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44A -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444A
KR20210044444A KR1020190127607A KR20190127607A KR20210044444A KR 20210044444 A KR20210044444 A KR 20210044444A KR 1020190127607 A KR1020190127607 A KR 1020190127607A KR 20190127607 A KR20190127607 A KR 20190127607A KR 20210044444 A KR20210044444 A KR 2021004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wall
tile
detachable
decorative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828B1 (ko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호 filed Critical 강성호
Priority to KR102019012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8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for simultaneously securing pane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in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언제든 원하는 때에 쉽게 교체가능하면서 여러 차례 교환사용이 가능한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지를 대신하여 교체가능한 종이판넬을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색상의 종이 판넬을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 원하는 느낌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분위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집이 아닌 렌탈을 해서 주거를 하는 사용자도 합리적인 금액으로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의 향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세입자로써 규제와 금적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젊은 층의 경제적 여건과 자주 분위기를 바꾸려하는 성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Replacement paper panel system for wall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언제든 원하는 때에 쉽게 교체가능하면서 여러 차례 교환사용이 가능한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물 내부 특히, 가정의 실내에는 벽면의 인테리어를 위해 각종 문양이 인쇄된 벽지가 시공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벽지는 통상적으로 직포나 종이로 된 하지(또는 원지) 위에 인쇄층이 형성되거나 또는 하지 위에 발포층, 인쇄층, 보호층 등 기능성층이 차례로 형성되기도 하며, 하지(또는 원지)와 상지가 접착제에 의해 합지되고 상지 위에 인쇄층 등 상기 기능성층들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인쇄층은 특정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 또는 동판이나 그라비아 인쇄하여 형성되어져 시판되고 있으며, 이를 시공자가 벽면에 풀과 같은 전분형태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시공되어 왔다.
종래의 이러한 벽지는 하지 또는 상지 위에 이미 일정한 문자나 디자인 등의 문양이 인쇄된 일체의 벽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양 선택의 폭이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벽지는 수요자 개개인의 기호에 따라 벽면과 벽면 간, 벽면과 천정간 또는 단일 벽면이나 천정에서로 다른 문양을 다양하게 현출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벽지는 일단 한번 시공되면 교체하기가 아주 번거로웠다.
즉, 종래의 벽지는 공사가 완료된 벽면 또는 기존에 벽지가 시공되어져 있는 벽면에 새로운 벽지를 재시공하려고 할 경우, 시공되는 벽지가 덜 뜨는 현상과 표면의 불균일성에 따른 외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 있던 벽지를 제거하고, 벽면을 평탄하게 하여야만 하므로 벽면이나 천정의 벽지를 교체하는 작업은 적어도 수명의 작업자가 기존의 낡은 벽지를 완전히 제거하여 벽면을 깨끗이 정리하고 난 후, 일반적으로 원하는 단일 무늬의 벽지를 시공하는데, 이때에도 바로 벽지를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초배작업을 통해 한지와 같은 기재층을 깨끗이 정리된 벽면에 형성한 후, 본 도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지출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일단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에 도배작업이 완료되면 벽지를 다시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7560호 (2013.10.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0578호 (2014.01.06)
본 발명의 목적은 벽지를 대신하여 교체가능한 종이판넬을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색상의 종이 판넬을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 원하는 느낌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분위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집이 아닌 렌탈을 해서 주거를 하는 사용자도 합리적인 금액으로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의 향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세입자로써 규제와 금적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의 모서리의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1허니콤보드(410)와, 타측 모서리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2허니콤보드(420)와, 제2허니콤보드(42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허니콤보드(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3허니콤보드(430)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웃하여 형성된 제2허니콤보드(420)와 제3허니콤보드(430)의 사이에 위치하는 T자이음부재(500)와, 모서리부분을 덮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와 제2허니콤보드(420) 모두를 덮을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장식타일(600)과, 상기 모서리장식타일(60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는 보조타일(700)과, 상기 보조타일(7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이 T자이음부재(500)와 맞닿아 부착되는 끝단장식타일(800)과, T자이음부재(500)와 일측이 맞닿아 부착되되 상기 끝단장식타일(800)과 T자이음부재(50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측면장식타일(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종이판넬 시스템과,
벽체(10)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수용되는 것으로, T자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부재(100)의 길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T자부재(2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에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100) 중에 하나의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에 장식타일(300)의 일측면이 부착되며, 나머지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30)에 장식타일(300)의 타측면이 부착되는 장식타일(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재(100)는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T자부재(200)가 수용되기 위한 몰딩부(110)와, 몰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제1탈착부(120)와, 몰딩부(110)의 타측에 위치하되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제2탈착부재(130)와, 프레임부재(100)가 벽체(10)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벽체(10)와 맞닿을 때 벽체(10)에 프레임부재(100)가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타일(300)은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20)와 탈착되도록 제2탈착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탈착부(310)와,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10)와 탈착되도록 제1탈착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4탈착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과,
하단에 걸레받이(20)가 설치된 벽체(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벽체정리단계(S1); 상기 벽체정리단계(S1) 이후, 걸레받이(20)의 상부(21)에 프레임부재(100)를 얹힌 후, 지면과의 수직을 맞춘 다음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 상기 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장식타일을 설치하는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 상기 장식타일부착단계(S3) 이후, 장식타일(300)의 타측과 벽체 사이에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이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T자부재(200)를 설치하는 T자부재설치단계(S5); 상기 T자부재설치단계(S5) 이후,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타측의 상부면에 장식타일(300)이 위치하도록 장식타일(300)을 설치하는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벽지를 대신하여 교체가능한 종이판넬을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색상의 종이 판넬을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 원하는 느낌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분위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집이 아닌 렌탈을 해서 주거를 하는 사용자도 합리적인 금액으로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의 향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세입자로써 규제와 금적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젊은 층의 경제적 여건과 자주 분위기를 바꾸려하는 성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T자부재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재와 T자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시공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종이판넬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종이판넬시스템에 따른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종이 판넬 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건물의 벽체(10)의 하단에 걸레받이(20)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걸레받이(1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종이판넬 시스템은 실시예1과 실시예2로 나뉘어 각각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은 프레임부재(100), T자부재(200), 장식타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부재(100)는 벽체(10)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몰딩부(110), 제1탈착부(120), 제2탈착부(130), 접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00)는 걸레받이(20)의 상부에 위치하되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며, 허니콤 보드 재질이 바람직하다.
몰딩부(110)는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T자부재(200)가 수용되기 위한 것이다(도 5 참고). 상기 몰딩부재(110)는 제1탈착부(120)와 제2탈착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몰딩부(110)에 T자부재(200)가 삽입됨으로 장식타일(300)이 부착됐을 때 타일 간에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1탈착부(120)는 몰딩부(110)의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며 자석 등 탈착이 용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탈착부재(130)는 몰딩부(110)의 타측에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며 자석 등 탈착이 용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탈착부(120)와 제2탈착부(130)는 도면과 같이 각각 3개씩 형성될 수도 있으나 프레임부재(100)의 길이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140)는 프레임부재(100)가 벽체(10)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벽체(10)와 맞닿을때 벽체(10)에 프레임부재(100)가 부착되도록 한다.
도 3(b)와 같이 접착부재(140)는 벽체(10)에 프레임부재(100)가 잘 붙어지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위 아래에 고루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재(140)는 벨트로 등 접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면 T자부재(200)는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수용되는 것으로, T자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부재(100)의 길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장식타일(300)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에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100) 중에 하나의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에 장식타일(300)의 일측면이 부착되며, 나머지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30)에 장식타일(300)의 타측면이 부착된다.
상기 장식타일(300)은 프레임부재(100)에 탈착가능하도록 제3탈착부(310)와 제4탈착부(320)가 형성되며, 제3탈착부(310)는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20)와 탈착되도록 제2탈착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4탈착부(320)는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10)와 탈착되도록 제1탈착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탈착부(110)와 제2탈착부(120)가 자석형태로 형성된다면, 제3탈착부(310)와 제4탈착부(320)는 자석과 탈부착가능하도록 자석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종이 판넬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종이판넬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로서, 실시예 1에 따른 시공방법은 벽체정리단계(S1),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 T자부재설치단계(S5),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 마감단계(S7)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각 진행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벽체정리단계
벽체정리단계(S1)는 하단에 걸레받이(20)가 설치된 벽체(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벽체정리단계(S1)는 벽체(10)의 표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울퉁불퉁한 부분들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벽체정리단계(S1)를 통해 벽체가 정리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S2)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는 상기 벽체정리단계(S1) 이후, 걸레받이(20)의 상부(21)에 프레임부재(100)를 얹힌 후, 지면과의 수직을 맞춘 다음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는 프레임부재(100)를 지면과 수직을 맞춘 다음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에 형성된 접착부재(140)가 벽체(10)에 맞닿으므로 프레임부재(100)가 벽체(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는 벽체(10)의 일측 벽면끝단에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벽체(10)의 중간에서부터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는 1차하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1)와 1차상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2)로 단계가 나뉘어 진행된다.
도 8을 참고하면 1차하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1)는 걸레받이(20)의 상부와 이어지도록 소정 길이의 프레임부재(10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1차상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2)는 상기 1차하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1) 이후 걸레받이(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소정 길이의 프레임부재(100)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1차하부프레임설치단계 및 1차상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로 나뉘는 이유는 벽체(10)의 높이가 프레임부재(100)와 몇배 차이로 높게 형성된 경우 여러개의 프레임부재(100)를 연결하여 벽체(10)의 높이에 맞게 설치하기 위함이며, 도면에는 2개의 프레임부재(1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벽체(10)의 높이에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의 개수는 달라진다.
S3) 1차장식타일부착단계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는 상기 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장식타일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는 하나의 장식타일(300)의 일단이 하나의 프레임부재(100)와 대응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도 10과 같이 벽체(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와 장식타일(300)의 제3탈착부(310)가 만나서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는 1차하부장식타일부착단계(S3-1)와 1차상부장식타일부착단계(S3-2)로 나뉘어 진행된다.
1차하부장식타일부착단계(S3-1)는 상기 1차하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1)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상부면에 장식타일(30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도 10 참고).
이때 장식타일(300)은 벽체(10)의 아래에 위치하는 걸레받이(20)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되며, 장식타일(300)의 제3탈착부(310)가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에 부착되도록 한다.
1차상부장식타일부착단계(S3-2)는 상기 1차하부장식타일부착단계(S3-1) 이후, 1차상부프레임부재설치단계(S2-2)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상부면에 장식타일(300)을 부착하되, 상기 1차하부장식타일부착단계(S3-1)를 통해 부착된 장식타일(3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새로운 장식타일(300)을 부착한다(도11 참고).
이때 장식타일(300)은 벽체(10)의 아래에 위치하는 걸레받이(20)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되며, 장식타일(300)의 제3탈착부(310)가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에 부착되도록 한다.
S4)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는 상기 장식타일부착단계(S3) 이후, 장식타일(300)의 타측과 벽체 사이에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이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는 장식타일(300)의 제4탈착부(320)가 새롭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와 맞물려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두개의 프레임부재(100)가 한꺼번에 도시되었지만,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처럼 걸레받이(20)와 이어지도록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한 후 그 위에 프레임부재(100)를 하나더 설치한다.
S5) T자부재설치단계
T자부재설치단계(S5)는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T자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T자부재설치단계(S5)를 통해 프레임부재(100)에 T자부재(200)가 결합된 모습은 도 1, 도 2, 도 5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 2차장식타일부착단계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는 상기 T자부재설치단계(S5) 이후,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타측의 상부면에 장식타일(300)이 위치하도록 장식타일(3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는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30)에 S6단계를 통해 설치되는 장식타일(300)의 제3탈착부(310)가 맞물려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S4~S6단계는 도 15와 같이 벽체(10)를 모두 덮을때까지 반복하여 진행한다.
S7) 마감단계
마감단계(S7)는 상기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를 이후, 즉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벽체(10)에 장식타일(300)이 덮어진 후, 마감보드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도면 미도시됨).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판넬 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종이판넬를 교체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종이판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실시예 2에 따른 종이판넬시스템은 제1허니콤보드(410), 제2허니콤보드(420), 제3허니콤보드(430), T자이음부재(500), 모서리장식타일(600), 보조타일(700), 끝단장식타일(800), 측면장식타일(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 2에 따른 종이판넬시스템은 모서리부분에 자연스럽게 장식타일이 위치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면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7은 도 16에 표시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벽체의 모서리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1허니콤보드(410)는 일측의 모서리의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면에 형성된 벨크로 등의 형태인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허니콤보드(410)는 전방면에 자석 등의 형태인 탈착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실시예 1의 프레임부재(100)와 부착부재와 탈착부가 동일한 형태로서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한다.
제2허니콤보드(420)는 타측 모서리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벨크로 등의 형태인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허니콤보드(420)는 전방면에 자석 등의 형태인 탈착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실시예 1의 프레임부재(100)와 부착부재와 탈착부가 동일한 형태로서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한다.
제3허니콤보드(430)는 제2허니콤보드(42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허니콤보드(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벨크로 등의 형태인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허니콤보드(430)는 전방면에 자석 등의 형태인 탈착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실시예 1의 프레임부재(100)와 부착부재와 탈착부가 동일한 형태로서 구체적인 모습은 생략한다.
T자이음부재(50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웃하여 형성된 허니콤보드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도 17과 같이 제2허니콤보드(420)와 제3허니콤보드(4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된 제3허니콤보드(4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서리장식타일(600)은 모서리부분을 덮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와 제2허니콤보드(420) 모두를 덮을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타일(700)은 상기 모서리장식타일(60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끝단장식타일(800)과 모서리장식타일(600)의 중간에 위치하여 외관으로 봤을때 장식타일 간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끝단장식타일(800)은 상기 보조타일(7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이 T자이음부재(500)와 맞닿아 부착된다.
측면장식타일(900)은 T자이음부재(500)와 일측이 맞닿아 부착되되 상기 끝단장식타일(800)과 T자이음부재(50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구조물들은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모서리부분을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벽체
20 걸레받이
100 프레임부재
110 몰딩부
120 제1탈착부
130 제2탈착부
140 접착부재
200 T자부재
300 장식타일
310 제3탈착부
320 제4탈착부
410 제1허니콤보드
420 제2허니콤보드
430 제3허니콤보드
500 T자이음부재
600 모서리장식타일
700 보조타일
800 끝단장식타일
900 측면장식타일

Claims (3)

  1. 일측의 모서리의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1허니콤보드(410)와,
    타측 모서리 끝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2허니콤보드(420)와,
    제2허니콤보드(42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허니콤보드(4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되, 후방면에 형성된 부착부재에 의해 벽체에 부착되기 위한 제3허니콤보드(430)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웃하여 형성된 제2허니콤보드(420)와 제3허니콤보드(430)의 사이에 위치하는 T자이음부재(500)와,
    모서리부분을 덮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허니콤보드(410)와 제2허니콤보드(420) 모두를 덮을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장식타일(600)과,
    상기 모서리장식타일(60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는 보조타일(700)과,
    상기 보조타일(7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이 T자이음부재(500)와 맞닿아 부착되는 끝단장식타일(800)과,
    T자이음부재(500)와 일측이 맞닿아 부착되되 상기 끝단장식타일(800)과 T자이음부재(50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측면장식타일(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종이판넬 시스템.
  2. 벽체(10)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수용되는 것으로, T자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부재(100)의 길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T자부재(200)와,
    상기 프레임부재(1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에서 이웃하는 프레임부재(100) 중에 하나의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20)에 장식타일(300)의 일측면이 부착되며, 나머지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30)에 장식타일(300)의 타측면이 부착되는 장식타일(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재(100)는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T자부재(200)가 수용되기 위한 몰딩부(110)와,
    몰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제1탈착부(120)와,
    몰딩부(110)의 타측에 위치하되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간격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제2탈착부재(130)와,
    프레임부재(100)가 벽체(10)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벽체(10)와 맞닿을때 벽체(10)에 프레임부재(100)가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타일(300)은
    프레임부재(100)의 제2탈착부(120)와 탈착되도록 제2탈착부(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탈착부(310)와,
    프레임부재(100)의 제1탈착부(110)와 탈착되도록 제1탈착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4탈착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종이판넬 시스템.
  3. 하단에 걸레받이(20)가 설치된 벽체(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벽체정리단계(S1);
    상기 벽체정리단계(S1) 이후, 걸레받이(20)의 상부(21)에 프레임부재(100)를 얹힌 후, 지면과의 수직을 맞춘 다음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1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2);
    상기 프레임부재설치단계(S2)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장식타일을 설치하는 1차장식타일부착단계(S3);
    상기 장식타일부착단계(S3) 이후, 장식타일(300)의 타측과 벽체 사이에 프레임부재(100)의 일측이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100)를 설치하는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몰딩부(110)에 T자부재(200)를 설치하는 T자부재설치단계(S5);
    상기 T자부재설치단계(S5) 이후, 상기 2차프레임부재설치단계(S4)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부재(100)의 타측의 상부면에 장식타일(300)이 위치하도록 장식타일(300)을 설치하는 2차장식타일부착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종이판넬의 시공방법.

KR1020190127607A 2019-10-15 2019-10-15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7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07A KR102379828B1 (ko) 2019-10-15 2019-10-15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07A KR102379828B1 (ko) 2019-10-15 2019-10-15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444A true KR20210044444A (ko) 2021-04-23
KR102379828B1 KR102379828B1 (ko) 2022-03-28

Family

ID=7573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607A KR102379828B1 (ko) 2019-10-15 2019-10-15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102B1 (ja) * 2022-08-10 2022-12-20 兼松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板体の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80A (ja) * 1999-05-19 2000-11-28 Inax Corp 防水パッキンを備えたガスケット
KR200280898Y1 (ko) * 2002-04-19 2002-07-06 김성만 걸래받이
KR20080102821A (ko) * 2007-05-22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탈부착이 가능한 내장벽체의 시공구조
KR101317560B1 (ko) 2009-12-16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1350578B1 (ko) 2009-12-16 2014-01-13 (주)엘지하우시스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80A (ja) * 1999-05-19 2000-11-28 Inax Corp 防水パッキンを備えたガスケット
KR200280898Y1 (ko) * 2002-04-19 2002-07-06 김성만 걸래받이
KR20080102821A (ko) * 2007-05-22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탈부착이 가능한 내장벽체의 시공구조
KR101317560B1 (ko) 2009-12-16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Diy 타입 벽지의 제조 방법 및 밀착력과 단열 성능을 모두 갖는 diy 타입 벽지
KR101350578B1 (ko) 2009-12-16 2014-01-13 (주)엘지하우시스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102B1 (ja) * 2022-08-10 2022-12-20 兼松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板体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828B1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753A (en) Detachable free mounting wall system
RU2721047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гнитных покрытий поверхностей
US4744189A (en) Removable wall panel
US2245785A (en) Wall tile
US6330774B1 (en) Prefabricated tiled panel system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US10870993B2 (en) Individual polymer masonry pa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AU2001275952A1 (en) Prefabricated tiled panel system
EP1830014A1 (en) Flooring system with removable magnetic flooring modules for constructing the raised floor of a computer room
KR20210044444A (ko)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EP1726737A2 (en) Apparatus for releasable fixation of tiles to a tile support board
US9534412B2 (en) Wall system and waterproof panel
US20090056249A1 (en) Modular space dividing system
EP2210995A1 (en) Tile for covering surfaces
CN205012616U (zh) 一种装饰用框架组件、包含该组件的装饰主体系统
CN207392632U (zh) 室内集成墙面系统
US20150135628A1 (en) System and method of stonework installation
CN204960246U (zh) 墙角装饰扣件
JPH0361815B2 (ko)
KR20140108013A (ko) 벽체
JPH04272347A (ja) タイルパネル外壁
CN210658890U (zh) 一种装饰型材
CN216476064U (zh) 一种锁扣式密缝连纹釉面影视墙板
CN210621886U (zh) 一种组装式金属地漏构件及地面拼接系统
CN213449240U (zh) 一种预制装配式房屋内墙面的装饰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