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804B1 -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804B1
KR0173804B1 KR1019940031410A KR19940031410A KR0173804B1 KR 0173804 B1 KR0173804 B1 KR 0173804B1 KR 1019940031410 A KR1019940031410 A KR 1019940031410A KR 19940031410 A KR19940031410 A KR 19940031410A KR 0173804 B1 KR0173804 B1 KR 017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alloy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955A (ko
Inventor
모또히로 야마하라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5001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5Poly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7Polyim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야각이 넓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표시화소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적어도 일방의 기판의 상기 액정층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정층중의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제어하는 배향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향층은 본질적으로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된다. 액정층중의 폴리머 앨로이가 상분리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액정층중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부분을 얻을 수 있고, 이 부분의 액정분자들은 방사상, 이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되며 이 부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콘트라스트의 시각의존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콘트라스트의 변화, 착색현상, 표시화상의 반전현상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실질적으로 표시의 불균일이 거의 없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11)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12)의 단면도.
제2도는 액정표시소자(11)의 기판(16,17)상의 배향막(20,21)의 상분리 구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및 종래의 액정표시소자 각각의 등-콘트라스트 곡선을 그린 레이다 차트.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4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4d도는 액정분자의 다축성 배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11)를 이용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12a)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12a)의 단면도.
제7a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7b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7c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액정표시소자 12 : 액정표시장치
13,14 : 편광판 16,17 : 기판
18 : 대향전극 19 : 표시화소전극
20,21 : 배향막 22 : 액정층
25 : 중핵중합체 26 : 결합중합체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야각이 넓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기판 사이에 네마틱 액정을 배치한 네마틱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종래부터 시계나 계산기 등의 수치 세그먼트형 표시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TFT(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 스위치소자가 액정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화소전극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가능하도록 투광성 기판에 형성된다. 이 투광성 기판과 대향하는 대향기판상에, 적색, 녹색, 청색 영역을 갖는 복수의 미소한 컬러필터층이 컬러표시수단의 수동 소자로서 배치된다.
이런 액정표시소자는, 액정의 트위스트각에 따라서, (a)네마틱 액정분자를 90°비틀어 배향시킨 액티브형 트위스티드 네마틱(이하, TN이라 한다) 액정표시방식, 및 (b)트위스트각이 90° 이상인 네마틱 액정분자를 이용해 급변하는 전압-광투과율 특성을 얻는 멀티플렉스형 수퍼 트위스티드(이하, STN이라 한다) 액정표시방식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액티브형 TN 액정표시방식은, (a-i) 한쌍의 편광판의 편광방향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OFF 상태)에서 흑색을 표시하는 노멀리 블랙 방식과, (a-ii)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편광방향을 서로 직교되게 배치하고 OFF 상태에서 백색을 표시하는 노멀리 화이트 방식의 2종류로 대별된다.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상, 표시의 시각의존성의 관점에서는 상기 2방식중에 (a-ii) 노멀리 화이트방식이 유력하다고 할 수 있다.
제7a-7c도는 종래의 TN형 액정표시장치(1)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TN형 액정표시장치의 문제점에 대해 제7a-7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표시장치(1)에는 한쌍의 유리기판(2,3)과 이 유리기판(2,3)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4)이 있다. 제7a도와 같이, 액정층(4)을 구성하는 액정분자(5)는 그 장축선이 기판(2,3) 사이에서 90° 꼬이도록 배향된다.
이런 구성의 종래의 TN형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액정표시장치(1)에 광이 입사한 상태로 구동회로(6)를 이용해 액정층(4)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 액정층(4) 부근의 전계를 ON/OFF 절환하면, 제7b-7c도와 같이, 전압 무인가시에 액정분자(5)가 동일 방향으로 똑같이 직립한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1)의 시야각 특성이 극히 한정된다.
제7a-7c도에 도시된 TN형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본래 굴절률이방성을 갖는 액정분자가 각각 표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기판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향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를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표시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변화한다. 즉, TN형 액정표시장치는 시각의존성이 높다. 특히, 화면의 법선방향에 대해 표시콘트라스트가 양호한 방향쪽으로 시각을 넓히면, 어떤 각도 이상에서 화상의 흑백 영역이 갑자기 반전한다. 이 현상을 반전현상이라 한다.
이런 시각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분자 등의 굴절률 타원체의 주굴절률중의 하나의 방향이 화면의 법선방향에 평행한 필름형상의 위상차판을 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배치하여 광의 정상광 성분과 이상광 성분 사이의 위상차를 보상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런 위상차판을 사용해도 상기 흑백표시의 반전현상을 개선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TN형 액정표시장치의 시각의존성을 개선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화소분할법(일본국 특개소 57-186735호 참조), 러빙각도 최적화법(일본국 특개평 4-221935 참조), 및 논러빙법(일본국 특개평 3-14162 참조) 등의 방법이 있지만, 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화소분할법은 예컨대 상하방향의 반전현상 및 시각의존성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표시콘트라스트의 저하; 시각을 법선방향에서 기울였을 때 흑색현상이 나타나는 변색현상; 및 액정표시소자가 수평방향(즉, 좌우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즉, 상하방향)에 따라 시각의존성을 갖는 등의 문제가 있다. 러빙각도 최적화법은, 상기 흑백표시의 반전현상의 개선은 가능하지만, 반전현상이 생길 수 있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좁은 시각에서만 표시화상이 적절히 나타날 수 있고 법선방향에서 액정표시소자를 관찰할 때 표시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논러빙법에서는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이 뚜렷이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시각의존성을 개선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일본국 특개평 3-293324에 개시된 랭뮤어-블로젯 기술로 제작된 LB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LB막의 분자사슬(주 사슬)의 방향을 평균적으로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켜 액정분자를 LB막의 분자사슬 방향으로 배향한다. LB막으로는, 입체규칙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체규칙성 폴리머란 원자레벨에서 입체배치가 규칙성을 갖는 중합체이다. 따라서, LB막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는 그 액정표시소자를 관찰할 때 상하좌우의 시각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변화하는 시각의존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 방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 결함이 발생하여 화상표시 품질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b)항의 멀티플렉스형 STN 액정표시방식의 액정표시소자는 적절한 흑백표시를 행할 목적으로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는 광학적 위상차소자의 종류에 따라; (b-i) 표시용 액정표시소자의 트위스트각의 역방향의 트위스트각으로 액정분자를 비스듬히 배향시키는 광학보상용 액정표시소자와 표시용 액정표시소자를 포함한 2층형의 더블 수퍼 트위스티트 네마틱(이하, DSTN이라 함; Double Super Twisted Nematic) 액정표시방식과, (b-ii)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필름을 액정표시소자에 장착한 필름부가형 액정표시방식으로 대별된다. 액정표시소자의 경량화, 저렴화의 관점에서는, 상기 (b-ii)항의 필름 부가형 액정표시방식이 유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b-i)과 (b-ii)의 어떤 액정표시방식도 STN 액정 특유의 착색현상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복수의 표시화소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적어도 일방의 기판의 상기 액정층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정층중의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제어하는 배향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향층은 본질적으로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앨로이는 상분리 구조를 갖고, 상기 액정분자를 직선 배향, 방사상 배향, 2축성 배향 및 다축성 배향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도록 제어하는 부분이 복수의 표시소자화소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층은 비상용성(非相溶性;incompatible)의 폴리머 블렌드를 이용해 얻어진 마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층은 비상용성의 블록 사슬을 포함한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층은 비상용성의 모노머에 의해 그라프트화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층은 비상용계의 고분자 쌍을 포함한 상호관입 고분자망을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분리 구조의 크기는 10nm 이상 2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마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는 500nm 이상 2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는 10nm 이상 1㎛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앨로이는 폴리아미드(PA)계 앨로이, 폴리이미드(PI)계 앨로이, 폴리올레핀(PO)계 앨로이, 폴리스티렌(PS)계 앨로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앨로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계 앨로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앨로이, 폴리아세탈계 앨로이, 폴리카르보네이트(PC)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에테르(PPE)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술피드(PPS)계 앨로이, 폴리아릴렌 에테르케톤(PAEK)계 앨로이, 및 비정질 폴리아릴레이트(PAr)계 앨로이로 된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층은 키랄 도펀트를 첨가한 네마틱 액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층은 2색성 색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한쌍의 기판중의 한 기판상에 능동 스위칭소자가 형성되고, 이 스위칭소자는 액티브 구동된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 즉, (1)시각에 따른 표시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변화, 착색현상, 표시화상의 반전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고; (2)표시가 아주 균일하고 콘트라스트가 높을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며; (3)표시품위가 현저히 향상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고, (4)액정분자가 방사상,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되어 있어 규칙성을 갖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들중의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런 저런 장점들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액정층중의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제어하는 유기막은 기본적으로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 폴리머 앨로이는 고분자 다성분계에 있고, 거시적인 상분리 구조(마크로-상분리 구조) 또는 미시적인 상분리 구조(미크로-상분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 앨로이는 상분리 구조이기 때문에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배향막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폴리머 앨로이의 예로는, 폴리아미드(PA)/폴리이미드(PI), PA/탄성중합체, PI/PI 등의 앨로이 및 PI계 앨로이; 나일론/범용 폴리올레핀(PO), PO/PO, PO/폴리스티렌(PS) 등의 PO계 앨로이 및 PS계 앨로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PET계 앨로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계 합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앨로이; 폴리아세탈계 앨로이; 폴리카르보네이트(PC)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에테르(PPE)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술피드(PPS)계 앨로이; 폴리아릴렌 에테르케톤(PAEK)계 앨로이; 및 비정질 폴리아릴레이트(PAr)계 앨로이가 있다. 폴리에틸렌(PE)/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나일론, PS/PP, PS/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PS/테트라히드로푸란 블록 공중합체, PMMA/PE 등의 앨로이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폴리머 앨로이의 형성방법은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마크로-상분리 구조는 물리적 방법으로, 미크로-상분리 구조는 화학적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폴리머 블렌드법이 대표적이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블록(block) 공중합, 그라프트(graft) 공중합 및 상호침입 고분자망(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등이 대표적이다.
폴리머 블렌드 방법이란 이종의 폴리머 성분을 물리적 방법으로 혼합 및 분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 및 분산 방법으로서, 공지의 용융혼동법이나 용매 캐스트법중의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용융혼동법은 압출기 내에 고온으로 용융되어 있던 폴리머를 스크루의 회전으로 혼합시키는 방법이다. 이렇게 혼합된 폴리머를 용도에 따라 필름이나 필렛 등의 형태로 성형품으로서 압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형태로 폴리머를 압출한다. 필요하다면, 이렇게 필름 형태로 형성된 폴리머 혼합물을 적어도 1축을 따른 배향을 갖도록 배향처리한다. 이 용융혼동법에 의하면, 용융 온도, 용융시의 전단응력(스크루의 회전수), 배향조건 등을 변화시켜서 마크로-상분리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는 유기막으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PS/폴리이소프렌 앨로이는 용매 캐스트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캐스트 방법이란, 이종의 폴리머 성분들을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매를 소정 온도로 캐스트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용매 캐스트 방법에 의하면, 캐스트 온도나 용매의 종류 등을 변화시켜 마크로-상분리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S/폴리이소프렌 앨로이는 90분간 약 200℃로 캐스트하면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어떤 방법에서도, 필름 상태는 폴리머의 종류와 필요한 액정의 배향상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폴리머 블렌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는 마크로-상분리 구조의 예로는, 해도(海島) 구조, 연속상 구조, 복합분산상 구조, 변조 구조등이 있다. 마크로-상분리 구조는 그 크기가 ㎛ 정도이고, 폴리머의 분자 사이즈(nm 정도)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마크로-상분리 구조는 미크로-상분리 구조와는 다른 액정 배향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마크로-상분리 구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액정 배향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마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는 500nm 내지 2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0nm 내지 1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이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 및 블록 공중합은 각각 기존의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얻어진 폴리머는 상기 용융혼동법 및 용매 캐스트 방법에 의해 막으로 형성되어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의 유기막으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PS/폴리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앨로이는 바람직하게는 리빙(living) 중합에 의해 중합된다. 미크로-상분리 구조는 nm 정도로서, 폴리머 분자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미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는 10nm 이상 1㎛ 이하이지만, 100nm 이상 1㎛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200nm 이상 1㎛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미크로-상분리 구조는 미크로도메인 구조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주기 구조이다. 이 미크로도메인 구조로서는, 구형의 1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이 타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중에 주기적인 배열로 분산된 구형 구조; 봉형의 1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이 타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중에 서로 거의 평행하고 주기적인 배열로 분산된 봉형 구조; 및 층상의 1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이 타종의 폴리머 성분의 영역에 서로 평행하고 주기적인 배열로 형성된 라멜라(lamella)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미크로-상분리 구조도 마크로-상분리 구조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에 따라 다른 액정 배향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중합시의 폴리머의 성분비 및 중합조건 등을 변화시키면,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제어하여, 액정의 배향상태를 원하는 대로 얻을 수 있다.
IPN도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PN은 폴리머 성분이 서로 얽히기 때문에 독특한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형성한다. IPN도 공중합과 마찬가지로 폴리머의 종류 및 형성조건(즉, 중합조건)을 변화시켜 액정의 배향상태를 원하는대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폴리머 앨로이의 상분리 구조의 도메인들은 사용된 방법에 따라 크기, 형상 및 성질이 다를 수 있다. 또, 도메인의 성질이 다르면 액정의 배향과 틸트각에 영향을 주는 표면구조, 습윤성, 흡착력 및 π전자 상호작용 등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도메인을 배향막중에 규칙적으로 분산 또는 배열시키면, 폴리머 앨로이의 도메인의 액정을 방사상,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할 수 있고, 또 그 도메인의 크기, 형상 및 규칙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기막을 이용하면, 러빙처리를 하지 않고도 액정을 배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막은 스핀코팅법이나 디핑법 등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배치한 액정표시소자중의 적어도 일방의 기판의 액정 배향층(막)으로 사용되는 상분리 구조를 갖는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된 유기막을 이용한다. 그 결과, 액정을 방사상,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할 수 있고 그 배향부분의 크기, 형상, 규칙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이점; 즉, (1)시각에 따른 표시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변화, 착색현상, 표시화상의 반전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고; (2)표시가 아주 균일하고 콘트라스트가 높을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며; (3)표시품위가 현저히 향상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다. 이것은, 액정분자들이 방사상,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되어 있는 부분이 액정에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액정표시소자의 양측의 편광판의 투과축이 직교 또는 평행하게 되어 있는 한, 편광판을 어떻게 배치해도 표시화상의 색조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각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콘트라스트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2)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액정표시장치(12)에는 한쌍의 편광판(13,14)과 액정표시소자(11)가 있다. 액정표시소자(11)에서, 대향전극(18)과 표시화소전극(19)은 한쌍의 유리기판(16,17) 표면에 각각 형성된다. 대향전극(18)과 표시화소전극(19)은 ITO(산화인듐주석)로 구성된 투명전극이다. 유리기판(16)의 표면에는 대향전극(18)을 덮기 위한 배향막(20)이 형성된다. 유리기판(17)의 표면에는 표시화소전극(19)을 덮기 위한 배향막(21)이 형성된다. 배향막(20,21)은 예컨대 PS/폴리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향막(20,21)에는 러빙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한쌍의 유리기판(16,17) 주연부를 시일재(23)로 시일한 뒤, 유리기판(16,17) 사이의 간격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층(2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층(22)으로서, 예컨대 굴절률이방성 △n이 0.081이고 키랄 도펀트를 첨가하지 않은 액정재료를 사용했다. 배향막(20,21) 사이의 간격의 두께, 즉 액정층(22)의 두께는 예컨대 구형, 원통형 또는 섬유형의 스페이서를 이용해 약 5.5μm로 설정했다. 유리기판(16,17)상의 대향전극(18)과 표시화소전극(19)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액정표시장치(12)가 화상을 표시한다.
배향막(20,21)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더니, 제2도와 같이, 미크로-상분리 구조가 형성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배향막(20,21)의 구성단위로서의 중핵중합체(25)와, 복수의 중핵중합체(25)를 서로 결합하는 구성단위로서의 결합중합체(26)가 배향막(20,21)중에 형성된다. 중핵중합체(25)와 결합중합체(26) 사이에는 요부(27)가 형성된다. 각 요부(27)는 오목부이거나 투공부이다.
액정표시장치(12)의 배향막(20,21) 전체에 걸쳐, 요부(27)에 액정분자가 진입했다. 이 요부(27)의 계면(28)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향상태가 제어되어, 액정분자에서 다축성 배향을 갖는 부분이 생겼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2)와 종래 기술의 TN형 액정표시장치 각각의 콘트라스트의 시각의존성을 보여주는 레이다 차트이다. 제3도에서, 라인 29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2)의 콘트라스트의 시각의존성이고, 라인 30은 종래의 TN형 액정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의 시각의존성이다. 구체적으로, 라인 29,30은 콘트라스트가 10인 액정표시장치의 등콘트라스트선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2)의 시각특성을 평가하면, 제3도와 같이, 콘트라스트 10이상의 범위가 전방향에 대해 ±65도 이상으로 넓은 시야각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방향이란 관측자가 액정표시소자(11)를 보는 방향으로서 액정표시소자에 평행한 평면에 대한 방향이고; 시야각이란 관측자가 액정표시소자(11)를 보는 각도로서 유리기판(16,17)의 법선에 대한 각도이다. 한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시야각 방향이 관측자에게 가까울수록 콘트라스트 10이상의 범위가 50도 이상으로 얻어지지만, 관측자에게 멀어질수록 콘트라스트 10 이상의 범위로 되는 시각의 범위가 극히 좁아지는 시야각 특성을 갖는다. 또, 액정표시장치(12)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억제한 경우에도 흑백표시의 반전이 발생되지 불균일하거나 거친 표시가 생기는 문제가 해소된다.
배향막(20,21)으로서 폴리스티렌과 폴리이소프렌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그 성분비를 변화시키면, 각 화소의 중심에 대해 액정분자를 방사상으로 배향할 수 있다.
또, 배향막으로서 PS/테트라히드로푸란 블록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 PP/나일론이나 PE/나일론 등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PMMA/PE나 PS/PP 등의 IPN, 또는 PS/PS-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머 블렌드를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액정층(22)으로서 키랄 도펀트를 첨가한 액정재료를 주입할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2)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시야각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이 목측으로 확인되었다.
액정층(22)으로서, 2색성 색소를 첨가한 액정재료를 사용해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를 갖는다.
상기 한쌍의 유리기판(16,17)중의 한쪽 기판상의 배향막으로서 배향막(20,21)중의 하나를 사용하고, 다른쪽 유리기판상의 배향막으로서 종래의 배향막을 사용해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액정분자의 다축성 배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2)의 시야각 특성이 개선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액정표시장치(12)의 단면도이다. 제4a-c도는, 액정표시장치(12)에 광이 입사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회로(34)를 이용해 액정표시장치(12)에 전압을 인가하고 끊어서 전계가 ON/OFF되는 액정분자의 상태를 보여준다. 제4b도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분자(33)가(유리기판 16,17의 법선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액정층(22)의 겉보기 굴절률이 화살표(α)와 화살표(β) 방향에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이 개선된다. 즉, 제4d도와 같이, 액정분자들(33)이 다축성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전압 인가시에는 액정분자가 거의 전방위적으로 직립하여, 액정표시장치(12)의 시야각 특성이 개선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가 거칠어지는 문제가 해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12a)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6도는 이 액정표시장치(12a)의 단면도이다. 이 액정표시장치(12a)에는 제1기판(17a), 제2기판(16a) 및 이들 제1,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22)이 있다. 제1기판(17a)상의 복수의 신호선(35)과 복수의 주사선(36)의 각 교점마다 스위치 트랜지스터(37)와 표시화소전극(19a)이 형성된다. 제1기판(16a)상에는 대향전극(18a)이 형성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37)로서, 예컨대 a-Si나 p-Si로 구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액정표시장치(12a)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배향막(20,21)과 동일한 배향막(20,21)이 형성되고; 기판(16a,17a) 사이에는 기판(16,17)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이 있으며;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같은 액정재료를 사용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12a)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12a)도 액정표시장치(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야각 특성이 대폭 개선된다.
본 발명, 특히 실시예 2는 일본국 특개평 3-29332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고, 종래 기술에서 얻을 수 없는 이런 차이점을 기초로 한 효과를 얻는다. 실시예 1,2에서는, 배향막(20,21)이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되고, 이 액정이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배향막(20,21)은, LB막의 분자사슬(주 사슬)의 방향을 평균적으로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켜서 액정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하는 종래 기술과는 전적으로 다른 배향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1,2의 배향막(20,21)의 배향기능 때문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의 상하좌우 방향의 시각의존성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좌우의 시각에 의존하여 생기는) 표시화상의 콘트라스트 변화, 착색현상 및 표시화상의 콘트라스트의 반전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또 표시 불균일이 없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런 효과는 종래 기술에 개시되지도 않았고 시사되지도 않았다.
종래 기술의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재료의 하나인 입체규칙성 폴리머는 원자 레벨에서 입체 구조에 대해 규칙성을 갖는 중합체이다. 한편, 실시예 1,2의 배향막을 형성하는 폴리머 앨로이에 따르면, 분자사슬의 집합체로 구성된 구조가 제공되어, 이 분자 구조가 전체적으로 3차원적인 규칙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점에서 종래 기술과는 구성상으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 집합 레벨에서 3차원적 규칙성을 갖는 폴리머 앨로이를 사용하므로, 액정을 2축성 또는 다축성으로 배향할 수 있고, 이 효과는 종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다.

Claims (15)

  1. 복수의 표시화소전극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상기 한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적어도 일방의 기판의 상기 액정층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액정층중의 액정분자의 배향상태를 제어하는 배향층;을 구비하고, 상기 배향층이 본질적으로 폴리머 앨로이로 구성되는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앨로이가 상분리 구조를 갖고, 상기 액정분자가 직선 배향, 방사상 배향, 2축성 배향 및 다축성 배향중의 적어도 하나의 배향상태를 갖도록 제어되는 부분이 복수의 표시소자화소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이 비상용성(非相溶性;incompatible)의 폴리머 블렌드를 이용해 얻어진 마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인 액정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이 비상용성의 블록 사슬을 포함한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인 액정표시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이 비상용성의 모노머에 의해 그라프트화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인 액정표시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이 비상용계의 고분자 쌍을 포함한 상호관입 고분자망을 이용해 얻어진 미크로-상분리 구조를 갖는 유기막인 액정표시소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분리 구조의 크기가 10nm 이상 200㎛ 이하인 액정표시소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가 500nm 이상 200㎛ 이하인 액정표시소자.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크로-상분리 구조의 크기가 10nm 이상 1㎛ 이하인 액정표시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앨로이가 폴리아미드(PA)계 앨로이, 폴리이미드(PI)계 앨로이, 폴리올레핀(PO)계 앨로이, 폴리스티렌(PS)계 앨로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앨로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계 앨로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앨로이, 폴리아세탈계 앨로이, 폴리카르보네이트(PC)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에테르(PPE)계 앨로이, 폴리페닐렌 술피드(PPS)계 앨로이, 폴리아릴렌 에테르케톤(PAEK)계 앨로이, 및 비정질 폴리아릴레이트(PAr)계 앨로이로 된 군에서 선택되는 액정표시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키랄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은 네마틱 액정재료로 구성되는 액정표시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키랄 도펀트를 첨가한 네마틱 액정으로 구성되는 액정표시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액정표시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기판중의 한 기판상에 능동 스위칭소자가 형성되고, 이 스위칭소자가 액티브 구동되는 액정표시소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앨로이가 상분리 구조를 갖고 또 상기 액정 분자가 배향상태를 갖도록 제어되는 부분이 복수의 표시소자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액정표시소자.
KR1019940031410A 1993-11-25 1994-11-24 액정표시소자 KR0173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295676A JP3077959B2 (ja) 1993-11-25 1993-11-25 液晶表示素子
JP93-295676 199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955A KR950014955A (ko) 1995-06-16
KR0173804B1 true KR0173804B1 (ko) 1999-03-20

Family

ID=1782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410A KR0173804B1 (ko) 1993-11-25 1994-11-24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12336A (ko)
EP (1) EP0657763B1 (ko)
JP (1) JP3077959B2 (ko)
KR (1) KR0173804B1 (ko)
CN (1) CN1043084C (ko)
DE (1) DE69423302T2 (ko)
TW (1) TW2607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014A (ko) * 2015-03-31 2016-10-1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층,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0408A1 (fr) * 1994-06-24 1996-01-04 Hitachi, Ltd.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de type matrice active et son procede d'activation
US6198464B1 (en) 1995-01-13 2001-03-06 Hitachi,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H09304757A (ja) * 1996-03-11 1997-11-2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SE517919C2 (sv) 1998-07-08 2002-08-06 Ecsibeo Ab Vätskekristallanordning och metod för dess framställning samt användning
US6965422B2 (en) * 1998-07-24 2005-11-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0442125C (zh) * 1998-09-18 2008-12-10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US6924876B2 (en) * 2000-02-25 2005-08-0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601788B2 (ja) * 2000-10-31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292300B2 (en) 2000-10-31 2007-11-0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adially-inclined liquid crystal in unit solid portions arranged in a single direction
SE0200910D0 (sv) * 2002-03-22 2002-03-22 Ecsibeo Ab A liquid crystal device,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JP3750640B2 (ja) * 2002-08-22 2006-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素子基板、電子装置、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38511B2 (ja) 2003-12-24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80103B1 (ko) * 2004-02-02 2007-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3891995B2 (ja) 2004-04-26 2007-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557886B2 (en) 2004-06-29 2009-07-0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60046241A (ko) * 2004-06-29 2006-05-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CN100416358C (zh) * 2005-08-19 2008-09-03 乐金显示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视角控制方法
JP4993973B2 (ja) * 2006-09-08 2012-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CN101517462B (zh) 2006-09-12 2011-09-14 夏普株式会社 带有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其制造方法和液晶显示装置
CN101517464A (zh) 2006-09-28 2009-08-26 夏普株式会社 带有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其制造方法和液晶显示装置
US8068201B2 (en) * 2006-12-18 2011-11-2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rticular auxiliary electrode
US8300188B2 (en) 2007-01-11 2012-10-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micro-lens arr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641634B (zh) * 2007-03-28 2011-04-13 夏普株式会社 带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374893B1 (ko) 2007-05-15 201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1001612A1 (ja) * 2009-06-29 2011-01-0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ネマチック液晶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JP2015073980A (ja) * 2013-10-11 2015-04-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ガス分離膜および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TWI533063B (zh) * 2014-04-23 2016-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面板與其之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735A (en) * 1981-05-13 1982-11-17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S59210452A (ja) * 1983-05-13 1984-11-29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US4615919A (en) * 1984-10-09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evice
DE3684977D1 (de) * 1985-09-27 1992-05-27 Sanyo Electric Co Flue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DE3635331A1 (de) * 1986-10-17 1988-04-28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luessigkristallzelle
US4929658A (en) * 1988-04-14 1990-05-29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JPH0314162A (ja) * 1989-06-13 1991-01-22 Seiko Epson Corp 文書処理装置
WO1990016006A1 (en) * 1989-06-22 1990-12-27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hase difference plates
NL9000686A (nl) * 1990-03-23 1991-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loeibaar kristal weergeefinrichting.
JPH03293324A (ja) * 1990-04-10 1991-12-25 Sanyo Chem Ind Ltd 液晶表示素子
DE69215565T2 (de) * 1991-03-26 1997-05-28 Philips Electronics Nv Flüssigkristallbildwiedergabeanordnung mit Orientierungsschicht
JPH05323327A (ja) * 1992-05-20 1993-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014A (ko) * 2015-03-31 2016-10-1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층,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46477A (ja) 1995-06-06
EP0657763A3 (en) 1995-06-28
TW260784B (ko) 1995-10-21
DE69423302D1 (de) 2000-04-13
DE69423302T2 (de) 2000-08-10
US5512336A (en) 1996-04-30
EP0657763A2 (en) 1995-06-14
CN1043084C (zh) 1999-04-21
EP0657763B1 (en) 2000-03-08
CN1118882A (zh) 1996-03-20
KR950014955A (ko) 1995-06-16
JP3077959B2 (ja) 200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804B1 (ko) 액정표시소자
US5589963A (en) Pixelated compensators for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s
EP0636921B1 (en) Liquid crystal device
KR100688265B1 (ko) 액정 표시 장치
JPH07318940A (ja) 液晶表示装置
JP2894920B2 (ja) 液晶表示素子
KR100249919B1 (ko) 광학 보상판을 갖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20642A (ko) 액정 표시 장치
JPH0895054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09980B2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27489A (ko) 강유전성 액정을 첨가한 수직 배향 비틀린 네마틱 액정 표시 장치
JPH07199205A (ja) 液晶表示素子
JP2706902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2580623B2 (ja) 液晶表示装置
JP4266209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異方素子
KR20000066806A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JP3043470B2 (ja) 液晶表示器
JP3896135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光学異方素子
JP2665331B2 (ja) 強誘電性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3308076B2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H01124822A (ja) 液晶表示素子
KR100588011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3118361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215831A (ja) 液晶表示素子
JPH11337982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