내의 앰플(a)이 인출되고, 콘베이어(216)로 반송된 후, 속이 빈 케이스(50)는 리프터(153)로부터 하강하여 옆으로 이동하고, 케이스 반출부(300)로부터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케이스(50)로부터 설명한다.
제4도, 제5도는 케이스(50)를 달리하는 방향에서 본 사면도이며, (60), (61)은 좌우의 측면판, (62)는 셔터, (63)은 후면판이다.
좌우의 측면판(60),(61)의 앞쪽에는 한쌍의 세로홈(64),(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셔터(62)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굴곡 부분 (66),(67)이 마침 이 세로홈(64),(65)에 끼워들어 가도록 되어 있다. 세로홈(64),(65)는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거의 3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저부에 돌기(68),(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세로홈(64),(65)에 끼워넣은 셔터(62)가 이 돌기(68),(69)의 뒷쪽 혹은 앞쪽중 어느 쪽으론가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6a도는 끼워넣은 셔터(62)가 돌기(68),(69) 보다도 뒷쪽 요홈부(77)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셔터(62)는 수직보다도 약간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제6b도는 셔터(62)가 돌기(68),(69)보다도 앞쪽의 요홈부(78)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는 셔터(62)는 수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장치본체(11)로 반입되기 전의 앰플(B)이 채워져 있는 케이스(50)에서는, 셔터(62)는 제6a도처럼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최전방의 열에 있는 앰플(a)는 셔터(62)의 하단에 접촉되어 있으며, 셔터(62) 상단으로부터 떨어져 늘어 놓여있다.
후면판(63)의 내측에는 압압판(70)이 후크(71)을 지점으로하여,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후면판(63)에 돌설된 창구멍(72)으로부터 퓨셔가 출입하여 이 압압판(70)을 앞쪽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 도면번호(74)는 하방 플랜지이며, 제7도와 같이 케이스(50)를 여러개 포개어 단적되었을 때에 이들 윗쪽 플랜지(73)와 아랫쪽플랜지(74)가 걸어 맞춰져서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75),(76)은 위치 결정용의 돌기편으로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앰플 보급부(200)에서 이용되는 것이다.
다음에 보급장치(10)를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 반입부(100)부터 설명한다.
케이스 반입부(100)에는 예컨대 10단으로 쌓아올린 케이스(50)가 반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반입은 예컨대 캐리지(101)를 이용해서 행하여지고 있다.
장치본체(11)의 내부에 반입 콘베이어(102)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반입 콘베이어(102)에 의하여 단적된 케이스(50)가 밑으로부터 순차로 하나씩 장치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8도, 제9도는 장치본체(11)의 내부에 있는 반입 콘베이어(102)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면번호(103),(104)는 2열로 늘어놓여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무단 벨트로서, 종동 스프로케트(105),(10힛와 구동 스프로케트(107),(108)에 각각 돌려 감겨지고 있다.
도면번호(109)는 장치내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종동축이고, (110),(111)은 무단 벨트(103),(104)의 지지레일이다.
장치 전방에는 모터(112)가 있으며, 그의 회전이 톱니 바퀴(113),(114)를 거쳐 구동축(115)으로 전달되어서, 무단벨트(103),(104)의 둘레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117)은 케이스 반입부(100)에 설치된 리프터이며, 무단 벨트(103),(10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번호(118)은 이 리프터(117)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이고, (119),(120)은 가이드 봉이다.
케이스(50)가, 케이스 반입부(10이로 단적상태로 반입된후에 반송이 어떻게 행하여 지는가를 다음에 설명한다. 케이스 반입부(100)에 단적상태의 케이스(50)가 반입되면 상.하로 설치된 2개의 센서(121),(122)로 검지하여, 반입 콘베이어(102)의 움직임이 제어되고, 리프터(117)의 바로위에 단적된 케이스(50)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센서를 상하로 배치한 이유는, 단적된 케이스(50)가 다소 굴절되어 반입되어도 검지 누락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면번호(123),(124)는 보급장치(10)에 대한 케이스(50)의 도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입 가이드 판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케이스 반입부(100)에서 정지시켜진 케이스(50)의 양측으로부터는, 제11도에서 보여주는 레버(125), (126)가 출입하여 케이스(50)의 위쪽 플랜지(73)를 매달리게 함으로써, 단적상태에 있는 케이스(50)를 반입 콘베이어(102)보다도 위쪽에서 지지할 수 있다.
레버(125),(126)의 작용에 대하여 제12도, 13도에 따라 설명하면, 레버(125),(126)은 회전축(127),(128)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27),(128)의 거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 아암(129),(130)을 실린더(131),(132)로 상.하로 이동케함으로써, 레버(125),(126)은 케이스(50)로 향하여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레버(125),(126) 등의 높이 위치는 플레이트(133),(134)에 다수 뚫려있는 고정구멍(135)의 위치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단적되어 반입된 케이스(50)을 제14도와 같이 리프터(117)로 밀어올리고, 그후 레버(125),(126)을 안쪽으로 돌출시킨 후 리프터(117)를 하강시키면, 제11도에서와 같이, 2단 보다도 윗쪽에 적재된 케이스(50)는 레버(125),(126)으로 지지되고, 무단벨트(103),(104)위에는 단적된 제1 밑에 있던 케이스(50)만이 이동 적재된다.
더욱이, 이와같이 제1 밑에 있는 케이스(50)로부터 순차로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은, 많은 케이스(50)를 단적했을 때에 윗쪽에 쌓인 케이스에 누적적으로 큰 위치상의 어긋남이 생겼을 경우에도, 제1 밑의 케이스(50)의 위치는 레버(125),(126)에 의하여 매달려져서 항상 반입 콘베이어(102)위에 반송방향으로 평행한 자세로 된다. 즉, 레버(125),(126)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2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125),(126)가 케이스(50)의 가이드의 역할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밑의 케이스(50)는, 이미 레버(125),(126)에 의하여, 반입 콘베이어의 반입방향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의 케이스(50)를 인출할 수 없고, 무단벨트(103),(104)위에 반송 방향으로 평행한 자세의 케이스(50)를 이송 적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모터(112)로 반입 콘베이어(102)를 가동시킴으로써, 케이스 반입부(100)로 단적상태로 반입된 케이스(50)는 순차로 하나씩 무단벨트(103),(104)로 장치 전방으로 이송되고, 가장 앞의 위치에 오면 케이스(50)가 스토퍼에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112)의 가동이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반입 콘베이어(102)의 최전방 위치로 보내진다. 이 위치에는, 무단벨트(103),(104) 사이에서, 케이스(50)의 밑에 리프터(140)가 배치되어 있다. 제9도에서, 도면번호(141)은 이 리프터(1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이며, (142),(143)은 가이드 봉이다. 리프터(140)의 상면에는 케이스(50)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체(144)가 전후로 다수 부착되어 있다.
반입 콘베이어(102)상의 최전방 위치에 정지한 케이스(50)의 약간 윗 쪽에는 종축 슬라이드 아암(145)이 있다. 제15도에서와 같이, 종축 슬라이드 아암(145)의 기단부(146)는 가이드(147)에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로드리스 실린더 (148)의 가동으로 종축 슬라이드 아암(145)은 좌우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149),(150)은 횡축 슬라이드 아암(145)이 좌우단으로 온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이다.
그리하여, 반입 콘베이어(102)의 최전방 위치에 정지한 케이스(50)는 리프터(140)로 벨트(103),(104) 윗쪽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종축 슬라이드 아암(145)으로 측면으로부터 눌려짐으로써 세로쪽으로 이동하고, 중간 회전체(152)를 통해서, 제15도, 제16도에서와 같이 리프터(153)의 윗쪽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제8도, 제15도에서와 같이, 리프터(153)의 상면에는 케이스(50)의 반입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회전체(15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번호(155)는 케이스(50)의 반입을 검지하는 센서, (156)은 반입되는 케이스(50)가 옆으로 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157)은 리프터(153)위에서 케이스(50)의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한 위치결정 퓨셔로서, 실린더(158)의 가동에 의하여 가이드(159),(160)에 따라서 출입하는 것이다.
제17도에서와 같이, 리프터(153)의 하면에는 실린더(162), 가이드로드(163),(164)가 부착됨으로서, 리프터(153)는 상하 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반입 콘베이어(102)의 최전방 위치에 있던 케이스(50)는 종축 슬라이드 아암(14뚫으로 눌려서 리프터(153)위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퓨셔(157)에 의하여 자세를 교정한 후 리프터(153)가 상승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케이스(50)는 부착 상면의 앰플 보급부(200)로 반송된다.
그리하여, 이 앰플 보급부(200)에 있어서, 다음에 설명하는 앰플(a)의 인출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제18도 내지 제21도를 바탕으로 하여 앰플 보급부(200)를 설명하면, 도면번호(201)은 이동 블록체로서 장치본체(1)의 상면에 배치된 2개의 레일(202),(203)상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면번호(204)는 회전 나사봉이며, 타이밍 풀리(205),(206) 및 타이밍 벨트(207)에 의하여 모터(208)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동 불록체(201)의 하면에는 브라케트(2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브라케트(210)에 회전 나사봉(204)을 나사식으로 관통케 하고 있음으로써, 모터(208)의 가동으로 회전 나사봉(204)이 회전하면 이동 불록체(201)가 레일(202),(203) 위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8도에서와 같이, 이동 블록체(201)에는 제1-3의 플레이트 (213)-(215)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번호(216)은 예컨대 포장, 멸균처리 등의 다른 공정을 행하는 장치에 앰플(a)을 공급하는 콘베이어이며, 이동 블록체(20기를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플레이트(213),(214),(215)는 콘베이어(216)위로까지 횡축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 (217),(218)은 그의 이동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각 플레이트(213),(214),(215)에 로드리스 실린더(220),(221),(222)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 각 가이드 지주(223)(224), (225)(226), (227)(228)에 따라서 각 플레이트(213),(214),(215)는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0도에서와 같이, 제1 플레이트(213)에는 브라케트(230)으로 회전축(23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231)에 클랭크(232)를 거쳐 척(233)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 플레이트(213)의 전면에 부착된 모터(234)로 타이밍 풀리(235),(236) 및 타이밍 벨트(237)을 거쳐 회전축(231)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클랭크(232)는 회동하고, 척(233)은 요동하고, 척(233)선단과 제1 플레이트(213) 하단이 개폐 하도록 되어 있다(제19도 참조).
제20도에서와 같이, 제1 플레이트(213)는 이동 블록체(201) 하부에 고정된 실린더(238)에 의해서도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즉, 로드리스 실린더(220)의 가동으로 제1 플레이트(213)가 하강하여 최하점 부근으로 오면, 실린더(238)의 피스톤(239)상단이 제1 플레이트(213) 하단에 나사식으로 부착된 볼트(240)의 머리에 당접해서 밀어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밀어내려진 상태에서 실린더(238)를 가동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213)은 피스톤(239)이 밀어내려진 분만큼 밀어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 피스톤(235)으로 밀어 올려진 제1 플레이트(213)의 높이는 볼트(240)를 회전하여 돌출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14)의 전면에는 앞배출판(241)이 부착되고 있으며, 로드리스 실린더(221)를 작동시킴으로써, 앞배출판(241)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3플레이트(215)의 후면에는 뒷배출판(242)이 부착되어 있으며, 로드리스 실린더(222)를 작동시킴으로써, 뒤배출판(242)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앰플 보급부(200)에 있어서, 콘베이어(216)의 바로 앞쪽은 공동(243)으로 되어 있으며, 리프터(153)로 밀어 올려진 케이스(50)는 이 공동(243)부내로 상승하여 장치본체(1)의 상면으로 도달한다.
제22도, 제23도는 케이스(50)가 리프터(153)로 밀어 올려진 상태의 앰플 보급부(200)를 보여주고 있다.
케이스(50)의 반송방향과 반대쪽에는 전진장치(25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번호(251)은 전진장치 본체로서, 전진장치 본체(251)의 양측단에 설치된 레일(252),(253)에 따라 실린더(254)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번호(255),(256)은 전진장치 본체(251)의 양측에 부착된 크램프이며, 전진장치 본체(251)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257),(258)를 작동시킴으로써, 케이스(50) 후면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용 돌기편(75),(76)을 단단히 붙잡도록 되어 있다.
제24도에서와 같이, 전진장치 본체(251)의 하면에 퓨셔(26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퓨셔(260)의 전면에는 돌기(261),(262)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번호(263)은 퓨셔 실린더로서, 전진장치 본체(251)의 중앙 하면에 돌설된 브라케트(264)에 고정되어 있다.
브라케트(264)의 좌우에는 제25도에 제시되어 있는 것처럼, 터널(265),(266)이 배치되어 있으며, 퓨셔(260)의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로드(267),(268)가 이들 터널(265),(266)내를 끼워져 통하고 있다.
그리하여, 전진장치(250)의 크램프(255),(256)로 케이스(50)의 위치결정용의 돌기편(75),(76)을 잡은 상태에서, 퓨셔 실린더(263)을 작동시키면, 퓨셔(260)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케이스(50)의 추측판(63)으로 접근하고, 퓨셔(260) 전면의 돌기(261),(262)가 케이스 후면판(63)의 창구멍(72)으로부터 끼워 들어가서 압압판(70)을 운동시키는 것이다.
제22도, 제23도에서와 같이, 케이스(50)의 전방에는 케이스 위치결정 가이드(270),(271)가 좌우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그의 아래쪽에는 콘베이어(216)과 거의 간격이 없도록 앰플 도입판(27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진장치(250)의 실린더(254)를 작동시킴으로써 케이스(50)를 전진시키면, 케이스(50)의 좌우의 측면판(60),(61)의 양단이 이들 가이드(270),(271) 사이에서 유도됨으로써, 케이스(50)는 반송방향에 대해서, 올바른 자세로 콘베이어(216)의 바로 앞위치로 이동하고, 이때 케이스(50) 전단은 앰플 도입판(272)과 밀착함으로써 케이스(50), 앰플 도입판(272) 및 콘베이어(216)의 3자가 같은 높이로 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270),(271)에는 로울러(273),(27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하에 기술하는 케이스(50)의 셔터(62)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50)가 앰플 보급부(200)로 운송된 이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프터(153)의 상승에 의하여 케이스(50)가 앰플 보급부(200)로 보내지면, 먼저 전진장치(250)의 크램프(255),(256)가 케이스(50) 후부를 붙잡고, 실린더(254)로 케이스(50)를 전진시키고, 가이드(270),(271) 사이에서 똑바로 콘베이어(216)의 바로 앞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이동 블록체(201)의 제일앞에 있는 제1 플레이트(213)가 하강하여 제1 플레이트(213) 하단이 케이스(50)의 셔터(62)의 플랜지(73) 상면에 맞닿고, 그후 모터(234)가 회전함으로써, 척(233)가 폐쇄되고, 셔터(62)의 플랜지(73)는 상하로부터 붙잡혀진다.
또한, 케이스(50)에 대하여 최초로 설명한 바와같이, 셔터(62)는 돌기(68),(69)보다 뒷쪽의 요홈부(77)에 있으며, 셔터(62)는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실린더(238)를 가동시켜서 제1 플레이트(213)를 약간 밀어올리면, 제27도에서와 같이 셔터(62)도 약간 상승하고, 셔터(62)와 돌기(68),(69)의 걸어맞춤이 벗겨짐으로써, 셔터(62)는 수직으로 되고, 케이스(50)내의 최전방의 열에 늘어 놓여진 앰플(a)과 셔터(62)와의 사이에 틈(280)이 형성된다.
이상태에서 로드리스 실린더(221)를 가동시키고, 제2 플레이트(241)를 하강케하여 앞배출판(241)를 틈사이로 끼워 넣어서, 끼워넣음이 끝남후 이번에는 실린더(238)로 제1 플레이트(213)를 상승시켜서 셔터(62)를 케이스(50) 윗쪽으로 완전히 빼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하여, 앰플(a)와 셔터(62)와의 틈사이에서 무리없이 앞배출판(241)을 끼워넣을 수 있으며, 또한 앞배출판(241)을 끼워넣은후 셔터(62)를 빼내도록 하였으므로, 앰플(a)이 앞으로 튀어나와 넘어질 염려가 없다.
다음에, 모터(208)를 단시간 작동시켜서 이동 케이스체(201)를 약간만 앞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8도와 같이 앞배출판(241)를 전진시켜, 최전방의 열에 늘어놓인 앰플(a)로부터 앞배출판(241)를 약간만 앞으로 떨어지게 한다.
더욱이, 이 이동은 뒷배출판(242)의 두께와 같거나 혹은 그것보다 약간 많은 듯한 거리만큼 행한다.
다음에, 케이스(50)의 후방에서 퓨셔 실린더(263)를 작동시켜, 퓨셔(260) 전면의 돌기(261),(262)를 케이스 후면판(63)의 창구멍(72)으로부터 케이스(50)안으로 돌출시킨다. 이에 따라 제29도에서와 같이 케이스 후면판(63)의 내측을 압압판(70)이 앞으로 운동하고, 케이스(50)내에서 정열한 앰플(a)의 최후열이 밀려서 앞으로 운동한다.
그리하여, 케이스(50)내의 앰플(a) 전부가 최전방의 열의 앰플(a)와 앞쪽 배출관(241)의 떨어져 있던 분만큼 전진하고, 그분만큼 케이스 후면판(63)과 앰플(a)의 최후방의 열과의 사이에 틈(281)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퓨셔 실린더(263)를 되돌려서 돌기(261),(262)를 케이스 후면판(63)의 창구멍(72)으로부터 빼낸후, 이번에는 로드리스 실린더(222)를 가동하고, 제3 플레이트(215)를 강하시킴으로써, 후배출판(242)은 틈(281)에 무리없이 끼워들어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케이스(50)내의 앰플(a) 전체를 앞배출판(241) 및 후배출판(242)으로 유지한 후, 모터(208)를 재차 작동시켜 이동 블록체(201)를 전진시키면, 셔터(62)가 제거되어서 해방된 케이스(50) 전방으로부터, 앰플(a)은 전후의 배출판(241),(242)으로 유지되어 세워둔 채 이동하고, 제20도에서와 같이 콘베이어(216)상으로 이동한다.
이때, 케이스(50)와 콘베이어(216) 사이에 설치된 앰플 도입판(272), 좌우의 케이스 측판(60),(61) 및 콘베이어(216)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283),(284)에 의하여, 앰플(a)의 좌우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앰플(a)이 충돌함이 없이 원활한 이동을 하게된다.
더욱이, 제31도는 후배출판(24끗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후배출판(242)의 좌우양측에 박판현상의 카바(285),(286)을 부착하고, 후배출판(242)와 함께 케이스(50)내에 하강 끼워 들어가게 해서 앰플(a)의 양측을 유지하게 하면, 이 동시에 앰플(a)의 좌우양측과 케이스 측면판(60),(61)이나, 가드레일(283),(284)와의 마찰을 없앨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앰플(a)의 이동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하여 콘베이어(216)상에 모든 앰플(a)물 이동 시킨후, 먼저 로드리스 실린더(222)를 가동하고, 제3 플레이트(215)를 상승시켜서 후 배출판(242)을 빼낸다.
그후, 모터(208)를 가동하여 콘베이어(216)보다도 빠른 속도로 이동블록(201)을 전진시키면서, 로드리스 실린더(221)로 제2플레이트(214)를 상승시켜서 앞배출판(241)을 인상하고, 제22도에서와 같이 앞배출판(241)을 최전방의 열의 앰플(a)의 앞쪽 상부로 가져간다.
이와같이 하여, 앞배출판(241)을 콘베이어(216)보다도 빠른 속도로 전진시키면서 인상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앞배출판(241)을 인상할때 최전방의 열의 앰플(a)과의 마찰이 생겨서 앰플(a)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콘베이어(216)상에 남아있던 앰플(a)은 자유롭게되고, 다음에 콘베이어(216)에 의하여 반송된다.
그후, 모터(208)를 역으로 회전시켜서 이동블록(201)을 속이 비게된 케이스(50)위로 되돌아오게 하고, 실린더(238)로 제1 플레이트(213)을 하강시켜서 셔터(62)를 케이스 측면판(60),(61)의 세로 홈(64),(65)에 끼워들어가게 한다.
이때 가이드(270),(271) 상면에 배치된 로울러(273),(274)에 의하여, 셔터(62)의 끼워들어 감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셔터(62)의 끼워들어감이 종료하면, 모터(234)가 앞서와는 반대로 회전해서 척(233)이 개방하고, 셔터(62)를 격리시킨 후 실린더(238)가 가동해서 제1 플레이트(213)는 다시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진장치(250)의 실린더(254)가 가동하여, 케이스(50)를 리프터(153) 위로 되돌아오게 하고, 크램프(255), (256)를 개방한다.
속이 빈 케이스(50)가 리프터(153) 위에 실려지게 되면, 실린더(162)가 작동해서 리프터(153)이 하강하고, 케이스(50)는 장치본체(11) 내부로 되돌아온다.
이와같이 하여, 장치본체(11) 내부로 되돌아온 케이스(50)의 전방에는 제16도에서와 같이 횡축 슬라이드 아암(170)이 있다.
횡축 슬라이드 아암(170)은 로드리스 실린더(171)의 가동에 의하여 전후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172),(173)은 횡축 슬라이드 아암(170)이 전후단으로 온 것을 검지하는 스위치이며, (174),(175)는 횡축 슬라이드 아암(170)으로 케이스(50)가 후방의 케이스 반출부(300)로 올바른 자세로 보내지도록 안내하는 레일이다.
그리하여, 제11도에서와 같이 케이스 반출부에는 안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상.하의 레버(301),(302),(303),(304)가 있으며, 횡축 슬라이드 아암(170)으로 장치본체(11) 내부의 리프터(153)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한 빈 케이스(50)의 상부플랜지(73)는 하부 레버(303),(304)에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이상의 빈 케이스(50)의 송출을 행할때에는, 실린더에 의하여 가이드(156)가 하강해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부 레버(301),(302)는 회전축(305),(306)에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축(305),(306)의 전단에 고정된 크랭크 아암(307),(308)에 실린더(309),(310)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인하여, 상부 레버(301),(302)는 하측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제11-12도 참조).
똑같이 제11도에서와 같이, 하부 레버(303),(304)는 회전축(311),(312)에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축(311),(312)의 후단의 크랭크 아암(313),(314)에 부착된 실린더(315),(316)을 가동시킴으로써, 이들 하부 레버(303),(304)도 아래쪽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 하부 레버(303),(304)에 매달려진 케이스(50)의 아래쪽에는 리프터(3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프터(320)의 좌우 양측에는 무단벨트(321),(322)가 2열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기구는 제17도에서와 같은 것으로서, 리프터(320)의 하측에는 실린더(323), 가이드 지주(324),(325)가 부착되어 있다.
무단벨트(321),(322)는 구동 스프로케트(326)와 종동 스프로케트(327)에 돌려감겨지고 있으며, 모터(328), 톱니바퀴(329)로 둘레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케이스 반출부(300)에서 하부 레버(303),(304)에 매달려져 케이스(50)가 송출되면, 제34도에서와 같이 리프터(320)가 상승하여 빈 케이스(50)를 밀어 올린다.
더욱이, 이때, 케이스(50)의 하부 플랜지(74)가 하부 레버(303),(304)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 하부 레버(303),(304)를 개방한다. 그리하여 케이스(50)를 밀어올린 상태에서 상부 레버(301),(302)를 안쪽으로 돌출시키고, 그후 리프터(320)를 내림으로써, 케이스(50)의 상부 플랜지(73)가 상부레버(301),(302)에 걸려지게 되고, 제35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된다.
다음의 케이스(50)가 리프터(153)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재차 안쪽으로 돌출하게 한 레버(303),(304)에 매달리게 되면, 재차 리프터(320)가 상승해서 케이스(50)을 밀어 올리고, 다음에 계속해서 똑같은 작업을 되풀이함으로써, 제37도에서와 같이 상부 레버(301),(302)에는 여러단으로 쌓아 올려진 빈 케이스(50)가 걸려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상부 레버(301),(302)에 예컨대 10단의 빈 케이스(50)가 머물러 있게 되면, 리프터(320)를 일단 상승시켜서 단적된 빈 케이스(50)를 수취하고, 상하의 레버(301),(302),(303),(304)를 아래쪽으로 개방하여 리프터(320)를 밑으로 내림으로써, 단적된 빈 케이스(50)는 무단벨트(320),(322)위로 이동되고, 모터(328)의 가동으로 장치본체(11)후방으로 반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특정되어 기술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수정 실시예를 실시할수 있다.

Claims (18)

  1. 앰플등의 직입체의 케이스로부터 앰플등의 직입체를 인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낼수 있도록 끼워넣어 구성한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내에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끼워넣는 공정과, (B) 상기 케이스로부터 셔터를 빼내는 공정과, (C) 상기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까지 횡축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D) 상기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의 윗쪽에서 상기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안으로 전후로 끼워넣은 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앞배출판을 끼워넣는 공정전에, 최전방의 열의 앰플등의 직입체와 셔터와의 사이를 약간 개방하여, 앞배출판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앞배출판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는 공정은, 미리 셔터를 케이스의 반송방향으로 앞으로 경사지게 해두고, 상기 앞으로의 경사를 해제하여, 셔터를 수직으로 하고, 최전방의 열의 앰플등의 직입체와 셔터와의 사이를 개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후배출판을 끼워넣기 전에, 최후방의 열의 앰플등의 직입체를 앞으로 밀어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최후방의 열의 앰플등의 직입체를 앞으로 밀어내는 공정 전에, 앞배출판을 끼워넣은 후에 약간 반송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내에 전후로 끼워넣은 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에서, 후배출판을 빼낸 후에, 앞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앞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에서, 앞배출판의 이동속도를 콘베이어 등의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르게 하여, 앞배출판을 빼내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방법.
  8. 앰플등의 직입체의 케이스로부터 앰플등의 직입체를 인출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A)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낼수 있도록 끼워넣은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와, (B) 상기 수납 케이스내에 출입하는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과, (C) 상기 케이스로부터 셔터를 빼낼수 있는 척과, (D) 상기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을 횡축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E) 상기 앰플등의 직입체를 반송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의 세로홈에 끼워넣은 셔터를 케이스의 반송방향 앞으로 기울게 해서, 이 셔터를 걸리게 할 수 있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의 후면판의 내면에 앰플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한 압압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척을 약간 상승시켜서, 셔터를 걸어두고 있는 돌기로부터 셔터를 벗겨서 이 셔터를 수직상태로, 세로홈에 걸어둘 수 있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2. 앰플등의 직입체의 케이스로부터 앰플등의 직입체를 인출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A) 좌우의 측면판에 한쌍의 세로홈을 형성하고, 이 세로홈에 셔터를 자유롭게 빼낼 수 있도록 끼워넣은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와, (B)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를 반입하여 이송하는 반입 콘베이어를 구비한 반입부와, (C) 반입부로부터 이송되어 온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로부터 앰플등의 직입체를 인출하는 장치로서, a) 수납 케이스내에 출입하는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 b) 케이스로부터 셔터를 빼낼 수 있는 척, c) 앞배출판 및 후배출판 횡축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장치와, (D) 앰플등의 직입체를 반송하는 수단과, (E) 앰플등의 직입체 수납 케이스로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반송이 끝난 빈 케이스를 반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의 측부에 플랜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반입 콘베이어를 구비한 반입부에는, 단적된 케이스를 밀어 올리는 리프터와, 밑으로부터 2단째의 케이스 플랜지를 매다는 레버와 리프터위에 남은 케이스를 반입하는 반입 콘베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앰플등의 직입체의 반송이 끝난 빈케이스를 반출하는 수단은, 하나식 반출되는 케이스를 밀어 올리는 리프터와, 이 밀어올려진 케이스의 플랜지를 매다는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6.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직립으로 설치된 셔터(62)와, 후면판(63), 2개의 측면판(60)(61)으로 구성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앰플등의 직입체(a)를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양측면판(60)(61)의 각 측면이 가장자리 부근에는, 셔터(62)의 두 굴곡부분(66)(67)을 상방으로부터 자유롭게 끼워넣을수 있는 세로홈(64)(6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홈(64)(65)의 저부에는, 위를 향한 돌기(68)(69)가 형성되어 있어, 셔터(62)의 설치각도를 변화하게 할수 있고, 상기 설치각도의 변화에 의해서, 케이스(50)에 수납된 앰플등 직입체(a)와 셔터(62)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할수 있고, 그러므로서 앰플등 직입체(3)를 빼내는데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돌기(68)(69)에 의해 분할된 한쌍의 세로홈(64)(65) 저부들중, 한쪽은 세로홈(64)(65) 상부의 바로 밑으로서, 다른쪽은 세로홈(64)(65) 상부의 바로 밑으로서 보다 케이스(50)내측근처로 되게 구성하며, 세로홈(64)(65) 상부의 바로 밑으로서 보다 케이스(50)내측근처의 세로홈(64)(65) 저부를 선택하여, 셔터(62)를 설치하고, 앰플등 직입체(a)를 수납시킨후, 세로홈(64)(65) 상부의 바로 밑의 세로홈(64)(65) 저부를 선택하여,셔터(62)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앰플등 직입체(a)와 셔터(62)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4측면(62)(63)(60)(6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플랜지(73) 및 하부 플랜지(74)를 설치하여, 케이스(50)의 적재를 반송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플등의 직입체의 수납 케이스.
KR1019900012707A 1989-08-18 1990-08-18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KR0178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2554A JP2816193B2 (ja) 1989-08-18 1989-08-18 アンプル収納ケース及び該ケースを使用したアンプル補給装置並びに該ケースの搬入装置及び搬出装置
JP1-212554 1989-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46A KR910004446A (ko) 1991-03-28
KR0178778B1 true KR0178778B1 (ko) 1999-04-15

Family

ID=166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707A KR0178778B1 (ko) 1989-08-18 1990-08-18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74738A (ko)
EP (1) EP0413579B1 (ko)
JP (1) JP2816193B2 (ko)
KR (1) KR0178778B1 (ko)
DE (1) DE690048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242B2 (ja) 2000-07-11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薄膜形成方法
JP2008090252A (ja) * 2006-10-03 2008-04-17 Kazue Tokoro だれでもわかる表
KR101044319B1 (ko) * 2009-10-16 2011-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공기에 포함된 자성 미세분진을 포집하는 자석 하니콤을 구성한 부유 자성분진 양방향 제거장치
DE102012105641A1 (de) 2012-06-27 2014-01-02 Nipro Sterile Glass Germany AG Vorrichtung zum Aufbewahren und/oder Transportieren einer Mehrzahl von Verpackungsbehältern
CN110510200B (zh) * 2019-08-28 2021-04-27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拆包方法及拆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0561A (en) * 1928-03-26 1932-01-12 Cook Lab Inc Receptacle
US2704147A (en) * 1952-05-27 1955-03-15 Frank J Cozzoli Rectangular-cycle group-handling conveyor for ampul processing
US3022913A (en) * 1958-12-10 1962-02-27 Continental Can Co Can package unloading machine
FR1234195A (fr) * 1959-05-11 1960-10-14 Boîte à compartiments variables pour le classement d'objets tels que des pièces mécaniques
DE2412380C3 (de) * 1974-03-15 1978-04-20 Keuro Maschinenbau Gmbh & Co Kg, 7590 Achern Vorrichtung zum Ausheben und zum Wiedereinsenken von in Palettenkästen bevorratetem, stangenförmigem Material bei einer Einrichtung zur Lagerung und zur selbsttätigen Versorgung einer Trennmaschine mit diesem Material
US4231697A (en) * 1978-07-21 1980-11-04 Franz Henry H Bottle packaging and unpackaging machine
US4482282A (en) * 1982-01-11 1984-11-13 John Mue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articles
US4671722A (en) * 1985-10-30 1987-06-0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utomatic position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n a walking beam
US4717304A (en) * 1986-11-04 1988-01-0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eeding apparatus
US4911601A (en) * 1987-09-28 1990-03-27 Jujo Paper Co. Ltd. Device for moving and supporting a stack of folded cartons in carto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 liquid fil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4889D1 (de) 1994-01-13
JP2816193B2 (ja) 1998-10-27
JPH0385249A (ja) 1991-04-10
US5074738A (en) 1991-12-24
EP0413579B1 (en) 1993-12-01
KR910004446A (ko) 1991-03-28
DE69004889T2 (de) 1994-04-14
EP0413579A3 (en) 1991-06-05
EP0413579A2 (en) 1991-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80802A (ja) 物品収容装置
KR0178778B1 (ko) 앰플등의 직입체의 수납케이스로부터의 인출방법과 그의 장치 및, 이의 반송에 사용하는 수납케이스
EP0272340B1 (en) Multi-access storage system
EP0553362B1 (en) Method of aligning articles and system therefor
US5320480A (en) Goods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215941B2 (ja) 苗株搬送装置とその搬送方法
JP2550527Y2 (ja) 積重ねられた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EP0022441B1 (en) Carousel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369537B2 (ko)
US4311228A (en) Automatic feeder for empty bags or the like
US3949885A (en) Carrier loading device
JPH01308305A (ja) 物品の収納排出装置
CA1284622C (en) Multi-access storage system
EP0410732B1 (en) Lithographic plate storing system
CN216917261U (zh) 夹取机构、跨仓调仓装置、调仓设备以及仓储系统
JP2003300608A (ja) 自動倉庫又は自動搬送設備
JPH08113325A (ja) ピッキング装置
JPH0718669Y2 (ja) 刷版脱荷装置
JPH06171702A (ja) ゴミの分別搬送装置
JPS61127401A (ja) タイル生素地匣鉢詰装置
JP3447841B2 (ja) 収容箱ストック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部品供給装置
KR820000544Y1 (ko) 언케이서(uncaser)
JPH08295403A (ja) 自動貯蔵装置
JP2590077B2 (ja) 多数部材の出し入れ用格納装置及び方法
KR100212358B1 (ko) 겹쳐져서 쌓인 컵형상 용기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