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90B1 - 벽체 방수패널 - Google Patents

벽체 방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990B1
KR102127990B1 KR1020190103831A KR20190103831A KR102127990B1 KR 102127990 B1 KR102127990 B1 KR 102127990B1 KR 1020190103831 A KR1020190103831 A KR 1020190103831A KR 20190103831 A KR20190103831 A KR 20190103831A KR 102127990 B1 KR102127990 B1 KR 10212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ing
extension
mol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939A (ko
Inventor
지준일
최미선
Original Assignee
지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준일 filed Critical 지준일
Priority to KR102019010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형틀부의 측면에서 일정 단차를 갖는 복수의 제1,2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된 스페이서패널 및, 상기 형틀부 내측으로 일정폭 만큼 함몰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부 측면에서 상기 형틀부의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제2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장부의 대향면 사이간격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 후크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방수패널{Waterproof panel in the wall}
본 발명은 벽체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패널과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확장 가능하게 한 벽체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방수패널은 건축물 내부벽체, 지하주차장 벽체에 설치되어 결로수, 용출수 등을 처리하고 벽체 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패널은 벽체를 방수액으로 처리하게 될 때 일정시간이 지나면 결로수, 용출수에 의해 들뜸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4-0094027호(이하, 특허문헌1 이라함)에서는 실링처리홈(11), 주입공(12), 배출공(13)을 갖는 패널본체(1)를 구조물(100)의 표면에 설치하는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1은 일정한 규격의 패널본체(1)를 상호 맞대고 실링처리홈(11)에 실링재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는 바, 이러한 연결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보수시 실링재를 모두 제거하여야 하므로 보수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148096호(이하, 특허문헌2 이라함)에서는 콘크리트벽체(10)에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로 트렌치(20)를 구성하여 벽면에서 발생되는 습한 공기를 자연순환시켜 건조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2는 일정한 규격의 패널 스페이서(30)를 콘크리트벽체(10)에 설치하되, 이웃하는 패널 스페이서(30)와 별도로 결합하지 않고 패널 마감플레이트(40)가 결합되는 일정공간을 남겨두고 나란하게 배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시공방식은 전체 시공면적에 방수패널을 사이간격 없이 마감 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웃하는 방수패널과 나란하게 정렬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4-0094027 공개특허 10-2016-0148096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패널과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을 순차적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패널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벽체 방수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패널과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을 흔들리지 않고 튼튼하게 연결할 수 있고, 스패이서패널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벽체 방수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틀부의 측면에서 일정 단차를 갖는 복수의 제1,2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된 스페이서패널 및, 상기 형틀부 내측으로 일정폭 만큼 함몰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부 측면에서 상기 형틀부의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제2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장부의 대향면 사이간격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 후크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 연장결합부의 결합홈에 상기 후크결합부의 제1,2 연장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선단이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과 맞닿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패널은 상기 형틀부의 하부면을 따라 보강리브와 지지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로 일정깊이로 제1,2 함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형틀부와 제1,2 연장결합부에 형성된 단차가 이웃하는 형틀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패널은 상기 형틀부와 제1,2 연장결합부에 형성된 단차가 이웃하는 형틀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깊이와 폭이 상기 제1 연장부의 깊이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결합부는 제1,2 연장부가 전체적으로 V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결하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외표면에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더 깊게 탈착홈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에 의하면, 벽체의 설치공간에 맞추어 스페이스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확장 설치할 수 있고, 스페이스패널의 크기와 규격에 맞추어 시공하는 것은 물론 유지 및 보수작업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패널의 형틀부와 이웃하는 스페이스패널의 제1,2 연장결합부가 서로 맞닿고 제1,2 연장결합부의 결합홈에 후크결합부가 결합되어 벽체의 설치공간에 하나의 패널로 연결되는 한편, 이러한 스페이서패널의 표면에 마감패널을 부착할 경우 기존과 달리 방수패널의 시공면이 돌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규칙적으로 정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서패널 전면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서패널 전면 분리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스패널 배면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스패널 배면을 분리한 부분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패널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녈의 스페이스패널 전면 분리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스패널 배면 분리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패널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서패널 전면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서패널 전면 분리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설치되는 스페이서패널(20)과, 상기 스페이서패널(20)의 우측 및 하측에 형성된 후크결합부(30) 및 상기 스페이서패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패널(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패널(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부(22), 상기 형틀부(22)에 일정간격을 두고 아래쪽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제1,2 함몰결합부(24,25), 상기 제1,2 함몰결합부(24,25)의 이웃하게 배치되고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26), 상기 형틀부(22)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2 연장결합부(27,2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형틀부(22)는 상기 마감패널(4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복수의 연장바(22a,22b,22c)를 통해 상기 제1,2 함몰결합부(24,25)와 지지부(26)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마감패널(40)의 결합돌기(40a)가 결합되는 결합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형틀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1,2 함몰결합부(24,25)와 지지부(25)가 형성되는 주변을 따라 보강리브(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리브(23)에서 외측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쌍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리브(23a)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23a)는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하부면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에 형성된 결합홈(29)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함몰결합부(24)는 상기 형틀부(22)의 중앙 한 곳에 배치되어 있고, 연장바(22a)를 통해서 상기 형틀부(22)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지지바닥의 중앙에 고정못(미도시)을 박아서 벽체(W)와 직접 맞닿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함몰결합부(25)는 상기 형틀부(22)에서 상기 제1 함몰결합부(24)와 대각선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고, 연장바(22b)를 통해서 상기 형틀부(22)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함몰결합부(25)는 지지바닥의 중앙에 고정못(미도시)을 박아서 벽체(W)와 직접 맞닿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26)는 제2 함몰결합부(25)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6)은 연장바(22c)를 통해서 상기 형틀부(22)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함몰결합부(24,25)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벽체(W)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연장결합부(2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틀부(22)의 상면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일정두께의 단차부(t)가 형성되면서 측면으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t)는 형틀부(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연장결합부(27)는 상기 제2 함몰결합부(25)의 양측면에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 각각 결합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장결합부(2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6)의 측면에 연장되어 있고, 제1 연장결합부(27)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중앙에 결합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9)은 후술하는 후크결합부(30)의 제1,2 연장부(32,34)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함홈(2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구진입홈(29a)이 형틀부(22)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구진입홈(29a)은 후술하는 후크결합부(30)의 탈착홈(36)과 연통되도록 되어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후크결합부(30)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패널(20)은 우측 및 하측에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가 형성되고, 좌측 및 상측 바닥면에 후크결합부(30)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과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스페이서패널(20)은 좌측 및 상측에 제1,2 연장결합부(27,28)가 형성되게 하고, 우측 및 하측 바닥면에 후크결합부(30)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후크결합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9)과 대응되게 형틀부(22)의 측면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결합부(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틀부(22) 내측으로 일정폭 만큼 함몰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로 연장된 제1 연장부(32)와, 상기 제1 연장부(32)와 대향하게 절곡 연장되고 외표면에 탈착홈(36)이 형성된 제2 연장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32)와 제2 연장부(34)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V자 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크결합부(30)는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8)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연장부(34)의 상부선단이 상기 결합홈(28)의 바닥면과 맞닿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연장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부(22)의 측면에서 일정 폭(D) 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하부로 일정 깊이(H) 만큼 연장 형성되어 되어 있다.
상기 제2 연장부(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장부(32)의 하부 측면에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형틀부(22)의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연장부(34)의 깊이(h)는 제1 연장부(32)의 깊이(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착홈(36)은 상기 제2 연장부(34)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착홈(3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결합부(30)가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9)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공구진입홈(29a)과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패널(40)은 하나의 스페이서패널(20)을 기준으로 9개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40)은 바닥 모서리부에 결합돌기(40a)가 형성되어 스페이서패널(20)의 형틀부(22)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2a)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40)은 모서리부에 결합돌기(40a)가 형성되어 형틀부(22)의 결합홈(22a)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감패널(40)은 상기 스페이서패널(20)과 결합됨으로써 제1,2 함몰결합부(24,25)와 지지부(26)의 표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녈의 스페이스패널 전면 분리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의 스페이스패널 배면 분리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패널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설치되는 스페이서패널(20)과, 상기 스페이서패널(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패널(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10)은 후크결합부(30)가 다를 뿐 스페이서패널(22)과 마감패널(40)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스페이서패널(20)은 상기 형틀부(22)에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단차부(t)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형틀부(22)의 상면이 덮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9)에 후크결합부(30)가 결합되어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과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이 형성된 제1 후크부(30a)와, 상기 제1 후크부(30a)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 제2 후크부(30b) 및 상기 제1,2후크부(30a,30b)의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30c)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크부(30a)는 걸림턱이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아래쪽면에 걸려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후크부(30b)는 분해 및 조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걸림턱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측선단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30c)는 제1,2 후크부(30a,30b)의 사이에 형성되어 후크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후크결합부(30)는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그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에 의하면, 벽체(W)의 설치공간에 맞추어 스페이스패널(2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확장 설치할 수 있고, 스페이스패널(20)의 크기와 규격에 맞추어 시공하는 것은 물론 유지 및 보수작업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은 스페이서패널(20)의 형틀부(22)와 이웃하는 스페이스패널(20)의 제1,2 연장결합부(27,28)가 서로 맞닿고 제1,2 연장결합부(27,28)의 결합홈(29)에 후크결합부(30)가 결합되어 벽체(W)의 설치공간에 하나의 패널로 연결되는 한편, 이러한 스페이서패널(20)의 표면에 마감패널(40)을 부착할 경우 기존과 달리 방수패널의 시공면이 돌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규칙적으로 정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방수패널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기술적 구성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당연히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벽체 방수패널 20 : 스페이서패널
22 : 형틀부 24,25 : 제1,2 함몰결합부
26 : 지지부 27,28 : 제1,2 연장결합부
30 : 후크결합부 32 : 제1 연장부
34 : 제2 연장부 36 : 탈착홈
40 : 마감패널 W : 벽체

Claims (3)

  1. 하부면을 따라 보강리브와 지지리브가 구비된 형틀부와, 상기 형틀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로 일정깊이로 형성된 제1,2 함몰결합부와, 상기 제1,2 함몰결합부에 이웃하게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형틀부의 측면에서 일정 단차를 갖고 연장된 복수의 제1,2 연장결합부를 구비한 스페이서패널; 및
    상기 형틀부 내측으로 일정폭 만큼 함몰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부 측면에서 상기 형틀부의 외측으로 절곡연장되고 외표면에 탈착홈이 형성된 제2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연장부의 대향면 사이간격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V자 구조인 복수의 후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패널은 이웃하는 스페이서패널과 상호 연결될 때, 상기 형틀부의 지지리브가 상기 제1,2 연장결합부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되고, 상기 제1,2 연장결합부의 결합홈에 상기 후크결합부의 제1,2 연장부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함홈의 일측에 공구진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선단이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과 맞닿게 결합되는 벽체 방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패널은 상기 형틀부와 제1,2 연장결합부에 형성된 단차가 이웃하는 형틀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방수패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깊이와 폭이 상기 제1 연장부의 깊이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방수패널.
KR1020190103831A 2019-08-23 2019-08-23 벽체 방수패널 KR10212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31A KR102127990B1 (ko) 2019-08-23 2019-08-23 벽체 방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31A KR102127990B1 (ko) 2019-08-23 2019-08-23 벽체 방수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449A Division KR102016111B1 (ko) 2017-07-20 2017-11-23 벽체 방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939A KR20190101939A (ko) 2019-09-02
KR102127990B1 true KR102127990B1 (ko) 2020-06-29

Family

ID=6795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31A KR102127990B1 (ko) 2019-08-23 2019-08-23 벽체 방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9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40B1 (ko) * 2011-06-21 2013-07-03 (주)영진배수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672167B1 (ko) * 2016-03-31 2016-11-02 (주)케이비글로벌 건축물 벽체 배수판 고정전용 타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배수판의 고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410B1 (ko) 2003-05-01 2006-06-09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393513B1 (ko) * 2010-11-09 2014-05-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 탈착 구조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6-12-26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40B1 (ko) * 2011-06-21 2013-07-03 (주)영진배수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672167B1 (ko) * 2016-03-31 2016-11-02 (주)케이비글로벌 건축물 벽체 배수판 고정전용 타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배수판의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939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2127990B1 (ko) 벽체 방수패널
CN110821003B (zh) 一种装配式室内隔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102016111B1 (ko) 벽체 방수패널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321404Y1 (ko)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건축용 거푸집
KR100997164B1 (ko) 교체가능한 타일시공구조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0973584B1 (ko)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KR100322412B1 (ko) 조립식철골조와이를이용한건축공법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JP5204693B2 (ja) 玄関部布基礎の天端型枠
KR101971270B1 (ko) 무지주형 플라스틱 지하 차수벽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0465251Y1 (ko) 조립식화장실용 측면판 고정지지구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399003B1 (ko) 벽 일체형 유니트 욕실구조
KR200321158Y1 (ko) 조립식 목조주택용 판넬
KR200326554Y1 (ko) 거푸집용 판넬의 테두리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