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98Y1 - 걸래받이 - Google Patents

걸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98Y1
KR200280898Y1 KR2020020011970U KR20020011970U KR200280898Y1 KR 200280898 Y1 KR200280898 Y1 KR 200280898Y1 KR 2020020011970 U KR2020020011970 U KR 2020020011970U KR 20020011970 U KR20020011970 U KR 20020011970U KR 200280898 Y1 KR200280898 Y1 KR 200280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wall
adhesive
present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김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KR2020020011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98Y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걸래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홈과 돌기를 갖는 접착면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부착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배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건물에 배선되는 전선및 통신케이블을 삽입하여 배선정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걸래받이에 관한 것으로, 배면에는 중앙부에 다수의 접착홈과 접찰돌기를 대형상으로 형성한 접착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부의 하측으로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벽체와의 접착력을 강화함으로써 장식면에는 내장벽체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부나 장식홈 또는 장식면의 상단 모서리를 단턱진 이중의 장식라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래받이{FLOOR MOLDING}
본 고안은 걸래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홈과 돌기를 갖는 접착면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부착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배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건물에 배선되는 전선및 통신케이블을 삽입하여 배선정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걸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래받이는 실내 벽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면을 청소하거나 사용자의 이동시 신발에 의하여 벽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걸래받이의 전형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장식면, 2는 접착면, 3은 돌출면, 4는 삽입면, 5는 돌기부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걸래받이는 정면으로는 장식면(1)을 형성하고 배면에는 접착면(2)으로 형성하여 상기 접착면(2)이 벽체에 접착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걸래받이는 상기 접착면(2)에는 다수의 돌출면(3)과 삽입면(4)이 형성되어 있어 액폭시 수지로 벽체에 접착고정 하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장식면(1)에는 건물바닥의 물청소시 벽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돌기부(5)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걸래받이는 벽체와 접착 고정되는 접착면(2)이 다수의 돌출면(3)과 삽입면(4)으로 형성되어 있어 벽체와 접착되어지는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 접착력이 저하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접착력의 저하로 인하여 건물청소나 사용자의 이동에 의하여 걸래받이에 반복되는 충격이 가해지면 걸래받이가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보수공사를 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걸래받이는 청소시 오물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돌기부(5)를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돌기부(5)는 내장벽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걸래받이의 단부가 나타나는 출입문의 양측으로 벽체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않았으며 돌기부(5)가 파손되기 쉽고, 또한 가구등이 벽면과 일치되지 않아 가구등을 설치하여도 공간이 남게되어 청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홈과 돌기를 갖는 접착면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견고히 부착할 수 있으며 배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전선및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걸래받이가 내장벽체의 일직선상에서 돌출되지 않아 파손방지와 가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걸래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정면에는 장식면과 배면에는 접착면을 갖는 걸래받이에 있어서, 상기 걸래받이의 배면에는 중앙부에 다수의 접착홈과 접찰돌기를 대형상으로 형성한 접착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부의 하측으로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를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래받이의 장식면의 하측으로는 내장벽체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장식면에 장식홈 및 장식면의 상단 모서리를 단턱진 이중의 장식라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선및 통신케이블을 바닥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배선하지 않고, 걸래받이 설치시 배선을 할 수 있고 걸래받이가 벽체와 견고히 부착됨은 물론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걸래받이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걸래받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걸래받이 20 : 배면
21 : 접착면부 22 : 접착돌기
23 : 접착홈 24 : 삽입홈
25 : 경사면 30 : 장식면
32 : 돌출부 34 : 장식홈
36 : 장식라운드부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걸래받이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걸래받이(10)는 외장벽체(6)와 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접착면부(21)와 삽입홈(24)를 갖는 배면(20)과 정면으로는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면(30)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면(20)에는 중앙에 에폭시등의 접착제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외장벽체(6)와 견고히 접착되도록 접착면부(21)를 형성하되, 상기 접착면부(21)는 중앙으로 다수의 접착돌기(22)와 접착홈(23)을 대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부(21)의 하측으로는 전선(9)및 통신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4) 하측으로는 건물의 외장벽체(6)와 바닥면(7)의 모서리가 걸래받이(10)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25)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장식면(30)의 상측부를 내장벽체(7)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하측은 상기 내장벽체(7)와 동일한 두께의 돌출부(32)를 형성하여 오물이 벽체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장식면(30)에 장식홈(34)을 형성하여 장식면(30)의 단조로움을 방지하고, 오물이 상측으로 상승되어 내장벽체(7)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면(30)에 장식라운드부(36)를 더 형성하여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장벽체(7)와 단턱을 두어 오물이 내장벽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DF나 우레탄폼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걸래받이(10)의 배면의 접착면부(21)에 형성된 다수의 접착돌기(22)와 다수의 접착홈(23)을 형성함으로써 외장벽체와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강하게 접착되는 접착면부(21)를 형성함으로써 내장벽체(7)와 수직으로 일치되는 두깨로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내장벽체(7)보다 돌출되지 않는 걸래받이(10)를 형성함으로써 먼지등이 쌓이는 오염을 방지하고, 가구등의 이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수가 있다.
그리고, 전선(9)이나 통신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삽입홈(24)을 구성함으로써, 특히 추가적인 전기공사나 통신케이블공사로 인한 전선및 통신케이블등을 내장함으로써 전선(9)을 삽입하기 위한 벽체의 훼손이나, 전선(9)이 바닥에 위치되지않도록하여 화재를 방지하며, 바닥에 장착되는 전선(9)을 삽입홈에(24)에 삽입하여장착할수가 있어서 실내를 미려하게 할 수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DF나 우레탄폼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걸래받이(10)의 장식면(30)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홈(32)이나돌출부(34),혹은 장식라운드부(36)를 형성하여 물청소등으로 인하여 액체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장벽체(7)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접착홈과 접착돌기를 갖는 접착면부를 형성하여 벽면에 견고히 부착하여 시공시 하자 발생을 줄이며, 접착면부 하측으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전선및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다.
또한 걸래받이가 내장벽체의 일직선상에서 돌출되지 않아 파손방지와 가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을 높이고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정면에는 장식면과 배면에는 접착면으로 형성된 걸래받이에 있어서,
    상기 배면에는 중앙부에 다수의 접착홈과 접찰돌기를 대형상으로 형성한 접착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부의 하측으로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의 하측으로는 내장벽체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에 장식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
  4.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의 상단 모서리를 단턱진 이중의 장식라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래받이.
KR2020020011970U 2002-04-19 2002-04-19 걸래받이 KR200280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70U KR200280898Y1 (ko) 2002-04-19 2002-04-19 걸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70U KR200280898Y1 (ko) 2002-04-19 2002-04-19 걸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98Y1 true KR200280898Y1 (ko) 2002-07-06

Family

ID=7312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970U KR200280898Y1 (ko) 2002-04-19 2002-04-19 걸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44A (ko) * 2019-10-15 2021-04-23 강성호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44A (ko) * 2019-10-15 2021-04-23 강성호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79828B1 (ko) * 2019-10-15 2022-03-28 강성호 벽체용 교체형 종이 판넬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095Y1 (ko)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200280898Y1 (ko) 걸래받이
JP2988374B2 (ja) エッジ部材
KR100938174B1 (ko) 선박용 걸레받이
KR100753004B1 (ko)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CN210263775U (zh) 一种护墙板平缝线装饰连接件
KR10067993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구조
CN218912112U (zh) 一种踢脚线构件及踢脚线组件
KR100378557B1 (ko) 선박 벽면 하단부의 걸레받이 장착구조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CN217711548U (zh) 踢脚板
JPH0925711A (ja) 幅 木
KR200224329Y1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KR200213669Y1 (ko) 콘테이너박스 외벽구조
KR200162025Y1 (ko) 걸레받이
JP3902486B2 (ja) 玄関パン
CN218668353U (zh) 一种踢脚线的安装结构
CN210263782U (zh) 一种护墙板踢脚线装饰连接件
JP4227937B2 (ja) 浴室用収納棚
JPS6051403A (ja) 配線ピツト
CN217537726U (zh) 一种踢脚线组件
KR20020019810A (ko) 걸레받이
CN210263774U (zh) 一种护墙板腰线装饰连接件
CN217232506U (zh) 一种新型环保建筑墙板
CN217299671U (zh) 一种卡扣型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