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44Y1 - 언케이서(uncaser) - Google Patents

언케이서(unca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44Y1
KR820000544Y1 KR2019820000643U KR820000643U KR820000544Y1 KR 820000544 Y1 KR820000544 Y1 KR 820000544Y1 KR 2019820000643 U KR2019820000643 U KR 2019820000643U KR 820000643 U KR820000643 U KR 820000643U KR 820000544 Y1 KR820000544 Y1 KR 820000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ttle
gripper
chain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노리 무라오
다쯔오 오오하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미쯔이 도시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미쯔이 도시마사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0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언케이서(uncaser)
제1도는 종래의 언케이서의 개략설명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개략설명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에 연하는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에 연하는 단면도.
본 고안은 콘베이어로 반송하면서 공병이 다수 들어 있는 상자에서 공병을 순차적으로 집어내고 이들을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콘베이어상에 송출하는 언케이서(병의 발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언케이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01)은 기초상에 설치된 무단형(無端形)상자 콘베이어(02)의 좌우에 있는 한쌍의 밀대용체인이며, 한쌍의 밀대용체인의 사이에는 소정간격마다 밀대(05)가 부착되어 있다.
(03)은 병콘베이어이고 (04)는 상자콘베이어(02)의 상방에 설치된 파지장치(010)내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형의 파지장치 체인이다. 이들 파지장치 체인(04)에는 소정간격마다 지지간(011)의 양단이 고착되어 있고 이 지지간(011)에는 복수개의 파지구(06)의 상단부가 상자 C내의 가로병열의 핏치간격과 같은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간(011)의 핏치간격은 상자 C내의 세로병열의 핏치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파지구(06)의 하단부에는 개폐기구에 의하여 개폐되는 집게(06a)가 장치되어 있다. (07),(08)은 파지장치(010)에 장착된 판캠이며, 이들 판캠(07),(08)에 파지장치체인(04)의 주행에 의하여 이동하는 파지구(06)의 압판(押板)(06b) 상면이 억압되며는 파지구(06)의 집게(06a)가 열리머 평상시에는 집게(06a)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언케이서의 운전을 개시하고 밀대용체인(01) 및 파지장치체인(04)을 주행시키면 공병 B로 채워진 상자 C는 도시하지 않은 상자입구의 정지구에 의해 한상자씩 인덱스되어 밀대(05)에 반하여 제1도의 b부, c부, F부, e부로 순차적으로 반송된다. 한편 파지장치체인(04)의 지지간(011)에 부착된 파지구(06)의 집게(06a)는 상기 체인(04)의 주행에 따라 상자 c의 경사진 윗쪽으로부터 선회하면서, 판캠(07)에 의하여 열려진 상태로 상자 c내에 들어가고 각 병열의 두부에 들어박혀서 상자 c의 진행을 따라 하류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파지구(06)의 압판(06b)이 판캠(07)으로부터 떨어지면 집게(06a)는 닫혀짐과 동시에 파지장치체인(04)의 경사진 위쪽으로 완만하게 서서히 상승하며 상자 c내의 병두부를 집어서 병을 상자 c로부터 뽑아내어 파지장치체인(04)의 주행에 따라 병콘베이어(03)측으로 병을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판캠(08)에의하여 압판(06b)이 억압되면 집게(06a)가 열리고 병 B를 병콘베이어(03)상에 떨어뜨린다.
한편 병이 발취된 상자 c는 밀대용체인(01)의 밀대(05)에 의해 이송되어 밀대용체인(01)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따라 하강한다.
또 집게(06a)에 의하여 병 B를 상자 C로부터 발취할때 병이 상자 C로부터 발취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자 C의 이송속도를 파지구(06)보다 약간 늦출 필요가 생기며, 제1도의 F부에 표시함과 같이 밑대(05)가 파상(波狀)의 궤적(軋跡)을 그리게 한다.
상기 종래의 언케이서는
(1) 파지구(06)가 경사진 뒤쪽 상방으로부터 선회하면서 상자 C내로 들어갈때, 파지구(06)가 상자내의 병을 후방에서 쫓아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자 C가 밀대용체인(01)상에서 동요하던가 상자 C의 칸막이가 약간 구부러져 있던가 혹은 병위치가 편심되어 있던가 하면 집게(06a)가 상자 C의 칸막이나 또는 병들과 서로 엉키는 상태가 되며 병두부를 원활하게 파지하지 못하게 된다.
(2) 상자 C는 정상부에 칸막이가 있고 제작정밀도가 불량한 상자(예를 들어 주류에 사용되는 병수납상자)에서는 집게(06a)에 의한 상자에서의 병 발취시에 병이 상자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상자가 병과 더불어 운반되므로서 병콘베이어(03)에 충돌할 경우가 있다.
(3) 파지구(06)의 집게(06a)에 의해 병두부를 파지한 후에 경사면상의 상승 각도를 크게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집게(06a)가 병을 파지한 장소에서 병콘베이어(03)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장치 전체가 장대화하여 설비비가 고가로 된다.
(4) 집게(06a)에 의한 상자내에서의 병발취를 원활하게 행할 수가 없으므로 정밀하지 못한 나무상자나 칸막이가 없는 상자등 조건이 좋지 못한 상자에서 병을 발취하기에는 적당치 못하다.
이상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언케이서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밀대를 소정간격마다 부착한 좌우 한쌍의 무단형 밀대용 체인을 장성하고 이 밀대용 체인의 주행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는 밀대에 의하여 공병이 가로 세로로 복수열로 채워진 상자를 한개씩 이송하는 상자콘베이어와 동 상자콘베이어의 상방에 설치되어 좌우 한 쌍의 파지장치체인을 장설한 파지장치와, 상기 좌우 한쌍의 파지장치체인에 소정간격마다 장착되어 체인의 주행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상자내의 공병을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발휘하며 병을 소정위치까지 이송한 후 이 병을 소정위치에서 이탈시키는 기능을 가진 파지구로 구성된 언케이서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의 상류측 내측벽 적소에 장설되고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킨 캠홈과 상기 좌우 한쌍의 파지장치체인에 주행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양단이 회전자재로 축지되고 상기 캠홈에 감합되는 캠종차를 가진 지지체와, 동 지지체에 부착된 파지구와, 상기 파지장치의 하류측 내측벽 적소에 장성되어 상기 캠종차가 감합되는 캠홈과, 상기 파지장치의 하류측 지점(支點)을 축으로 하여 파지장치의 상류측을 승강시키는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파지구에 의해 상자내의 공병발취시 파지구간격과 수평방향의 분속(分速)을 상자내의 공병배열간격과 진행속도와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케이서에 관한 것어다.
이하 제3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기초 E상에 설치된 상자 콘베이어이며, 등 상자콘베이어(1)는 좌우프레임(1a)과 이 프레임(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설되고, 소정 핏치마다 밀대(5)를 가진 좌우 한쌍의 무단형 밀대용체인(2)을 가지며 프레임(1a)내의 적소에 배설되어 밀대용체인(2)을 소정의 속도로 주행시키는 구동원 M및 공병을 담은 상자 C를 한개씩 밀대(5)에 송입하는 공지의 상자 인텍스장치(도시 않음)를 가지며 좌우프레임(1a)의 상단연부 내측은 밀대용체인(2)에 의한 상자 C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밀대용체인(2)의 상류측은 수평이며 하류측은 하단류을 향하여 하방으로 적당히 경사져 있다.
(10)은 상기 상자콘베이어(1)의 좌우에 있는 프레임(1a)의 외측에 고착된 지지대(6),(7)의 상단에 있는 핀(6a)(7a)에 의해 지지된 파지장치이며, 등 파지장치(10)의 상류측 끝부(도면에서 우단부)와 상자콘베이어(1)의 프레임(1a) 사이에는 파지장치(10)용 승강장치 J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 J는 예를 들어 상자 콘베이어(1)의 좌우프레임(1a)에 두다리 하단이 고착된 문틀(門)과 동 문틀(8)의 상부에 부착된 유압실린더(9) 및 파지장치(10)의 측벽(10a) 적소에 고착된 수판(受板)(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승강장치 J의 작동에 의해 파지장치(10)의 상류측은 상기 하류측의 핀(6a)을 축으로 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 지지대(7)의 핀(7a)의 지지부는 파지장치(10) 상류측의 승강에 지장이 없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문틀(8)은 상자 C의 통과에 지장이 없는 형상과 치수로 형성된다. (4)는 파지장치(10)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 측벽(10)의 적소에 회전자재로 축지된 축(4b) 및 구동축(4a)에 부착된 스프로켓에 장설된 좌·우 한쌍의 무단형 파지장치 체인이며 동 파지장치체인(4)에는 파지구가 소정핏치마다 장착되어 있고, 또 상기 상자콘베이어내에 설치된 구동원 M에 의해 구동축(4a)을 통하여 소정의 속도로 주행시키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파지장치체인(4)의 하부주행부는 상류축 소정구간이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경사진 하강경사부(4c)로 동 경사부(4c) 끝부터 하류측으로의 소정구간이 하류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경사진 상승경사부(4d)로 형성되도록 유도스프로켓(표샤하지 않음)에 의하여 지승된다.
(12)는 파지장치(10)의 상류측 한 측벽의 대단에 돌설된 경사 캠홈이며, 동 캠홈(12)은 하류측을 향하여 상기 하강경사부(4c)와 같이 경사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파지구의 캠종차를 안내하고 파지구의 집게 본체를 수직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13)은 파지장치 체인의 구동축(4a)에 고착된 스프로켓의 주변부 근방의 파지장치(10) 한축벽의 내면에 돌설된 캠홈이며 동캠홈(13)은 파지구의 캠종차를 안내하고 집게본체를 수직자세로 유지한 상태로 구동축(4a)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하는 역할도 갖는다.
(19),(20)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지장치(10)의 양측벽 사이에 지지간(10a)에 장착된 판캠이며, 동 판캠(19),(20)은 후술하는 집게를 열리게 하는 역할을 가지며 판캠(19)은 상기 파지장치체인(4)의 하강경사부(4c) 구간에, 또한 판캠(20)은 상기 캠홈(13) 구간에 로울러(21)와 함께 설치된다.
(21)은 구동축(4a)이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착된 로울러이며, 동 로울러(21)는 파지구가 구동축(4a)의 주위를 도는 동안 그 집게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가진다. F는 파지장치체인(4)의 주행방향을 따라 소정핏치마다 장착된 파지구이며, 이 파지구 F의 상세한 구조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되어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14)는 양단부를 각각 지지부재(15)에 회전자재로 촉진시킨 집게지지체로서 동 지지체(14)는 양단의 지지부재(15)를 통하여 좌우의 파지장치체인(4)에 지지되어 있다.
(16)은 지지체(14)외 양단의 지지부재(15) 사이에 제5도에 표시와 같이 부착된 한쌍의 연결간이며, 동, 연결간(16)은 좌우의 지지부재(15)의 관계위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집게체의 정지구 역할을 갖는다.
(17)은 상기 지지체(14)에 장착되어 집게(17a)와 압판(17b)을 가진 공지의 집게체이며 집게(17a)는 상시 닫혀져 있고 압판(17b)이 상기 판캠(19),(20) 및 로울러(21)에 의하여 억압될 때 집게(17a)가 열리게 되어 있다.
집게체(17)는 종래와 같이 상자 c내에 들어 있는 병의 횡열의 병수와 같은 복수개의(본 예의 경우 2개)별열핏치와 동일한 간격의 핏치로 지지체(14)에 장착된다. (18)은 지지간(14a)의 끝부축에 회전자재로 축지된 캠종차이며 동 캠종차(18)는 파지장치체인(4)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홈(12),(13)에 감합되어 안내되며 집게체(17)를 포함한 지지체(14)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4), 지지부재(15), 연결간(16), 집게체(17) 및 캠종차(18)에 의하여 파지구 F를 형성하고 있다. 파지구 F는 상자 C내에 들어있는 종열의 병수와 같은 수효로 파지장치체인(4)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지만 이 간격과 상기 밀대용체인(2)의 밀대(5)의 핏치와의 관계는 한 상자분의 각 파지구가 파지장치체인(4)의 상기 상승결사부(4d)에 위치할때 그 간격을 수평방향에 대해 투영한 길이가 밀대(5)의 핏치와 같게되는 관계에 있다. 또한 파지장치체인(4)과 밀대용체인(2)은 상기와 같이 상자콘베이어(1)내의 구동원 M에 의해 구동되지만 그 속도관계는 파지구 F가 상기 상승경사부(4d)를 이동할때의 수평방향의 분속과 그 위치에서의 밀대(5)의 속도가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3도의 부호(3)는 파지장치(10)의 하류측 끝부 하방에 설치된 병콘베이어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언케이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며 본 언케이서에 의하여 공병이 들어 있는 상자 C에서 공병발취를 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본 언케이서의 운전을 개시하여 상자콘베이어(1)상에 공병이 들어있는 상자 C를 순차 공급하면 이 상자 C는 도시하지 않은 인텍스장치와 밀대체인(2)의 밀대(5)에 의하여 한 상자씩 일정한 속도로 전방으로 송출된다. 한편 파지장치(10)의 파지장치체인(4)이 주행함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 파지구 F의 캠종차(18)는 경사캠홈(12)에 감합되어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따라서 집게체(17)를 포함한 파지구 F는 점차 하강하여 집게체(17)가 경사캠홈(12)의 유도와 자중에 의하여 수직자세를 보전하면서 상자내에 들어가고 동시에 각 집게체(17)의 암판(17b)을 판캠(19)이 억압하므로서 집게(17a)는 열려진다. 따라서 각 집게체(17)는 상자내의 병 바로 위에서 원활하게 들어가 박히고 집게(17a) 사이에 병의 두부가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다시 파지장치체인(4)과 밀대용체인(2)의 주행함에 따라 파지구 F의 캠종차(18)가 캠홈(12)에서 이탈되고 또한 압판(17b)이 판캠(19)에서 떨어져서 집게(17a)가 닫히게 되면 파지구 F는 상기 상승경사부(4d)의 출발단에 오게 되며 이 상승경사부(4d)를 따라 차례로 상승한다.
파지구 F의 상승에 따라 상자 C내의 공병 B는 집게(17a)에 의해 두부가 파지되어 수직자세로 상자 C내에서 순차적으로 발취된다. 이 경우 파지구 F의 핏치와 수평방향의 분속은 상자 F내의 병의 배열핏치와 수평방향의 진행속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각 공병 B는 상자내에서 수직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원활하게 발취된다. 이렇게 하여 다시 파지장치체인(4)의 주행에 따라 각 파지구 F가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캠종차(18)가 캠홈(13)에 감합되면 캠홈(13)에 유도되어 파지구 F가 구동축(4a)의 주위를 원운동하여 파지장치체인(4)의 상부주행부를 따라 이동되고 다시금 다음의 병발취 자세에 들어간다. 이 경우 집게체(17)는 자중에 의하여 수직자세를 유지하게 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파지구 F의 캠종차(18)가 캠홈(13)에 감합하면 곧 압판(17b)이 판캠(20)과 로울러(21)에 의해 억압되기 때문에 집게(17a)는 열러지고 그때까지 파지하고 있었던 병 B의 두부를 놓아주게 되며 병 B는 병콘베이어(3) 위에 수직으로 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파지구 F에 의해 병을 발취당한 빈 상자는 밀대용체인(2)의 하방경사를 따라 밀대(5)에 의하여 반송되어 기계 밖으로 송출된다.
또한 파지구 F의 집게(17a)가 상자 C내에 들어갔을때 집게(17a)와 상자 C내의 병이 잘못 계합되었을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정장치에 의하여 파지장치체인(4)과 밀대용체인(2)의 운전이 바로 정지된다.
여기서 승강장치 J를 작동시켜 파지장치(10)의 상류측을 핀(6a)을 축으로 하여 상승시킨후 고장수리를 한다.
본 고안의 언케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작용을 구비한 것이므로 본 고안에 의하면
(1) 파지장치체인(4)에 의해 이동되는 각 파지구 F의 집게체(17a)가 밀대용 체인(2)에 의해 반송되는 상자 C내에 들어가기 직전에서 상자 C내의 병 B를 파지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파지구 F와 상자 C(즉 병 B)가 거의 동일속도가 되며, 또한 각 파지구 F의 진행방향의 핏치와 병열의 세로핏치가 것의 동일하며 그리고 또 파지구 F의 집게체(17)가 수직자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집게체(17)는 원활하게 상자 C내에 들어갈 수가 있다.
(2) 각 파지구 F의 집게(17a)가 진행중의 상자 C내의 병 두부를 파지하여 병이 상자 C내에서 방출될대까지 각 파지구 F와 상자 C(즉, 병의)의 반송속도가 동일하고 또 각 파지구 F의 진행방향 핏치와 상자내의 병열의 세로핏치가 동일하며, 그리고 또 집게체(17)가 수직자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자내의 병은 원활하게 발취된다.
(3) 병 B가 상자 C로부터 파지구 F의 집게(17a)에 의해 발취되는 사이에 상자 C는 밀대용체인(2)의 밀대(5)에 의해 수평 반송되므로 상자 C의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자내의 병도 안정한 상태로 보존된다.
(4) 상자내에서의 병의 발취가 원활하기 때문에 칸막이가 없는 상자나 나무상자 같은 정밀도가 좋지 못한 상자에서의 병발취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종래에 비하여 상자내에서의 병발취시의 파지구 F의 상승각도 즉 파지장치체인(4)의 상향경사각도를 크게 잡을 수가 있으므로 파지구 F의 집게(17a)가 병을 파지하는 장소로부터 병콘베이어(3)까지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축소화할 수 있고 설비비도 절감된다.
(6) 파지구 F의 집게체(17)와 상자 또들 병이 서로 간섭하므로서 운전이 정지되었을 때 승강장치 J에 의하여 파지장치(10)를 용이하게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언케이서의 가동율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은 실용적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밀대를 소정간격으로 부착한 좌우 한쌍의 무단형 밀대용 체인을 장설하고 이 밀대용 체인의 주행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이동되는 밀대에 의하여 공병이 종횡으로 복수열로 채워진 상자를 한개씩 이송하는 상자콘베이어와, 상기 상자콘베이어의 상방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파지장치체인을 장설한 파지장치와, 상기 좌우 한쌍의 파지장치체인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되고 체인의 주행에 따라 이송되며, 상자내의 공병을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발취하여 병을 소정위치까지 이송한 후 이 병을 소정위치에서 이탈시키는 기능을 가진 파지구로 구성된 언케이서에 있어서,
    하향캠홈(12) 및 상향캠홈(13)을 구비한 파지장치(10)와 상기 캠홈에 의해 유도되는 캠종자(4)를 구비한 지지부재(15)와 파지장치(10)의 승강용 승강장치(J)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케이서.
KR2019820000643U 1982-01-28 1982-01-28 언케이서(uncaser) KR820000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643U KR820000544Y1 (ko) 1982-01-28 1982-01-28 언케이서(unca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643U KR820000544Y1 (ko) 1982-01-28 1982-01-28 언케이서(uncas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3001 Division 1976-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44Y1 true KR820000544Y1 (ko) 1982-04-03

Family

ID=1922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643U KR820000544Y1 (ko) 1982-01-28 1982-01-28 언케이서(unca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13774A (en) Bottle transfer device
DE3784284D1 (de) Vorrichting zum zufuehren von zuschnitte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ITBO20100615A1 (it) Metodo ed apparato per trasferire recipienti fragili da un contenitore ad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KR20140001743A (ko) 용기공급장치
US6722844B2 (en) Lumber stacking apparatus with automated sticker feeding feature for placing stickers between board layers
DK174308B1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midlertidig oplagring af en strøm af genstande, såsom aviser
US3951285A (en) Bottle uncaser
CN216272470U (zh) 一种纱筒上料机
US6102187A (en) Device for the aligning of objects
KR820000544Y1 (ko) 언케이서(uncaser)
EP0480533A1 (en) Block filling apparatus
KR101300385B1 (ko) 액체용기의 팩킹장치
US4249841A (en) Wire picking from a wire bundle
EP0384255A2 (en) Machine for withdrawing predetermined batches of flat objects, such as envelopes or sheets of paper, from a continuously forming row
US2635773A (en) Shipping tray unloading apparatus
CN214420765U (zh) 一种装箱装置
CN214721464U (zh) 一种铝底激光打标装置
EP0322458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acking piles of paper
JP2930551B2 (ja) 軟質容器の箱詰装置及び箱詰方法
CN114130943B (zh) 一种冲床链片下料自动串片设备
JPH07315322A (ja) 容器整列装置
CN205345474U (zh) 一种新型布袋包装机
JP2575509B2 (ja) 豆腐のパック詰装置
CN211686822U (zh) 一种蛋盘自动落盘机
JPH0718669Y2 (ja) 刷版脱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