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788Y1 -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788Y1
KR200375788Y1 KR20-2004-0031894U KR20040031894U KR200375788Y1 KR 200375788 Y1 KR200375788 Y1 KR 200375788Y1 KR 20040031894 U KR20040031894 U KR 20040031894U KR 200375788 Y1 KR200375788 Y1 KR 200375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board
protrusion
base plate
sh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창균
Original Assignee
나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창균 filed Critical 나창균
Priority to KR20-2004-0031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걸레받이는 일정한 두께의 판재 형상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상부걸레받이;와 상기 상부걸레받이의 하측 전면에서 탈부착되는 하부걸레받이;와 상기 상부걸레받이에서 하부걸레받이를 탈부착하는 탈부착수단; 및 상기 하부걸레받이 하부에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덮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일(-)자 형상의 돌기부와 이에 대응되는 돌기홈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벽면에 상기 상부걸레받이를 부착하고 도배를 한 후에, 바닥면에 마루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부착하면 간단하게 시공이 완료되고, 바닥면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탈착한 후에 마루 바닥을 시공하고, 탈착된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탈부착수단에 의하여 재부착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과 벽면에 발생되는 약간의 여유공간은 연질로 이루어진 덮개판에 의하여 밀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청소와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걸레받이{baseboard}
본 고안은 거실이나 방의 벽면 하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실바닥을 수리하거나 교체를 할 때에도 간단하게 걸레받이를 분해하고 재 설치 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과 걸레받이의 하부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를 보정할 수 있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의 바닥면에서 벽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걸레받이는, 바닥면을 걸레질할 때, 걸레가 벽지에 손상을 주거나 오물의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레받이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걸레받이는 목재, MDF,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걸레받이는 벽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벽에 고정되는 걸레받이는 일체로 되어 있어서, 바닥면을 교체할 때에는 걸레받이도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바닥면이 균일하지 못 할 경우에는 걸레받이와 바닥면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레받이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걸레받이는 바닥면을 설치한 후에 시공을 하고, 여유공간은 실리콘에 의하여 코킹작업을 하는 등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걸레받이를 설치한 후에도 바닥면을 시공할 수 있고, 바닥면과 걸레받이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을 교체할 때에도 간단하게 분해 조립을 하여서 재 사용할 수 있는 걸레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걸레받이는 일정한 두께의 판재 형상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상부걸레받이;와 상기 상부걸레받이의 하측 전면에서 탈부착되는 하부걸레받이;와 상기 상부걸레받이에서 하부걸레받이를 탈부착하는 탈부착수단; 및 상기 하부걸레받이 하부에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일(-)자 형상의 돌기부와 이에 대응되는 돌기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ㄷ"자 형상이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돌기홈은 내부로 "ㄷ"자 형상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출부위에는 요철면이 형성되거나, 단면이 미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최소한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상부걸레받이와 상기 하부걸레받이 및 상기 덮개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탈부착 수단은 일정거리를 두고 반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와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쐐기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걸레받이는 벽면에 부착되는 상부걸레받이(20)와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하부에서 탈부착되는 하부걸레받이(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걸레받이(20)는 평판형상으로 길다랗게 형성되며, 하측에는 후면판(29)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된 형상이다. 그리고 개방된 전면에는 상기 하부걸레받이(30)가 탈부착되는데, 상기 하부걸레받이(30)의 상단부에는 단턱(35)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35)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하부 전면에도 또 하나의 단턱(25)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후면판(29)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걸레받이(30)의 일측면(39)에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어 탈부착 된다.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하부걸레받이(30)가 탈부착되게 하는 수단으로서, 일실시예에서는 돌기부(21)와 돌기홈(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21)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후면판(29)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1)은 하부걸레받이(30)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상기 하부걸레받이(3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1)와 상기 돌기홈(31)은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21)가 상기 돌기홈(31)에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21)는 상기 상부걸레받이의 후면판(29)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1)은 하부걸레받이(30)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돌기부(21)와 상기 돌기홈(31)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9 참조)
또한 상기 돌기부(21)와 돌기홈(31)이 억지끼움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21)의 단면은 여러가지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1)의 선단 외주면에는 요철면(21a)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미늘(21b) 형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6c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1)의 선단이 구형(21c)이거나 삼각형(21d)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돌기부(21)의 선단은 여러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걸레받이(30)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확대된 형상의 덮개판(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32)은 상기 걸레받이(10)와 바닥면에 생길 수 있는 틈새를 밀폐하게 하고, 상기 덮개판(32)이 외측으로 라운딩(Rounding) 되므로 걸레받이(10)와 바닥면이 직각으로 접하여 오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8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부착수단이 쐐기(27)와 쐐기홈(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27)는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홈(37)도 상기 쐐기(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10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에 형성된 단턱(25)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레받이(30)의 단턱(35)은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상기 단턱(25)에 결합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도11에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후면판(29)을 확장하여서 탈부착수단이 이중으로 형성되게 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걸레받이(30)에도 이중으로 탈부착수단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도12a 내지 도13b에는 또 다른 실시예의 걸레받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하부걸레받이(30)가 서로 연결되어 성형된다. 즉 사출에 의하여 상기 걸레받이(10)가 성형될 때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하부걸레받이(30)는 서로 연결되게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된 부분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걸레받이(30)는 상부걸레받이(20)에 대하여 절철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21)와 돌기홈(31)도 도12a 내지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13a 내지 도 13b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하부걸레받이(30)가 서로 연결되게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부걸레받이(20)와 하부걸레받이(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장식무니가 서로 연결되어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걸레받이(10)의 사용은 도4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삭제
먼저 상기 걸레받이(1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걸레받이(20)를 벽면에 부착한 후에 강화마루 등으로 바닥면을 시공하고, 상기 하부걸레받이(30)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걸레받이(20)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걸레받이(20)에 형성된 단턱(25)과 하부걸레받이에 형성된 단턱(35)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또한 돌기부(21)와 돌기홈(31)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바닥면을 재시공할 때에는 상기 하부걸레받이(30)를 탈착한 후에 강화마루를 시공하고, 탈착된 상기 하부걸레받이(30)를 또 다시 부착하면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벽면에 상기 상부걸레받이를 부착하고 도배를 한 후에, 바닥면에 마루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부착하면 간단하게 시공이 완료된다. 그리고, 바닥면을 교체할 때에는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탈착한 후에 마루 바닥을 시공하고, 탈착된 상기 하부걸레받이를 탈부착수단에 의하여 재부착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면과 벽면에 발생되는 약간의 여유공간은 코킹작업에 의하여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연질로 이루어진 덮개판에 의하여 밀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청소와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걸레받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걸레받이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에 따른 걸레받이의 단면도.
도4와 도5는 도1에 따른 걸레받이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 내지 도1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걸레받이, 20:상부걸레받이,
21:돌기부, 25,35:단턱,
30:하부걸레받이, 31:돌기홈,
32:덮개판,

Claims (8)

  1. 일정한 두께의 판재 형상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상부걸레받이(20);와 상기 상부걸레받이(20)의 하측 전면에서 탈부착되는 하부걸레받이(30);와 상기 상부걸레받이(20)에서 하부걸레받이(30)를 탈부착하는 탈부착수단; 및 상기 하부걸레받이(30) 하부에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덮개판(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일(-)자 형상의 돌기부(21)와 이에 대응되는 돌기홈(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1)의 단면은 "ㄷ"자 형상이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돌기홈(31)은 내부로 "ㄷ"자 형상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1)의 돌출부위에는 요철면(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1)의 단면은 미늘(21b)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1)는 최소한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1)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레받이(20)와 상기 하부걸래받이(30) 및 상기 덮개판(32)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일정거리를 두고 반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27)와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쐐기홈(37)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KR20-2004-0031894U 2004-11-11 2004-11-11 걸레받이 KR200375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94U KR200375788Y1 (ko) 2004-11-11 2004-11-11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94U KR200375788Y1 (ko) 2004-11-11 2004-11-11 걸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788Y1 true KR200375788Y1 (ko) 2005-03-11

Family

ID=4367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894U KR200375788Y1 (ko) 2004-11-11 2004-11-11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7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359A1 (en) * 2005-04-29 2006-11-09 Je Sam Yu One-body type washboard
KR200457603Y1 (ko) * 2010-10-01 2011-12-28 삼광산업 주식회사 극장용 의자
KR101180601B1 (ko) * 2010-06-16 2012-09-06 강학현 걸레받이
KR200496102Y1 (ko) * 2021-07-02 2022-11-03 주식회사 성원이엔텍 조립형 플라스틱 걸레받이
KR20230046571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락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359A1 (en) * 2005-04-29 2006-11-09 Je Sam Yu One-body type washboard
KR100740645B1 (ko) * 2005-04-29 2007-07-19 유제삼 일체형 걸레받이
KR101180601B1 (ko) * 2010-06-16 2012-09-06 강학현 걸레받이
KR200457603Y1 (ko) * 2010-10-01 2011-12-28 삼광산업 주식회사 극장용 의자
KR200496102Y1 (ko) * 2021-07-02 2022-11-03 주식회사 성원이엔텍 조립형 플라스틱 걸레받이
KR20230046571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락소 길이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9030S1 (en) Floor mat with scraping and wiping characteristics
JP3710827B2 (ja) タイル床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KR200456095Y1 (ko)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USD588314S1 (en) Support plate for brush tufts
USD556921S1 (en) Surface covering tile
KR200382040Y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101377579B1 (ko) 테이블용 상판
KR20090005896A (ko)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KR101804929B1 (ko)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JP3116858U (ja) 巾木
KR20170003660U (ko) 조립식 걸레받이
USD582118S1 (en) Applicator wiping surface for a container
KR200263001Y1 (ko) 걸레받이
KR200162025Y1 (ko) 걸레받이
KR101178584B1 (ko) 목재용 데크 클립
CN204596659U (zh) 配线器具用面板
JP3957610B2 (ja) 建具の開口部構造
KR101905388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CN215820734U (zh) 一种带有装饰件的盖板
KR200224329Y1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KR101218193B1 (ko) 가구 겸용 데코벽 어셈블리
JP3071488U (ja) 木材床板の構造
JP3122674U (ja) プレート部材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