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967A -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 Google Patents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967A
KR20110089967A KR1020100009496A KR20100009496A KR20110089967A KR 20110089967 A KR20110089967 A KR 20110089967A KR 1020100009496 A KR1020100009496 A KR 1020100009496A KR 20100009496 A KR20100009496 A KR 20100009496A KR 20110089967 A KR20110089967 A KR 2011008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xpansion
terminal box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970B1 (ko
Inventor
손정환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진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9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이나 콘센트의 단자대가 설치되는 단자함체(예; 분전함, 콘센트 단자함)의 확장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벽에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의 두께만큼 단자함체가 벽면으로 매립되어 커버체와 조립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단자함체의 선단에 내장용 패널 설치로 인하여 이격된 두께만큼 확장프레임을 부가 설치함으로서, 단자함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일정두께의 내장용 패널을 시공시 그 내장용 패널의 두께에 대응하는 확장프레임을 단자함체의 전면측에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단자함체에 설치되는 단자대가 내장용 패널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추가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과 단자함체의 커버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미관을 수려하게 마무리하고, 특히 단자함체가 콘센트 단자함인 경우 확장프레임에 콘센트 단자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플러그가 콘센트 단자대의 플러그삽입공으로 보다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단자함체가 분전함인 경우에는 확장프레임에 장축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커버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Structure of Plug-in box having which can be recycled when extended}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이나 콘센트의 단자대가 설치되는 단자함체(예; 분전함, 콘센트 단자함)의 확장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벽에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의 두께만큼 단자함체가 벽면으로 매립되어 커버체와 조립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단자함체의 선단에 내장용 패널 설치로 인하여 이격된 두께만큼 확장프레임을 부가 설치함으로서, 단자함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을 시공할 때에는 벽체에 전면 개구형으로서 전선이 인입되고 커버가 결합되는 단자함체를 매립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함체가 분전함인 경우에는 상기 단자함체내에 스위칭전원 단자대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단자함체가 콘센트 단자함인 경우에는 상기 단자함체내에 콘센트 단자대를 결합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단자함체가 분전함인 경우, 상기 단자함체내에 매몰되는 방식으로 스위칭전원 단자대를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단자함체의 전면 개구부측은 커버를 통해 덮어 상기 스위칭전원 단자대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체가 콘센트 단자함인 경우에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단자함체(1)의 전면 개구부측 둘레에 절곡형으로서 체결공을 가지는 프레임을 형성시키는 한편, 콘센트 단자함(2)에도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도록 체결공을 가지는 프레임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상기 체결공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를 체결하여 상기 콘센트 단자함(2)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콘센트 단자함(2)을 커버(4)로 덮어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콘센트 단자함인 단자함체(1)를 벽체(100)에 시공한 후 그 내부에 콘센트 단자대를 결합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100)에 실내 인테리어 용도로서 추가적인 내장용 패널을 시공하는 경우, 상기 내장용 패널의 두께로 인해 단자함체(1)가 매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매몰현상이 발생할 때 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 단자대에 꽂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콘센트단자대의 플러그 삽입공은 벽체(10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설계 구조인 바, 벽체(100)에 추가적으로 일정두께의 내장용 패널을 시공하게 되면 상기 내장용 패널의 두께로 인해 함몰 형태가 되고, 이에따라 상기 함몰된 콘센트 단자대(2)의 플러그 삽입공으로 전원플러그를 꽂는 작업이 어려워지며, 미관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분전함과 같은 단자함체가 설치되는 벽체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내장용 패널을 추가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장용 패널의 두께로 인해 단자함체의 함몰 깊이가 깊어지면서 단자함체의 커버 열림이 방해받거나 또는 단자함체내의 스위치전원 단자대의 조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일정두께의 내장용 패널을 시공시 그 내장용 패널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전면 커버체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내장용 패널시공 공간을 보상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함체의 전면측에 선택적이고도 필요한 높이에 따라 다단 결합함으로써, 단자함체에 추가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과 단자함체의 커버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미관을 수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는, 단자대가 결합되고 둘레측에 체결공을 형성한 단자함체를 벽체에 매립 구성하되, 상기 단자함체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커버고정용 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며, 단위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조립블럭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단자함체의 테두리부와 일치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조립부재 중 좌우중심블럭에는 금속브라켓 고정홀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조립블럭들은 모서리조립블럭과 좌우중심블럭, 그리고 상하중심블럭과 확장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조립블럭과 좌우중심블럭 또는 모서리조립블럭과 상하중심블럭을 연결하는 상기 확장블럭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과 돌기의 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중심블럭 또는 상하중심블럭의 일단과 이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블럭 결합면이 끼움홈과 끼움돌기의 조합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하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프레임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중심블럭과 상하중심블럭 및 확장블럭의 내측 상단에는 밀림방지용의 제 1,2,3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 성형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모서리조립블럭과 좌우중심블럭, 그리고 상하중심블럭과 확장블럭 각각은 개별블럭 적층시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과 돌기의 조합, 또는 끼움홈과 끼움돌기의 하부에 처짐방지턱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모서리조립블럭은 단자함체의 모서리부위에 대한 틀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제 1,2 프레임의 꺽임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의 경계부위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핀을 돌출 구성하고, 상측방향으로는 또 다른 모서리조립블럭의 결합이나 커버의 결합을 위한 핀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확장블럭과의 결합을 위해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틀결합면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확장블럭은 상기 모서리조립블럭을 구성하는 제 1,2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단의 일면에 상기 제 1,2 프레임의 틀결함면에 대응하도록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틀결합면을 형성하고, 타측끝단에는 상기 좌우중심블럭 또는 상기 상하중심블럭과의 결합을 위해 제 1 끼움돌기 또는 제 1 끼움홈부와 제 1 지지편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중심블럭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에 결합되어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 상기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이나 상기 제 1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홈부 및 제 2 지지편을 형성하며, 상부면에는 단자대 결합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하중심블럭은 상기 제 2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에 결합되어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 상기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3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이나 상기 제 1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 3 끼움홈부 및 제 3 지지편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하중심블럭의 결합개수는 단자함체의 가로방향 길이변화에 따라 증감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일정두께의 내장용 패널을 시공시 그 내장용 패널의 두께에 대응하는 확장프레임을 단자함체의 전면측에 결합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단자함체에 설치되는 단자대가 내장용 패널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추가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과 단자함체의 커버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미관을 수려하게 마무리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자함체가 콘센트 단자함인 경우 확장틀에 콘센트 단자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플러그가 콘센트 단자대의 플러그삽입공으로 보다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단자함체가 분전함인 경우에는 확장틀에 장축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커버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벽체에 단자함체(콘센트)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확장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단위블럭틀의 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단위블럭틀의 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3 단위블럭틀의 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4 단위블럭틀의 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장용 패널이 추가 시공된 벽체의 단자함체에 확장틀을 결합 구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2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지는 단자대를 결합시킨 단자함체에 확장틀을 결합 구성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4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지는 단자대를 결합시킨 단자함체에 확장틀을 결합 구성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6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지는 단자대를 결합시킨 단자함체에 확장틀을 결합 구성한 상태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는, 단자대(2)가 결합되고 둘레측에 체결공(미도시)을 형성한 단자함체(1)를 벽체(100)에 매립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100)에 추가적인 내장용 패널(200)을 시공시, 상기 내장용 패널(2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단자함체(1)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커버고정용 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확장프레임(300)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단자함체(1)의 단자커버(400)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에 결합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프레임(300)은 상기 내장용 패널(200)의 두께에 따라 사각 링 타입의 구조물을 단수 또는 복수로 적층 구성하거나, 또는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모서리조립블럭(10), 확장블럭(20), 좌우중심블럭(30), 상하중심블럭(40)의 조립에 의해 생성되는 사각링 타입의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단자함체(1)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커버고정용 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 1,2 프레임(11)(12)의 꺽임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2 프레임(11)(12)의 경계부위에서 하측방향으로는 결합핀(13)이 돌출 구성되고, 상측방향으로는 또 다른 모서리조립블럭의 결합이나 단자커버(400)의 결합을 위한 핀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프레임(11)(12)의 일면에는 상기 확장블럭(20)과의 결합을 위해 돌기(a)와 홈(b)이 반복되는 틀결합면(15)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확장블럭(20)은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을 구성하는 제 1,2 프레임(11)(12)에 각각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측단의 일면에는 상기 제 1,2 프레임(11)(12)의 틀결함면(15)에 대응하도록 돌기(a1)와 홈(b1)이 반복되는 틀결합면(21)이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상기 좌우중심블럭(30) 또는 상기 상하중심블럭(40)과의 결합을 위해 제 1 끼움돌기(22) 또는 제 1 끼움홈부(23)와 제 1 지지편(24)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블럭들의 적층 결합시 밀림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1 결합돌기(25)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좌우중심블럭(30)은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20)에 결합되어 세로방향의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는 상기 제 1 끼움홈부(23)에 끼움 결합되는 밀림방지용의 제 2 끼움돌기(31)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이나 상기 제 1 끼움돌기(22)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홈부(32) 및 제 2 지지편(33)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블럭들의 적층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돌기(34) 및 단자대 결합부(35)를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중심블럭(40)은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20)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의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는 상기 제 1 끼움홈부(23)에 끼움 결합되는 밀림방지용의 제 3 끼움돌기(41)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30)이나 상기 제 1 끼움돌기(22)가 끼움 결합되는 제 3 끼움홈부(42) 및 제 3 지지편(43)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블럭들의 적층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 3 결합돌기(44)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과 확장블럭(20), 그리고 좌우중심블럭(30)과 상하중심블럭(40) 각각은 개별블럭 적층시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 처짐방지턱(10a)(20a)(30a)(4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과 확장블럭(20), 그리고 좌우중심블럭(30)과 상하중심블럭(40)의 조립으로부터 구성되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은 단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내장용 패널(200)의 두께에 따라 복수로 적층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틀 구조는 도 2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우선 모서리조립블럭(10)에 포함되는 제 1,2 프레임(11)(12)의 틀결합면(15)에 확장블럭(20)에 형성되는 틀결합면(21)을 결합시켜, 상기 틀결합면(15)(21)을 구성하는 돌기(a)(a1)와 홈(b)(b1)의 엇갈림 결합관계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장블럭(20)에 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22) 또는 제 1 끼움홈부(23)에 좌우중심블럭(30)의 제 2 끼움홈부(32)와 제 2 끼움돌기(31)를 끼움 결합시켜, 세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틀 구조물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장블럭(20)에 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22) 또는 제 1 끼움홈부(23)에 상하중심블럭(30)의 제 3 끼움홈부(42)와 제 3 끼움돌기(41)를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2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지는 단자대(2)가 적용되는 단자함체(1)의 가로방향 길이에 맞게 상기 상하중심블럭(30)을 순차적으로 여러개 끼움 결합시켜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틀 구조물을 완성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사각 링 타입을 이루는 확장틀(300)이 완성된다.
이후, 벽체(100)에 매립된 단자함체(1)에서 2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지는 단자대(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각 링 타입의 확장프레임(300)을 벽체(100)에 매립된 단자함체(1)의 선단측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에는 결합핀(13)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결합핀(31)을 상기 단자함체(1)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커버고정용 보스에 끼움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단자함체(1)의 선단측에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이 결합되면서, 상기 벽체(100)로부터 일정두께만큼 돌출되며, 이때 상기 확장프레임(300)의 돌출길이가 상기 벽체(100)에 추가 시공되는 내장용 패널(200)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에 단자커버(400)를 결합시켜 조립작업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확장프레임(300)의 설치 두께가 상기 내장용 패널(200)의 시공 두께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에 상기 설명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모서리조립블럭(10)과 확장블럭(20) 및 좌우중심블럭(30)과 상하중심블럭(40)이 조립된 또 다른 확장프레임(300)을 결합시켜 높이는 맞추도록 한다. 즉, 상기 단자함체(1)에 결합되는 사각 링 타입의 확장프레임(300)에 있어, 모서리조립블럭(10)에는 핀홈(1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핀홈(14)에 추가 조립되는 확장프레임(300)의 모서리조립블럭(10)에 마련되는 결합핀(13)을 끼움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모서리조립블럭(10)에 확장블럭(20)이 결합되고, 상기 확장블럭(20)에 각각 좌우중심블럭(30)과 상하중심블럭(40)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그 위에 동일한 구조물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확장블럭(20)과 좌우중심블럭(30) 및 상하중심블럭(40)에 돌출 구성되는 제 1,2,3 결합돌기(25)(34)(44)에 의해 적층 결합되는 블럭들의 밀림은 방지됨은 물론, 처짐방지턱(10a)(20a)(30a)(40a)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확장프레임(300)에 복수로 적층되면서 내장용 패널(20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좌우중심블럭(30)에 형성되는 단자대 결합부(35)에 단자대(2)의 체결공이 위치되도록 한 후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의 조임작업을 하면, 상기 단자대(2)는 상기 확장프레임(300)의 선단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단자커버(400)를 상기 확장프레임(300)의 선단측에 결합시키면, 상기 단자커버(400)는 내장용 패널(200)과 동일라인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단자대(2)의 플러그 삽입구로 원하는 전원플러그를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단자함체(1)에 4개의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는 단자대(2')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단자함체(1)의 가로방향 길이가 연장될 때,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확장프레임(300)을 이루는 상하중심블럭(40)의 개수를 증가시켜 결합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단자함체(1)에 6개의 플러그 삽입구를 가지는 단자대(2")를 적용함에 따라 상기 단자함체(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길이가 연장될 때,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확장프레임(300)을 이루는 상하중심블럭(40)의 개수를 증가시켜 결합 구성함은 물론, 상기 확장프레임(300)을 이루는 좌우중심블럭(30)의 양단에 상하중심블럭(40)을 결합시킨 후 상기 상하중심블럭(40)을 확장블럭(20)에 연결 결합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단자함체 2, 2', 2" ; 단자대
10; 모서리조립블럭 11, 12 ; 제 1,2 프레임
13 ; 결합핀 14 ; 핀홈
15 ; 틀결합면 20 ; 확장블럭
21 ; 틀결합면 22 ; 제 1 끼움돌기
23 ; 제 1 끼움홈부 24 ; 제 1 지지편
25 ; 제 1 결합돌기 30 ; 좌우중심블럭
31 ; 제 2 끼움돌기 32 ; 제 2 끼움홈부
33 ; 제 2 지지편 34 ; 제 2 결합돌기
40 ; 상하중심블럭 41 ; 제 3 끼움돌기
42 ; 제 3 끼움홈부 43 ; 제 3 지지편
44 ; 제 3 결합돌기 100 ; 벽체
200 ; 내장용 패널 300 ; 확장프레임
400 ; 단자커버

Claims (9)

  1. 단자대가 결합되고 둘레측에 체결공을 형성한 단자함체를 벽체에 매립 구성하되,
    상기 단자함체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커버고정용 보스에 끼워져 결합되며, 단위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조립블럭(모서리조립블럭, 좌우중심블럭, 상하중심블럭, 확장블럭)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단자함체의 테두리부와 일치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프레임을 구성하는 조립부재 중 좌우중심블럭에는 금속브라켓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블럭과 좌우중심블럭 또는 모서리조립블럭과 상하중심블럭을 연결하는 상기 확장블럭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과 돌기의 조합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중심블럭 또는 상하중심블럭의 일단과 이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블럭 결합면이 끼움홈과 끼움돌기의 조합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프레임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중심블럭과 상하중심블럭 및 확장블럭의 내측 상단에는 각각 밀림방지용의 제 1,2,3 결합돌기를 돌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블럭과 좌우중심블럭, 그리고 상하중심블럭과 확장블럭 각각은 개별블럭 적층시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과 돌기의 조합, 또는 끼움홈과 끼움돌기의 하부에 처짐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조립블럭은 단자함체의 모서리부위에 대한 틀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제 1,2 프레임의 꺽임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의 경계부위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핀을 돌출 구성하고, 상측방향으로는 또 다른 모서리조립블럭의 결합이나 커버의 결합을 위한 핀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2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확장블럭과의 결합을 위해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틀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블럭은 모서리조립블럭을 구성하는 제 1,2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단의 일면에 상기 제 1,2 프레임의 틀결함면에 대응하도록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틀결합면을 형성하고, 타측끝단에는 상기 좌우중심블럭 또는 상기 상하중심블럭과의 결합을 위해 제 1 끼움돌기 또는 제 1 끼움홈부와 제 1 지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중심블럭은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에 결합되어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이나 제 1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홈부 및 제 2 지지편 및 단자대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중심블럭은 제 2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확장블럭에 결합되어 틀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측끝단에 제 1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 3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끝단에는 또 다른 좌우중심블럭이나 제 1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 3 끼움홈부 및 제 3 지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KR1020100009496A 2010-02-02 2010-02-02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KR10113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96A KR101135970B1 (ko) 2010-02-02 2010-02-02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96A KR101135970B1 (ko) 2010-02-02 2010-02-02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67A true KR20110089967A (ko) 2011-08-10
KR101135970B1 KR101135970B1 (ko) 2012-04-18

Family

ID=4492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496A KR101135970B1 (ko) 2010-02-02 2010-02-02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74B1 (ko) * 2014-06-30 2014-10-29 홍형의 경제적인 태양광셀 모듈 고정유닛
CN105019651A (zh) * 2014-04-23 2015-11-04 重庆建工第四建设有限责任公司 空心砖填充墙成排线盒高效安装施工工法
KR102178100B1 (ko) * 2020-04-23 2020-11-12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768B2 (ja) 1997-03-21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組立式箱体
JP2002078113A (ja) 2000-08-25 2002-03-15 Honda Motor Co Ltd 電気装置収容箱
JP2002223508A (ja) 2001-01-24 2002-08-09 Dairyu Kogyo Kk 配電用箱
KR100937013B1 (ko) *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651A (zh) * 2014-04-23 2015-11-04 重庆建工第四建设有限责任公司 空心砖填充墙成排线盒高效安装施工工法
CN105019651B (zh) * 2014-04-23 2017-06-09 重庆建工第四建设有限责任公司 空心砖填充墙成排线盒高效安装施工工法
KR101455574B1 (ko) * 2014-06-30 2014-10-29 홍형의 경제적인 태양광셀 모듈 고정유닛
KR102178100B1 (ko) * 2020-04-23 2020-11-12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970B1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70B1 (ko) 높낮이 및 폭이 조절되는 조립식 가구용 파티션
KR101325301B1 (ko)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20110089967A (ko)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KR100907244B1 (ko) 단자함
KR101200761B1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KR200401184Y1 (ko) 단자함
KR101625501B1 (ko) 알루미늄복합재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2008121329A (ja) 外装仕上げ材
CN203722949U (zh) 一种用于钣金盒体机箱的面板
JP6077197B2 (ja) 規格化建物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CN105714959A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KR20120000814U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CN103216119B (zh) 一种整体浴室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CN204385968U (zh) 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式房屋
KR101348856B1 (ko) 조립식 칸막이용 칸막이 부재 연결 구조
KR101325668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CN204385969U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CN218028333U (zh) 一种安装方便的隔墙板
US11952778B2 (en) Multi-purpose building block, and a buil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311044B1 (ko)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 및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을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