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15B1 -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15B1
KR0177015B1 KR1019950002983A KR19950002983A KR0177015B1 KR 0177015 B1 KR0177015 B1 KR 0177015B1 KR 1019950002983 A KR1019950002983 A KR 1019950002983A KR 19950002983 A KR19950002983 A KR 19950002983A KR 0177015 B1 KR0177015 B1 KR 017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464A (ko
Inventor
야수시 가와타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02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3Organic silicon compound, e.g. organo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igh pretilt angles, i.e. higher than 15 degre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65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out a surfac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8Delaminating processes adapted for specified product, e.g. delaminating medical specimen slide
    • Y10S156/919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post processing recycling step
    • Y10S156/922Specified electronic component 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recycling
    • Y10S156/924Delaminating display screen, e.g. cathode-ray, LCD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8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shearing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61Severing delaminating means [e.g., chisel, etc.]
    • Y10T156/1967Cutting 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2Shear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빙 처리로 바꾸는 새로운 배향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배향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향막에 배향능을 생기게 하기 위하여 배향 제어막을 배향막 위에 형성한 후, 배향제어막을 일정한 방향으로 벗기고, 또한, 이 기판을 대향 배치하여 이들 사이에 액정 재료를 배치시켜 액정 표시 장치를 만들어서, 균일하고 안정하며 동시에 정밀도가 좋은 배향 상태를 가진 액정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하고, 크린 룸내의 발진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에 필요한 프레틸트각을 충분히 여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 표면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 표면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5, 6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배향능 형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요철 경계면에 대한 배향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요철 경계면에 대한 배향 처리를 할 때 배향 표면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로울러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설치하며, 이것을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 표면에 접촉하도록 굴려서 배향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로울러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설치하여 이것을 직접 기판 표면에 접촉하도록 굴려서 배향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 표면 처리를 한 기판을 로울러로 배향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 표면 처리를 한 기판을 로울러로 배향 처리를 할 경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기판으로부터 배향 제어막을 벗기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기판으로부터 배향 제어막을 벗기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기판으로부터 배향 제어막을 벗기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막 제어막을 기판으로부터 벗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배향막 제어막을 기판으로부터 벗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기판 3, 4 : 배향막
9, 10 : 기판 표면 5, 6 : 배향 제어막
7, 8 : 박리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9, 10 : 기판 표면
11, 12 :배향 표면 처리막 41 : 로울러
42 : 배향 제어막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정 분자의 새로운 배향 처리 방법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최근에 CRT에 대신할 새로운 표시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는 얇은 형으로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전 제품, OA기기등의 시장에서의 기대는 크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중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막은 절연성의 막 표면에 각종 배향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 배향처리로는 종래부터 러빙법이라고 불리우는 처리가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막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폴리이미드 배향막들은 막 표면을 면, 포목등의 섬유 상태 물질을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마찰시킴(러빙한다)에 따라서, 막 표면에 대한 배향능을 유기시키는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러빙 방향이 결정됨에 따라 액정분자의 디렉터 방향과 프레틸트 방향은 필연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디렉터 방향과 프레틸트 방향의 결정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시각 방향 및 시각 특성이 결정되며, 실제의 제조 공정에도 이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러빙 공정은 단순하기 때문에 조건 설정 및 제어의 어려움과 재현성의 불확정 요인등의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유기고분자막 경계면을 마찰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면, 포목등의 섬유 상태물질로부터 생기는 발진이 청정도를 필요로 하는 크린 룸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러빙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6-43458호에 나타난 액정 배향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미리 필름에 일정 방향을 따르는 1 축성을 형성하여, 상기 필름을 기판위에 밀착시켜 상기 이 1 축성을 기판에 전사시킨 후 상기 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으로는 러빙하는 공정 없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이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해 본 바, 이 방법으로는 액정 분자가 일정한 방향을 따를 수는 있어도 일정한 방향으로 기우는 프레틸트각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생겼다. 통상 액정 표시 장치에는 1°-6°의 프레틸트각을 필요로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이것을 달성할 수 없으며, 실제의 장치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발진의 문제없이 실제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프레틸트각을 얻을 수 있는 액정 분자의 배향 방법과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얻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아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면, 포목등의 섬유 상태 물질에 의해 고분자 배향막면을 마찰시키는 러빙 처리를 하지 않고 균일한 배향 제어성을 가지는 배향막을 얻을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린 룸내에서의 작용에 적합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안정된 배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프레틸트각을 실현할 수 있는 배향막을 제공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향 제어막을 박리함에 따라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기판과의 접착력에 따라서, 상기 기판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기능을 가지게 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 기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위에 액정 재료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기판 위로 구르게 함에 따라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기판의 표면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기판 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 기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 위에 액정 재료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면 위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며, 이 배향 제어막을 벗김에 따라 상기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1 기판과,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1 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주요 면 위로 구르게 함에 따라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주요면과의 접착력에 의해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제1기판과,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1 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향 제어 막을 박리함에 따라 상기 배향 제어 막과 상기 기판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기판 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기판위로 구르게 함에 따라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기판의 표면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기판 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면 위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며, 상기 배향 제어막을 벗김에 따라 상기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액정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주요 면위로 구르게 함에 따라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주요면과의 접착력에 의해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배향 제어막을 일정한 방향으로 벗김에 따라서 상기 기판 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는 상기 기판 위로 일정한 방향으로 구르게 하여 상기 기판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판과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을 조정하는 배향 표면 처리를 기판 표면에 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판은 미리 폴리이미드등 배향막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등의 기판 위에 직접 배향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배향막을 형성한 쪽이 액정 분자의 배향을 보다 제어성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향막을 형성한 쪽이 액정 분자의 배향 유지력이 더욱 좋다.
여기서,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 기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 위에 액정 재료를 배치하는 공정 중 어느 쪽을 먼저 해도 좋으며, 예를 들면 기판과 기판을 대향 배치시킨 후에 이것을 진공 상태로 하여 액정 재료를 충전하고, 배향 처리된 기판 위에 액정 재료를 스포일 한 후 대향 기판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배향 처리를 한 기판은 한쪽 기판에만 하는 것도 좋지만 바람직한 것은 양쪽 기판 모두 배향 처리를 하는 쪽이 좋다. 또한, 배향을 하기 위한 배향 제어막은 폴리 비닐 알코올, 폴리 초산 비닐, 폴리 스티렌 유도체, 폴리 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등 유기 고분자막과 폴리아미드산등 폴리이미드 전구체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배향 제어막의 박리 또는 이탈은 액정 표시 장치의 수단에 의해 배향 제어막과 기판면과의 접착력, 배향 제어막의 박리 또는 이탈의 속도, 방향등의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라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 각도, 배향 방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향 제어막이 시트 형상이면 시트를 우선 기판 위에 배치한 다음에 이 시트를 박리한다. 시트와 기판 표면과의 접착력, 박리할 때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 각도, 배향 방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향 제어막이 로울러의 표면에 형성된 경우, 로울러로 표면과 기판 표면의 접착력, 로울러가 기판 위를 구르는 속도와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 각도, 배향 방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위에 미리 배향막을 형성한 후 배향 제어막에 의해 배향 처리 할 경우, 배향막 재료로는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피론, 폴리 아닐린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배향 제어막과의 바람직한 조합은 배향 제어막으로 폴리 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을,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이미드막과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배향 제어막을 배향막 위에 형성하기 전의 배향 표면 처리로는 예를들면 N-(β-아미노 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東芝실리콘사제(TSL-3845),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東芝실리콘사제(TSL-8355),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치소(주)사제(ODSE)등의 유기 실란제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배향막위의 배향 제어막을 벗길 때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 경계면에 작용하는 접착력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재료면 상기 유기 실란제 이외의 재료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배향 표면 처리는 화학 반응에 의해 이 유기 실란제를 기판위에 매우 얇은 단분자층 또는 여러 분자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유기 실란 재료를 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배향 제어막을 벗김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배향 처리를 할 수 있다. 배향막 위에 형성된 배향 표면 처리에 의해 배향 표면 처리막은 매우 얇은 단분자층 형상 또는 여러 분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리에 의해서 배향막 표면과 배향 제어막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반응기의 비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판 위에 형성된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각을 임의로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향 제어막과 기판과의 접착력을 크게 하면 프레틸트각은 낮아지며, 접착력을 적게 하면 프레틸트각은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접착력은 이하에 나타낸 하등식의 범위로 그 프레틸트각은 양호하게 얻어진다
Kl K2, F2 Fl‥‥(1)
기판면과 배향막과의 접착력을 Kl,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을 K2, 배향막의 항복응력을 Fl, 배향 제어막의 항복응력을 F2로 한다.
상기한 하등식(1)을 만족할 때 배향막 고유의 프레틸트각을 형성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기의 하등식(2)에 나타낸 조건은 배향막 고유의 프레틸트각 보다는 낮은 프레틸트각을 나타낸다.
K2 Kl, F2 ≥ Fl ‥‥ (2)
본 발명에 있어서, 배향막 및 배향 제어막의 형성 방법은 기판 위에 배향막 재료를 도포, 가열 처리하여 배향막을 형성한 후, 이 배향막 위에 배향 제어막 재료를 도포해 가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배향막 재료 및 배향 제어막 재료는 각각 비상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향막 재료에 폴리이미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메틸 피롤리돈,디메틸포름아미드, γ -부티롤락톤 등의 유기 용매가 이용되는 것이 많지만 이 경우에는 배향 제어막 재료로는 폴리 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 등의 수용성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미리 형성된 폴리이미드 막의 용해를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배향 조건에 따라서는 미리 형성된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이 접하는 경계면 근방에 있어서 약간 상용성을 나타내도 좋다. 이 경우, 배향 제어막을 박리할 때 현저한 분자 사슬 연신 효과를 나타내는 재료끼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배향막은 폴리이미드로, 배향 제어막은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 에틸렌의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배향막 재료를 폴리이미드로 한 경우, 폴리이미드의 분자량에 대해서 저분자량의 재료로 배향 제어막을 이용하면, 배향 제어막 재료가 폴리이미드 분자 사슬 사이에 용이하게 침투하여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박리 공정에 있어서 액정 분자의 배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리 폴리이미드 배향막위에 형성된 점착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가진 시트를 폴리이미드 배향막 표면에 밀착시키며, 가열 후에 이 시트만을 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제1a도, 제1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기판(1, 2)의 액정과 접하는 면(10, 11)에 배향막(3, 4)을 각각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막(3, 4)위에 각각 배향 제어막(5, 6)을 10-2O㎛ 두께의 막 형상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 제어막(5, 6)의 박리 방향을 상하 기판에서 90°트위스트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방향인 화살표(7, 8)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행한다.
그 후 기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여, 상기 기판 사이에 액정 재료를 충전하여 액정 표시 셀을 형성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제어막(5, 6)을 배향막(3, 4)위에 형성하기 전에 이 배향막(3, 4) 위에 배향 표면 처리로서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단분자막 또는 여러 분자의 누적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이 배향 표면 처리막은 이 후의 공정의 배향 제어막(5, 6)과 배향막(3, 4)을 벗기는 공정에 있어서, 서로의 접착력을 조정하는 작용을 한다. 이 접착력에 의해서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각이 여기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을 미리 형성하고 있지 않은 기판(1, 2) 위에 직접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하여, 이것을 박리 하는 것에 의해서도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을 미리 형성하고 있지 않은 기판(1, 2)표면에 배향표면 처리를 하여, 단분자 또는 여러 분자 형상의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형성하며, 이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통하여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해도 좋다. 이 후 배향 제어막을 벗김에 따라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5도, 제6도에 본 발명의 배향 처리에 의해서 액정 분자가 틸트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배향 제어막(5)의 박리에 의해 배향막(3)의 표면의 유기 고분자는 유기 고분자 사슬 루프(21) 또는 유기 고분자측 사슬(22)을 일정한 방향(23, 24)으로 길게 하며, 박리 유기 방향(25)(갈라놓는 방향) 과 박리 속도 (갈라 놓는 속도)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에는 불가결한 디렉터 배향(26)과 프레틸트각(27)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배향 제어막(5)의 박리하는 방향인 화살표(25)에 대해서 액정 분자 긴 축 방향이 기판위에서 갖추어진다. 또한, 이 박리하는 방향(25)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액정 분자의 프레틸트각(27)은 여기되기 때문에 액정 분자의 디렉터 배향은 화살표(2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향제어막을 벗기는 방향(25)과 반대 방향으로 여기 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FT 기판등 능동 소자가 배치된 기판(31)에서는 배선 영역(32), 스위칭 소자 영역(33)의 고저 차이가 ~1㎛에 미치는 것도 적다. 이 때문에 통상 행해지고 있는 러빙 처리로는 배선 영역(32)과 소자 영역(33)의 근방에 있어서, 균일하게 털끝이 닿지 않기 때문에 균일한 배향 처리를 하기 어렵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인쇄, 캐스트등에 의해 균일하게 형성된 배향막(34)위에 밀착하도록 배향 제어막(35)을 배치하며, 이것을 박리함에 따라 배향 처리를 하기 때문에 어떤 구조를 가진 기판 면이라도 균일한 배향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34)위에 배향 제어 막(35)을 형성하기 전에 배향 표면 처리막(36)을 넣어도 좋다. 상기 배향막 및 배향 제어막은 2 종류 이상의 재료의 흔합액의 도포/소성시에 있어서, 비상용상분리 과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같은 공정에 이용하는 재료로는 배향막에 폴리 카보네이트, 배향 제어막에 폴리 스티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재료로서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을 중량비로 1:200∼1:300으로 혼합한 용액(N-메틸피롤리돈)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10㎛-20㎛의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소성을 한다. 소성시에 혼합막은 표면에는 폴리 스티렌막을, 하층에는 폴리 카보네이트막을 주로 형성한다. 건조시킨 후 폴리 스티렌막을 일정한 방향으로 박리함에 따라 기판면에 부착한 폴리 카보네이트 배향층이 형성된다.
상기 공정에 이용되는 재료로는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스티렌과 같이 동일한 용매 또는 극성이 가까운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용매 증발시에 층형상 분리를 보이는 재료면 사용 가능하다.
이제까지 배향 제어막을 기판위에 건조 형성한 후, 벗기는 배향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발명자의 그 후의 실험에 의해서, 배향 제어막을 형성한 후, 배향 제어막을 벗기려고 하면 기판 단부에서 막이 벗겨지기 어렵고, 공정상 매우 숙련을 요하는 점이 명확히 되었다. 특히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81)위에 서랍 전극(83)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이 현저하다. 도면 중 (81)은 표시부(84)를 가지는 기판, (83)이 서랍 전극, (82)는 기판(81)위에 형성된 배향 제어막이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제어막(82)을 기판(81)의 단부(85)에서 벗기려고 하면 이 위치에서 막을 잘 벗기기 위해서는 매우 숙련을 요하며, 공정상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제어막(82)을 형성한 후, 기판(81) 보다도 큰 필름 형상의 시트(86)를 배향 제어막(82)을 덮도록 붙이고, 이 필름을 벗김에 따라서 동시에 배향 제어막(82)도 기판(81)으로부터 벗길 수 있으며, 용이하게 배향 제어막(82)과 기판(81)과의 박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는 적어도 벗기기 시작한 단부에 덮어 씌우도록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바람직한 것은 배향 제어막(82)과 미리 필름 형상의 시트(86)는 같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쪽이 좋다. 상기 필름 형상의 시트(86)는 배향 제어막(82)이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배향 제어막(82)을 덮도록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형상의 시트(86)의 막 두께가 20∼30㎛인 것이 밀착성과 벗길 때의 시트의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제어막(42)을 로울러 (41)로 감아서 이것을 기판(1) 위를 구르게 하여 배향 처리를 한 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 (41)은 로울러, (42)는 로울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향 제어막을 나타내며, (1, 3)은 각각 기판, 배향 막을 나타낸다. 제9도는 기판(1)위에 미리 배향막(3)을 형성하여, 이 배향막(3)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로울러 (41)을 구르게 하여 배향 처리를 하고 있는 도면이다.
로울러(41)가 기판(1)위를 구르는 것에 의해서 로울러(41) 표면에 형성된 배향 제어막(42)이 배향막(3)의 표면과 일시적으로 접촉한 후 바로 벗겨진다. 이 때, 배향막(3)과 배향 제어막(42)과의 접착력에 의해 배향막 분자 사슬 루프 또는 측면 사슬이 일정한 방향으로 일으켜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처리를 할 수 있다. 제10도는 배향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기판 표면을 직접 로울러(41)를 구르게 하여 배향 처리를 하고 있는 도면이다. 로울러 (41)가 기판(1) 위를 구르는 것에 의해서, 로울러(41) 표면에 형성된 배향 처리막(42)의 표면의 단분자층이 기판(1)위에 전사된 후 바로 벗겨진다. 이 때, 기판(1)과 배향 제어막(42)과의 접착력에 의해 전사된 단분자층이 일정한 방향으로 뻗어진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를 배향시킨 배향 처리를 할 수 있다. 제11도는 배향막(3) 표면에 배향 표면 처리를 하여 배향 표면 처리막(11)을 형성하여, 이 배향표면 처리막(11)을 통하여 로울러(41)를 굴려서 배향막(3) 표면을 배향 처리하고 있는 도면이다. 제12도는 배향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기판 표면에 배향 표면 처리로 배향 표면 처리막(11)을 형성하여, 이 배향 표면 처리막(11)을 통하여 직접 로울러(41)를 굴려서 기판(1) 표면을 배향 처리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 때, 배향 표면 처리막(11)은 배향 제어막(42)과 배향막(3) 또는 기판(1)과의 접착력을 조정하기 때문에 움직이며, 이 접착력을 조정함에 따라서 프레틸트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배향막을 갖지 않는 유리 기판 위에 직접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여 박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배향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인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인 폴리이미드막을 두께 10㎛-20㎛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성 또는 건조시킨 후에 기판 면에 형성된 폴리이미드 막을 박리한다. 이와같이 하여 기판 경계면에 잔류된 폴리이미드 여러 분자로 이루어진 방향성을 가지는 얇은 막 또는 미소 돌기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향 제어막으로 폴리이미드 이외에도 폴리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을 이용해도 마찬가지의 배향능을 보인다. 본 발명의 핵심은 배향 제어막과 기판과의 접착력이 배향 제어막을 벗길때에 기판 위에 배향능을 주는 점이다. 이 배향능은 액정 분자를 어느 일정한 방향으로 갖춘 점과, 액정 분자에 프레틸트각을 주는 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핵심은 배향 제어막을 어느 일정한 방향으로 박리하는 점에 있다. 즉, 제13도, 제14도,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50)으로 배향 제어막(52)을 박리하는 점을 핵심으로 한다. 이 경우 박리하는 배향 제어막(52)과 기판(53)과의 경계선은 도면의 등고선(61)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서 액정 분자는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갖춰지는 것이다. 이 경우 박리하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균일한 배향을 얻기 위해서 아주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향막 위에 형성된 배향 제어막의 박리 과정에 있어서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 결합 경계면에서의 접착력에 의해, 잡아끄는 전단응력이 생긴다. 이 잡아끄는 전단응력에 의해 배향 경계면에 방향성을 가지고 형성된 유기 고분자 루프와 유기 고분자 곁사슬이 생긴다 이 유기 고분자 사슬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향과 프레틸트각을 구할 수 있다. 유리 기판 표면에 직접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여 이것을 박리함에 따라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은 배향 제어막의 일부가 배향막 경계면에 흡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향을 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는 목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실시예 1]
제1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1, 2)의 대연 배치된 면(9,10)위에 폴리이미드를 두께 300 옹스트롬(이하 A라고 표기한다)∼700A(여기에서는 500A라고 했다)으로 형성하여 180℃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3, 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막(3, 4) 표면에 PVA(폴리 비닐 알콜) 수용액을 주조하여 두께 10-30㎛으로 균일하게 한다.
다음으로, 건조 난로에 의해 온도 70℃로 2시간동안 건조하여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하여 폴리이미드 배향막(3, 4)과 PVA배향 제어막(5, 6)을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면의 배향 방향이 90℃ 트위스트를 이루는 방향으로 폴리이미드 배향막(3, 4)을 포함하는 PVA 배향 제어막(5, 6)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속도 10cm/sec로 박리하여 기판 경계면에 남겨진 폴리이미드 분자사슬에 의한 액정 분자 배향막을 형성한다.
각각 배향 처리를 한 한쌍의 투명 기판(1, 2)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 ZLI-3276-100 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는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2]
제1도에 있어서, 대향 투명 기판(1, 2)과 대면 배치하는 면(9, 10)위에 두께 약 70A∼1000A의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여 180℃로 1 시간동안 소성하여 배향막(3, 4)을 형성한다. 배향막(3, 4)의 표면에 PVA막을 20∼40㎛의 두께로 주조한 후 70℃로 2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하고, 배향막(3, 4)과 배향 제어막(5, 6)을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상하 기판의 배향 방향이 90℃ 트위스트를 형성하는 방향에 폴리이미드 배향막(3, 4)의 극표면의 막을 포함하는 PVA 배향 제어막(5, 6)을 일정한 속도 2cm/sec로 박리하여 폴리이미드 배향막(3, 4) 경계면에 형성된 폴리이미드 분자 사슬 배향에 의해 액정 분자 배향 처리층을 형성했다. 각각 배향 처리를 한 투명 기판(1, 2)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했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기 위하여 커이럴제를 0.1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3]
제9도에 있어서, 대향 투명 기판(1)와 표면 위에 두께 약 700A-1000A의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여 180℃로 1시간 동안 소성 하여 배향막(3)을 형성했다. 배향막(3)의 표면에 배향 제어막(42)으로 시트 형상인 PVA(수용성 비닐론 필름: 크란(주))막을 5㎜의 두께로 감은 회전 로울러(41)를 준비하여, 이 로울러 (41)가 기판(1)위의 배향막(3)의 표면을 구르도록 접촉시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방향은 셀을 조립했을 때 상하 기판에서 액정 배향 상태가 90℃ 트위스트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3∼5회의 처리를 하였다. 각각 처리를 한 투명 기판(1)윰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기 위하여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4]
제3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1, 2)의 액정 재료가 접하는 면(9, 10)에 폴리 비닐 알콜(포발235: 크란(주))의 5% 용액를 도포하여 70℃로 1 시간 동안 건조하여 두께 10㎛-20㎛의 폴리 비닐 알콜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면의 배향 방향이 90℃ 트위스트를 구성하도록 일정한 방향, 일정한 속도(2cm/sec)로 폴리 비닐 알콜 배향 제어막(5, 6)을 박리하여 배향 처리를 한다.
각각 처리한 한쌍의 투명 기판(1, 2)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했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 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기 위하여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하기에 제2도, 제4도, 제11도를 이용하여 배향 표면 처리를 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5]
제2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1, 2)의 대향 배치된 면(9, 10)에 폴리이미드를 두께 300A-700A로 형성하여 180℃로 1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3, 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 표면처리로 이하에 나타낸 공정을 실시한다.
배향막(3, 4)이 형성된 투명 기판(1, 2)을 표면 처리제인 실란 커플링제 TSL-8345(東芝실리콘사제) 에탄을 용액에 살짝 담궈 경계면 활성화 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경계면에서 결합 및 건조하기 위해 180℃로 20 분동안 소성하여 배향표면 처리막(11, 12)을 형성한다.
이 배향 표면 처리를 한 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한다. 우선,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이 형성된 면 위에 PVA(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주조하여 두께 10-30㎛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건조 난로에 의해 온도 70℃로 2 시간 동안 건조하여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하여 폴리이미드 배향막(3, 4)과 PVA 배향 제어막(5, 6)을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통하여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면의 배향 방향이 90℃ 트위스트를 구성하는 방향에 PVA 배향 제어막(5, 6)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속도 10cm/sec로 박리하여 기판 경계면의 폴리이미드 분자 사슬에 의해 액정 분자 배향층을 형성했다. 이 때의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의 관계는 상기 부등식 (1)에 따른다.
각각 배향 처리를 한 한쌍의 투명 기판(1, 2)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는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6]
제2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1, 2)의 대향 배치된 면(9, 10)에 폴리이미드를 두께 700A-1000A로 형성하여 180℃로 1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3, 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 표면 처리로는 하기에 나타낸 공정을 하였다.
배향막(3, 4)이 형성된 투명 기판(1, 2)을 표면 처리제인 실란 커플링제 TSL-8345(東芝실리콘사제) 에탄올 용액에 살짝 담구어 경계면 활성화 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경계면에서 결합 및 건조 시키기 위하여 180℃로 20분 동안 소성하여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형성한다. 이 배향 표면 처리를 한 후 배향 제어막을 형성한다. 우선, 배향 표면 처리막(11, 12) 표면에 PVA(폴리비닐 알콜) 수용액을 주조하여 두께 20-4O㎛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건조난로에 의해 온도 70℃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배향 제어막(5, 6)을 형성하여 폴리이미드 배향막(3, 4)과 PVA배향 제어막(5, 6)을 배향 표면 처리막(11, 12)을 통해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면의 배향 방향이 90℃트위스트를 구성하는 방향에 PVA 배향제어막(5, 6)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속도 2m/sec로 박리하여 배향막(3, 4) 경계면의 폴리이미드 분자 사슬에 의해 액정 분자 배향층을 형성한다. 이 때의 배향막과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의 관계는 하기 부등식(1)에 따른다.
각각 배향 처리를 한 한쌍의 투명 기판(1, 2)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는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7]
제11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1)의 표면 위에 두께 700A-1000A로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여 180℃로 폴리이미드막을 1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 표면 처리로서 이하에 나타낸 공정을 한다.
배향막(3)이 형성된 투명 기판(1)을 표면 처리제인 실란 커플링제 TSL-8345(東芝실리콘사제)에탄을 용액에 살짝 담구어 경계면 활성화 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경계면에서 결합 및 건조 시키기 위하여 180℃로 20분 동안 소성하여 배향 표면 처리막(11)을 형성한다. 이 배향 표면 처리를 한 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한다. 우선, 배향 표면 처리막(11) 표면에 배향제어막(42)으로서 시트 형상인 PVA(수용성 비닐론 필름; 크란(주))막을 5mm의 두께로 감은 회전 로울러 (41)을 준비하여, 이 로울러(41)를 기판(1)위의 배향 표면 처리막(11)의 표면을 구르도록 접촉시켜 일정 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방향은 셀을 조립할 때 상하 기판에서 액정 배향 상태가 90°트위스트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3-6회의 처리를 한다. 각각 처리를 한 투명 기판(1)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l-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는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7도를 이용하여 배향 제어막을 벗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향 제어막 위에 시트 형상인 필름을 접착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8]
제7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81)의 액정 재료가 접하는 면에 폴리이미드를 두께 300A∼700A로 형성하여 180℃로 1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막 표면에 배향 제어막(82)으로서 PVA 수용액의 5% 용액을 주조하여 두께 1-2㎛로 얇고 균일하게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배향 제어막(82) 형상에 미리 두께 30㎛의 필름 형상의 시트(86)(수용성 비닐론 필름: 크란(주))를 밀착한다. 밀착 후 70℃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밀착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면의 배향 방향이 90°트위스트를 이루는 방향에 폴리이미드 배향막을 포함하는 PVA 배향 제어막에 밀착시킨 필름 형상의 시트(86)를 일정한 방향, 일정한 속도 10cm/sec로 박리하여 기판 경계면에 잔류된 폴리이미드 분자 사슬에 의해 액정 분자 배향막을 형성한다. 각각 배향 처리를 한 한쌍의 투명 기판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한다. 이용한 액정 재료는 메르크사제:ZLI-3276-100이며,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하기 위한 커이럴제를 0.lWT%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수용화된 폴리 비닐 알콜을 주조하기 전에 배향 표면 처리를 한 것이다. 제17도에 있어서, 대향 기판인 투명 기판(81)의 액정 재료가 접하는 면에 폴리이미드를 두께 300A-7OOA로 형성하여 180℃로 1 시간 동안 소성하여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배향막이 형성된 투명 기판(81)을 표면 처리제인 실란 커플링제 TSL-8345(東芝실리콘사제) 에탄올 용액에 살짝 담구어 경계면 활성화 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경계면에서 결합 및 건조시키기 위하여 180℃로 20분동안 소성하여 배향 표면 처리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 배향 표면 처리를 한 후에 실시예 8과 같은 공정을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 1∼ 실시예 9까지를 표2에 정리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는 매우 양호한 표시 상태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로는 러빙 처리 또는 필름 전사 처리에 의해 배향 제어된 장치의 배향 상태를 이용했다.
배향 상황에 대해서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폴리이미드의 러빙 처리 배향 처리면에 줄기 형상인 배향 결함이 관찰되는 것은 보통으로 하고, 관찰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양호로 표시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향 처리 공정에 있어서, 일체 발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발진에 의판 액정 표시 장치의 불량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종래 기술과 같이 포목등으로 러빙 처리를 하지 않고 균일하고 안정되며 정밀도가 좋게 배향 제어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발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향 제어막과 기판과의 접착력에 의해 액정 분자에 양호한 프레틸트각을 여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62)

  1.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향 제어막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기판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상기 기판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 기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 위에 액정 재료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미리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를 기판 표면에 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를 배향막 표면에 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상기 배향 제어막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유기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폴리 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 폴리 스티렌 유도체, 폴리 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 피롤 또는 폴리 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배향막의 재료의 조합은 배향 제어막으로는 폴리 비닐 알콜 또는 폴리 초산 비닐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이미드막과 폴리이미드 전구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유기 실란제를 기판 표면 위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유기 실란제를 상기 배향막 표면위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 -γ-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 -γ-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형성 방법은 상기 기판위에 배향 제어막 재료를 도포하고, 이것을 가열 경화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의 형성 방법은 상기 배향막위에 배향 제어막 재료를 도포하고, 이것을 가열 경화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기판 위에서 구르게 하여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기판의 표면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기판위에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게 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 기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배향 처리된 면 위에 액정 재료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로울러 표면을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를 상기 기판 표면에 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로울러 표면을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를 상기 기판 표면에 하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유기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폴리 비닐 알코올, 폴리 초산 비닐, 폴리 스티렌 유도체, 폴리 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재료는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 피롤 또는 폴리 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배향막의 재료의 조합은 배향 제어막으로는 폴리 비닐 알콜 또는 폴리 초산 비닐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이미드막과 폴리이미드 전구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유기 실란제를 기판 표면위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유기 실란제를 상기 배향막 표면 위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 -γ-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 -γ-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8. 주요 면 위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며, 이 배향 제어막을 벗김에 따라 상기 배향 제어막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1기판과;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1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위에는 또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향막의 표면을 주요 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면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기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가 상기 주요 면위에서 행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면 위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기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가 상기 주요 면위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유기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폴리 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 폴리스티렌 유도체, 폴리 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재료는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 피롤 또는 폴리 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배향막의 재료의 조합은 상기 배향 제어막으로는 폴리 비닐 알콜 또는 폴리 초산 비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며, 상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이미드막과 폴리이미드 전구체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상기 주요 면을 유기 실란제로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상기 주요 면을 유기 실란제로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상기 기판 위에 배향 제어막 재료를 도포하고, 가열 경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상기 배향막 위에 배향 제어막 재료를 도포하고, 가열 경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3.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가지는 로울러를 이용하며, 이 로울러를 주요 면 위에 구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향 제어막의 표면과 주요 면과의 접착력에 의해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배향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제1 기판과; 배향 처리된 면을 대향면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1기판에 대향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제1 기판위에는 또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향막의 표면을 주요 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면에 배향 제어막이 형성되기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가 상기 주요 면에 행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면 위를 상기 로울러가 구르기 전에 프레틸트각을 제어하기 위한 배향 표면 처리가 상기 주요 면에 행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유기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폴리 비닐 알콜, 폴리 초산 비닐, 폴리 스티렌 유도체, 폴리 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로 이루어진 무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재료는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 피를 또는 폴리 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과 상기 배향막의 재료의 조합은 상기 배향 제어막으로는 폴리 비닐 알콜 또는 폴리 초산 비닐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이미드막과 폴리이미드 전구체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상기 주요 면을 유기 실란제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표면 처리는 상기 주요 면을 유기 실란제에 쬐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5. 기판 표면에 액정 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도록 하는 액정분자의 배향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접착력을 가진 배향 제어막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배향제어막을 상기 접착력에 저항하여 벗겨지도록 박리함으로써 상기 기판상에 상기 액정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분자의 배향처리방법.
  56. 기판 표면에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도록하는 액정분자의 배향처리방법에 있어서, 표면에 배향제어막을 갖는 로울러를 이용하고, 상기 로울러의 표면을 상기 기판상에 접촉시키면서 굴리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상기 액정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분자의 배향처리방법.
  57. 액정분자를 배향해야 하는 주요면의 표면상에 접착력을 갖고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제어막을 형성하고, 상기 주요면에서 상기 배향제어막을 상기 접착력에 저항하여 벗겨지도록 박리함으로써 상기 주요면상에 상기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위한 기판.
  58. 로울러 표면에 배향 제어막을 갖는 로울러를 이용하고, 상기 로울러의 표면을 액정분자를 배향해야 하는 주요면의 표면상에 접촉시키면서 굴리는 것에 의해 상기 주요면상에 액정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제어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위한 기판.
  5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일정한 방향으로 벗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일정한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제어막은 일정한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일정한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50002983A 1994-02-22 1995-02-17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KR0177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22965 1994-02-22
JP2296594 1994-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464A KR950025464A (ko) 1995-09-15
KR0177015B1 true KR0177015B1 (ko) 1999-05-01

Family

ID=1209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983A KR0177015B1 (ko) 1994-02-22 1995-02-17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53845A (ko)
KR (1) KR017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654A (ko) * 1996-12-30 1998-09-25 손욱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5502A (ko) * 2004-12-28 2006-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시야각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CN103753944B (zh) * 2014-01-15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柔性显示膜进行剥离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3678A1 (en) * 1991-11-22 1993-05-26 Nippon 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heat-resistant optical elements
JPH0643558A (ja) * 1992-07-24 1994-02-18 Konica Corp 自動画像濃度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464A (ko) 1995-09-15
US5653845A (en) 1997-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33171A (en) Liquid crystal displa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0177015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액정 분자의 배향 처리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기판
EP0571681A1 (en) A method of forming a film for use in alignment of liquid crystal
JPH0728723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分子の配向処理方法、液晶表示装置用基板
US6738126B1 (en)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panel by arranging high viscosity liquid crystal onto a substrate
EP0347178A2 (en) Orientation control film of liquid crystal molecule and liquid crystal element using it
JPS58100121A (ja) 液晶表示素子の配向処理方法
JP2568575B2 (ja) 液晶セルの製造方法
JPH04225325A (ja) 液晶分子配向体の製造方法
JPS59116718A (ja) 液晶表示体
JPH02269318A (ja) 強誘電性液晶素子の配向膜の製造方法
JPH0588179A (ja) ラビングローラー、液晶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装置
JPS58100122A (ja) 液晶セルの製造方法
JPS62295026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2310527A (ja) 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593970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S6227522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S59224824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95027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3559798A (zh) 一种尺寸可控且可脱离基底的巨型脂质体制备方法
JPH05224209A (ja) 液晶用高分子配向膜の形成方法
JPS61130922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S62280720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S626224A (ja) 液晶配向膜の形成法
JPH03126917A (ja) 液晶表示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