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017B1 -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017B1
KR102029017B1 KR1020190061747A KR20190061747A KR102029017B1 KR 102029017 B1 KR102029017 B1 KR 102029017B1 KR 1020190061747 A KR1020190061747 A KR 1020190061747A KR 20190061747 A KR20190061747 A KR 20190061747A KR 102029017 B1 KR102029017 B1 KR 10202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ontainer
induction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선규
Original Assignee
공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선규 filed Critical 공선규
Priority to KR102019006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 조리 시 필요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모듈; 음식 조리 시 낙하하는 기름을 받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 상에 배치되되 비전도성 물질로 제작되는 기름받이용 용기; 및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 상에 배치되며, 음식이 안착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INDUCTION COOKING GRILL DEVICE}
본 발명은,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가정에서도 구이 요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그릴이 지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가정 내에서의 구이 요리는 연기 및 냄새, 기름 튐으로 인하여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과 한계점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는데, 이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가스 그릴이다. 가스 그릴은 가스불에 불판을 직접 접촉한 후, 가스불의 열을 이용해서 구이 요리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 그릴은 가스불이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라서 구이 요리 시 기름이 튀고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그릴의 경우, 열을 유도하여 음식을 익히면서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받아주는 받침대가 존재하나, 가스불을 사용하는 구조로 인해 가운데에 커다란 구멍이 필요하게 되는 바 연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그릴의 바깥쪽을 주로 활용해야 하므로 불판의 효율성 및 연기 저감효과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가스 그릴과 함께 가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기 그릴이다. 전기 그릴은 전기의 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가스 그릴과 달리 가운데 구멍이 필요하지는 않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기 그릴의 경우에는 인두 방식의 굵은 열선을 사용하여 열을 전달하고 있어 열선 위로 기름이 떨어지게 되면 연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부분의 전기 그릴은 열선을 전부 덮는 형태로 제작되나 이는 기름을 밑으로 떨어뜨리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전기 그릴은 가스 그릴보다 열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요리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분리 및 세척에서도 불편한 점이 많다.
이처럼 가스 그릴과 전기 그릴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그릴은 다양한 문제점, 특히 구이 요리 시 연기와 냄새가 많이 발생하고 기름이 많이 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701534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498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746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2-00122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 조리 시 필요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모듈; 음식 조리 시 낙하하는 기름을 받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 상에 배치되되 비전도성 물질로 제작되는 기름받이용 용기; 및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 상에 배치되며, 음식이 안착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구비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는 자석;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측벽부에 내장되며, 상기 인덕션 모듈 측의 자기장을 활성화하는 리피팅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는, 상기 용기 몸체의 측벽부에 마련되며, 상기 인덕션 모듈 측의 자기장이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페라이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유닛은,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 및 상기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와 접합되는 복수의 개루프 그릴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개루프 그릴 파트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비전도성 손잡이부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그릴 유닛이 스파이럴 형태 폐루프 코일일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가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이 요리 시 기름을 효율적으로 떨어뜨려 연기와 냄새를 줄이고 기름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그릴 가능해서 그릴에 효율적으로 열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가스 또는 전기 방식보다 빠르게 열전달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분리가 쉬워서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쉬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그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와 그릴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와 그릴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그릴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그릴 유닛의 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 영역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그릴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100)는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의 위험이 없다는 표현은 직접적인 불이나 기름 용기로 인한 화상은 없거나 기존보다 월등히 약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100)는 인덕션 모듈(110), 기름받이용 용기(120) 및 그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110)은 음식 조리 시 필요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덕션 방식, 즉 자체 열을 내는 방식이 아닌, 기기 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이용해 전기유도물질로 만들어진 용기와 반응시켜 열을 만들어내는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종전의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방식과 달리 조리 음식에 대한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상의 위험이 없다.
기름받이용 용기(120)는 음식 조리 시 낙하하는 기름을 받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인덕션 모듈(110) 상에 배치되는 용기이다. 기름받이용 용기(120)는 비전도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110)과 기름받이용 용기(120)가 분리형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 작업에 유리하다.
기름받이용 용기(120)는 바닥부(121)와 측벽부(122)를 구비하는 용기 몸체(128)를 포함한다. 측벽부(122)의 단부는 단차진 단차식 단부(122a)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덕션 모듈(110)이 사각판 형태로 되어 있어서 용기 몸체(128) 역시, 사각의 박스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용기 몸체(128)는 원통 구조일 수도 있다.
용기 몸체(128)의 바닥부(121)에는 자석(123)이 내장될 수 있다. 자석(123)은 전자코일로 대체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자석(123)은 자기장을 활성화, 즉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 외에도 인덕션의 정상 동작을 위한 보조적인 구실을 할 수 있다.
물론, 자석(123)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자석(123)이 없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용기 몸체(128)의 측벽부(122)에는 리피팅 코일(124)이 내장된다. 리피팅 코일(124)은 측벽부(12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리피팅 코일(124)은 인덕션 모듈(110) 측의 자기장을 활성화해서 음식으로 강한 열이 제공되도록 한다.
용기 몸체(128)의 측벽부(122)에는 페라이트 모듈(125)이 마련된다. 페라이트 모듈(125)은 용기 몸체(128)의 측벽부(122)에 마련되며, 인덕션 모듈(110) 측의 자기장이 기름받이용 용기(12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한편 그릴 유닛(130)으로의 자기장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용된다.
그릴 유닛(130)은 기름받이용 용기(120)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실질적으로 음식, 예컨대 구이용 고기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그릴 유닛(130)은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131)와,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131)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131)와 접합되는 복수의 개루프 그릴 파트(132)와, 개루프 그릴 파트(132)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비전도성 손잡이부(133)를 포함한다.
비전도성 손잡이부(133)로 인해 그릴 유닛(130)이 뜨겁더라도 잡고 핸들링하거나 이동하기에 유리하다.
그리고,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131)와 개루프 그릴 파트(132)는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낙하하여 기름받이용 용기(1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덕션 모듈(110) 상에 기름받이용 용기(120)를 배치한 후, 그 위로 그릴 유닛(130)을 올려두고, 그릴 유닛(130) 상에 고기를 올린 후, 인덕션 방식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다. 이렇게 고기를 구우면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이 요리 시 기름을 효율적으로 떨어뜨려 연기와 냄새를 줄이고 기름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그릴 가능해서 그릴에 효율적으로 열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가스 또는 전기 방식보다 빠르게 열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의 분리가 쉬워서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쉬워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예컨대, 단일 코일 위에 일정 거리 미만으로 코일을 추가하면 다중 코일로 열 유도가 가능하여 양면 그릴 등으로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200) 역시, 인덕션 모듈(210), 기름받이용 용기(220) 및 그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110)과 기름받이용 용기(120)가 분리형으로 적용되었던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210)과 기름받이용 용기(220)가 일체형으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처럼 인덕션 모듈(210)과 기름받이용 용기(220)가 일체형으로 적용되면 한 몸체라서 취급이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와 그릴 유닛의 배치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300) 역시, 인덕션 모듈 상에 배치되는 기름받이용 용기(320)와 그릴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름받이용 용기(320)는 자석(323), 리피팅 코일(324), 페라이트 모듈(325) 등이 위치별로 적용되는 용기 몸체(328)를 구비한다. 기름받이용 용기(32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그릴 유닛(3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중 그릴(331,332)이 적용된다.
제1 그릴(331)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릴 유닛(13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그릴(332)은 제1 그릴(331) 상에 추가로 장착되는 그릴일 수 있다. 제2 그릴(332)의 적용을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탄성 이격부재(334)를 포함하는 그릴 장착유닛(333)이 제2 그릴(33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릴 장착유닛(333)은 제2 그릴(332)이 단착식 단부(322a)에 장착되게 하는 한편 제1 그릴(331)에 대하여 제2 그릴(332)이 탄성적으로 이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와 그릴 유닛의 배치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그릴 유닛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400) 역시, 인덕션 모듈 상에 배치되는 기름받이용 용기(420)와 그릴 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름받이용 용기(420)는 자석(123), 리피팅 코일(124), 페라이트 모듈(125) 등이 위치별로 적용되는 용기 몸체(428)를 구비한다. 용기 몸체(428)는 바닥부(421)와 단차식 단부(122a)를 구비하는 측벽부(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421)의 저면은 경사진 경사면(421a)을 이룬다. 이때, 경사면(421a)에서 경사도가 제일 낮은 위치에 배수홀(421b)이 형성된다. 배수홀(421b)은 착탈식 마개(426)에 의해 평상시 막힌 구조를 취한다. 배수홀(421b)은 기름을 배수하거나 물을 배수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그릴 유닛(430)은 제1 실시예와 달리 기름받이용 용기(420)의 단차식 단부(122a) 영역에 부분적으로 삽입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그릴 유닛(430)이 기름받이용 용기(420)에 결합할 경우, 기름받이용 용기(420)에서 그릴 유닛(430)이 임의뢰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일은 없다.
이러한 그릴 유닛(430)은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431)와,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431)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431)와 접합되는 복수의 개루프 그릴 파트(432)와, 개루프 그릴 파트(432)의 양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비전도성 손잡이 유닛(433)을 포함한다.
비전도성 손잡이 유닛(433)은 유닛 바디(433a)와, 유닛 바디(433a)에 형성되되 용기 몸체(428)의 단차식 단부(122a)에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하는 끼움 결합부(433c)와, 유닛 바디(433a)에 형성되되 개루프 그릴 파트(432)의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그릴 착탈 결합부(433d)와, 유닛 바디(433a)에 형성되되 손으로 잡는 파지부(433b)를 포함한다. 특히, 개루프 그릴 파트(432)의 단부가 비전도성 손잡이 유닛(433)의 그릴 착탈 결합부(433d)에 착탈 결합하는 구조라서 비전도성 손잡이 유닛(433)을 제외한 폐루프 그릴 파트(431)와 개루프 그릴 파트(432)를 청소하는데 수월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인덕션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고 기름이 튀는 종전 그릴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가정에서도 불편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그릴 유닛의 변형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그릴 유닛(530a,530b)의 경우에는 도 9의 (a)처럼 하나의 스파이럴 형태 폐루프 코일도 가능하고, 도 9의 (b)처럼 손잡이가 한쪽에만 형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특히, 코일이 결합하는 부분은 복수의 폐루프 그릴 접합을 위해서 반드시 개루프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여러 실시예의 구조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5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덕션 모듈(110), 기름받이용 용기(120) 및 그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기름받이용 용기(120)의 일측에 금속 재질로 되어 열전달을 수행하는 열전달 모듈(590)이 마련된다. 열전달 모듈(590)은 기름받이용 용기(120)의 외측에 연결될 수도 있고, 혹은 기름받이용 용기(120) 내에 삽입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열전달 모듈(590)은 인덕션 모듈(110) 측의 온도 센싱부(591)까지 열전달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하는 그릴 온도에 맞추어 파워 조절 또는 온/오프(on/off) 조절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에서 기름받이용 용기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기름받이용 용기(120)는 상부가 개폐식 뚜껑(690)으로 차폐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즉 기름받이용 용기(120)는 단순히 오픈(open) 형식뿐만 아니라 개폐식 뚜껑(690)으로 덮이는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개폐식 뚜껑(690)은 원활한 자기장 순환을 위해 비전도성 물질로 제작이 유리하나 비전도성으로 국한될 필요성은 없다.
이처럼 개폐식 뚜껑(690)이 적용될 경우, 그릴의 열과 기름받이용 용기(120) 내부 열(찜 방식)을 동시 활용함으로써 육류를 더 잘 익힐 수 있다. 또한, 구이 시 연기나 기름 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름받이용 용기(120)의 측면뿐만 아니라 하단에도 폐루프가 들어갈 수 있는데, 이는 인덕션 정상 동작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110 : 인덕션 모듈
120 : 기름받이용 용기 121 : 바닥부
122 : 측벽부 122a : 단차식 단부
123 : 자석 124 : 리피팅 코일
125 : 페라이트 모듈 128 : 용기 몸체
130 : 그릴 유닛 131 : 폐루프 그릴 파트
132 : 개루프 그릴 파트 133 : 비전도성 손잡이부

Claims (6)

  1. 음식 조리 시 필요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모듈;
    음식 조리 시 낙하하는 기름을 받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 상에 배치되되 비전도성 물질로 제작되는 기름받이용 용기; 및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 상에 배치되며, 음식이 안착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 유닛은,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 및
    상기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폐루프 그릴 파트와 접합되는 복수의 개루프 그릴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개루프 그릴 파트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비전도성 손잡이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구비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는 자석;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측벽부에 내장되며, 상기 인덕션 모듈 측의 자기장을 활성화하는 리피팅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는,
    상기 용기 몸체의 측벽부에 마련되며, 상기 인덕션 모듈 측의 자기장이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폐하는 페라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기름받이용 용기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KR1020190061747A 2019-05-27 2019-05-27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KR10202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747A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05-27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747A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05-27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017B1 true KR102029017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747A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05-27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0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26U (ko) 1990-12-08 1992-07-25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JPH0716720U (ja) * 1993-08-27 1995-03-2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調理器
KR0174656B1 (ko) 1996-07-01 1999-03-20 이용인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JPH11204243A (ja) * 1998-01-14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焼き物調理器
JPH11206577A (ja) * 1998-01-27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用の調理容器
KR20110011902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20110010583U (ko) * 2010-05-06 2011-11-14 범순자 인덕션 구이판
KR20110123917A (ko) * 2010-05-10 2011-11-16 김희중 석쇠/꼬치구이 겸용 바비큐 그릴 장치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26U (ko) 1990-12-08 1992-07-25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JPH0716720U (ja) * 1993-08-27 1995-03-2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調理器
KR0174656B1 (ko) 1996-07-01 1999-03-20 이용인 입체무늬 형성용 점착테이프
JPH11204243A (ja) * 1998-01-14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焼き物調理器
JPH11206577A (ja) * 1998-01-27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用の調理容器
KR20110011902A (ko)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20110010583U (ko) * 2010-05-06 2011-11-14 범순자 인덕션 구이판
KR20110123917A (ko) * 2010-05-10 2011-11-16 김희중 석쇠/꼬치구이 겸용 바비큐 그릴 장치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893C2 (ru) Комплект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US20100116820A1 (en) Induction electrical appliance
US20140246419A1 (en) Top-browner cooking system for electric roasting ovens and method of use
KR102029017B1 (ko)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US6593550B1 (en) Energy savings circumferential base for cooking utensils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JP2014212840A (ja) 加熱調理容器
KR101300190B1 (ko)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JP2014200628A (ja) 加熱調理容器
CN209358798U (zh) 电磁灶
KR101019226B1 (ko) 전기양면쿠커
JP2023500154A (ja) 洗浄可能な調理装置
KR200365251Y1 (ko) 고기구이판
CN201775513U (zh) 电磁加热烧烤炉
CN207285861U (zh) 一种烤涮一体炉
KR20130001358U (ko) 세척이 용이한 분리형 이중 조리용기
US3014114A (en) Broilers
CN211695035U (zh) 一种可余热再利用的节能大炒炉
CN216754248U (zh) 一种空气炸锅或烤箱用炸篮
JP7408118B2 (ja) グリル付コンロ
JPS6023605Y2 (ja) 調理器
JP2011240063A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20030055129A (ko) 토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및 전자 조리기용 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