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560B1 -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 Google Patents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560B1
KR101317560B1 KR1020090125177A KR20090125177A KR101317560B1 KR 101317560 B1 KR101317560 B1 KR 101317560B1 KR 1020090125177 A KR1020090125177 A KR 1020090125177A KR 20090125177 A KR20090125177 A KR 20090125177A KR 101317560 B1 KR101317560 B1 KR 10131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layer
diy
base material
di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296A (ko
Inventor
정근수
이시영
김강우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밀착력 및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IY 타입 벽지는 폼(foam) 층 기재를 적절히 조성하여 2단계로 간편하게 제조되므로 가정에서 소비자(수요자)가 직접 시멘트 벽면, 초배지, 실크 벽지 등이 시공된 벽면에 별도의 도배 작업 없이 시공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발포 폼의 두께 감으로 인하여 탈착시에도 용이하고 단열 기능과 쿠션 감까지 모두 제공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IY 타입, 벽지, 폼 층, 탈부착, 단열, 쿠션감

Description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A method for manufacturing DIY type wallpaper and DIY type wallpaper having both adhesion property and insulation property manufactured from this method}
본 발명은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폼 층 기재를 적절히 조성하도록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어 별도의 도배 작업 없이 부착뿐 아니라 탈착 또한 용이하고 단열 기능과 쿠션 감까지 제공할 수 있는 벽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다양한 문양 또는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벽에 장식적 미를 부여하는 인테리어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물 내부, 특히 가정의 실내에는 벽면의 인테리어를 위해 각종 문양이 인쇄된 벽지가 시공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벽지는 통상적으로 직포나 종이로 된 하지(또는 원지) 위에 인쇄층이 형성되거나 또는 하지 위에 폼 층, 인쇄층, 보호층 등 기능성 층이 차례로 형성되기도 하며, 하지(또는 원지)와 상지가 접착제에 의해 합지되고 상지 위에 인쇄층 등 상기 기능성 층들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인쇄층은 특정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 또는 동판이나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이를 시공자가 벽면에 풀과 같은 전분 형태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시공되어 왔다.
종래 이러한 벽지는 하지 또는 상지 위에 이미 일정한 문자나 디자인 등의 문양이 인쇄된 일체의 벽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양 선택의 폭이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벽지는 수요자 개개인의 기호에 따라 벽면과 벽면간, 벽면과 천정간 또는 단일 벽면이나 천정에 서로 다른 문양을 다양하게 현출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벽지는 일단 한번 시공되면 교체하기가 아주 번거로웠다. 즉, 종래의 벽지는 공사가 완료된 시멘트 벽면 또는 기존에 벽지가 시공되어 있는 벽면에 새로운 벽지를 재시공하려고 할 경우, 시공되는 벽지가 덜 뜨는 현상과 표면의 불균일성에 따른 외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 있던 벽지를 제거하고, 벽면을 평탄하게 하여야만 하므로 벽면이나 천정의 벽지를 교체하는 작업은 적어도 수 명의 작업자가 기존의 낡은 벽지를 완전히 제거하여 벽면을 깨끗이 정리하고 난 후, 일반적으로 원하는 단일 무늬의 벽지를 시공하는데, 이때에도 바로 벽지를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초배 작업을 통해 한지와 같은 기재층을 깨끗이 정리된 벽면에 형성한 후, 본 도배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지출을 요한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일단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에 도배 작업이 완료되면 벽지를 다시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벽지는 벽지가 더러워지거나 무늬가 유행에 떨어지는 경우 또는 분위기의 변화를 원하는 경우 등 벽지 무늬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교체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시공도 결코 용이하지 않아 이러한 목적을 모두 충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벽지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수요자 개개인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벽지의 인쇄층이 퇴색하거나 유행에 뒤지거나 또는 실종 등의 이유로 교체를 원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라도 수요자가 직접 시공할 수 있고 단열 기능 및 쿠션감까지 함께 부여할 수 이는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DIY 타입 벽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DIY 타입 벽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DIY 타입 벽지가 우수한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도록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DIY(do it yourself)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포기재의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기재 양면에 형성된 각 점착층의 상부에는 벽지 기재와 이형지를 각각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벽지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위에서부터 인쇄층, 벽지 기재층, 점착층, 폼 층, 점착층 및 이형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DIY 타입 벽지를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제1 단계로서, 발포기재의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발포 기재로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은 벽지용 점착제를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벽지용 점착제를 직접 발포 기재상에 코팅한 다음 가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혹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포 기재로는 0.5 내지 2.0 cm 두께를 갖는 위에 점착층을 10 내지 50 ㎛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포 기재의 양면에 점착층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수행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2 단계로서, 상기 발포기재의 양면에 형성된 각 점착층의 상부에 각각 벽지 기재층과 이형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벽지 기재층은 통상적인 인쇄 가능한 하지(원지)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통상적인 하지와 상지를 접착제에 의해 합지(접착)된 인쇄 가능한 기재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 기재는 모조지와 같은 종이나 염화비닐수지(PVC)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 또는 부직포와 같은 통상적인 벽지의 하지로 사용되는 재질 및 규격 제품으로서 그 표면에 전사시트의 인쇄층을 전사 인쇄시킬 수 있는 표면을 가진 것이나 발포수지층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지 기재는 전사 인쇄의 용이성 및 표면 내구성 등의 보완을 위하여 전처리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지기재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전처리 층은 통상적인 수지 조성물을 코팅시켜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시공 전 또는 시공 후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벽지 기재는 통상적인 상기 하지로 구성되는 기재층의 일측에 이형 가능한 점착시트를 합지시켜 표면층을 구성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하지와 상지가 접착제에 의해 합지(접착)된 기재층의 상지 측면에 이형 가능한 점착시트를 합지시켜 표면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정 문양의 인쇄층이 형성된 전사시트는 PET 시트(또는 필름), PVC 시트(필름)와 같은 합성수지 시트(또는 필름)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재질의 캐리어 시트(필름) 위에 전사 인쇄층이 형성된 전사시트로서 열전사 또는 가압 전사용 전사 시트이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 필름 위에 전사 인쇄층, 접착제층 및 이형지 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접착(또는 전사)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같은 벽지는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차례로, 인쇄층, 벽지 기재층, 점착층, 폼 층, 점착층 및 이형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상기 폼 층은 0.5 내지 2.0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폼 층이 상기 하한 미만으로 너무 얇은 경우에는 의도하는 정도의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가 어려우며, 상한을 초과하여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벽지의 미감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벽지 기재층은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주로 벽지의 기재층과 인쇄층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로는 PVC 등의 벽지에 사용 가능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평면적 문양 또는 입체적 문양을 표현함으로써 벽지의 장식적 미를 더욱 표현하는 것으로서, 표면상에 인쇄가능한 수지 또는 종이로 된 물질, 예를 들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다. 입체적 문양을 위하여 발포제가 포함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지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특정한 구조의 벽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벽지의 구조는 시멘트 벽면, 초배지, 실크 벽지 등이 시공된 벽면에 밀착 가능한 벽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에 따라 제조된 DIY 타입 벽지는 폼 층 기재를 적절히 조성하도록 2단계로 간편하게 제조되므로 가정에서 소비자(수요자)가 직접 시멘트 벽면, 초배지, 실크 벽지 등이 시공된 벽면에 별도의 도배 작업 없이 시공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발포 폼의 두께 감으로 인하여 탈착시에도 용이하고 단열 기능과 쿠션 감까지 모두 제공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러나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단면도의 구성을 참조하여, 우선 실크 벽지 상에 발포 기재로서 두께 1 cm인 스티로폼 양쪽에 점착코팅을 하여 라미네이팅한 다음 각 면에 실크 벽지와 이형지(PET)를 적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발포 기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에 따른 벽지를 제조하였다.
<벽지 박리성 및 제품 손상도>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한 벽지에 대한 박리성을 10회 반복하여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제품 손상 없이 10회 반복 시에도 손쉽게 부착되었다가 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단 2회 만에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벽지 밀착력 유지능 >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각 벽지를 시멘트 벽면에 직접 부착한 다음 육안 관찰한 결과 실시예 1은 최장 1년 동안 효과적으로 벽면에 잘 부착되어 있었지만 비교예 1의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 박리가 시작이 되었고, 벽면과 밀착이 되지 않은 부분에서 기포가 발생되어 볼록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단열 성능>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각 벽지를 벽의 1면에 설치한 다음 단열 성능을 대비한 결과, 실시예 1의 벽지의 경우가 1 ℃의 보온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벽지를 벽의 4면에 모두 처리할 경우에는 단열 성능도 탁월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9)

  1. 발포기재의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기재 양면에 형성된 각 점착층의 상부에는 벽지 기재와 이형지를 각각 적층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포 기재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0.5 내지 2.0 cm 범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do it yourself)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지 기재 상에는 인쇄층이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do it yourself)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점착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do it yourself)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차례로, 상기 인쇄층, 벽지 기재층, 점착층, 발포기재 층, 점착층 및 이형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포 기재 층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0.5 내지 2.0 cm 범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do it yourself) 벽지.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발포기재 층 위에 10 내지 50 ㎛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do it yourself) 벽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로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종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do it yourself) 벽지.
KR1020090125177A 2009-12-16 2009-12-16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131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7A KR101317560B1 (ko) 2009-12-16 2009-12-16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7A KR101317560B1 (ko) 2009-12-16 2009-12-16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96A KR20110068296A (ko) 2011-06-22
KR101317560B1 true KR101317560B1 (ko) 2013-10-11

Family

ID=4440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77A KR101317560B1 (ko) 2009-12-16 2009-12-16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52A (ko) 2017-11-24 2019-06-03 양현아 천연염색과 생분해성접착제로 제작된 슬라이딩 퍼즐형 벽지
KR20210044444A (ko) 2019-10-15 2021-04-23 강성호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142A (ja) * 1991-11-29 1993-06-15 Kasuga Sangyo:Kk 重層状装飾用型板
KR0165156B1 (ko) * 1995-06-26 1999-03-20 박순일 발포 가교화 폴리에틸렌 벽지
KR0174656B1 (ko) * 1996-07-01 1999-03-20 이용인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JP2009019293A (ja) 2007-07-10 2009-01-29 Asahipen Corp 粘着壁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142A (ja) * 1991-11-29 1993-06-15 Kasuga Sangyo:Kk 重層状装飾用型板
KR0165156B1 (ko) * 1995-06-26 1999-03-20 박순일 발포 가교화 폴리에틸렌 벽지
KR0174656B1 (ko) * 1996-07-01 1999-03-20 이용인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JP2009019293A (ja) 2007-07-10 2009-01-29 Asahipen Corp 粘着壁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52A (ko) 2017-11-24 2019-06-03 양현아 천연염색과 생분해성접착제로 제작된 슬라이딩 퍼즐형 벽지
KR20210044444A (ko) 2019-10-15 2021-04-23 강성호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96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617A (en) Decorative non-slip liner or mat
JPH04223193A (ja) 熱転写紙用原紙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紙
KR100948628B1 (ko)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점착형 인테리어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7560B1 (ko)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1038985B1 (ko) Diy타입 인테리어 벽지 및 그 시공방법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JPS63194949A (ja) 化粧シ−ト
KR20080004821U (ko) 점착식 직물시트지
KR101294397B1 (ko) 엠보 유지가 우수한 장식 시트 제조 방법
KR100540860B1 (ko) 무늬가 형성된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7517A1 (en) Wall covers
KR101134260B1 (ko) 인테리어 패널
KR20210152901A (ko) 재부착 용이한 기능성 점착벽지 제조 방법 및 점착벽지
JP4197766B2 (ja) ノンハロゲン床材
JP2004237510A (ja) 車両用窓枠パネルの製造方法
CN203831915U (zh) 无纺局部热压烫金壁纸生产系统
JP7350393B1 (ja) 目地様模様形成用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目地様模様を有する塗工部材の作製方法
KR20100138861A (ko) 씽크대 인테리어 필름
JP3780330B2 (ja) 壁紙及び壁紙の貼付方法
JP2009041210A (ja) 紙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ナ材
JPS6043477B2 (ja) 床材の製造方法
JP5723224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384187Y1 (ko) 페트필름에 인쇄문양 피피 합성지가 합지된 장식용 시트지
KR102129868B1 (ko) 친환경 입체 벽지
KR20120064746A (ko) 입체 효과를 갖는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