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116A -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116A
KR20030053116A KR1020010083156A KR20010083156A KR20030053116A KR 20030053116 A KR20030053116 A KR 20030053116A KR 1020010083156 A KR1020010083156 A KR 1020010083156A KR 20010083156 A KR20010083156 A KR 20010083156A KR 20030053116 A KR20030053116 A KR 2003005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elevator
plate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01008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3116A/ko
Publication of KR2003005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가지 종류의 프레임을 이용해 벽면 장식판재를 고정하면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나사,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위(12), 상기 바닥부위(12)의 일단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진 제1 수직벽(14)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위(12)와의 사이에 제1 홈(15)을 형성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중간부위(16), 제2 수직벽(18), 및 상기 중간부위(16)에 평행하게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돌출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프레임; 및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결합부(22),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수직벽(24), 상기 수직벽(24)의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결합부(22) 반대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판재 지지부(24), 및 상기 판재 지지부(24)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수직벽(24)으로부터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제2 돌출부(26)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장식용 판재를 결합함과 동시에, 이들 두개의 프레임(10,20)이 서로간에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Device for coupling wall decolation board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2가지 종류의 프레임을 이용해 벽면 장식판재를 고정하면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나사,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개의 기존의 엘리베이터 벽면은 철판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을 기존의 금속 벽면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있지만, 엘리베이터 실내환경 개선을 위해 철판 벽면에 장식용 판재를 부착하여 인테리어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 엘리베이터 벽면에 장식판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는데, 이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장식판재 부착작업이 상당히 어렵다. 금속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장식판재를 부착하고, 서로 마주보는 엘리베이터 양 벽면 사이에 버팀목을 댄채 장식판재를 일정 기간 계속 누르고 있어야만 접착제에 의해 장식판재가 엘리베이터 벽면에 완전히 부착되게 되는데, 이때 대개 24시간 정도 버팀목으로 장식판재를 누르고 있어야만 하므로 총 작업기간이 3-4일 정도로 상당히 오래 소요된다.
둘째,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테리어를 교체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즉, 내부 장식판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접착제에 의해 단단히 접착되어 있는 판재를 뜯어내야만 하고, 벽면에 응고되어 있는 접착제를 깨끝이 제거해야만 한다. 접착제 제거는 대개 끌 등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제거 과정중에 원래의 금속벽면이 손상될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접착제 제거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셋째, 엘리베이터 실제 벽면 크기는 항상 설계치수와 비교하여 어느정도의 공차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 공차를 커버하려면 장식용 판재를 엘리베이터 사이즈에 정확히 일치하게 재단해야만 하고, 이런 작업 역시 쉽지 않아 판재 부착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접착제에 의하지 않고, 판재 가장자리에 일반적인 고정용 프레임을 결합하여 벽면에 장식판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프레임을 이용할 때는 프레임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본래의 공차를 해결하려면, 프레임을 정확한 치수로 재단해야만 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는 판재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작업이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도 4 참조).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나사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해 엘리베이터 금속벽면에 프레임을 간단히 고정하고, 이 프레임에 장식판재를 결합함으로써, 판재의 전체면적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 정확하고 빠른 시간내에 엘리베이터 벽면의 인테리어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테리어 교체시, 금속벽면의 손상이 전혀 없이 신속히 기존 설치되었던 장식판재를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벽면의 장식판재의 사이즈가 다양한 경우에도 이를 모두 수용하면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신속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장식판재를 설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고유 공차를 완벽히 수용할 수 있는장식판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재 고정장치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엘리베이터 벽면에 장식판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2가지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상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크기가 각각 다른 판재를 서로 연결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판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와 같은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면의 장식판재 고정장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바닥부위, 상기 바닥부위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바닥부위의 일단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진 제1 수직벽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위와 평행하게 일부는 바닥부위 외측으로 돌출하고 일부는 바닥부위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바닥부위와의 사이에 제1 홈을 형성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중간부위, 상기 중간부위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수직벽, 및 상기 수직벽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중간부위에 평행하게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홈에 끼워맞춤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수직벽, 상기 수직벽의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결합부 반대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판재 지지부, 및 상기 판재 지지부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수직벽으로부터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장식용 판재를 결합함과 동시에, 이들 두개의 프레임이 서로간에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수직벽의 높이(H)와제2 프레임의 수직벽의 높이(h)가 동일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홈의 깊이(L)가 제2 프레임의 결합부의 폭(l)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결합부가 제1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상기 제1 프레임의 돌출부와 제2 프레임의 제2 돌출부가 각각 벽면 장식판재의 양단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에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프레임의 바닥부위 및 제2 프레임의 결합부의 둘다 또는 하나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의 모서리부가 위에서 보아 대각선 형태로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재 고정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두가지 프레임(10,20)으로 구성되고, 이들 프레임(10,20) 사이에 장식판재(30)가 장착되는 동시에, 두개의 프레임(10,20)은 등을 맞대는 형식으로 서로간에도 결합된다.
우선, 두가지 프레임중 제1 프레임(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프레임(10)은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바닥부위(12), 상기 바닥부위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바닥부위(12)의 일단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진 제1 수직벽(14)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위와 평행하게 일부는 바닥부위 외측으로 돌출하고 일부는 바닥부위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바닥부위(12)와의 사이에 제1 홈(15)을 형성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중간부위(16), 상기 중간부위(16)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수직벽(18), 및 상기 수직벽(18)의 중간 높이에서 중간부위(16)에 평행하게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돌출부(19)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20)은 상기 제1 프레임(10)의 제1 홈(15)에 끼워맞춤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결합부(22), 상기 결합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수직벽(24), 상기 수직벽(24)의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결합부(22) 반대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판재 지지부(24), 및 상기 판재 지지부(24)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수직벽(24)으로부터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제2 돌출부(26)를 포함한다.
한편, 제1 프레임(10)의 제2 수직벽(18)의 높이(H)와 상기 제2 프레임(20)의 수직벽(24)의 높이(h)는 이들 사이에 결합되는 장식용 판재(30)의 두께보다 크면서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프레임의 제1 홈(15)의 깊이(L)는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의 폭(l)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프레임(10)의 돌출부(19)와 제2 프레임(20)의 제2 돌출부(26)는 각각 벽면 장식판재(30)의 양단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32)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두개의 프레임(10,20)은 그 사이에 장식판재(30)를 장착함과 동시에, 또한 서로 등을 맞대는 형태로 서로간에도 결합된다. 즉,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가 제1 프레임(10)의 제1 홈(15)에 삽입된다. 또한, 이 결합부(22)는 제1 홈(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제1 프레임의 제2 수직벽(18)과 제2 프레임의 수직벽(24)이 서로 맞닿을 수도 있고 어느정도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도 3 참조).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이들 두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장식판재(3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의 작업순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벽면(40)에 제1 프레임의 바닥부위(12)를 나사 등의 체결구(50)로 고정한다. 다음, 제1 프레임(10)의 돌출부(19)에 장식판재(30)의 홈(32)을 끼운뒤, 장식판재(30)의 타단부의 홈(32)에 다른 제1 프레임(10')의 돌출부(19')를 삽입하고, 그 바닥부위(12')를 체결구(50)를 이용해 벽면(40)에 고정한다. 다음,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를 제1 프레임(10')의 제1 홈(15')에 삽입하여 결합한 뒤, 또다른 장식판재(30)를 제2 프레임(20)의 판재 지지부(24)에 받치면서 제2 돌출부(26)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어서, 또다른 제1 프레임(10")을 장식판재(30)의 타단부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하고 엘리베이터 벽면에 체결구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엘리베이터 벽면(양 측면도 포함)의 크기에 맞춰 적절한 횟수로 상하 좌우로 반복하면 엘리베이터 벽면 전체에 장식판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장식판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때 제1 프레임을 벽면에 체결구로 고정하는 작업에 장애가 없이 장식판재를 확실히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두개의 프레임 사이의 유격(d)을 조절하면서 엘리베이터 벽면 자체의 공차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중앙부분에서 서로 결합된 두가지 프레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제2 수직벽(18)과 수직벽(24)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가 제1 프레임의 홈(15)에 미끄럼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양측 수직벽(18,24) 사이의 유격(d)을 조절할 수 있다. 장식판재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양쪽 프레임이 모두 장식판재(30)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결합부(22)의 폭 이내에서 유격(d)의 크기를 설치에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장의 장식판재를 서로 연결 설치할 경우, 엘리베이터 벽면의 고유 공차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서로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장식판재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프레임에 결합된 각각의 장식판재가 서로 연결되는 관계를 나타낸 분리 평면도로서, 제1 프레임(10)은 해칭선으로 표시되고, 제2 프레임(20)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의 바닥부위(12)와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0)는 각각의 수직벽 외측으로 돌출하되, 서로 각각 다른 높이로 유지되므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외측 돌출부들끼리는 판재 장착과정에서 서로 만나 충돌하는 일은 없게 되지만, 제1 프레임들끼리 그리고 제2 프레임들끼리는 그 외측 돌출부들이 서로 만나서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서로 연결할 경우, A 위치의 제1 프레임(10)과 B 위치의 제1 프레임(10)이 각각의 바닥부위(12)의 모서리에서 서로만나게 되고, 이들 바닥부위는 서로 동일 높이에 있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이 대각선 방향으로 모따기 되어 있지 않으면, 서로 맞대어 질 수 없게 된다. 물론, 제2 프레임의 경우에도 이는 마찬가지다. 따라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외측 돌출부가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모따기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판재에 각각 프레임(10,20)이 장착되고, 다른 판재에 결합된 대응 프레임에 대해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크기가 동일한 판재는 물론, 크기가 다른 판재의 경우에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이와 같이 결합된 판재를 서로 나란히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역시 제1 프레임(10)은 해칭선으로 표시하고, 제2 프레임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프레임(10,20) 사이에는 장식판재(30)가 결합되어 있고, 이와 같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프레임의 수직벽(18,24)의 상단부만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재(30)가 벽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격자무늬 형태로 프레임이 노출되어 뛰어난 미감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수직벽(18,24) 사이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지금까지 엘리베이터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크리트 벽이나, 목재 벽 등의 모든 벽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벽면 장식을 포함한 모든 벽면을 장식판재로 장식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벽면의 장식판재 고정장치에 의하면,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체결구를 이용해 벽면에 고정하면서 장식판재를 프레임에 끼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장식판재 설치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 하나의 엘리베이터의 내부 인테리어 작업에 3-4일이 소요되던 기간을 단 하루만에 완료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테리어를 교체할 경우에도, 장식판재의 제거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엘리베이터 벽면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유격을 설치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필히 존재하기 마련인 엘리베이터 벽면의 공차를 적절히 커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판재의 재단작업과 설치작업이 더욱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장식판재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의 수직벽 상단부만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원하는대로의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미적 측면에서 종래의 인테리어에 비해 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바닥부위(12), 상기 바닥부위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바닥부위(12)의 일단부에서 위쪽으로 이어진 제1 수직벽(14)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위와 평행하게 일부는 바닥부위 외측으로 돌출하고 일부는 바닥부위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바닥부위(12)와의 사이에 제1 홈(15)을 형성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중간부위(16), 상기 중간부위(16)의 내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수직벽(18), 및 상기 수직벽(18)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 중간부위(16)에 평행하게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돌출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10)의 제1 홈(15)에 끼워맞춤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결합부(22), 상기 결합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이어진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수직벽(24), 상기 수직벽(24)의 하단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결합부(22) 반대쪽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기다란 사각판 형태의 제2 판재 지지부(25), 및 상기 판재 지지부(24)에서 소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수직벽(24)으로부터 돌출한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제2 돌출부(26)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 장식용 판재를 결합함과 동시에, 이들 두개의 프레임(10,20)이 서로간에도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0)의 제2 수직벽(18)의 높이(H)와 상기 제2 프레임(20)의 수직벽(24)의 높이(h)가 동일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제1 홈(15)의 깊이(L)가 상기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의 폭(l)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결합부(22)가 상기 제1 홈(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0)의 돌출부(19)와 제2 프레임(20)의 제2 돌출부(26)가 각각 벽면 장식판재(30)의 양단면에 형성된 기다란 홈(3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0)의 바닥부위(12) 및 상기 제2 프레임(20)의 결합부(22)의 둘다 또는 하나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의 모서리부가 위에서 보아 대각선 형태로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KR1020010083156A 2001-12-22 2001-12-22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KR20030053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56A KR20030053116A (ko) 2001-12-22 2001-12-22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56A KR20030053116A (ko) 2001-12-22 2001-12-22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792U Division KR200268199Y1 (ko) 2001-12-22 2001-12-22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116A true KR20030053116A (ko) 2003-06-28

Family

ID=295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156A KR20030053116A (ko) 2001-12-22 2001-12-22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311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8756A (zh) * 2015-07-23 2018-03-2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内衬面板和组装电梯轿厢的方法
JP2018115079A (ja) * 2017-01-20 2018-07-26 シク ユン,イル エレベータ壁面装飾板材の固定装置
KR200488393Y1 (ko) * 2018-09-14 2019-01-23 박성일 엘리베이터용 벽면 보호기구
WO2019087399A1 (ja) * 2017-11-06 2019-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かご室の鏡取付器具及び鏡取付方法
KR102344870B1 (ko) * 2021-11-09 2021-12-30 주식회사 도일인텍 엘리베이터 카월 장식판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8756A (zh) * 2015-07-23 2018-03-2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内衬面板和组装电梯轿厢的方法
JP2018115079A (ja) * 2017-01-20 2018-07-26 シク ユン,イル エレベータ壁面装飾板材の固定装置
WO2019087399A1 (ja) * 2017-11-06 2019-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かご室の鏡取付器具及び鏡取付方法
CN111315676A (zh) * 2017-11-06 2020-06-19 三菱电机株式会社 轿厢室的镜安装器具及镜安装方法
CN111315676B (zh) * 2017-11-06 2021-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轿厢室的镜安装器具及镜安装方法
KR200488393Y1 (ko) * 2018-09-14 2019-01-23 박성일 엘리베이터용 벽면 보호기구
KR102344870B1 (ko) * 2021-11-09 2021-12-30 주식회사 도일인텍 엘리베이터 카월 장식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7764A1 (en) Installation method of panel and rail-type fixing apparatus
KR20030053116A (ko)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CN109252632B (zh) 集成墙面安装结构
KR101155394B1 (ko) 장식판재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패널, 장식판재를 엘리베이터에 부착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4107877A (ja) 造作材のカバー、及びその施工方法
JPH0913632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GB0118744D0 (en) Cladding ststem
KR200268199Y1 (ko)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CN211058187U (zh) 一种装饰板用装配结构
KR200300353Y1 (ko)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JP2018162642A (ja) 調湿パネルの設置構造及び調湿パネルユニット
CN211666162U (zh) 一种地面瓷砖的新型连接结构
US7380385B2 (en) Adjustable length decoration panel
US4513941A (en) Tile holding device for presetting tiles
CN216932422U (zh) 一种装饰条辅助安装件
JPS5912346Y2 (ja) 化粧板
JPH0316325Y2 (ko)
JP3167170B2 (ja) タイルの整列装置
US20220400862A1 (en) Countertop installation
JPS59141663A (ja) 壁面板取付具
JPH0231611Y2 (ko)
JPS63103157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KR200236235Y1 (ko) 천정판
JPH0354632Y2 (ko)
JPH03483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