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388B1 - 배수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388B1
KR101905388B1 KR1020170009037A KR20170009037A KR101905388B1 KR 101905388 B1 KR101905388 B1 KR 101905388B1 KR 1020170009037 A KR1020170009037 A KR 1020170009037A KR 20170009037 A KR20170009037 A KR 20170009037A KR 101905388 B1 KR101905388 B1 KR 10190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
main plate
b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470A (ko
Inventor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주)반석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석테크 filed Critical (주)반석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고, 구조물(1)의 벽체에 배치되는 배수판(100)을 포함하되, 배수판(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판(10), 본체판(10)의 일단으로부터 본체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20), 및 본체판(10)의 타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본체판(10) 일면과의 사이에 결합홈(31)이 형성되도록 본체판(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100a)의 결합홈(31)에,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되어, 서로 다른 배수판(100)이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배수판 조립체 {DRAIN BOARD ASSEMBLY}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배수판이 용이하게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특히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지하층에는 강수나 지하수 유입에 따른 수분 침투가 용이하여 벽면이나 바닥면에 습기와 누수가 발생하고, 낮과 밤의 온도차로 인해 이슬이 맺히는 결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습기, 누수 및 결로 현상은 다습한 환경을 조성하여 세균을 번식시키고 악취를 유발하며, 미관을 해치므로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방습공법 또는 배수판과 같은 방습구조물이 고안되었다.
배수판은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벽 또는 바닥에 발생하는 누수나 결로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구조체이다. 종래 배수판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단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지지기둥을 구비하는데, 그 지지기둥에 못을 박아서 배수판을 건축물의 벽 등에 고정한다. 한편, 종래 배수판은 성형 공정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인접하는 배수판은 핀이나 못을 이용해 연결되므로, 다수 개의 배수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인력 투입량이 증가하여 시공비가 상승한다. 또한, 배수판을 철거하거나 연결된 분리판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핀 또는 못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종래 배수판은 편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곡선형이나 꺽인 구조의 벽 또는 바닥에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 배수판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0383509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어느 하나의 배수판의 본체판 일단에 형성된 돌기부가 다른 배수판의 본체판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다수 개의 배수판이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고,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층에 배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판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판의 타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 일면과의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의 결합홈에,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의 돌기부가 삽입되어, 서로 다른 상기 배수판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말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판의 본체판 일면과 상기 제2 배수판의 본체판 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배수판이 뒤집혀서 상기 제1 배수판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bar)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각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바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곡선형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요철(凹凸) 형태의 요철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에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오목하게 걸림홈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고정못 또는 핀이 삽입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판의 일단에 돌기부가 연장되고, 본체판의 타단쪽에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본체판 타단과 그 결합부 사이에 결합홈가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배수판의 돌기부를 다른 배수판의 결합홈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배수판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연결과 분리가 쉬어서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돌기부와 결합부가 특이한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판이 만곡 또는 절곡되거나 요철부를 구비하여, 곡선형이나 꺽인 구조 등과 같이 편평하지 않은 구조물 벽체 등에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고, 본체판 자체의 형상으로 심미감을 유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의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서로 다른 배수판이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배수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배수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의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고, 구조물(1)의 벽체에 배치되는 배수판(100)을 포함하되, 배수판(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판(10), 본체판(10)의 일단으로부터 본체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20), 및 본체판(10)의 타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본체판(10) 일면과의 사이에 결합홈(31)이 형성되도록 본체판(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100a)의 결합홈(31)에,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되어, 서로 다른 배수판(100)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그 벽 또는 바닥에 발생하는 누수나 결로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배수판을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은 지하층에는 수분 침투가 용이하고 시간에 따른 온도차로 인해 습기 및 누수와 결로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습기, 누수, 결로 현상은 세균 증식, 악취 유발, 및 미관 훼손의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배수판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배수판의 경우에는 표면이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기둥에 못을 박아 벽 등에 배수판을 고정하며, 다수의 배수판을 서로 연결할 때에도 핀이나 못을 이용하므로, 시공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며, 배수판의 연결 및 분리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종래 배수판은 편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곡선형이나 꺽인 구조의 벽 또는 바닥에 시공이 어렵다. 이에 이러한 종래 배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가 안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배수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판(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구조물(1)의 벽체 또는 바닥층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구조물(1)은 건물, 공작물 등을 통칭하여 이르는 것이고, 배수판(100)이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하실에 주로 배치되지만 그렇다고 하여 구조물(1)을 반드시 지하실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본체판(10), 돌기부(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한다.
본체판(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형상의 본체판(10)은 구조물(1)의 벽체 또는 바닥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한편, 본체판(10)의 일단에는 돌기부(20)가, 그 타단에는 결합부(30)가 배치된다.
여기서, 돌기부(20)는 본체판(10)의 일단으로부터, 본체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예로, 돌기부(20)는 본체판(10)의 일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그 일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때의 돌기부(2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고, 그 "ㄱ"자 형태 중 "ㅡ"인 평형부와 연결된 수직부 "l"의 하부 말단에 본체판(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본체판(10)의 일단은 본체판(10)의 가장자리 말단 중 어느 하나의 말단을, 본체판(10)의 일면은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전방은 본체판(10)의 일면이 향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데,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한편, 돌기부(20)는 상기 본체판(10)의 말단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본체판(10)의 일단에만 1개의 돌기부(20)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2b와 같이, 본체판(10)의 일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말단 각각에 돌기부(20)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결합부(30)는 본체판(10)의 타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본체판(10)의 일면과의 사이에 결합홈(31)이 형성되도록, 그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본체판(10)의 타단은 본체판(10)의 가장자리 말단 중 일단을 제외한 말단으로, 그 일단과 대향하는 말단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부(30)은 상기 말단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30)는 본체판(10)의 타단에만 1개가 형성되거나(도 2a 참조), 또는 본체판(10)의 말단을 포함한 다수의 말단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2b 참조).
이때, 그 결합홈(31)은 돌기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돌기부(2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돌기부(20)와 결합홈(31)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소의 유격이 생겨도 무방하다.
한편, 결합부(30)는 돌기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데, 그 일 예로서, 제1 절곡부(33) 및 제2 절곡부(35)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절곡부(33)는 본체판(10)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본체판(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절곡부(33)는 상술한 "ㄱ"자형 돌기부(20)와 좌우 대칭된 형태가 되고, 본체판(10)의 타단과 제1 절곡부(33)가 이루는 단면은 "ㄷ"자 형태가 된다. 한편, 제2 절곡부(35)는 제1 절곡부(33)의 절곡된 말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본체판(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다시 절곡된다. 즉, 제2 절곡부(35)는 제1 절곡부(33)와 동일한 형태로 제1 절곡부(33)로부터 연장되어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로 제1 절곡부(33)와 제2 절곡부(35)가 형성됨으로써, 구조물(1)의 벽체 또는 바닥층이 편평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배수판(100)을 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이렇게 본체판(10), 돌기부(20), 및 결합부(30)가 결합된 형태로 배수판(100)이 형성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판(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배수판(100a)의 결합홈(31)에, 다른 하나인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넓은 면적의 구조물(1)의 벽체 또는 바닥층을 커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배수판(100)을 고정하면서, 구조물(1)의 벽체 또는 바닥층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프레임(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200)은 소정이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바(bar)로 형성되는데, 이때 그 바(bar)들이 서로 연결되어 액자틀이나 다각형의 링(ring) 형태 등과 같은 일정한 형태를 이루든가, 또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바(bar)로 형성된 프레임(200)은 구조물(1)의 벽체 등에 설치되고, 그 프레임(200)에 배수판(100)이 결합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200)이 다수의 바(bar)가 서로 연결되어 중심부가 천공된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이때, 그 중심부를 가로질러 바(bar)가 배치되어도 무방함), 그 최외곽에 배치되는 바(bar)에 배수판(100)의 결합부(30)가 배치된다. 이때, 배수판(10)의 타면이 구조물(1)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거나(도 3a 참조), 또는 배수판(10)의 일면이 구조물(1)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3b 참조).
그 결합부(30)와 프레임(200)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못 또는 핀을 사용하여 결합부(30)와 프레임(2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200)에 배수판(100)이 결합되면서 바(bar)의 두께에 의해, 배수판(100)이 구조물(1)의 벽체 등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의하면, 본체판(10)의 일단에 돌기부(20)가 연장되고, 본체판(10)의 타단쪽에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된 결합부(30)가 형성되어 본체판(10) 타단과 그 결합부(30) 사이에 결합홈(31)이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배수판(100)의 돌기부(20)를 다른 배수판(100)의 결합홈(31)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배수판(100)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10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연결과 분리가 쉬어서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돌기부(20)와 결합부(30)가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서로 다른 배수판이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서로 다른 제1 배수판(100a)과 제2 배수판(100b)은, 제1 배수판(100a)의 결합부(30)에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하에서 결합부(30)는 제1 절곡부(33)와 제2 절곡부(35)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돌기부(20)는 "ㄱ"자 형태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수판(100b)을 뒤집어서, 즉 제1 배수판(100a)의 본체판(10a) 일면과 제2 배수판(100b)의 본체판(10b) 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제1 배수판(100a)의 "ㄱ"자 형 돌기부(20)가 제2 배수판(100b)의 제1 절곡부(33) 및 제2 절곡부(35)와 접하면서, 제1 절곡부(33) 및 제2 절곡부(35)와 제1 배수판(100a)의 본체판(10a) 타단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31,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판(100a)과 제2 배수판(100b)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고,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므로, 구조물(1)의 벽체 등에 굴곡이 있거나 곡선으로 된 경우에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도 4b와 같이, 제1 배수판(100a)의 본체판(10a) 일면과 제2 배수판(100b)의 본체판(10b) 일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제1 배수판(100a)의 제1 절곡부(33)와 제1 배수판(100a)의 본체판(10a) 타단 사이의 결합홈(31, 도 3 참조)에,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판(100a)의 본체판(10a) 타면과 제2 배수판(100b)의 본체판(10b) 타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조물(1)의 벽체 등이 편평한 경우에 본 방식에 따라 연결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연결방식에서는, 제1 배수판(100a)의 제2 절곡부(35)와 제1 배수판(100a)의 돌기부(20) 사이에 간극에 의한 유격이 생기는데, 이때 그 간극에 유격방지부재(300)를 삽입하여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유격방지부재(300)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못이나 핀을 박아도 무방하다.
또 다른 연결방식으로는, 도 4c와 같이, 제2 배수판(100b)을 뒤집어서, 제1 배수판(100a)의 제2 절곡부(35)에,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판(100a)의 결합홈(31, 도 3 참조)에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끼여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프레임(200)의 바(bar)가 그 돌기부(20)를 지탱하거나, 또는 고정못이나 핀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1 배수판(100a)의 제2 절곡부(35) 외면과 제2 배수판(100b)의 타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굴곡 등이 있는 구조물(1)의 벽체 등을 따라 여러 개의 배수판(100)을 용이하게 연결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판(100)의 연결방식 이외에도, 배수판(100)의 형상을 통해 편평하지 않은 구조물(1)의 벽체 등에 간단하게 배수판(100)을 시공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배수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100)의 본체판(10)은 평판이 아니라, 만곡, 절곡되거나, 또는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본체판(10)은 곡선형으로 만곡되는 만곡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만곡부(11)는 본체판(10)의 일면이 향하는 전방이나 그 반대쪽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고, 그 만곡부(11)는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곡선형 구조물(1)의 벽체 등에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나아가 그 만곡부(11)의 형상이 미적 요소를 가지므로 별도의 커버부재를 부착하지 않고도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본체판(10)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요철(凹凸) 형태의 요철부(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조물(1)의 벽체 등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타 부재가 돌출된 경우 등이라도, 배수판(100)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고, 자체로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에 돌기나 홀을 형성하여, 본체판(10)의 요철에 결합함으로써, 쉽게 커버부재를 배수판(100)에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판(10)은, 도 5의 (c)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꺽인 구조의 구조물(1) 벽체 등에 시공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배수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걸림턱(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27)은 돌기부(2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부(30)의 외면에는 걸림턱(27)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37)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배수판(100a)의 결합부(30)의 결합홈(31)에 제2 배수판(100b)의 돌기부(20)가 삽입될 때에, 걸림턱(27)이나 결합부(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걸림턱(27)이 걸림홈(37)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돌기부(20)가 결합부(3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안내홈(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홈(40)은 돌기부(20) 및 결합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배수판(100)을 구조물(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프레임(200)에 배수판(100)을 결합하는데(도 2a 내지 도 2b 참조), 돌기부(20) 또는 결합부(30)에 고정못이나 핀을 박아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안내홈(40)이 고정못 또는 핀이 삽입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따라서, 오목하게 함몰된 안내홈(40)을 따라서, 쉽게 고정못이나 핀을 박을 수 있다. 여기서, 안내홈(40)은 고정못 또는 핀에 의한 결합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돌기부(20) 또는 겹합부(30)의 중심부에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그 안내홈(4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구조물 10: 본체판
11: 만곡부 13: 요철부
20: 돌기부 27: 걸림턱
30: 결합부 31: 결합홈
33: 제1 절곡부 35: 제2 절곡부
37: 걸림홈 40: 안내홈
100: 배수판 200: 프레임

Claims (11)

  1.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고,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층에 배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판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판의 타단쪽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 일면과의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의 결합홈에,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의 돌기부가 삽입되어, 서로 다른 상기 배수판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말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상기 본체판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판의 본체판 일면과 상기 제2 배수판의 본체판 타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배수판이 뒤집혀서 상기 제1 배수판에 연결되는 배수판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bar)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과 결합되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각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바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배수판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곡선형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배수판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요철(凹凸) 형태의 요철부를 구비하는 배수판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배수판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에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오목하게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배수판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고정못 또는 핀이 삽입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배수판 조립체.
KR1020170009037A 2017-01-19 2017-01-19 배수판 조립체 KR10190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37A KR101905388B1 (ko) 2017-01-19 2017-01-19 배수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37A KR101905388B1 (ko) 2017-01-19 2017-01-19 배수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70A KR20180085470A (ko) 2018-07-27
KR101905388B1 true KR101905388B1 (ko) 2018-10-08

Family

ID=6307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37A KR101905388B1 (ko) 2017-01-19 2017-01-19 배수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273B1 (ko) * 2003-06-23 2004-01-16 주식회사 도일인텍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KR200431553Y1 (ko) * 2006-09-04 2006-11-23 주식회사 파나텍 스폐이서가 구비된 배수판
KR100900508B1 (ko) * 2008-02-27 2009-06-03 김세영 벽체배수판
KR100906372B1 (ko) * 2009-03-17 2009-07-06 주식회사 디엠디 시공이 편리한 지하 구조물용 내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273B1 (ko) * 2003-06-23 2004-01-16 주식회사 도일인텍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KR200431553Y1 (ko) * 2006-09-04 2006-11-23 주식회사 파나텍 스폐이서가 구비된 배수판
KR100900508B1 (ko) * 2008-02-27 2009-06-03 김세영 벽체배수판
KR100906372B1 (ko) * 2009-03-17 2009-07-06 주식회사 디엠디 시공이 편리한 지하 구조물용 내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70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6788S1 (en) Construction furring strip support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US8813454B2 (en) Panel coupling assembly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WO2019101223A2 (zh) 一种装饰面板安装结构
US11517130B2 (en) Frame apparatus
CN106536837A (zh) 适合于快速安装和拆卸的表面覆盖结构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200456095Y1 (ko)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101173349B1 (ko) 건물의 벽면 구조
KR101905388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ES2362833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ã“n n. p200402065, por: revestimiento desmontable para superficies.
ES2569579T3 (es) Sistema de recubrimiento para recubrimiento de superficies mediante baldosas
KR102061536B1 (ko) 배수판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20170017450A (ko) 외벽 단열 마감재
KR100900508B1 (ko) 벽체배수판
US20080276561A1 (en) Assembled DIY floor
KR20190066733A (ko) 배수판 조립체
JP6598212B2 (ja) パネル用ジョイント材、間仕切り構造および間仕切り施工方法
JP5329509B2 (ja) 建築用壁面板の取付金具及び建築用壁面構造
KR20110089967A (ko)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KR102008237B1 (ko) 벽면 점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KR200438710Y1 (ko) 가구용 문짝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