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653B1 -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653B1
KR0168653B1 KR1019900003933A KR900003933A KR0168653B1 KR 0168653 B1 KR0168653 B1 KR 0168653B1 KR 1019900003933 A KR1019900003933 A KR 1019900003933A KR 900003933 A KR900003933 A KR 900003933A KR 0168653 B1 KR0168653 B1 KR 016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onveyor
positioning
joint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263A (ko
Inventor
마띠바 데니
쁘띠꼴랭 쟝-마르끄
Original Assignee
에스. 르 바그레즈
셍-고벵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르 바그레즈, 셍-고벵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요날 filed Critical 에스. 르 바그레즈
Publication of KR90001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25/0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during their manufacture
    • C03B2225/02Means for positioning, aligning or orientating the sheets during their travel, e.g. st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원은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판의 통로상에 두 접합부가 삽입되며, 두 접합부가 콘베이어에 의해 연속 이동되는 유리판의 선단 에지의 두 단부에 의해 연속으로 맞부딪치며, 유리판이 두 접합부와 접촉할 때 유리판이 정확하게 배향되며, 두 접합부의 동시 수축의 제어는 두 접합부와 유리간의 접촉을 기록한 직후에 발생된다.

Description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위치결정의 조립체의 콘베이어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 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위치결정의 조립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롤러 2 : 벽
4 : 프레임 5 : 접합부
7 : 슬리브 8 : 로드
9,11 : 롤러 베어링 13 : 캐리지
18 : 테이블 25 : 러그
본 발명은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유리판, 특히 일정한 기계적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의도된 열처리 및 캠버링(cambering)을 위하여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된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리판 또는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캠버의 양호한 일치성과 만족스러운 광학적 성질의 가장 중요한 필수요건을 충족시키는 정확한 유리판을 공급하기 위하여, 유리판이 캠버링 및 열처리 공구에 의해 파지되기 전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리퍼(gripper) 즉, 파지부재에 의해 필연적으로 남겨질 흔적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된 유리판을 파지부재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을 가열하기 전의 공구에 대한 유리판의 위치결정 즉, 상당히 오랜기간동안 그러한 공구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매우 높은 생산단가를 야기한다.
그리퍼 흔적의 문제 및 공구 고정의 문제는 캠버링 및 열처리 과정으로 현격히 감소된다. 그 공정에서는 제1단계, 즉, 유리판의 가열이 예를 들어, 롤러 베드상에 이송되는 방식으로 유리판에 의해 횡단되는 노(a furnace)에서 발생된다. 그러나, 위치결정문제는 두개의 연속하는 유리판들의 궤적들이 항상 엄격하게 일치할 수 없게 되는 이송 속도와 노의 길이로 인해 해결되지 않는다. 궤적의 변화는 두가지 형태의 결점, 즉 콘베이어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문제와 상기 축선에 관한 회전이라는 두가지의 결점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것들은 각각 측면 위치결정수단과 정면위치결정수단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유럽특허출원 EP-A-267 12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면위치결정은 예를 들어 콘베이어가 전방이동방향으로 전진할 때 함께 이동하며 유리판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 바아에 의해서 얻어진다. 유리판은 바아에 대하여 마찰되지만 바아에 의하여 정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차량의 윈도우용으로 의도된 유리판은 결코 직사각형판의 형태로 될수 없지만, 판의 한 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로의 폭의 변화가 거의 대칭적으로 되므로, 상기 측면위치결정은 불충분하고 제 EP-A-267 120호에 따른 유리판 정지 단계를 수반하는 정면 위치 결정에 의하여 완전하게 된다. 유리판을 바람직한 방위에 놓기 위하여, 예를 들어 두 접합부로 구성된 정지부재는 그 통로를 따라 위치되고 유리판의 선단 에지(leading edge)의 단부에 의해 맞부딪치고 유리가 유리판을 계속하여 이동하는 콘베이어에 의해 재정리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동안 적소에 지지된다. 유리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동안 롤러상의 동일 지점을 마찰하고 그 고온으로 인해 매우 쉽게 표시되는 유리 뒷면에 자국을 남긴다. 그래서, 정면 위치 결정은 수많은 광학 결점의 원인이다.
본 발명은 롤러상의 유리판의 마찰 및 흔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유리판의 정면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두 접합부로 중첩된 유리판의 통로를 따라 콘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두 접합부는 콘베이어에 의해 연속이동되는 유리판의 선단 에지의 두 단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맞부딪치고 유리판이 두 접합부와 접촉시 유리판은 정확한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두 접합부의 동시 수축력의 조정은 유리판과 두 접합부의 사이의 접촉의 적합한 검출 수단에 의해 기록후에 즉시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어떤 위치 시간의 지체를 방지하며, 유리판의 수축(retraction)기구의 응답 시간만이 부가되어 유리판의 방향에 필요한 실시간(real time)동안만 유지되어, 롤러상의 마찰시간이 각 유리판을 위해 최소화된다. 그것에 의해 이 위치 결정 방법은 두 연속적인 공간 사이에 상당한 방위 차이가 있을지라도 정확한 광학 성질을 얻는다. 주어진 유리판의 효과적인 편차가 고려되며, 더 나쁜 또는 가장 큰 편차가 관찰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에, 관찰된 편차의 불규칙한 특성은 접합부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이 최초로 맞부딪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각 접합부는 유리와 접합부 사이의 접촉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양호하게도, 이 검출 수단은 충격에 의해 유리판과 함께 접합부에 부여된 운동량(momentum)을 측정함으로써 유리판의 한 단부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기록한다. 그래서, 기계적 측정이 수반되며 이것은 유리판의 온도와 전혀 무관하게 유리하다. 더우기, 이 운동량은 콘베이어가 위치된 고안 봉입체(enclosure)외측에 위치한 검출전지까지 레벨 아암에 의하여 어떤 지연없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안된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위치 결정 장치는 서로 면하는 두개의 동일한 위치 결정 조립체를 콘베이어의 양측상에 포함하며, 이 조립체 접합부를 지지하는 아암, 유리판과 접합부 사이의 접촉용 검출기, 접합부를 수축하는 아암을 피봇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두 접합부의 수축은 접합부와 관련된 각 검출기에 각각 대응하는 직렬의 두 차단부(cut-out)를 가지는 회로로 동시에 제어된다.
접합부를 지지하는 아암은 전달측에 결합되는 돌리개(dog)에 의해 접속되며 회전은 로드 핸들 시스템을 거쳐 전자석형의 신속 장치 또는 텔리플렉시블(teleflexible)볼 장착 기구 제어에 의해 임의로 제어된다. 돌리개는 축과 아암 사이에 적합한 틈새를 남기며, 그것에 의해 아암이 예를 들면 광 전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미세한 변위로 유리판에 의하여 여기된 추력에 응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은 대략 1/10초의 응답 시간을 갖는다.
적합하게, 각 위치 결정 조립체는 콘베이어로 형성된 평면의 두 축선, 즉 콘베이어 축선과 평행한 종방향축선, 종방향축선과 수직인 축선에 따라서, 그리고 캐리지의 변위가 접합부의 위치를 변경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콘베이어의 평면에, 유리판의 형상과 크기가 다른 것을 고려하여 이동하는 캐리지상에 장착된다.
위치 결정 장치로의 측정기(counter)가 가해진 측정기는 유리판의 전체 길이의 통과를 허용하며 콘베이어상에 전달되는 두 유리판 사이의 접합부를 낮추기 위하여 접합부가 수축되는 동안 대기 단계의 시간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위치 결정 시간을 거쳐 두 조립체는 종축선(X)을 따라 콘베이어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유리판의 이송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두 캐리지는 예를 들어 콘베이어 하부에 위치된 하나 또는 두 모터에 의해 대체되고 동시에 그들을 구동한다.
이 방식으로 위치 결정 시간이 최소화(유리판의 앞에 접합부의 측에 기인하여 이전의 것보다 약간 더 긴)될 뿐만 아니라 마찰 작용의 강도도 최소화되므로 고온 유리판은 감속만 되고 접합부의 하나에 의해 정지되지 않는다.
유익하게도, 두 조립체는 유리판의 최전단부가 제1접합부에 맞부딪치기 전에 이동되므로 이미 접합부는 실제 위치 결정이 시작될 때 일정한 운전 속도에 도달한다. 이 이동은 유리판의 상류 도달의 검출, 적합하게는 예를 들어 제 EP-A-267850호에 공지된 라이트 배리어(light barrier)에 의해 시작된다.
위치 결정동안 접합부 이동을 유지하면서 조작하는 것이 결정된다면, 두 접합부와 유리 접촉의 기록은 그 수축을 직접 제어하는 대신에 접합부가 유리판으로부터 급격히 이동된 후 아암이 그 이동을 계속하는 유리판용 공간을 남기도록 피봇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에 의해 그 동시에 일어나는 가속을 위해 최초로 사용가능하다. 이는 유리판이 콘베이어로부터 약간 상승되는 것과 유리판의 고온으로 인해 종종 발생되는 접합부에 대한 부착의 위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상세함과 유익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후술로부터 얻어진다.
제1, 2도는 제안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위치 결정 장치는 롤러(1) 베드로 형성되며 적합하게는 중공 실리카 튜브로 구성되는 콘베이어 위에 장착되며, 이 중공 실리카 튜브는 실리카 실섬유로 둘러싸이고, 유리판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는 생성물로 위치 결정 영역에 코팅되며, 상기 생성물은 리소폰(lithopone) 또는 질화 붕소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롤러(1)는 벽(2)에 의해 구획 형성된 열 봉입체(hot enclosure)를 횡단하고, 예를 들면 열 봉입체의 외측에 설치된 프레임(4)상에 위치된 롤러(3)상을 회전한다.
롤러(1)에 의해 운반된 콘베이어의 위치 결정은 아암(6)의 단부에 고정된 접합부(5, abutments)에 의해 얻어진다. 도시된 것은 롤러(1)위에 장착된 아암상에 접합부를 가지는 조립체이나, 롤러 밑의 아암을 작동시키는 것과 접합부를 돌출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아암(6)은 금속 튜브로 형성된다. 열 봉입체의 외측에 위치된 아암 단부로 슬리브(7)가 고정되고 구동 로드(8)가 롤러 베어링(9)에 의해 안내된다. 다음에 구동 로드(8)상에 롤러 베어링(11)으로 안내된 축(10)이 설치된다. 상기 로드(8)와 축(10)은 기어 이(gear teeth)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가지는 돌리개(12)에 의해 결합된다.
롤러 베어링(9,11)은 콘베이어의 종축선(X)과 평행하게 캐리지(13)와 일체의 베어링(14)을 미끄러지게 하는 슬라이드(15)상에 작동될 수 있는 캐리지(13)상에 위치된다. 캐리지의 변위는 핸들(17)로 구동된 순환 나사(endless screw) 또는 워엄(16)에 의해 발생되며 제2도의 도시만으로 알 수 있다. 슬라이드(15) 및 워엄(16)은 테이블(18)과 일체의 베어링(19)과 전체 프레임과 일체의 벤치(21)에 고정된 슬라이드(20)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에 의해 축선(X)에 수직인 축선(Y)을 따라 이동하는 테이블(18)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블(18)의 위치는 핸들(23)에 의해 이동되는 순환나사(22)에 의해 조정된다.
순환 나사(22) 또는 워엄(16)은 유리판의 형상 및 크기가 다른 것에 따라 접합부의 위치를 두 종축 및 횡축으로 정확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아암(6) 및 그 구동 로드(8)는 마찰없이 실질적으로 양호하게 롤러 베어링에 장착되므로 유리판에 의해 접합부(5)에 가해진 한계 압력이 로드(8)와 러그(25)의 회전을 시작하는데 충분하며, 상기 러그(25)는 셀(24)을 덮지 않는다. 이 최초 회전은 매우 작은 각이며 돌리개의 기어 이의 최대 틈새에 대응한다.
더우기, 축(10)은 전자석(28) 작용하에 직동된 로드(27)에 관절 연결된 핸들(26)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 전자석용 공급 회로는 일련의 두 차단부를 가지며, 각 차단부는 위치 결정 조립체의 두 셀중의 하나와 관련되므로 공급 회로는 두 셀이 덮혀지지 않을 때 폐쇄되는데, 이는 두 접합부가 유리판과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템은 하기 방식으로 작동된다. 유리판의 선단 에지의 제1단부가 운동량을 수용하는 접합부(5)에 맞닿아서 아암(6)과 관련 로드(8) 및 러그(25)가 회전된다. 두 셀(24)중의 하나는 더 이상 덮혀지지 않고 이는 차단부중의 하나를 폐쇄한다. 그러나 접합부(5)가 제위치에 유지되며 콘베이어에 의해 구동되어 연속되는 유리판을 유지하여, 일정시간후에 유리판 위치의 최초 분기에 의해 제2접합부가 차례로 맞닿아 대응하는 차단부의 폐쇄가 일어난다. 그후 공급 회로는 폐쇄되고 전자석은 핸들(26)을 거쳐 예를 들어 반회전 만큼 축(10)을 회전하는 로드(27)를 이동시킨다. 두 셀의 덮지 않음을 따르는 시스템의 완전한 대응 시간은 대략 1/10 초이다.
축(10)의 회전은 돌리개(12: dog)에 의해 축에 결합된 로드(8)의 회전을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접합부의 수축을 일으킨다.
접촉부가 위치결정시간을 통하여 콘베이어의 축선에 평행하게 이동되는 경우에, 그 장치 또한 벨트에 의해서 그 이동을 각 벤치(21)와 관련된 워엄 또는 잭에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벤치는 같은 방향으로 콘베이어 속도 V1 이하의 속도 V2로 이동되므로 콘베이어에 의해 이동된 유리판은 제1접합부와 다음의 제2접합부를 잡을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접합부와 유리의 접촉은 두 접합부의 동시 수축을 일으킨다. 양호하게는, 벤치는 다음 유리판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승 위치에서 접합부와 함께 고속으로 출발 위치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는 어떤 고온 유리판 처리 장치, 특히 FR-A-2 549 465, FR-A-2 604 992, FR 2 085 464, FR-A-2 567 508, FR-A-2596 551 또는 FR-A 2 596 550에 따른 캠버링 장치에 이용된다.

Claims (14)

  1. 유리판이 통로상에 두개의 접합부가 삽입되며, 두 접합부가 콘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유리판의 선단 에지의 두 단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맞부딪치며, 유리판이 두 접합부와 접촉할 때 유리판이 정확하게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콘베이어의 위치결정방법에 있어서, 두 접합부의 동시 수축의 제어가 두 접합부와 유리와의 접촉을 기록한 직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독립의 기록은 각 접합부와 유리의 접촉을 대신하고, 그 시간동안 제2기록이 수축 기구의 제어회로의 폐쇄를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각 접합부가 콘베이어에 의해 형성된 평면의 콘베이어 축선과 평행한 종방향 축선(X)과 제1축선과 수직인 축선(Y)으로 이루어진 두 축선에 따라 이동하는 위치결정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시간을 통해, 위치결정 조립체가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유리판의 이송 방향으로 콘베이어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병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조립체의 이동은 유리판의 선단 에지의 한 단부가 제1접합부에 맞부딪치기 전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6. 제4 또는 5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단부에서 접합부를 나타내는 작용이 수축 이전의 가속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조립체의 변위는 콘베이어상에 전달되는 유리판의 도달의 상류측의 검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8.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부와 유리와의 접촉은 유리판에 의해 각 접합부에 부여되는 운동량을 측정함으로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9. 콘베이어의 각 측상에 2개의 동일하고 마주하는 위치결정 조립체로 구성된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립체는 접합부(5)를 지지하는 아암(6)와, 접합부(5)와 유리판의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기(24), 접합부를 수축하도록 아암(6)을 피봇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두 접합부의 수축이 접합부(5)와 관련된 검출기에 각기 대응하는 직렬의 두 차단부를 가지는 회로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두 수직 축선(X,Y)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13)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유리판과의 충돌로 인한 접합부(5)의 이동이 대기 위치에서 아암(6)과 일체의 러그에 의해 덮혀지고, 접합부가 맞부딪힐 때 덮혀지지 않는 광전지에 의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접합부(5)의 동시 수축을 위한 아암(6)의 회전이 돌리개(12)에 의해 결합되고 두 전자석(28)에 의해 이동된 로드(27)내로 대체되는 핸들(26)에 의해 회전되는 축(11)의 회전으로 얻어지고 공급 회로는 두 접합부가 맞부딪힐 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이동 캐리지(13)가 위치 결정 동안에 콘베이어의 축선에 평행하게 변위가능한 벤치(2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장치.
  1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콘베이어 롤러(1)에 대한 유리의 마찰이 리소폰 또는 질화 붕소계의 슬라이딩 작용물(sliding agent)을 함유함으로써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KR1019900003933A 1989-03-24 1990-03-23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KR016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3936A FR2644778B1 (fr) 1989-03-24 1989-03-24 Positionnement d'une feuille de verre defilant sur un convoyeur
FR8903936 1989-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263A KR900014263A (ko) 1990-10-06
KR0168653B1 true KR0168653B1 (ko) 1999-01-15

Family

ID=938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933A KR0168653B1 (ko) 1989-03-24 1990-03-23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979974A (ko)
EP (1) EP0389317B1 (ko)
JP (1) JP2873246B2 (ko)
KR (1) KR0168653B1 (ko)
AU (1) AU628935B2 (ko)
BR (1) BR9001366A (ko)
CA (1) CA2012888C (ko)
DD (1) DD298376A5 (ko)
DE (1) DE69002361T2 (ko)
ES (1) ES2044462T3 (ko)
FI (1) FI90048C (ko)
FR (1) FR2644778B1 (ko)
PT (1) PT93564B (ko)
YU (1) YU471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829A1 (en) * 2018-09-19 2020-03-26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22Y2 (ja) * 1989-07-31 1994-04-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位置決め装置
DE4030222C1 (ko) * 1990-09-25 1991-11-14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FR2678925B1 (fr) * 1991-07-11 1996-12-13 Saint Gobain Vitrage Int Revetement pour rouleaux de convoyeur.
JP4776859B2 (ja) * 2002-06-24 2011-09-21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位置合せ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
JP4777923B2 (ja) * 2007-03-05 2011-09-2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器のバルブ構造
JP5449013B2 (ja) 2010-05-07 2014-03-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
RU2706278C1 (ru) * 2015-11-02 2019-11-15 Гласстек, Инк. Система формования листов стекла
CN113086588A (zh) * 2021-04-02 2021-07-09 广汽菲亚特克莱斯勒汽车有限公司 一种拉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182A (en) * 1974-09-18 1976-11-16 Ppg Industries, Inc. Conveying sheets at non-uniform speed
US4015968A (en) * 1975-11-20 1977-04-05 Libbey-Owens-Ford Company Glass sheet supporting and conveying apparatus
DE3341207C1 (de) * 1983-11-14 1984-10-04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Beschickungsvorrichtung fuer einen Horizontal-Durchlaufofen zum Erwaermen von Glasscheiben
US4632688A (en) * 1985-11-08 1986-12-30 Libbey-Owens-Fo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lass sheets
US4666493A (en) * 1985-12-19 1987-05-19 Ppg Industries, Inc. Sheet positioning system
JPS6387408A (ja) * 1986-09-29 1988-04-18 Nippon Sheet Glass Co Ltd 搬送速度制御装置
FR2606383B1 (fr) * 1986-11-06 1989-01-13 Saint Gobain Vitrage Positionnement de plaques de verre en vue notamment de leur bomb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829A1 (en) * 2018-09-19 2020-03-26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9317B1 (fr) 1993-07-28
BR9001366A (pt) 1991-04-02
EP0389317A1 (fr) 1990-09-26
PT93564A (pt) 1992-01-31
ES2044462T3 (es) 1994-01-01
FI901482A0 (fi) 1990-03-23
YU47180B (sh) 1995-01-31
AU5066290A (en) 1990-09-27
DE69002361D1 (de) 1993-09-02
FI90048B (fi) 1993-09-15
CA2012888A1 (fr) 1990-09-24
YU47190A (sh) 1992-07-20
JP2873246B2 (ja) 1999-03-24
JPH0373740A (ja) 1991-03-28
PT93564B (pt) 1996-01-31
US4979974A (en) 1990-12-25
FR2644778A1 (fr) 1990-09-28
KR900014263A (ko) 1990-10-06
DE69002361T2 (de) 1994-02-24
AU628935B2 (en) 1992-09-24
CA2012888C (fr) 1999-10-12
FR2644778B1 (fr) 1991-05-31
FI90048C (fi) 1993-12-27
DD298376A5 (de) 199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190B1 (ko) 유리판을 구부림에 있어서의 배치방법 및 장치
KR0168653B1 (ko) 콘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판의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US7712334B2 (en) Method for positioning a glass plate on rollers
FI90047C (fi) Anordning foer riktande av glasskivor
KR0168654B1 (ko) 컨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글래스 시트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US4666493A (en) Sheet positioning system
US5472077A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JPS6039046A (ja) 被加工材送り装置
CN107499876B (zh) 一种转弯纠偏的输送装置的控制方法
US5181412A (en) Apparatus bending hollow profiles into spacer frames for insulating glass
JP4688011B2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及びその方法
KR930001937B1 (ko) 유리시이트 굽힘 가공용 부분가압방법 및 장치
JPS6269185A (ja) ガラス板の検出装置
JPH0768322A (ja) 中空枠縁に曲げ部分を形成する曲げ方法及び曲げ装置
CN113857799B (zh) 自动组装装置
KR100322945B1 (ko) 다단식성형기의작업소재자동운반장치
US3533619A (en) Sheet feeding means for roll forming mill
JP2677410B2 (ja) 搬送装置を有する処理設備
JPH09277119A (ja) 切断機におけるワークの切断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切断機
JPH05154727A (ja) ホース端部への金具装着装置
JP2801514B2 (ja) 板状体の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45141A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
KR0129935Y1 (ko) 산업용로보트의 설치장치
EP0103925A2 (en) An apparatus for automatic sealant application to insulating glazed panels and the like
JPS61235026A (ja) ワ−ク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