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044B1 -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044B1
KR0168044B1 KR1019900009596A KR900009596A KR0168044B1 KR 0168044 B1 KR0168044 B1 KR 0168044B1 KR 1019900009596 A KR1019900009596 A KR 1019900009596A KR 900009596 A KR900009596 A KR 900009596A KR 0168044 B1 KR0168044 B1 KR 016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styrene
butyl
tert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939A (ko
Inventor
피떼로우드 리타
뒵스 뽈
Original Assignee
월터클라웨인 한스 피터 워트린
시바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클라웨인 한스 피터 워트린, 시바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월터클라웨인 한스 피터 워트린
Publication of KR91000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0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mono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
    • C07C39/06Alkylate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1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37/2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using aldehydes or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5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de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37/7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37/7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37/7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07C37/8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by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0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9K15/08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phenol or quinone moie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선택된 유기 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 공중합체 및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신규한 2,4-디메틸-6-2차-알킬페놀, 그리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열, 산화 및 화학선에 의한 분해에 대하여 안정화시킨 유기 재료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트리알킬페놀, 예컨대 2,6-디-3차부틸-4-메틸페놀(
Figure kpo00001
Swanox BHT) 및 이들을 유기 재료를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가 공지되어 있다. 문헌[Atmospheric Oxidation and Antioxidants; Elsevier Publishing Company(1965), pages 120-125]에는, 광유를 위한 페놀의 치환상태와 안정화 작용간의 상호관계가 기재되어 있다. 알킬-치환 페놀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안정화가 US-A 3,511,802호에 기재되어 있다. 2차 알킬페놀의 제법 및 범위는 Chemical Abstracts 69:10, 147s 및 72:11, 860t에 나와있다.
본 발명은, a) 폴리스티렌, 치환된 폴리스티렌,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및 b) 1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C2-C30알킬이다.
R2의 예로는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아이코실, 헨아이코실, 도코실, 트리코실, 테트라코실, 펜타코실, 헥사코실, 헵타코실, 옥타코실, 노나코실 또는 트리아콘틸이 있다.
R2는 C8-C30알킬, 예컨대 C8-C18또는 C10-C30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R2는 특히 C12-C18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요한 조성물은 일반식(I)의 화합물이 하기의 화합물인 조성물이다 :
Figure kpo00003
또는
Figure kpo00004
역시 중요한 조성물은 하기 화합물(Ia)과 화합물(Ib)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2'는 -CmH2m+1이고, R2''는 -Cm-1H2m-1이며, m은 2 내지 30의 정수로서 라디칼 R2'와 R2''에서 동일하다.
화합물 (Ia)/(Ib)의 중량비는 예컨대 1/99 내지 99/1,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70/30, 특히 95/5 내지 80/20이다.
또한 바람직한 조성물은 성분 a)가 폴리스티렌, 치환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이나 치환된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 공중합체인 조성물이다. 그 예로써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
1)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또는 폴리-(α-메틸스티렌).
2)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 또는 아크릴 유도체의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아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와 또다른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이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로부터 생성되는 높은 충격 강도의 혼합물; 그리고 또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3)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롤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이것과 상기 2)에 기재된 것들, 예컨대 소위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라 불리우는 것들과의 혼합물.
특히 바람직한 성분 a)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IP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ABS), 특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ABS)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래프트 공중합체(MBS)이다.
역시 중요한 성분 a)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이다. 그 예로써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I)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부타디엔과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부터 유도되는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전구체.
II)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사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또는 상응되는 락탐,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또는 4/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에서 유래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개질제로서의 탄성중합체로 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또는 그래프트화된 탄성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렌 블록 공중합체. 또한 EPDM 또는 ABS로 인해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그리고 가공처리중에 축합되어진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III) 폴리아세탈, 예컨대 폴리옥시메틸렌, 그리고 에틸렌옥사이드와 같은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인해 개질된 폴리아세탈.
R1이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가 C8-C30알킬인 일반식(I)의 화합물은 신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에 해당된다.
R2에 대한 바람직한 정의는 앞의 기재로부터 유추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 열 또는 화학선에 의한 분해에 민감한 유기재료 및 R1이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가 C8-C30알킬인 일반식(I)의 화합물 1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 재료의 예로는 앞서 1) 내지 3) 및 I)-III)에 기재된 것들과 다음에 기재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
1.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과 같은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과 같은 시클로올레핀의 중합체; 이외에도, 예를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와 같은(필요에 따라 가교결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2.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를들어 PP/HDPE 또는 PP/LDPE) 및 서로 다른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를들어 LDPE/HDPE)과 같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상호간의 공중합체 또는 다른 비닐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것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의 염 [이오노머(ionomer)]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 같은 디엔의 삼원공중합체 이외에도 이러한 공중합체 상호간의 혼합물 및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와의 혼합물,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L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L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3a. 탄화수소 수지(예를들어 C5-C9) 및 그의 수소화된 변형물(예를들어 점착성 수지).
4. 예를들어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염소화 또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에피클로로히드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같은 할로겐-함유 중합체, 특히 예를들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및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그의 공중합체.
5.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α,β-불포화산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6. 예를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원중합체와 같은 상기 5에서 언급한 단량체 상호간의 공중합체 또는 다른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벤조에이트 또는 말레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프탈레이트 및 폴리알릴멜라민과 같은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그의 아실 유도체 또는 아세탈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이외에도 이들과 상기 1에서 언급한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8.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고리형 에테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 고리형 에테르와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9.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및 이것과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0.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디카르복시산 및 디알코올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이나 이에 상응하는 락톤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히드록시 말단기를 갖는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록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변형된 폴리에스테르.
12.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에테르-케톤.
13. 페놀-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한편으로는 알데히드 또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또는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 결합된 중합체.
14. 건성 및 비건성 알키드 수지.
15.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 이밖에 가교결합제로서 비닐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또한 이들의 할로겐-함유 내연성 변형물.
16. 예를들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치환된 아크릴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가교 결합성 아크릴 수지.
17.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가교 결합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18. 예를들어 비스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지환족 디에폭사이드와 같은 폴리에폭사이드로부터 유도된 가교 결합된 에폭시 수지.
19. 셀룰로오스, 천연 고무, 젤라틴과 같은 천연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같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이들의 중합체의 동족 유도체; 뿐만 아니라 콜로포니 수지 및 유도체.
20. 예를들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와 같은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중합 배합물).
21. 순수한 단량체 화합물인 천연 및 합성 유기물질 또는 그의 혼합물, 예를들어 광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예를들어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멜리테이트)를 기재로 하는 지방, 오일 및 왁스, 이외에도 예를들어 스핀 마무리(spin finishes)에 사용되는, 합성 에스테르 및 광유의 희망하는 중량비의 혼합물 및 그의 수성 유제.
22. 예를들어 천연 고무 유액 또는 카르복시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유액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유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안정화시킬 유기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 1이상을 적합하게는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특히 0.1 내지 2%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식(I)의 화합물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
1.항산화제
1.1. 알킬화모노페놀 : 예를들어 2,6-디3차부틸-4-메틸페놀, 2-3차 부틸-4,6-디메틸페놀, 2,6-디3차부틸-4-에틸페놀, 2,6-디3차부틸-4-n-부틸페놀, 2,6-디3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3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2,6-디노닐-4-메틸페놀.
1.2. 알킬화 히드로퀴논 : 예를들어, 2,6-디3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3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3차 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1.3. 히드록시와 티오디페닐 에테르 : 예를들어, 2,2'-티오-비스-(6-3차 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3차 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3차부틸-2-메틸페놀).
1.4. 알킬리덴 비스 페놀 :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3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3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티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3차 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3차 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3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 3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3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3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3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메르캅토부탄, 에틸렌글리콜 비스-[3,3-비스-(3'-3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3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5-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3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3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5. 벤질 화합물 :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파이드, 이소옥틸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비스-(4-3차 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올 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3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오시아누레이트, 디옥타데실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모노에틸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의 Ca염,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6. 아실아미노페놀 :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2,4-비스-(옥틸메르캅토)-6-(3,5-디3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s-트리아진, 옥틸 N-(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7. 예를들어 메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히드록시 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아미드와 같은 일가알코올 또는 다가알코올과 β-(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의 에스테르.
1.8. 예를들어, 메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아미드와 같은 일가알코올 또는 다가알코올과 β-(5-3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의 에스테르.
1.9. 예를들어, 메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아미드와 같은 일가알코올 또는 다가알코올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의 에스테르.
1.10. β-(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
예를들어,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2.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 예를들어, 5'-메틸, 3',5'-디3차부틸, 5'-3차부틸, 5'-(1,1,3,3-테트라메틸부틸), 5-클로로-3', 5'-디3차부틸, 5-클로로-3'-3차부틸-5'-메틸, 3'-2차부틸-5'-3차부틸, 4'-옥트옥시, 3',5'-디3차아밀, 3',5'-비스-(α,α-디메틸벤질) 유도체.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벤조산 에스테르 : 예를들어, 4-3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레조르시놀, 비스-(4-3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레조르시놀, 2,4-디3차부틸페닐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리레이트 : 예를들어 에틸 또는 이소옥틸 α-시아노-β, 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또는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추가 리간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1:1 또는 1:2 착물과 같은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 니켈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와 같은 모노알킬 4-히드록시-3,5-디3차부틸벤질포스포네이트의 니켈 염; 2-히드록시-4-메틸페닐운데실 케톤옥심과 같은 케토옥심의 니켈착물; 추가 리간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 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n-부틸-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 및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3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 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오에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 피페라지논).
2.7. 옥사아미드 :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아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3차부틸-옥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3차부틸-옥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아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아미드, 2-에톡시-5-3차부틸-2'-에틸옥사아닐리드 및 2-에톡시-2'-에틸-5,4'-디3차부틸-옥사아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치환된 옥사아닐리드와 o- 및 p-에톡시-이치환된 옥사아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 예를 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제 :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산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트리스레아릴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3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3,9-비스-(2,4-디3차부틸펜옥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
5. 과산화물 파괴 화합물 : 예를들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릴 또는 트리데실에스테르와 같은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술파이드,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6.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결합된 구리염 및 이가 망간의 염.
7. 염기성 공안정화제 :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아노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예를들어 Ca-스테아레이트, Zn-스테아레이트, Mg-스테아레이트, Na-리시놀레이트 또는 K-팔미레이트와 같은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안티몬 피로카테콜레이트 또는 주석 피로카테콜레이트.
8. 핵생성제 : 예를들어, 4-3차 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9. 충전제 및 보강제 :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아스베스토스,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르본 블랙, 흑연.
10.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형광성 광택제, 방염가공제, 대전 방지제, 발포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
일반식(I)의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서는 기타 첨가제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성형작업 이전이나 도중에 유기 재료에다 첨가하거나, 또는 용해 혹은 분산된 화합물을 유기 재료에 적용하고 필요하다면 뒤이어 용매를 증발시킨다. 또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이들 화합물을 예컨대 2.5 내지 25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마스터 뱃치의 형태로,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재료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중합도중 또는 가교결합전에 첨가할 수도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안정화시키고자하는 재료에다 순수한 형태로 첨가할 수도 있고, 왁스, 오일 또는 중합체속에 캡슐화된 형태로써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안정화된 재료는 매우 광범위한 종류의 형태, 예컨대 필름, 섬유, 테이프, 성형재료 또는 형재(形材)로서, 또는 페인트, 접착제 또는 시멘트용 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1,3-디엔의 음이온 용액 중합공정에서 연쇄 정지제로서 적합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공지된 공정과 유사하게, 예컨대 α-올레핀을 사용한 2,4-크실레놀의 촉매 알킬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7
및 / 또는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은 알킬이다. R이 예컨대 C13-C17알킬, C17-C21알킬 또는 C21-C27알킬인 α-올레핀 혼합물도 일반식(III)의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반응은 8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촉매 존재하에 적절하게 실시된다. 적합한 촉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 무기산 및 유기산, 예컨대 황산 또는 p-톨루엔술폰산;
b) 제올라이트, 예컨대 ZSM 제올라이트;
c) 산성토, 예컨대
Figure kpo00009
Fulmont 234,
Figure kpo00010
Fulcat 14 또는
Figure kpo00011
Fulmont 700;
d) 프리델-크레프트 촉매, 예컨대 하기 문헌에 기재된 것들 : Kozilkovski Ya. B. et al., Zh. Org. Khim. 23, 1918-24(1987); Laan J.A.M.; Chem.Ind. 1, 34-35(1987) and Kurashey M. V. et al.; Izv. Akad. Nauk. SSSR, Ser. Khim 8, 1843-1846(1986)
e) 활성화 γ-알루미늄옥사이드, 예컨대 DE-B 1,142,738호 및 US-A 3,367,981 호에 기재된 것들.
활성화 γ-알루미늄옥사이드가 촉매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I)의 제조시에 화합물(Ia)와 (Ib)의 혼합물이 생성될 경우에는, 예컨대 크로마토그라피 공정, 특히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및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에 의하여 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제조시 혼합물로서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하기 화합물 (Ia)와 (Ib)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2'는 -CmH2m+1이고, R2''는 -Cm-1H2m-1이며, m은 8 내지 30의 정수로서, 라디칼 R2'와 R2''에서 동일하다.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 :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또한, 하기 화합물들의 혼합물도 바람직하다 :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일반식(I)의 화합물은 2,4-크실레놀을 촉매 존재하에 α-C10-C30알켄과 반응시킴으로써얻을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증해 준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부 및 퍼센트는 다른 언급이 없는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1]
[2,4-디메틸-6-2차-옥타데실페놀의 제조.]
α-옥타데센(순되85%) 756g, 2,4-크실레놀 366.5g 및 촉매로서 작용하는 활성화 γ-알루미늄옥사이드(DE-B-1,142,738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된 것) 30g을 오토클레이브(2000㎖)에 집어넣는다. 반응 혼합물을 310℃로 ㅏ열하고 이 온도에서 15시간동안 휘저어섞는다. 냉각시킨후 촉매를 여과 제거한다. 조생성물은 200 내지 225℃ 및 1kPa하에 증류한다. 얻어진 생성물은 무색의 왁스이며,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실)-페놀과 2,4-디메틸-6-(2-에틸헥사데실) 페놀(비율:74/11)의 혼합물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예컨대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수율 : 770g(=이론치의 67%).
융점 : ~30℃.
원소분석 :
계산치 : C=83.35%; H=12.38%.
실측치 : C=83.49%; H=12.32%.
[실시예 2a]
[2,4-디메틸-6-2차-헥사데실페놀의 제조.]
제조 방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α-헥사데칸(순도 : 92%) 1.672g과 2,4-크실레놀 366.5g을 반응물로서 사용한다. 이로써 제조된 생성물은 무색의 액체이며, 2,4-디메틸-6-(1-메틸펜타데실)-페놀과 2,4-데메틸-6-(2-에틸테트라데실)-페놀(비율:81/7)의 혼합물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수율 : 749g(=이론치의 72%).
비점 : 1kPa하에서 170 내지 200℃.
[실시예 2b]
[2,4-디메틸-6-2차-헥사데실페놀의 제조.]
직쇄 α-헥사데센(순도 : 92%) 220g(1mol), 2,4-크실레놀 122g(1mol)과 촉매로서 작용하는 활성화 ZSM -제올라이트 10g을 0.75리터 용량의 오토클레이브에 먼저 집어넣는다. 반응 혼합물을 22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5시간동안 휘저어 섞는다. 냉각시킨후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미반응 출발물질(크실레놀 : 비점=10-1mbar에서 40℃; α-헥사데센: 비점=8×102mbar에서 60 내지 70℃)을 증류에 의하여 제거한다. 액체 잔사를 고진공(10-2mbar)하에 142 내지 147℃에서 증류한다.
생성물은 무색의 액체이며, 2,4-디메틸-6-(1-메틸펜타데실)-페놀과 2,4-디메틸-6-(2-에틸테트라데실)-페놀(비율:56/11)의 혼합물 형태이다.
원소분석 :
계산치 : C=83.17%, H=12.21%.
실측치 : C=83.14%; H=12.08%.
[실시예 3a]
[2,4-디페닐-6-2차-도데실페놀의 제조.]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얻어진 생성물은 2,4-디메틸-6-(1-메틸운데실)-페놀과 2,4-디메틸-6-(1-에틸데실)-페놀(비율:53/25)의 혼합물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비점 : 4mbar에서 175℃.
[실시예 3b]
[2,4-디메틸-6-2차-도데실페놀의 제조.]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얻어진 생성물은 2,4-디메틸-6-(1-메틸운데실)-페놀과 2,4-디메틸-6-(1-에틸데실)-페놀(비율:73/15)의 혼합물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비점 : 4mbar에서 180℃.
[실시예 4]
[2,4-디메틸-6-2차-(C20-C24알킬)-페놀의 제조.]
제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2,4-크실레놀과 α-올레핀 혼합물(H2C=CH-CH2-R, 여기서 R은 C17-C21알킬)을 반응물로서 사용한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은 2,4-디메틸-6-(1-메틸노나데실)페놀, 2,4-디메틸-6-(1-메틸헨아이코실)-페놀 및 2,4-디메틸-6-(1-메틸트리코실)-페놀(비율 : 45/35/3)을 함유한다. 생성물은 점성 오일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원소분석 :
계산치 : C=83.88%; H=12.84%.
실측치 : C=84.12%; H=13.22%.
[실시예 5]
[2,4-디메틸-6-2차-(C24-C30알킬)-페놀의 제조.]
제법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2,4-크실레놀과 α-올레핀 혼합물(H2C=CH-CH2-R, 여기서 R은 C21-C27알킬)을 반응물로서 사용한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은 2,4-디메틸-6-(1-메틸트리코실)-페놀, 2,4-디메틸-6-(1-메틸펜타코실)-페놀, 2,4-디메틸-6-(1-메틸합타코실)-페놀 및 2,4-디메틸-6-(1-메틸노나코실)-페놀(비율 : 15/35/33/14)을 함유한다. 생성물은 왁스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비점 : 50 내지 60℃.
[실시예 6]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ABS)의 안정화.]
표 1 또는 표 2에 나와있는 첨가제를 40㎖의 헥산/이소프로판올 용매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격렬하게 휘저어 섞으면서 물 600g내의 ABS 100g으로 된 분산액에다 첨가한다. 이때 용액은 짧은 시간(약 1분)내에 ABS에 의해 완전히 흡수된다. ABS분말을 흡인 여과제거하고 진공하게 40시간동안 40℃에서 건조시킨다. 이 건조분말에다 이산화티탄(안료) 2%와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슬립제) 1%도 첨가한다. 혼합물을 180℃ 하에 트윈-롤 밀상에서 4분간 배합한다.
밀링된 하이드(hide : 두꺼운 쉬이트 소재)로 부터 0.8㎜두께의 쉬이트를 압축시키고, 45×17㎟의 시험 견본을 펀칭시킨다. 첨가제를 집어넣음으로써 생기는 효력을 180℃하에 순환공기 오븐에서 열노화시킴으로써 시험한다. 45분의 시험시간이 지난후 생기는 색의 전개가 판정기준으로서 작용한다. 색의 강도는 ASTM D 1925-70에 규정된 바와 같은 황색도 지수에 의하여 측정한다. 수치가 클수록 더 강한 황색이 착색됨을 의미한다. 이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황색 착색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실시예 7]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그래프트 공중합체(MBS)의 안정화]
[첨가 유제의 제조:]
실시예 2a에 기재된 화합물 6.4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25.6부 및 스테아르산 3.4부로 된 혼합물을 가열용융시킨다(약 80℃).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휘저어섞고, 고체 수산화나트륨 0.4부와 물214부의 따뜻한 용액을 첨가한다. 얻어진 유제(유기 매질중의 수적)를 온수 42.8부를 첨가하으로써 전환시킨다. 뒤이어 이 유제를 온수로 1/10배 희석하고 사용하기까지 60℃에서 부드럽게 휘저어 섞는다.
[응결 조건:]
표 3에 지시된 양의 첨가 유제를 100㎖의 냉각 MBS-라텍스에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30분동안 휘저어 섞는다. 그후 이 혼합물을 70℃에서 200㎖의 수성 HCl(0.1N)에 쏟아붓는다. 최종 온도는 약 60℃이다. 뒤이어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휘저어섞고 약 20㎖의 수성 NaOH(1N)을 첨가하여 pH를 5.5 내지 6으로 조절한다. 이 현탁액을 95℃로 가열하고 이 온도를 5분간 지속시킨다.
끝으로 이 현탁액을 여과하고 고체 MBS를 물로 세척한후 진공하게 60℃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킨다. MBS입자의 직경은 약 3 내지 10㎛이다.
MBS-분말을 200℃하에 공기중에서 열분해시킨다. 발열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중합체 분해의 척도이다. 안정화에 대한 기준은 발열반응 개시(To)에 대한 시간 또는 발열반응 최대치(Tm)에 대한 시간이다. 표 3에 나와있는 결과는 중합체의 우수한 안정화를 입증해준다.
Figure kpo00020

Claims (3)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
    Figure kpo00021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C10-C30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2가 C12-C18알킬인 일반식(I)의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의 화합물인 일반식(I)의 화합물 :
    Figure kpo00022
    또는
    Figure kpo00023
KR1019900009596A 1989-06-30 1990-06-28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KR0168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243589-3 1989-06-30
CH2435/89-3 1989-06-30
CH243589 198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39A KR910000939A (ko) 1991-01-30
KR0168044B1 true KR0168044B1 (ko) 1999-03-20

Family

ID=423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596A KR0168044B1 (ko) 1989-06-30 1990-06-28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098945A (ko)
EP (1) EP0406169B1 (ko)
JP (1) JP2923674B2 (ko)
KR (1) KR0168044B1 (ko)
CN (2) CN1054143C (ko)
BR (1) BR9003097A (ko)
CA (1) CA2020051C (ko)
CZ (1) CZ285993B6 (ko)
DD (1) DD298945A5 (ko)
DE (1) DE59010722D1 (ko)
ES (1) ES2103732T3 (ko)
HK (1) HK1003005A1 (ko)
RU (2) RU2068424C1 (ko)
SK (1) SK321090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01994T3 (es) * 1992-04-08 1997-07-16 Ciba Geigy Ag Antioxidantes liquidos como estabilizadores.
TW276260B (ko) * 1992-07-15 1996-05-21 Ciba Geigy Ag
DE4226288A1 (de) * 1992-08-08 1994-02-10 Hoechst Ag Verfahren zur thermooxidativen Stabilisierung von Oxalkylenglykolalkylethern und thermooxidativ stabilisierte Mischungen von Oxalkylenglykolalkylethern
FR2696471B1 (fr) * 1992-10-02 1994-12-23 Inst Textile De France Utilisation de la vanilline et de ses dérivés comme agents de protection anti-UV.
EP0670871B1 (en) 1992-11-24 2004-05-1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Oxygen scavengers independent of transition metal catalysts
EP0669367A1 (de) * 1994-02-24 1995-08-30 Ciba-Geigy Ag Phenolische Stabilisatormischungen
MY113152A (en) * 1996-01-31 2001-11-30 Ciba Holding Inc Synergistic mixture consisting of a 2-4-dimethyl-6-s-alkylphenol and a sterically hindered phenol
ES2137101B1 (es) * 1997-01-30 2000-11-01 Ciba Sc Holding Ag Mezcla sinergistica que consiste en un 2,4-dimetil-6-s-alquilfenol y un fenol estericamente impedido.
JP3802999B2 (ja) * 1999-08-09 2006-08-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US6538056B1 (en) * 2000-10-10 2003-03-25 Clariant International Ltd. Polyolefin articles with long-term elevated temperature stability
CN104591970B (zh) * 2014-12-23 2016-06-15 天津利安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2,4-二甲基-6-(1-甲基-十五烷基)苯酚的制备方法
ES2765411T3 (es) 2016-01-21 2020-06-09 Basf Se Mezcla de aditivos para la estabilización de poliol y poliuretano
CN107602353A (zh) * 2017-11-14 2018-01-19 郑程 一种防老剂264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8349A (en) * 1932-10-10 1940-04-23 Sharp & Dohme Inc Alkyl cresols
US2073995A (en) * 1934-06-22 1937-03-16 Abbott Lab Alkyl cresols
US2205947A (en) * 1935-09-25 1940-06-25 Nat Aniline & Chem Co Inc Nuclear alkyl derivatives of phenol compounds
US2202877A (en) * 1937-04-12 1940-06-04 Gulf Oil Corp Antioxidants and petroleum oils containing the same
US2605251A (en) * 1946-03-09 1952-07-29 Firestone Tire & Rubber Co Butadiene rubbery copolymer stabilized with 2, 4-dimethyl-6-octylphenol
US3082258A (en) * 1960-05-12 1963-03-19 Eastman Kodak Co Alkylation of phenols
DE1142873B (de) * 1961-01-25 1963-01-3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 und bzw. oder 6-Alkylphenolen
US3367981A (en) * 1963-05-10 1968-02-06 Ethyl Corp Phenol alkylation process
US3347938A (en) * 1964-04-23 1967-10-17 Eastman Kodak Co Antioxidant composition
US3511802A (en) * 1968-06-10 1970-05-12 Eastman Kodak Co Stabiliz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3929912A (en) * 1970-05-25 1975-12-30 Universal Oil Prod Co Alkylation of hydroxy-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US4086283A (en) * 1975-06-25 1978-04-2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thymol
US4405818A (en) * 1981-09-30 1983-09-20 Mobil Oil Corporation Production of meta-isopropylphenolic products
SU1182020A1 (ru) * 1983-07-08 1985-09-30 Отделение Нефтехимии Института Физико-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 Углехимии Ан Усс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1-метилалкил)-фенолов
US4954663A (en) * 1988-10-06 1990-09-04 Mobil Oil Corp. Process for preparing long chain alkyl phenols
CA1326095C (en) * 1987-05-18 1994-01-11 Toshikazu Ijitsu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s produced from said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783A (zh) 1999-09-29
ES2103732T3 (es) 1997-10-01
CN1048865A (zh) 1991-01-30
JP2923674B2 (ja) 1999-07-26
BR9003097A (pt) 1991-08-27
SK279627B6 (sk) 1999-01-11
EP0406169A1 (de) 1991-01-02
RU2067972C1 (ru) 1996-10-20
CA2020051A1 (en) 1990-12-31
DD298945A5 (de) 1992-03-19
JPH0350247A (ja) 1991-03-04
DE59010722D1 (de) 1997-07-10
CZ321090A3 (cs) 1999-08-11
HK1003005A1 (en) 1998-09-30
EP0406169B1 (de) 1997-06-04
CZ285993B6 (cs) 1999-12-15
KR910000939A (ko) 1991-01-30
US5098945A (en) 1992-03-24
RU2068424C1 (ru) 1996-10-27
SK321090A3 (en) 1999-01-11
CN1090167C (zh) 2002-09-04
CA2020051C (en) 2001-11-20
CN1054143C (zh)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312A (en) 3-phenylbenzofuran-2-ones
KR0168044B1 (ko) 2,4-디메틸-6-2차-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
US4855345A (en) Stabilizers for organic polymers
KR0151398B1 (ko) 3-페닐벤조푸란-2-온
DE3713375A1 (de) 1,3,2-oxazaphospholidin-stabilisatoren
EP0081457A2 (de) Phenole und ihre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KR100292209B1 (ko) 가수분해안정성3가인화합물의제조방법,이를사용한열가소성수지의안정화방법및이를포함하는열가소성성형조성물
EP0145658A1 (de) Amide von Hydroxyphenylalkylthio-alkancarbonsäuren
US4670495A (en) O-linked polyphenolic antioxidants
KR100286115B1 (ko) 2,4-디알킬-6-이차알킬페놀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A1225408A (en) Tri-and tetra-(substituted hydroxyphenylthio) alkane and cycloalkane stabilizers and stabilized compositions
EP0249577B1 (de) Langketten-(4-Hydroxyphenyl)propionat-Derivate als Stabilisatoren
EP0252003B1 (de) Substituierte Aminoxysuccinate und deren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KR900003880B1 (ko) 이소시아누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E3639381A1 (de) Substituierte benzylhydroxylamine und deren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fuer organisches material
EP0110830A1 (de) Neue benzylierte Phenole
EP0421928B1 (de) Hydroxyphenylcarbonsäureester als Stabilisatoren
US5177246A (en) Hydroxphenylcarboxylic acid esters as stabilizers
CA1318070C (en) Stabilized organic material
DE3639336A1 (de) Hydroxylamine und deren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fuer organisches material
JP3268471B2 (ja) ジフェニル酢酸誘導体
US4612341A (en) Tri- and tetra-(substituted hydroxyphenylthio) alkane and cycloalkane stabilizers
EP0273864A2 (de) Diphenylmethane
NL9102152A (nl) Gesubstitueerde dibenzo(d,g)(1,3,2)dioxafosfoc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