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733A - 배수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733A
KR20190066733A KR1020170166436A KR20170166436A KR20190066733A KR 20190066733 A KR20190066733 A KR 20190066733A KR 1020170166436 A KR1020170166436 A KR 1020170166436A KR 20170166436 A KR20170166436 A KR 20170166436A KR 20190066733 A KR20190066733 A KR 2019006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oupling
main body
e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수 filed Critical 최인수
Priority to KR102017016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733A/ko
Publication of KR2019006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100)을 포함하되, 배수판(10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판면 중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과 후면이 각각 맞닿는 모서리에 함몰부(113)를 구비하는 본체(110), ㄱ자 형상의 판 형상으로, 함몰부(113)를 구비하는 본체(11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결합홈(121)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지그부(120), 및 결합홈(121)에 대향하는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결합돌기(130)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100a)의 결합돌기(130)가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100b)의 결합홈(12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Description

배수판 조립체{DRAIN BOARD ASSEMBLY}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서로 용이하게 탈부착되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특히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지하층에는 강수나 지하수 유입에 따른 수분 침투가 용이하여 벽면이나 바닥면에 습기와 누수가 발생하고, 낮과 밤의 온도차로 인해 이슬이 맺히는 결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습기, 누수 및 결로 현상은 다습한 환경을 조성하여 세균을 번식시키고 악취를 유발하며, 미관을 해치므로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방습공법 또는 배수판과 같은 방습구조물이 고안되었다.
배수판은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벽 또는 바닥에 발생하는 누수나 결로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구조체이다. 종래 배수판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실용신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단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지지기둥을 구비하는데, 그 지지기둥에 못을 박아서 배수판을 건축물의 벽 등에 고정한다. 한편, 종래 배수판은 성형 공정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인접하는 배수판은 핀이나 못을 이용해 연결되므로, 다수 개의 배수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인력 투입량이 증가하여 시공비가 상승한다. 또한, 배수판을 철거하거나 연결된 분리판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핀 또는 못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종래 배수판은 편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곡선형이나 꺽인 구조의 벽 또는 바닥에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 배수판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0383509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어느 하나의 배수판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다른 배수판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다수 개의 배수판이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판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판면 중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과 후면이 각각 맞닿는 모서리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본체; ㄱ자 형상의 판 형상으로, 상기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결합홈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지그부; 및 상기 결합홈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의 상기 결합돌기가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판의 전면과 상기 제2 배수판의 전면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연장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지그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삽탈될 때에, 상기 걸림턱이 안내되도록, 상기 지그부에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bar)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돌출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바둑판 패턴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맞닿고,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연장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맞닿은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다수의 상기 돌출부 각각의 외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일대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전면이 사각형상인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링(ring)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형상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부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의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요부(凹部)에서, 일측면이 다른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함몰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커버부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판의 일측에 결합돌기가 연장 형성되고, 배수판의 타측에 지그부와 결합되어 결합홈이 제공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배수판의 결합돌기를 다른 배수판의 결합홈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배수판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연결과 분리가 쉬어서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배수판의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에 소정의 디자인 패턴이 형성되며, 장식면을 구비한 외장재가 돌출부에 배치되어 배수판에 심미감을 유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및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배수판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및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배수판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100)을 포함하되, 배수판(10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판면 중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과 후면이 각각 맞닿는 모서리에 함몰부(113)를 구비하는 본체(110), ㄱ자 형상의 판 형상으로, 함몰부(113)를 구비하는 본체(11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결합홈(121)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지그부(120), 및 결합홈(121)에 대향하는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결합돌기(130)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100a)의 결합돌기(130)가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100b)의 결합홈(12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그 벽 또는 바닥에 발생하는 누수나 결로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배수판을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은 지하층에는 수분 침투가 용이하고 시간에 따른 온도차로 인해 습기 및 누수와 결로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습기, 누수, 결로 현상은 세균 증식, 악취 유발, 및 미관 훼손의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배수판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배수판의 경우에는 표면이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기둥에 못을 박아 벽 등에 배수판을 고정하며, 다수의 배수판을 서로 연결할 때에도 핀이나 못을 이용하므로, 시공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며, 배수판의 연결 및 분리가 매우 불편하다. 이에 이러한 종래 배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가 안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배수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판(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에 배치된다. 여기서 구조물은 건물, 공작물 등을 통칭하여 이르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배수판(100)이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하실에 배치되지만, 그렇다고 하여 구조물이 반드시 지하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본체(110), 지그부(120), 및 결합돌기(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판면 중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111)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요철(凹凸) 구조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11)는 상기 전면의 반대쪽 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어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조화된다(도 3 참조).
한편, 본체(110)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113)를 구비한다. 이때, 함몰부(113)는 본체(110)의 4개의 측면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의 후방쪽 영역 각각에 형성된다. 즉, 2개의 측면과 그 본체(110)의 후면이 각각 서로 맞닿은 2개의 모서리 중 일부 영역이 모따기 형태로 절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113)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측면은 속이 빈 돌출부(111)의 외면 중 일부분으로, 함몰부(113)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후면은 돌출부(111)의 두께면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때 함몰부(113)는 돌출부(111)의 두께면으로부터 함몰되면서 돌출부(111)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그부(120)는 판면이 "ㄱ" 자 형태인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여기서, 함몰부(113)가 형성된 본체(110)의 2개의 모서리가 서로 만나는 꼭지점과 지그부(120)의 절곡된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지그부(120)는 함몰부(113)가 구비된 본체(11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후면 쪽 함몰부(113)의 개구(開口)가 지그부(120)에 의해 폐색되어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121)은 본체(110)의 측면에서부터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체(110)의 측면이 속이 빈 돌출부(111)의 외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돌출부(111)의 외면을 관통하여 돌출부(111)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되도록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부(120)는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넘어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지그부(120)의 판면 중 전면과 본체(110)의 전면 사이에는 단차(段車)가 생긴다.
이에, 지그부(120)는 별도로 "ㄱ" 자 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거나, 또는 본체(110)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0)는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측면은 결합홈(121)에 대향하는 쪽 측면이다. 따라서, 본체(110)의 4개의 측면 중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되고, 반대쪽에서 인접하는 다른 2개의 측면에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된다.
한편, 결합돌기(130)는 결합홈(121)에 삽입 가능하게, 결합홈(12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21)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으므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21)은 서로 다른 2개의 배수판(100a, 100b)이 연결될 때에 배수판(100a, 100b)이 배열되는 기준이 된다. 다만,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21)이 반드시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결합돌기(130)의 너비가 결합홈(121)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30)가 결합홈(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판(100)이 형성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100a)의 결합돌기(130)가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100b)의 결합홈(12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30)가 결합홈(121)에서 용이하게 삽탈되므로, 서로 다른 배수판(100a, 100b)을 쉽게 연결하여 대면적의 구조물 벽면이나 바닥에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판(100a)의 전면과 제2 배수판(100b)의 전면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부(120)의 전면과 본체(110)의 전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바, 제 배수판(100a)의 결합돌기(130a)가 연장된 본체(110a)의 가장자리와, 제2 배수판(100b)의 본체(100b)로부터 연장된 지그부(120b) 사이에도 그 본체(110a, 100b)의 가장자리 두께만큼 단차가 생기므로, 지그부(120b) 상에 그 본체(110a)의 가장자리가 얹히면서 제1 및 제2 배수판(100a, 100b)이 서로 연결되면, 각각의 전면이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돌출부(111)는 특정 형태로 형성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돌출부(111)는 내부가 빈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전면이 사각형상인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출부(11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소정의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바둑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그 패턴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결합홈(121)이 형성된 본체(110)의 가장자리와 맞닿고, 그 패턴의 다른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는 결합돌기(130)가 연장된 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의 가장자리는 다수의 돌출부(111)에 의해 구성되는 패턴의 최외곽부를 연결한 둘레부로서, 돌출부(111)의 외면 중 일부 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례로, 도 4와 같이, 다수의 돌출부(111) 각각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3 × 4 형태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사각형 패턴으로 배열되는 경우, 그 패턴의 가장자리는 최외곽에 배치된 각각의 돌출부(111)의 외면 중 배수판(100)의 외측을 바라보는 일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121)이 형성된 본체(110)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되는 돌출부(111)의 일측면은 그 본체(1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즉 그 본체(110)의 가장자리의 측면과 돌출부(111)의 일측면이 서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평면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130)가 연장된 본체(110)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되는 돌출부(111)는 그 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본체(110)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L1)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그 간격(L1)은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111) 사이의 거리(L2)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서로 다른 배수판(100a, 100b)이 연결되면, 그 간격(L1)에 의해 서로 다른 배수판(100a, 100b) 사이의 돌출부(111) 사이의 간격도 어느 하나의 배수판(100)에 형성된 인접 돌출부(111) 사이의 간격(L2)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돌출부(111)의 패턴 형태, 배열되는 돌출부(111)의 개수, 돌출부(111)의 형상 등은 반드시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홈(121)은 본체(110)의 가장자리와 맞닿은 다수의 돌출부(111) 각각의 일측면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130)는 그 결합홈(121)과 일대일로 삽입되도록 결합홈(121)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되는 배수판(100)끼리 서로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판(100)의 일측에 결합돌기(130)가 연장 형성되고, 배수판(100)의 타측에 지그부(120)와 결합되어 결합홈(121)이 제공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배수판(100)의 결합돌기(130)를 다른 배수판(100)의 결합홈(121)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배수판(100)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10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연결과 분리가 쉬어서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100)은 서로 다른 배수판(100)끼리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걸림턱(140)을 더 포함하고, 지그부(120)에 가이드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40)은 결합돌기(130)의 외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걸림턱(140)은 결합돌기(130)가 결합홈(121)에 삽입될 때에, 지그부(120) 및/또는 본체(110)가 벌어지면서 결합홈(121)에 강제 끼움되어, 지그부(120)에 걸리게 된다. 한편, 걸림턱(140)이 결합홈(121)에 삽입된 이후에, 지그부(120) 및/또는 본체(110)는 그 재질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회복된다.
여기서, 결합돌기(130)의 너비는 결합홈(121)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돌기(130)가 결합홈(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드홈(123)은 결합홈(121)에 삽입된 걸림턱(140)이 안내될 수 있도록, 지그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지그부(120)의 내측면은 결합홈(121)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또한, 가이드홈(123)은 지그부(120)의 중심부에서부터 결합홈(121)의 일측 쪽으로 편향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하에서, 걸림턱(140) 및 가이드홈(123)을 통한 배수판(100a, 100b)의 연결 및 분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배수판(100)을 연결할 때에는, 결합돌기(130)의 좌측 외면(L)과 결합홈(121)의 좌측 내면(L')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돌기(130)를 결합홈(121)에 삽입시켜 배치한다. 이때, 배수판(100)이 서로 연결되면서 정렬되고, 걸림턱(140)은 강제 끼움되어, 지그부(120)에 걸리면서, 연결된 배수판(100a, 100b)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연결된 배수판(100a, 100b)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결합돌기(130)의 우측 외면(R)이 결합홈(121)의 우측 내면(R')에 맞닿도록, 결합돌기(130)를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걸림턱(140)은 가이드홈(123)의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30)를 결합홈(121)에서 삽탈시킬 때에, 걸림턱(140)은 가이드홈(123)을 따라 안내되어 나오게 된다. 다만, 안내되는 걸림턱(140)은 가이드홈(123)의 말단부에 걸리는데, 이때 서로 연결된 배수판(100a, 100b)을 소정의 각도로 꺽어서 기울이면, 걸림턱(140)이 가이드홈(123)에서 빠져 나오고, 그 순간 연결된 배수판(100a, 100b)이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례로 든 것이므로, 그 방향이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프레임(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100a, 100b)은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에 시공되는데, 이때 배수판(100)의 지그부(120)가 그 벽체 또는 바닥에 직접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부(120)에 핀 또는 못(S) 등을 박는 방식으로 배수판(100)이 고정될 수 있는바, 지그부(120)에는 핀 또는 못(S) 등이 삽입되는 기준점을 제공하고, 핀 또는 못(S) 등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지그부(120)에 두께 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수판(100)과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프레임(200)을 구조물의 벽체 또는 바닥에 설치하고, 그 프레임(200)에 배수판(1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레임(200)은 다수의 바(bar)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배수판(100)의 지그부(120)가 프레임(200)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때에도, 지그부(120)에 상기 관통홀(H)이 형성되어, 핀 또는 못(S) 등에 의해 지그부(120)가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수판(100)이 외장재로 사용되는 경우에 심미감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 돌출부(111)에 함몰형상부(115, 도 1 또는 도 3 참조)가 형성되거나, 또는 커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함몰형상부(115, 도 1 또는 도 3 참조)는 돌출부(111)의 전면에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전면이 사각형상인 사각 기둥 형태로 돌출부(111)가 형성된 경우, 그 전면에 링(ring)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함몰형상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함몰형상부(115)의 형태가 반드시 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300)는 본체(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외장재로서,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고, 통일된 하나의 인상이나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외면을 가진다. 이러한 커버부(300)는 다수 개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커버부(300)가 돌출부(111)에 부착되기 위해서, 일 실시예로, 돌출부(111)에 걸림홈(117)이 형성되고, 커버부 걸림턱(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걸림홈(117)은 돌출부(111)의 외면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커버부 걸림턱(310)은 걸림홈(117)에 걸릴 수 있도록 커버부(3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돌출부(111)를 감싸면서 배치될 때에, 커버부 걸림턱(310)이 걸림홈(117)에 걸리면서, 커버부(300)가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부(300, 300a)는 인접하는 돌출부(111) 사이의 요부에서, 그 일측면이 다른 커버부(300b)의 일측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될 수도 있다(도 8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배수판 110; 본체
111: 돌출부 113: 함몰부
115: 함몰형상부 117: 걸림홈
120: 지그부 121: 결합홈
123: 가이드홈 130: 결합돌기
140: 걸림턱 200: 프레임
300: 커버부 310: 커버부 걸림턱

Claims (12)

  1. 적어도 2개 이상이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판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판면 중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과 후면이 각각 맞닿는 모서리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본체;
    ㄱ자 형상의 판 형상으로, 상기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기 본체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결합홈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지그부; 및
    상기 결합홈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의 제1 배수판의 상기 결합돌기가 다른 하나의 제2 배수판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배수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판의 전면과 상기 제2 배수판의 전면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배수판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연장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수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에 강제 끼움되어, 상기 지그부에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삽탈될 때에, 상기 걸림턱이 안내되도록, 상기 지그부에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배수판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bar)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돌출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바둑판 패턴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맞닿고,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연장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배수판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배수판 조립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맞닿은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다수의 상기 돌출부 각각의 외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일대일로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배수판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전면이 사각형상인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링(ring)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형상부를 구비하는 배수판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부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의 커버부;
    를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요부(凹部)에서, 일측면이 다른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판 조립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함몰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커버부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배수판 조립체.
KR1020170166436A 2017-12-06 2017-12-06 배수판 조립체 KR20190066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36A KR20190066733A (ko) 2017-12-06 2017-12-06 배수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36A KR20190066733A (ko) 2017-12-06 2017-12-06 배수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33A true KR20190066733A (ko) 2019-06-14

Family

ID=6684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36A KR20190066733A (ko) 2017-12-06 2017-12-06 배수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7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KR1017517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고정구조
KR20170000587U (ko) 판넬 고정시스템
KR20190066733A (ko) 배수판 조립체
KR101905388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0164340Y1 (ko) 건물바닥 모서리의 걸레받이용 몰딩 장착구조
KR20180056178A (ko) 벽면 점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200274992Y1 (ko) 벽면 마감부재
ITMI20120620A1 (it) Dispositivo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KR20190020929A (ko) 배수판
KR102127990B1 (ko) 벽체 방수패널
KR200170754Y1 (ko) 조립식 천정판의 모서리 조립체
US20050000180A1 (en) Decoration panel
KR20030053116A (ko)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KR102016111B1 (ko) 벽체 방수패널
JP2000282673A (ja) 外壁パネル用役物
JP6722712B2 (ja) 見切り部材
JP6693727B2 (ja) 化粧胴差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120003300U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2041047B1 (ko)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KR200346329Y1 (ko) 석재 고정용 고정구
TNSN07276A1 (fr) Elements de construction et mur de soutenement realise avec de tels elements
KR101971270B1 (ko) 무지주형 플라스틱 지하 차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