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656B1 -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656B1
KR0174656B1 KR1019960026608A KR19960026608A KR0174656B1 KR 0174656 B1 KR0174656 B1 KR 0174656B1 KR 1019960026608 A KR1019960026608 A KR 1019960026608A KR 19960026608 A KR19960026608 A KR 19960026608A KR 0174656 B1 KR0174656 B1 KR 017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forming
sensitive adhesive
pressu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407A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용인
신화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신화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1996002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656B1/ko
Publication of KR98000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또는 외장 벽면에 장식적 효과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요철의 입체무늬를 형성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연질 발포 플라스틱 일면에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시키고 다른 일면에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에 이형제층을 형성시키거나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이형제층을 형성시켜서 된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이다.

Description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제1도는 본 발명 점착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점착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 2 :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
3 : 재박리성 점착제층 4 : 접착제층
5 : 이형제층 6 : 이형지층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 또는 외장 벽면에 장식절 효과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요철의 입체무늬를 형성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돌을 쌓아서 된 벽돌 담장무늬와 같은 실내장식을 하여 주는 방법으로서 벽돌 담장무늬의 인쇄물을 부착시켜 주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밖에토 벽돌 담장무늬의 입체감을 뚜렷하게 나타내주기 위하여 벽돌과 벽돌 사이의 간극을 이루는 부분 즉, 사닥다리 무늬부분에는 먼저 마스킹 테이프를 붙여서 사닥다리 무늬부분이 형성되도록 하고(이를 마스킹 -Masking-한다고 함) 그후 벽면 전체를 채색 도장하거나 채색 몰타르(Mortar)로 메꾸어준 후 채색부분이 건조 ·경화된 후에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여 테이프를 붙여두었던 부분과 채색부분이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도록 하여 벽면에 입체감이 있는 벽돌 담장무늬를 형성시켜 주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스킹 용도에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의 기재(基材)는 주로 종이 또는 필름상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점착테이프의 두께를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을 때는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점착테이프의 기재로 하고 있다.
스프레이(Spray) 방식이나 몰타르(Mortar) 방식으로 도장재료를 피도장재에 도포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장재가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는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마스킹 테이프는 테이프의 반점이나 변형등 소위 후레킹(Flecking)이 없을것, 균일하게 첨부될것, 도장재가 테이프 배면(背面)을 용해시키지 않을것(耐溶劑性), 도장재의 건조온도에 충분히 견딜것(耐熱性), 옥외에서 첨부하여 사용하기에 지장이 없을것(내후성 및 내수성), 테이프를 떼어낼때 점착제가 피도장체에 남아있지 않을것(재박리성-再剝離性)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마스킹용 점착테이프는 기재가 주로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도장층도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있어 도장층을 건조 · 경화시켜준 후 점착테이프를 제거시킬 때 도장층과 점착테이프는 접착력이 좋기 때문에 서로 강하게 결착되어 있어 도장층의 일부가 점착 테이프와 함께 떨어져 나오는 경우가 많아 무늬를 깨끗하게 형성시켜주기가 어려웠다.
또한 요철무늬를 입체감 있게 형성시켜주기 위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기재로 하는 점착테이프를 사용하고 채색몰타르의 두께를 1∼10mm 정도의 내외의 상당한 두께로 형성시켜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점착테이프를 제거시켜줄 때 상당히 큰 힘의 저항을 받게 되므로 테이프 기재의 강도가 요구되나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는 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단(破斷)되어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의 발포 배율을 아주 낮게 하여 주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고 10배 이상 통상의 발포배율을 갖는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기재로 하는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기재로 하는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도장층을 두껍게 형성시켜주거나 두꺼운 몰타르층을 형성시켜줄 때에는 기재도 상당한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는 발포비율이 10∼30배 정도인 폴리에틸렌(가교형 또는 비가교형 폴리에틸렌)발포쉬이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발포비율이 10배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폴리에틸렌 발포 쉬이트의 가장 일반적인 발포비율은 10∼30배이며 발포비율을 5배정도로 하려면 발포셀(Cell)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유지해주어야 하는 기술절인 어려움이 있고 모든 작업조건을 그에 맞게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를 뿐만아니라 원료의 사용량도 많아지고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는 플라스틱 발포체를 스카이빙(Skiving : 두꺼운 발포체를 쉬이트상으로 얇게 켜내는 방법)하여 제조하는데 10배 이상 발포된 것은 스카이빙 작업이 용이하나 5배정도 발포된 것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스카이빙 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발포도인 발포배율 10배 이상의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사용하면서도 테이프의 강도를 발포배율 5배 정도인 것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점착테이프의 표면 소재를 채색 도장층이나 채색 몰타르층과의 상용성 (相容性)이 떨어지는 것을 사용하므로서 사용후 점착테이프 제거가 용이하도록한 입체무늬 형성용 마스킹 테이프로 사용되는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를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점착테이프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접착테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1) 일면에는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2)을 접착시키고 또다른 일면에는 재박리성 점착제층(3)을 형성시킨다. 내용제성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텔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 이하 PET수지라 한다),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들을 수 있다.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의 원료수지로서는 가교형 또는 비가교형 폴리에틸렌수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발포비율 10배 폴리에털렌 발포쉬이트(1) 일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후 시판되고 있는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4)을 형성시켜 폴리에틸렌 발포쉬이트와 PET 필름과 같은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2)을 접착시키고 발포 폴리에틸렌 쉬이트의 다른 일면에는 재박리형 점착제층(3)을 형성시킨다. 이때 점착제는 시판되고 있는 재박리형(再剝離形 : Removal type)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한다.
보관 또는 운반상의 편의를 위하여 점착제층에 이형지를 부착시켜 이형제층(6)을 형성시켜 준거나 PET 필름층에 이형제를 도포하예 이형제층(5)을 형성시키면 제조가 완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두께 2mm, 폭 6mm이고 발포비율 10배의 발포 폴리 에틸렌 쉬이트를 테이프의 기재로 사용하고 여기에 25㎛ 두께의 PET 필름을 접착시켜서 된 점착테이프의 인장 강도는 약 2,5kg을 나타낸다. 이는 발포비율 5배의 폴리에틸렌 쉬이트의 인장강도와 같은 수준 또는 그 이상의 강도이다.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는 발포배율이 10배 이상인 폴리에틸렌 발포 쉬이트를 기재로 사용하면서도 발포배율 5배 정도의 발포쉬이트를 기재로하는 점착테이프와 같은 수준의 강도를 갖을 수 있으며 내용제성 합성수재 핌름을 사용하고 재박리성(Removal type) 점착제로 점착제층을 형성시켜 주기 때문에 점착제가 피도장체에 남아 있지 않게 되어 사용후 점착테이프를 제거시 깨끗한 마스킹을 얻을 수 있고 발포배율이 낮은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기재로 하는 것에 비하여 발포가 용이하고 적은량의 원료수지를 사용하므로 생산비용이 적게 든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연질발포 플라스틱 쉬이트를 기재로 하는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연질 발포 플라스틱 쉬이트 일면에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시키고 다른 일면에는 재박리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점착제층에 이형제층을 형성시키거나 상기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이형제층을 형성시켜서 된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내용제성 합성수지 필름이 폴리에스텔,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입체무늬 형성용 필름이 폴리에스텔, 나일론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KR1019960026608A 1996-07-01 1996-07-01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KR017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608A KR0174656B1 (ko) 1996-07-01 1996-07-01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608A KR0174656B1 (ko) 1996-07-01 1996-07-01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07A KR980009407A (ko) 1998-04-30
KR0174656B1 true KR0174656B1 (ko) 1999-03-20

Family

ID=1946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608A KR0174656B1 (ko) 1996-07-01 1996-07-01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60B1 (ko) * 2009-12-16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10-07 공선규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39B1 (ko) * 2008-02-28 2008-09-10 손혜연 표면에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판재 부착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60B1 (ko) * 2009-12-16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10-07 공선규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0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2825A (en) Method of making simulated masonry wall
EP0368615B1 (en) Masking member
EP0207720B1 (en) A masking member
AU2012338915A1 (en) Panel having a bevel
KR0174656B1 (ko)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EP0246656B1 (en) Process for producing self adhesive sheet materials
JPH0978775A (ja) 建築物の塗膜防水施工用下地被覆材および該下地被覆材を使用した建築物の複合防水施工法
JPH09255927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面保護された物品
JPH0724516Y2 (ja) 目地模様形成用部材
JP3814674B2 (ja) 化粧用石材
JP2004137405A (ja) 粘着テープ
KR102099044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0457736B1 (ko) 표면 마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9209464A (ja) 建材用防水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これらのロール体
KR100476073B1 (ko) 우레탄 양면 스티커
KR101819935B1 (ko)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0129905A (ja) 凹凸模様形成用型部材及び凹凸模様形成方法
JPH03158564A (ja) 型枠材及び建築物の表面処理方法
JPH10120997A (ja) 積層テープ及び建造物表面仕上げ方法
JPS6150916B2 (ko)
JP2000263738A (ja) 無機質系化粧板
JPH09137581A (ja) シート建材及びシート建材の施工方法
KR970062179A (ko) 폴리우레탄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JP2002001831A (ja) 化粧板の補修方法
JPS61254266A (ja) 塗装用マスキング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