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559B1 -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559B1
KR0178559B1 KR1019940028987A KR19940028987A KR0178559B1 KR 0178559 B1 KR0178559 B1 KR 0178559B1 KR 1019940028987 A KR1019940028987 A KR 1019940028987A KR 19940028987 A KR19940028987 A KR 19940028987A KR 0178559 B1 KR0178559 B1 KR 017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parts
weight
ginseng
d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887A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김성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김성줄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4002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559B1/ko
Publication of KR96001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최근들어 수험생의 두뇌활성화 및 알쯔하니머형(Alzheimer-type)노인성 치매의 예방등 두뇌의 활성화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혈액중의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TG)의 함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인삼과 도코사핵사엔산(DHA), 그리고 대두 레시틴은 두뇌의 주요구성 성분으로서, 그리고 여러 가지 두뇌를 활성화시키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들 성분의 두뇌 활성화를 위한 상승효과를 촉진하기 위하여 두뇌를 활성화할 수 있는 두뇌활성제 연질캡슐(IQ-1000)의하다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원료는 인삼엑기스의 동결건조 정분을 참치에서 추출. 정제한 도코사핵사엔산(DHA)-함유 어유에 첨가. 혼합하고, 여기에 대두 레시틴을 첨가하였고, 여기에 부원료로서 천연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빈산, 그리고 식용유를 배합비율에 따라 혼합. 균질화시켜서 조제. 성형화한 두뇌의 활성제 및 노인성 치매의 개선제로서 두뇌활성제 연질캡슐 제조방법으로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두뇌활동을 촉진시킬수 있다.

Description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삼 엑기스에 수산식품의 중요 지방산 성분의 하나로서 건뇌성분(健腦成分)으로 알려지고 있는 도코사핵사엔산(docosahexaenoic acid:DHA)을 주원료로서 첨가하고, 여기에 식물성분중의 건뇌성분으로 알려진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인 레시틴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빈산을 첨가. 혼합하고, 다시 여기에 결합 및 성형제로서 식용유를 사용하여 두뇌의 활성화를 위한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두뇌활성제 연질캡슐(IQ-100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환경 파괴와 수질오염, 그리고 인스탄트 식품의 범람으로 우리의 건강상태가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우리의 소득증대에 따른 육식중심에 의한 영양의 과잉섭취와 기계문명의 발달에 의한 운동량의 절대부족 등이 비만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 비만이 원인이 되어 동맥경화, 고혈압, 관상심장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의 만성 퇴행성의 성인병이 만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노인들의 알쯔하이머형(Alzheimer-type)치매증 환자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밖에도 어린 학생들이 지나친 수험공부로 두뇌의 건전한 발달에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두뇌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두뇌의 활성제로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이 학습이나 기억등 두뇌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무수히 많고, 두뇌활동을 촉진한다는 것은 중추신경을 자극하여 그 기능을 강화하는 흥분작용을 말하며, 특히 페트코프(Petkov)는 제1회 국제약학회 총회에서 인삼이 뇌의 안정상태를 촉진하여 두뇌의 활동성을 높임으로서 흥분과 억제작용을 총괄적으로 조절한다고 하였다.
메드베데프(Medvedev)도 인삼을 무선기사에게 투여하여 본 결과,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오차도(誤差度)가 현저히 적었다고 보고했다. 체르넨크(Chernenke)도 식자공에 오선(誤選)의 정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알콜을 마신 그룹은 46%, 포도당을 마신 그룹은 16%의 오선이 나타났는데, 인삼을 마신 그룹의 오선은 전무하였다고 보고했다. 소코로프(Sokolov)는 카페인의 흥분중에서 반최면적 각성작용이 있지만, 인삼은 고차원적인 특수한 흥분착용이 있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일본의 동경대학 약학부의 사이또(Saito)도 인삼의 일부 진세노사이드는 쥐의 학습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한편 등푸른 생선중에서 참치의 머리부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도코사핵사엔산(docosahexaenoic acid:DHA)이 최근 머리를 좋게 한다고 하여 세계적인 화제가 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스즈끼 박사는 그의 논문 노화와 DHA에서 DHA는 미로법에 의한 기억학습능력 시험을 통해 DHA는 기억학습조절 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알쯔하이머형(Alzheimer-type) 치매의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했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도 두뇌의 중요 구성 지방산은 도코사핵사엔산(DHA)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미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인삼과 어유증의 도코사핵사엔산(DHA)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건뇌식품인 두류에서 분리한 포스파티딜 콜린(lecithin)과 천연 항상화제로서 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하고 성형제로서 식용유와 왁스를 사용하여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을 안출하였다.
1. 실시예
본 실험에 사용한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은 특허출원제10421호(1992.6.16)의 동물실험결과를 적용하여 참치(Albacore tuna)의 두부에서 추출. 정제한 어유(DHA 30.00%이하) 0.25g(25중량부), 인삼으로서 백삼의 80% 에탄올 추출. 농축한 엑기스를 동결. 건조한 인삼정분 0.10g(10.0중량부), 그리고 대두에서 추출. 정제한 대두 레시틴(phosphatidyl choline) 0.01g(1.0중량부)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천연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 0.020g(2.0중량부)과 아스코르빈산 0.010g(1.0중량부)을 첨가. 혼합하여 균질화하고, 여기에 다시 식용유0.540g(54.0중량부)을 침수성 유화제로 첨가하고 또 왁스 0.04g(4.0중량부)을 첨가하여 40℃이하의 저온에서 10,000rpm으로 30분간 교반. 처리하여 균질화 및 유화시킨다.
다시 이것을 통상방법에 따라 제라틴 피막으로 성형한 다음, 10℃이하의 냉유에서 40분간 침지. 정치하여 내용물의 겔화를 촉진하여 세척한 다음, 항온항습실에서 선별하여 시제품으로 포장하여 학대 저장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 시제품의 안정성 시험
두뇌활성제 연질캡슐(IQ-1000)시제품의 안정성 시험은 의약품 안정성과 유효기간 설정에 관련된 시험법을 원용하여 40℃(±1℃), 75%RH(±5%RH)의 학대 조간하에서 3개월간 본 시제품의 성상 및 성분변화를 분석. 평가하였다.
3. 안정성 시험결과 평가
본 시제품을 40℃(±1℃), 75%RH(±5%RH)의 학대조건하에서 3개월간 저장시험을 통해 주기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본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제품의 성상 및 성분변화는 전체 실험롯트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제품은 안정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시제품의 제조 및 학대 저장실험을 통한 안정성 검사결과, 제품의 품질 및 안정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제품은 건뇌성분으로서 인삼의 진세노사이드성분과 최근 건뇌성분으로 입증되고 있는 도코사핵사엔산 docosahexaenoic acid:DHA), 그리고 여기에 대두에서 추출한 레시틴(phosphatidyl choline)을 첨가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인삼이나 도코사핵사엔산, 그리고 레시틴 단독투여보다 두뇌를 활성화시키는 상승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두뇌 활성성분의 생리적 효과와 시제품 제조 및 안정성 시험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두뇌활성제 연질캡슐 제품은 배합성분의 성상이 불포화성, 유성 및 시럽상의 연질캡슐이므로 산화방지와 품질의 안전성 및 복용의 편의를 위하여 연질캡슐 형태의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원료는 80% 에탄올 추출의 인삼엑기스의 동결. 건조된 인삼정분을 참치의 두부에서 추출. 정제한 어유(DHA 31.00% + EPA 6.60%)에 첨가. 혼합하고, 여기에 다시 대두에서 추출한 레시틴과 천연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빈산을 첨가. 혼합하였으며, 여기에 연질 캡슐제조시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성제로서 식용유와 왁스을 일부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각 원료의 배합비율은 어유 (DHA 31.00%이하) 25.0중량부, 인삼으로서 백삼의 80% 에탄올 추출. 농축한 엑기스를 동결. 건조한 인삼정분 10.0중량부, 그리고 대두 레시틴 1.0중량부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부원료로서 천연 항상화제로서 토코페롤 2.0중량부와 아스코르빈산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균질화하고, 여기에 다시 식용유 54.0 중량부 그리고 왁스 4.0중량부를 첨가하여서 1000㎎(1,000g)의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을 상기 실시예에 의거 제조하여 노인성 치매효과와 학습자의 기억력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8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통상방법에 따라 인삼의 가용성분을 추출하여 감압농축하여 인삼엑기스(수분함량 21.3%)를 만들어, 이것을 다시 동결건조하여 인삼정분을 만들고, 이 인삼정분 0.10g (10.0중량부)를 참치의 두부에서 추출. 정제한 어유(DHA 31.00% 이하) 0.25g(25.0중량부)에 혼합하여 균질화한다. 여기에 대두에서 분리한 레시틴 0.01g(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하고, 다시 천연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 0.02g(2.0중량부)과 아스코르빈산 0.010g(1.0중량부)을 첨가. 혼합하여 균질하고, 여기에 다시 식용유 0.540g(54.0중량부)을 침수성 유화제로 첨가하고 다시 왁스0.04g(4.0중량부)를 첨가하여 40℃ 이하의 저온에서 10,000rpm으로 30분간 교반. 처리하여 균질화 시킨다. 다시 이것을 통상방법에 따라 제라틴 피막으로 성형한 다음, 10℃이하의 냉유에서 40분간 침지. 정치하여 내용물의 겔화를 촉진하여 세척한 다음, 항온항습실에서 선별하여 시제품으로 포장하여 학대 저장실험에 들어간다.

Claims (1)

  1. 도코사핵사엔사(DHA)-함유 어유 5-10중량부, 인삼엑기스 동결건조 정분 3-30중량부, 대두 레시틴 0.05-15 중량부, 토코페롤 0.2-15중량부, 아스코르빈산 0.2-10중량부, 식용유 10-70중량부, 왁스 0.5-10.0중량부를 배합하여 40℃이하의 온도에서 10,000rpm으로 30분간 교반처리하여 균질로 유화시키고 이것을 통상의 제라틴 피막으로 성형하여 10℃이하의 내유에서 40분간 침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KR1019940028987A 1994-11-05 1994-11-05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KR017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87A KR0178559B1 (ko) 1994-11-05 1994-11-05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87A KR0178559B1 (ko) 1994-11-05 1994-11-05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87A KR960016887A (ko) 1996-06-17
KR0178559B1 true KR0178559B1 (ko) 1999-03-20

Family

ID=1939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987A KR0178559B1 (ko) 1994-11-05 1994-11-05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2197A2 (en) 2000-03-06 2003-01-08 Javor, Andras Combination of lecithin with ascorbic acid
KR100401959B1 (ko) * 2001-06-02 2003-10-17 주식회사 태평양 토코페롤 유도체를 사용하여 레시틴을 안정화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2197A2 (en) 2000-03-06 2003-01-08 Javor, Andras Combination of lecithin with ascorbic acid
EP1272197B2 (en) 2000-03-06 2012-03-28 N.V. Nutricia Combination of lecithin with ascorbic acid
KR100401959B1 (ko) * 2001-06-02 2003-10-17 주식회사 태평양 토코페롤 유도체를 사용하여 레시틴을 안정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87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8396C2 (ru) Полуфабрикат мясорастительный рубленый диетический обогащенный
FI7667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lipidiemulsion avsedd foer oral, enteral eller paranteral naering.
JPS6158536A (ja) 栄養組成物
PT1662904E (pt) Composições contendo elementos da semente de salvia sclarea como ingrediente activo
CN108835262A (zh) 一种改善记忆力的调制乳粉及其制备方法
RU2342884C1 (ru) Вареное колбасное издел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традиционных видов сырья для детей старшего школьного возраста
CN113995135A (zh) 高油酸花生油体的制备及其在植物基人造肉饼中的应用
RU2360441C1 (ru) Специя вкусоароматическая
DE102004052061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rnährungsphysiologisch verbesserten Milchmischproduktes, nämlich Joghurt
RU2353107C2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KR100454224B1 (ko) 영양 식품
KR0178559B1 (ko) 두뇌활성제 연질캡슐의 제조방법
KR20060084977A (ko) 복분자를 함유한 양계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투여하여생산된 계란
JP4549486B2 (ja) 抗肥満薬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771518A (zh) 一种具有预防和改善阿尔茨海默病的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10044759A (ko) 양잠산물과 허브가 첨가된 기능성 강화 다식의 제조방법
RU2358564C1 (ru) Порошкообразная смесь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бионан-в"
RU2524821C1 (ru) Майонез
KR100368039B1 (ko) 뽕잎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유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188563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RU268135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ищевых добавок из вторичного рыбного сырь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гидролиза
RU281424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елково-жировой эмульсии
RU2362327C1 (ru) Среднекалорийный майонез
RU2192762C2 (ru) Пищевая эмульсия и способ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RU2135007C1 (ru) Майоне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