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417B1 -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 Google Patents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417B1
KR0167417B1 KR1019960020174A KR19960020174A KR0167417B1 KR 0167417 B1 KR0167417 B1 KR 0167417B1 KR 1019960020174 A KR1019960020174 A KR 1019960020174A KR 19960020174 A KR19960020174 A KR 19960020174A KR 0167417 B1 KR0167417 B1 KR 016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poultry
spore
fissile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245A (ko
Inventor
에이. 에반스 나이젤
크레이크 핀들리 알.
에이취. 웨버 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알렌 제이, 스피겔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렌 제이, 스피겔,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렌 제이, 스피겔
Publication of KR97000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2Protozoa antigens
    • A61K39/012Coccidia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 A61K2039/52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아있는 에이메리아(Eimeria)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면역효과량을 가금의 난내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콕시디아증에 대한 가금류의 종두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종두화되는 상기 가금류는 닭 또는 칠면조이다.

Description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본 발명은 콕시디아증에 대한 가금류의 종두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살아있는 에이메리아(Eimeria) 종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금류 발생난의 난내에 투여해 부화된 닭이 콕시디아중에 대해 면역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콕시디아증은 에이메리아 속의 세포내 원생동물 기생충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금류 장의 질병이다. 콕시디아증은 가금류에 대해 경제적으로 가장 해를 미치는 기생충 질병이다. 가금 산업에 있어서 콕시디아증에 대한 항콕시디아 치료 및 손해는 매년 수억 달러인 것으로 추정된다.
콕시디아증에 대해 가금류를 종두화하는 다양한 시도가 1950년대 초 이후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종두법은 식품 또는 물을 통해 살아있는 에이메리아 낭포체를 가금류에 투여함을 포함한다. 그러나, 모든 가금류가 의도하는 정도의 낭포체 투여량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많은 수가 백신 또는 병원성 감염에 의해 보호되지 않기에 이들 방법은 불편하고 효율적이지 못하다.
제이. 엠. 샤르마(J. M. Sharma) 및 비. 알. 부르메스터(B. R. Burmester)의 문헌[Avian Dis 26: 134-1981]에서, 저자는 칠면조의 허피스바이러스로 난내 종두화된 닭이 마렉(Marek) 질병 바이러스의 이후의 공격에 대해 면역성을 나타냄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291173호에서는, 비복제성 면역원을 난내 투여하는 면역화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상기 유럽 특허에 특별히 언급된 면역원은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된 에이메리아 항원 및 에이메리아 낭포체 추출물이다. 상기 유럽 특허는 특히 본원에 청구된 종두법에서 사용된 것들 같은 살아있는 기생충 단계를 배제한다.
본 종두법은 살아있는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금류 발생난의 난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이용 가능한 문헌은 이러한 종두법이 난내에는 효과적이지 않고 부화후에 사용되야 함을 제안한다. 티.케이.제퍼스(T.K Jeffers) 및 지.이바겐바크(G.E. Wagenbach)의 문헌[J. Parasit. 56(4): 656-662, 1970)에서, 저자는 배양 10일째에 이. 테넬라(E. tenella)의 포자소체를 난내에 주사해도 이.테넬라 낭포체에 대한 이후의 공격에 대해 면역적으로 중대한 보호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보고한다. 사실, 그들은 어떤 처리도 하지 않은 닭이 난내 포자소체로 처리한 닭보다 이.테넬라 낭포체에 대한 이후의 공격에 대해 더 높은 생존률을 갖는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케이.엘. 와킨스(K.L. Watkins) 등의 문헌[Proc. VI th. Intermational Coccidiosis ConF., Abstrct 띠-2, Ontario, Canada, 1993]에서, 저자는 살아있는 이. 막시마(E. maxima) 포자소체 및 포자형성된 낭포체의 난내접종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난내 노출이 이.막시마 낭포체에 의한 이후의 콕시디아 공격에 대해 부화후 10일 동안 보호한다는 어떤 증거도 제공하지 못했음을 주장한다. 이들은 또한 난내에서보다 부화후 바로 접종되는 경우 상당한 면역적 보호가 제공된다는 것을 또한 주장한다. 이러한 내용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난내 종두법은 예상치 못한 면역성을 제공해 이후의 콕시디아 공격에 대해 부화된 가금류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배양의 최종 사사분기 동안 살아있는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면역 효과량을 가금류 난내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콕시디아증에 대해 가금류를 종두화 시키는 본 발명의 종두법에 관한 것이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가금류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닭, 칠면조, 오리, 엽조(메추라기, 꿩, 및 거위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및 주금류(타조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를 포함한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난내에서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살아있는, 발생중의 배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난을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난내 투여 또는 난내에 투여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난의 껍질로 백신을 침투시키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살아있는 발생중인 배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난에 본 원에 기재된 백신을 투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투여 수단은 백신 주사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원에 사용된 배양의 최종 사사분기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가금류 발생난을 배양하는 최종 사사분기를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에이메리아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가금류를 감염시키는 에이메리아 속의 하나 이상의 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에이메리아 종은 닭에서 발견되는 이.테넬라(E. tenella), 이.아세르불리나(E. acervulina), 이. 막시아, 이. 네카트릭스(E, necatrix), 이. 미티스(E. mitis), 이 프래콕스(e. praecox), 및 이. 브루네티(E. brunetti)를 포함하고, 또한 칠면조에서 발견되는 이. 멜레아그리미티스(E. meleagrimitis), 이. 아데노에이데스(E. adenoeides), 이. 갈로파보니스(E. gallopavonis), 이. 디스페르사(E. dispersa), 이. 멜레아그리디스(E. meleagridis), 이. 이노쿠아(E. innocua), 및 이. 수브로툰다(E. subrotunda), 및 상기에서 정의된 것 같은 다른 가금류를 감염시키는 에이메리아 종을 또한 포함한다. 용어 에이메리아는 또한 상술한 에이메리아종의 모든 균주를 포함하고, 조생 균주, 및 독성이 약한 규주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방사선 조사되거나, 또는 다른 처리되어, 완전한 발생을 하지 못하는 균주를 포함한다. 에이메리아는 또한 상술한 것처럼 가금류를 감염시키는 에이메리아의 신규한 균주 또는 종주를 포함한다.
본 원에 사용된 포자소, 스포로시스트, 낭포체 및 분열소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살아있는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스포로시스트, 낭포체 및 분열소체를 의미한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면역 효과량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한, 부화된 가금류에 비면역된 가금류의 선천적인 면역성 보다 더 큰 면역적 보호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의 수, 또는 혼합된 경우,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수를 의미한다. 본 언에 사용된 것처럼, 면역화시키다 및 종두화시키다는 동의어로 상호교환 가능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투여되는 바람직한 투여량은 10 내지 106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이때 상기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수는 10 내지 106개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한 투여량을 103내지 106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상기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수는 103내지 106개의 범위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투여량은 102내지 105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상기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수는 102내지 105개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종두화되는 바람직한 가금류는 닭이다.
닭난의 난내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한 투여물은 이. 테넬라, 이. 아세르불리나, 이. 막시마, 이. 네카트릭스, 이. 미티스, 이. 프래콕스, 및 이. 브루네티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물에 포함되는 각 종에 대한 투여량은 10 내지 106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두화되는 또다른 바람직한 가금류는 칠면조이다.
칠면조 난의 난내에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한 투여물은 이. 멜레아그리미티스, 이. 아데노에이데스, 이. 갈로파보니스, 이. 디스페르사, 이. 멜레아그리디스, 이. 이노쿠아, 및 이. 수브로툰다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에이메리아이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물에 포함되는 각 종에 대한 투여량은 10 내지 106개이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두화되는 다른 바람직한 가금류는 엽조, 오리 및 주금류이다.
본 종두법과 연관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난을 배양하는 동안 임의의 시기에 면역 자극제를 난내에 투여함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면역 자극제를 투여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배양의 최종사사분기 동안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상기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혼합물의 투여와 함께 동시에 난내에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종두법은 배양의 최종 사사분기 동안 살아있는 에이메리아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금류 난의 난내에 투여함을 포함한다. 닭인 경우에, 난내 투여는 배양하는 동안 15 내지 20일째에 투여함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18일째에 투여하는 것이다. 칠면조인 경우에, 배양하는 동안 21 내지 26일째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두법은 임의의 적합한 난내 투여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을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 방법의 한가지에 따르면, 난의 공기세포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18 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여 난의 보다 큰 말단에서 난 껍질에 구멍을 만든다. 적절한 크기(1 내지 3ml)의 주사기에 부착된 1.0 내지 1.5 인치의 22 게이지 바늘을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기세포의 막을 통과하여 삽입한다. 적절한 수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수의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를 적합한 약체 담체, 예컨대 10 내지 500㎕의 인산염-완충 염수에 현탁시킨 후 난에 주사한다. 적절한 부피는 처리되는 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타조 난은 닭의 난보다 더 큰 부피가 필요한 것임에 분명하다. 조사 부위는 난 또는 배의 임의의 영역내 일 수 있다. 난의 보다 큰 말단의 중심을 통해 양막을 향해 축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자동화된 난 주사 시스템을 본 발명의 종두법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합중국 특히 제4,681,063호, 제4,040388호, 제4,469,047호, 및 제4,593,646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타 적절한 주사 방법은 당해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낭포체는 당해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임의의 몇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문헌[J.F. Ryle 등, Parasitology 73:311-326, 1976; 및 P.L. Long 등, Folia Veterinaria Latina VI#3, 201-217, 1979]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중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생후 약 2주된 시판 구이용 닭(broiler chicken)에게 에이메리아의 관심 종의 포자형성된 낭포체 적절한 투여량을 경구 가바즈로 감염시킨다. 예를 들어, 이. 테넬라(E. tenella)의 경우 전형적인 투여량은 가금당 200,000개의 포자형성된 낭포체이다. 대부분의 에이메리아 종에 있어서, 감염후 5 내지 7일 후에 감염된 가금으로부터 분변을 수집하고, 블렌딩하고, 조직파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하고, 잔류 분변 물질을 펠릿화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원심분리시킨다. 이. 테넬라의 경우, 감염 후 6일 후에 매장 코어를 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펠릿을 포화염 용액에 재현탁시키고, 이때 상기 현탁물내에는 낭포체가 부유하며, 대부분의 오염원 파편조직을 원심분리하여 제거한다. 낭포체의 현탁액을 희석하여 보다 낮은 염 농도로 만든다. 상기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낭포체를 반복적으로 세척하고, 이크롬산칼륨 용액(2.5% w/v)에 재현탁시킨다. 낭포체 현탁액을 29℃에서 약 72시간 동안 진탕(예컨대, 140rpm)시키면서 낭포체의 포자형성을 유도한다. 이와는 다르게, 낭포체를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처리하고 포자형성시킬 수 있다. 단위 ml당 포자형성된 낭포체의 수는 혈구계를 사용하여 직접 계수하고, 배양물을 저장하고, 필요하다면 냉장시키면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포로시스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낭포체를 반복적으로 세척하므로써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낭포체 현탁액으로부터 이크롬산칼륨을 제거하여, 상기 세척은 원심분리하여 낭포체를 수집하고 탈이온수 또는 증류수중에 재현탁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황색-오렌지색 색조가 사라지는 것을 판단 기준으로하여 이크롬산염을 제거하고, 낭포체 현탁액을 동일 부피의 차아염소산 나트륨(표백제)과 혼합하고 실온에서 15분동안 배양한다. 상기 표백제를 반복 세척으로 제거하고, 낭포체를 생리학적 염수 또는 탈이온수에 재현탁시킨다. 다양한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낭포체를 1 내지 4mm 직경의 유리 비이드와 혼합하고 손, 볼텍스 믹서 또는 진탕 배양기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고정되는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진탕시키므로써 낭포체를 파열시켜 스포로시스트를 방출시킨다. 문헌 [Dulski 등, Avian Disease, 32:235-239, 1988]에 기술된 바와 같이 50% PdrcollTM(Pharmacia Biotech에서 시판) 또는 1M 슈크로즈중에서 시치원심분리하여 방출된 스포로시스트로부터 파열되지 않은 낭포체 및 낭포체 벽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포자소체 또는 포자소체가 풍부한 시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포자소체를 상기 기술한 스포로시스트 시료로부터 탈낭시킨다. 한가지 방법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스포로시스트를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시키고, 탈낭 완충액(pH 8.0의 인산염으로 완충된 염수 중의 0.5%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및 0.25% 트리신) 중에 재현탁시키고, 41℃에서 1시간동안 진탕시키면서 배양한다.
포자소체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생성된 현탁액 샘플을 계수하고, 포자소체를 1회 세척하여 탈낭 완충액을 제거하고, 난내 주사에 적합한 농도의 인산염으로 완충된 염수즈에 재현탁시킨다. 상기 시료는 포자소체, 스포로시스트 및 낭포체를 함유하고, 추가의 정제없이 본 발명의 종두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스포로시스트 및 낭포체로부터 제거된 정제된 포자소체는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문헌[D.M. Schmatz 등, J. Protoaool. 31:181-183, 1984]에 기술된 바와 같은 DE-52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두법에 사용되는 포자소체의 투여량은 종두화되는 가금의 종류 및 백신에 사용되는 에이메리아 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난당 10 내지 106개의 포자소체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투여량 범위는 난당 10 내지 105개 포자소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여량 범위는 난당 102내지 105개 포자소체이다.
분열소재는 당해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으로,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문헌[D.J. Doran, J. Parasit. 57:891-900, 1971]에 기술된 방법의 변형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응집체로서 배양액중에서 성장시킨 일차성 병아리 신장 세포(PCK)에 포자소체를 감염시킨다. PCK 세포를 L-글루타민 및 15mM의 HEPES로 개질된 RK2 배지-DMEM/F12내에서 3% CO2 중의 40℃에서 성장시키고, 상기 배지에 문헌[S.D. Chung 등, J. Ceil Biol. 95:118-126, 198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ml의 트랜스페린, 5ng/ml의 셀렌산 및 0.01㎛의 하이드로코티손 HC1을 공급한다. 생후 2 내지 3주된 병아리의 신장을 잘게 저미고, 상기 조직을 37℃에서 염산염으로 완충된 염수 용액중의 0.2mg/ml 콜라겐분해효소(미합중국 뉴저지 프리홀드 소재의 워팅톤 바이오케미칼 코포레이션(Worthington Biochemical Corp.)에서 시판)를 몇번 갈아주면서 처리하여 PCK 세포를 준비한다. 상등액중의 세포 응집체를 세척하고, 5%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개질된 RK2 배지중에 재현탁시키고, 105개 응집체/㎠의 밀도로 조직 배양물 플라스크에 접종시키는데 사용한다. 상기 PCK 세포를 3% CO2 중에서 40℃에서 18시간동안 배양시키고, 4×105개 포자소체/㎠로 감염시킨다. 감염된 배양물을 2%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개질된 RK2 배지에서 성장시킨다.
배양후 24시간 후에, 침습되도록 하고, 플라스크를 진탕하고 배양 배지를 제거하여 침습되지 않은 포자소체를 제거한다. 세포 층을 2%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개질된 RK2 배지로 1회 세척하고, 배양 배지를 다시 폐기한다. 신선한 RK2 배지로 1회 세척하고, 배양 배지를 다시 폐기한다. 신선한 RK2 배지를 첨가하고, 분열소체가 배양 배지로 방출될때까지 배양액을 48 내지 54시간동안 배양시킨다.
숙주 세포 조직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분열소체의 정제는 당해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문헌[J.A. Olso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4:1435-1439, 199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방출된 분열소체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를 수집하고 450×g에서 10분동안 회전시켜 분열소체를 농축시킨다. 분열소체 및 숙주 세포 조직파편을 함유하는 펠릿을 0.1M NaCl-0.05M MCl-20% 소 태아 혈청내에 현탁시키고, pH 8.2의 75mM 트리스-20mM NaH2PO4-86mM NaCl-100mM 글루코즈에서 평형화된 DE-52 음이온교환 칼럼에 가한다. 분열소체를 상기 칼럼을 통해 흘려보낸다. 칼럼으로부터 수집한 분열소체를 문헌[A. Kilejian, J. Biol. Chem. 249:4650-4655, 197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자현미경으로 순도를 시험한다. 일반적으로 분열소체 투여량은 난당 10 내지 106개 분열소체의 범위일 수 있다. 분열소체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난당 10 내지 105개 분열소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난당 102내지 105개 분열소체이다. 포자소체와 분열소체를 혼합하는 경우, 분열소체와 포자소체의 총 수를 포함하는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난당 10 내지 106개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난당 10 내지 105개 분열소체 및 포자소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난당 102내지 105개 분열소체 및 포자소체이다.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임의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배지내에서 난내 주사할 수 있다. 이들을 인산염으로 완중된 염수와 같은 생리학적으로 균형잡힌 염수내에 현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배지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겔, 젤라틴, 하이드로졸, 셀룰로즈 또는 다당류 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현탁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두법에서, 2종 이상의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동시에 난내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두법에서, 닭과 같은 특정 가금류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모든 에이메리아 종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모든 종에 대해 면역학적 보호를 제공하는 적절한 투여량으로 동시에 또른 차례로 난내 주사할 수 있다.
면역 자극제를 본 발명의 종두법에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면역 자극제는 사이토키닌, 성장 인자, 케모킨, 림프구 또는 단핵세포의 세포 배양물 또는 림프구 기관의 세포로부터의 상등액, 세포시료 또는 세포 추출물(예컨대, 황색 포도상구균 또는 지다당류 시료), 마이토젠 또는 저분자량 약제를 포함하는 아쥬반트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면역자극제는 배양동안 임의의 기간에도 난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면역 자극제는 에이메리아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배지내에서 난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콕시디아증에 대한 본 발명의 종두법의 효율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각 투여물을 상기 기술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수내에서 난내 주사하였다. 부화율 및 병아리 부화시 체중에 대한 효과, 공격후 감염, 낭포체 생성률, 체중 증가 및 병원성(병면 지수)을 측정하므로써 특정 시료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병변 지수는 문헌[J.K. Johnson과 W.M. Reid. Exp. Parasitol. 28:30-36, 1970]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질병이 없을때는 0으로 최대 병변을 나타낼때는 4로 표시한다.
[실시예 1]
닭의 난에 배양한지 18일째에 난당 105개의 이. 테넬라 포자소체를 함유하는 시료를 주사하였다. 포자소체 및 낭포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시료를 정제하지 않았다. 각 투여물은 약 104개의 이. 테넬라 포자소체 및 약 104개의 이. 테넬라 낭포체를 또한 포함한다. 대조물로서, 상기 난에 인산염으로 완충된 염수 용액만을 주사하였다. 포자소체로 처리된 가금의 수 중에서 부화후 7일후에 나온 평균 낭포체 수는 가금 당 1.1×106개 낭포체였다. 비면역된 가금 및 포자소체로 처리된 가금을 부화후 6일, 14일 또는 21일째에 다양한 투여량의 이. 테넬라의 포자형성된 낭포제로 경구 가바즈에 의해 공격하였다. 그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냈다.
1 각 그룹은 부화후 7일, 14일 또는 21일째에 포자형성된 낭포체의 1회 공격을 받음. 예를 들어 부화후 21일째에 공격받은 가금은 부화후 7일 또는 14일째에 공격받지 않음.
2 비면역된 가금과는 상당히 상이함(p0.05, ANOVA).
표 1의 데이터는 면역된 가금에서 감소된 병변 지수 및 증가된 체중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면역된 가금이 비면역된 부화 동료가금보다 감염에 대해 덜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는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이 병아리에게 비교적 어린 나이 (부화후 7일 이내)에 면역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병아리가 성장하고 발육하면서 면역성이 유지됨을 나타낸다. 어린 나이의 병아리에게 면역성을 부여하는 것은 구이용 닭이 통상적으로 생후 6주내에 시판되기 때문에 구이용 닭 산업에 상당한 이익을 제공한다.
[실시예 2]
닭의 난에 배양한지 18일째에 표 2(공격전 결과를 나타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이한 투여량의 이. 테넬라의 포자소체를 함유하는 시료 또는 염수(대조물)를 주사하였다. 각 투여물에 사용된 포자소체 시료는 62%의 포자소체, 9%의 스포로시스트 및 29%의 낭포체를 함유하였다. 10 개의 포자소체를 함유하는 각 투여물은 총 1.6×10 개의 기생단계(포자소체, 스포로시스트 및 낭포체)를 포함하였다.
표 2의 데이터는 살아있는 포자소체를 주사한 난으로부터 부화된 병아리가 부화율 및 부화시 체중 면에서 비면역된 부화 동료 병아리와 실질적으로 동등함을 나타낸다. 이어서 병아리를 부화후 14일째에 가금당 1.25× 10 개의 이. 테넬라의 포자형성된 낭포체를 경구 가바즈에 의해 투여하므로써 공격하였다. 공격 후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공격받은 비면역된 그룹(염수를 수용한 그룹)과는 상당히 상이함(p0.05, ANOVA).
표 3의 데이터는 상이한 투여량의 포자소체 시료가 주사된 난으로부터 부화된 병아리의 각 파라미터(체중 중량, 병변 지수, 방출된 낭포체)가 면역성이 있음을 증명함을 나타낸다. 염수로만 처리된 후 감염 공격을 받은 대조용 가금과 비교하면, 포자소체 시료로 난내 면역된 가금이 보다 무거운 체중 및 감소된 병변 지수를 나타냈다. 또한, 포자소체로 난내 면역된 가금은 감염 공격후 대조용 가금보다 적은 낭포체를 방출시켰는데, 이것은 감염이 면역된 가금에서 보다 덜 심각함을 나타낸다.

Claims (16)

  1. 살아있는 에이메리아(Eimeria)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면역효과량을 가금류의 난의 최종 사사분기 배양기간동안 가금류의 난내(in ovo)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콕시디아증에 대한 가금류의 종두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10 내지 106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중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 수가 10 내지 106개인 종두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103내지 106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중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수가 103내지 106개인 종두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102내지 105개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중 포자소체 및 분열소체의 총 수가 102내지 105개인 종두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가 닭인 종두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이. 테넬라(E. tenella), 이. 아세르불리나(E. acervulina), 이. 막시마(E. maxima), 이. 네카트릭스(E. necatrix), 이. 마티스(E. mitis), 이. 프래콕스(E. praecox) 및 이. 브루네티(E. Brunetti)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종두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을 난내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종두법.
  8. 제2항에 있어서,배양중 임의의 시기에 면역 자극제를 난내 투여함을 또한 포함하는종두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자극제를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 포자소체와 분열소체의 혼합물의 투여물과 동시에 난내 투여하는 종두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분열소체를 포함하는 종두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포자소체를 포함하는 종두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포로시스트 및 낭포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포자소체를 정제하는 종두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가 칠면조인 종두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이 이. 멜레아그리미티스(E. meleagrimitis), 이. 아데노에이데스(E. adenoeides), 이. 갈로파보니스(E. gallopavonis), 이. 디스페르사(E. dispersa), 이. 멜레아그리디스(E. meleagridis), 이. 이노쿠아(E. innocua) 및 이. 수브로툰다(E. subrotunda)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에이메리아의 포자소체 또는 분열소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종두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물을 난내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종두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가 엽조, 오리 또는 주금류인 종두법.
KR1019960020174A 1995-06-07 1996-06-05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KR0167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IB95/00446 1995-06-07
PCT/IB1995/000446 WO1996040234A1 (en) 1995-06-07 1995-06-07 In ovo vaccination against coccidi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45A KR970000245A (ko) 1997-01-21
KR0167417B1 true KR0167417B1 (ko) 1999-01-15

Family

ID=4090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174A KR0167417B1 (ko) 1995-06-07 1996-06-05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US (2) US6500438B2 (ko)
EP (1) EP0831897B1 (ko)
JP (1) JP3120860B2 (ko)
KR (1) KR0167417B1 (ko)
CN (1) CN1153510C (ko)
AR (3) AR002157A1 (ko)
AT (1) ATE200029T1 (ko)
AU (1) AU694872B2 (ko)
BG (1) BG63035B1 (ko)
BR (1) BR9602667A (ko)
CA (1) CA2223700C (ko)
CO (1) CO4440630A1 (ko)
CZ (1) CZ290810B6 (ko)
DE (1) DE69520509T2 (ko)
DK (1) DK0831897T3 (ko)
DZ (1) DZ2048A1 (ko)
ES (1) ES2155129T3 (ko)
FI (1) FI974439A (ko)
GR (1) GR3035938T3 (ko)
HU (1) HU223707B1 (ko)
IL (1) IL118490A (ko)
MA (1) MA23890A1 (ko)
MX (1) MX9709868A (ko)
MY (1) MY121973A (ko)
NZ (1) NZ286754A (ko)
PE (1) PE2998A1 (ko)
PL (1) PL184002B1 (ko)
PT (1) PT831897E (ko)
RO (1) RO113716B1 (ko)
RU (1) RU2125890C1 (ko)
SI (1) SI9600181A (ko)
SK (1) SK282004B6 (ko)
TR (1) TR199600471A2 (ko)
TW (1) TW430558B (ko)
UA (1) UA41381C2 (ko)
WO (1) WO1996040234A1 (ko)
ZA (1) ZA964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5129T3 (es) 1995-06-07 2001-05-01 Pfizer Vacunacion in ovo contra la coccidiosis.
US6627205B2 (en) * 1997-12-01 2003-09-30 Pfizer Incorporated Ovo vaccination against coccidiosis
DE19828322A1 (de) * 1998-06-25 1999-12-30 Hoechst Roussel Vet Gmbh Coccidienvakz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6984378B1 (en) * 1999-02-26 2006-01-10 Pfizer, Inc. Method for the purification, recovery, and sporulation of cysts and oocysts
WO2001034187A2 (en) * 1999-11-08 2001-05-17 Novus International, Inc.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coccidiosis
US20070077256A1 (en) 1999-11-19 2007-04-05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to vaccinate against disseminated candidiasis and other infectious agents
US6682754B2 (en) * 1999-11-24 2004-01-27 Willmar Poultry Company, Inc. Ovo delivery of an immunogen containing implant
WO2002037961A2 (en) 2000-11-08 2002-05-16 Novu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coccidiosis
CA2452841C (en) 2001-08-30 2012-10-02 Embrex, Inc. Method of sporulating eimeria oocytes
CA2486618C (en) * 2002-05-21 2013-04-09 Schering-Plough Ltd. Methods for the in vitro culture of sporozoea sp. and uses thereof
RU2409385C2 (ru) * 2006-03-30 2011-01-20 Эмбрекс, Инк. Способ иммунизации птицы против инфекции, вызванной бактериями clostridium
US20080194006A1 (en) * 2007-02-08 2008-08-14 Embrex, Inc. Methods of releasing sporocysts from oocysts using controlled shear forces
JP2011521955A (ja) 2008-05-29 2011-07-28 インターベツト・インターナシヨナル・ベー・ベー コクシジウム症ワクチン
WO2010056709A2 (en) 2008-11-13 2010-05-20 Intervet International B.V. Eimeria vaccine for turkeys
US8858959B2 (en) 2011-07-15 2014-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Gel vaccine delivery system for treating poultry
JP2014521605A (ja) 2011-07-22 2014-08-28 ノバダイム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taphylococcusaureusに対してワクチン接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AU2014227748B2 (en) 2013-03-15 2019-02-14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fungal and bacterial pathogens
WO2017155949A1 (en) 2016-03-09 2017-09-14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Methods and kits for use in preventing and treating vulvovaginal candidiasis
US20180208885A1 (en) 2017-01-24 2018-07-26 Mary Ann Pfannenstiel Antibiotic-free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control of coccidiosis
JP2021531262A (ja) * 2018-07-10 2021-11-18 アプライド ライフサイエンシズ アンド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ゲルを準備及び送達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3170057A1 (en) 2022-03-08 2023-09-14 Hipra Scientific, S.L.U. In ovo vaccine compositions against coccidiosi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595B2 (ko) 1972-07-27 1978-12-07
US4040388A (en) 1976-02-27 1977-08-09 Agrimat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egg injection
FR2408351A1 (fr) 1977-11-14 1979-06-08 Unilever Nv Procede et composition destines a la lutte contre la coccidiose chez la volaille
JPS5649323A (en) 1979-09-29 1981-05-0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Coccidiostat
US4357320A (en) 1980-11-24 1982-11-02 Gist-Brocades N. V. Infectious bronchitis vaccine for poultry
PT72077B (en) 1979-11-30 1981-09-29 Gist Brocades Nv Infectious bronchitis vaccines for poultry and process forthe preparation of such vaccines
US4500638A (en) 1979-11-30 1985-02-19 Gist-Brocades N.V. Infectious bronchitis virus strain
US4735801A (en) 1982-09-07 1988-04-05 Board Of Trustees Of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Novel non-reverting salmonella live vaccines
JPS5780325A (en) 1980-09-05 1982-05-19 Nat Res Dev Coccidial disease vaccine
GB2114438A (en) 1982-02-05 1983-08-24 Akzo Nv Infectious bronchitis vaccines
US4593646A (en) 1982-06-01 1986-06-10 Agrimatic Corporation Egg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4458630A (en) 1982-06-22 1984-07-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Disease control in avian species by embryonal vaccination
SE8205892D0 (sv) 1982-10-18 1982-10-18 Bror Morein Immunogent membranproteinkomplex, sett for framstellning och anvendning derav som immunstimulerande medel och sasom vaccin
US4650676A (en) 1983-08-19 1987-03-17 American Cyanamid Company Antigens and monoclonal antibodies reactive against merozoites of Eimeria spp.
US4469047A (en) 1983-10-25 1984-09-04 Miller Gary E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eggs
US5279960A (en) 1984-07-05 1994-01-18 Enzon Corp. 25 KD coccidial antigen of eimeria tenella
US4681063A (en) 1986-07-02 1987-07-21 Embrex Inc. High speed automated injection system for avian embryos
JP2573189B2 (ja) 1986-08-08 1997-01-22 新技術事業団 カリクレインの検出方法
US5496550A (en) * 1986-08-14 1996-03-05 Chilwalner Method of reducing the output of Eimeria oocysts from a newborn chick
DE3752263T2 (de) 1986-08-18 1999-07-08 Btg Int Ltd Impfstoffe
ZA876321B (en) 1986-08-28 1989-04-26 Lilly Co Eli Anticoccidial method
US4935007A (en) 1986-08-28 1990-06-19 Eli Lilly And Company Anticoccidial method
IL85980A (en) * 1987-04-16 1992-03-29 Embrex Inc Disease control in avian species by embryonal vaccination with a nonreplicating immunogen
GB8711256D0 (en) 1987-05-13 1987-06-17 Unilever Plc Protection
US5004607A (en) 1987-08-25 1991-04-02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immunizing poultry
US4808404A (en) 1988-01-11 1989-02-28 A. H. Robins Company, Inc. Live vaccine for coccidiosis utilizing coccidial sporozoites
ZA893740B (en) 1988-06-03 1990-02-28 Hoffmann La Roche Recombinant coccidiosis vaccines
JPH01313437A (ja) 1988-06-14 1989-12-18 Nippon Seibutsu Kagaku Kenkyusho 飼料内投与用の粒子状生ワクチン及びその製法並びに鶏コクシジウム症生ワクチン
US5068104A (en) 1988-08-01 1991-11-26 A. H. Robins Company Incorporated Live vaccine for coccidiosis utilizing coccidial sporozoites
NL8802399A (nl) 1988-09-29 1990-04-17 Marcus Theodorus Martinus Pete Preparaat, geschikt voor gebruik inzake de preventie van de bij coccidiosis optredende schade bij pluimvee, voedsel resp. drinkwater, dat een dergelijk type preparaat bevat, werkwijze voor het voorkomen van de bij coccidiosis optredende schade bij pluimv
US5028421A (en) 1989-05-25 1991-07-02 Embrex, Inc. Method of treating birds
US5106617A (en) 1989-06-27 1992-04-21 Embrex, Inc. Method of treating immature birds with IL-2
ZA9010461B (en) 1990-01-26 1991-10-30 Hoffmann La Roche Recombinant coccidiosis vaccines-5-7 eimeria surface antigen
US5288845A (en) 1991-05-29 1994-02-22 Merck And Co., Inc. Eimeria necatrix 16s rDNA probes
US5359050A (en) 1991-05-29 1994-10-25 Merck And Co., Inc. Eimeria mitis 16S or DNA probes
WO1993001276A1 (en) 1991-07-12 1993-01-2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ntinuous cell line and vaccine against avian coccidia
US5403581A (en) 1991-07-12 1995-04-04 Hoffmann-La Roche Inc. Coccidiosis vaccines
US5311841A (en) 1992-07-10 1994-05-17 Thaxton J Paul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of poultry
WO1994016725A1 (en) * 1993-01-19 1994-08-04 Merck & Co., Inc. Live coccidiosis vaccine
CA2098773C (en) 1993-06-18 1999-09-21 Eng-Hong Lee Recombinant coccidia and its use in a vaccine
JPH07206705A (ja) * 1993-11-03 1995-08-08 American Cyanamid Co 生インオボ(in ovo)ワクチン
US5339766A (en) 1993-11-03 1994-08-23 Embrex, Inc. Method of introducing material into eggs during early embryonic development
DK0653489T3 (da) * 1993-11-12 2003-06-10 Akzo Nobel Nv Coccidiosisvaccine til fjerkræ
SK282436B6 (sk) * 1995-06-07 2002-02-05 Pfizer Inc. Živé sporocysty alebo oocysty Eimeria alebo ich zmesi na výrobu očkovacej látky
ES2155129T3 (es) 1995-06-07 2001-05-01 Pfizer Vacunacion in ovo contra la coccidiosis.
US5888518A (en) 1995-10-06 1999-03-30 Beretich, Sr.; Guy R.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occidiosis
US5807551A (en) 1996-04-01 1998-09-15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to provide artificial passive immunity in birds
WO1998008699A1 (fr) 1996-08-29 1998-03-0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Dispositif de chauffage visqueux
ID21338A (id) * 1996-09-30 1999-05-27 Embrex Inc Metoda untuk menghasilkan kekebalan aktif dengan vaksin gabungan
US6048535A (en) * 1997-06-12 2000-04-1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ultivalent in ovo avian vaccine
US6627205B2 (en) * 1997-12-01 2003-09-30 Pfizer Incorporated Ovo vaccination against coccidiosis
US6019985A (en) 1998-02-27 2000-02-01 Munova Corporation Immunostimulation methods for providing disease protection in poultry
US6608033B1 (en) * 1999-08-27 2003-08-19 Pfizer Inc. Treatment or prevention of coccidiosis
AU2003297719A1 (en) * 2002-12-09 2004-06-30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Coccidial vacci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9868A (es) 1998-03-31
TW430558B (en) 2001-04-21
EP0831897A1 (en) 1998-04-01
DE69520509D1 (de) 2001-05-03
KR970000245A (ko) 1997-01-21
US6500438B2 (en) 2002-12-31
AU694872B2 (en) 1998-07-30
CA2223700C (en) 2002-05-07
SI9600181A (en) 1997-04-30
US20020146435A1 (en) 2002-10-10
FI974439A0 (fi) 1997-12-05
JPH10506920A (ja) 1998-07-07
PL184002B1 (pl) 2002-08-30
CZ290810B6 (cs) 2002-10-16
HUP9601554A2 (en) 1997-03-28
BR9602667A (pt) 1998-04-22
IL118490A0 (en) 1996-09-12
CZ164396A3 (en) 1997-03-12
MY121973A (en) 2006-03-31
SK282004B6 (sk) 2001-10-08
DE69520509T2 (de) 2001-07-12
HUP9601554A3 (en) 2003-08-28
CN1153510C (zh) 2004-06-16
GR3035938T3 (en) 2001-08-31
SK72896A3 (en) 1997-11-05
FI974439A (fi) 1998-01-27
PT831897E (pt) 2001-07-31
CN1145168A (zh) 1997-03-19
PE2998A1 (es) 1998-03-02
EP0831897B1 (en) 2001-03-28
BG63035B1 (bg) 2001-02-28
TR199600471A2 (tr) 1996-12-21
RO113716B1 (ro) 1998-10-30
RU2125890C1 (ru) 1999-02-10
PL314639A1 (en) 1996-12-09
NZ286754A (en) 1998-06-26
ZA964726B (en) 1997-12-08
AR044236A2 (es) 2005-09-07
DK0831897T3 (da) 2001-04-30
AR044235A2 (es) 2005-09-07
DZ2048A1 (fr) 2002-07-21
WO1996040234A1 (en) 1996-12-19
BG100642A (en) 1997-07-31
AR002157A1 (es) 1998-01-07
HU223707B1 (hu) 2004-12-28
UA41381C2 (uk) 2001-09-17
CO4440630A1 (es) 1997-05-07
IL118490A (en) 2000-07-26
MA23890A1 (fr) 1996-12-31
US7018640B2 (en) 2006-03-28
US20020031530A1 (en) 2002-03-14
ES2155129T3 (es) 2001-05-01
CA2223700A1 (en) 1996-12-19
JP3120860B2 (ja) 2000-12-25
ATE200029T1 (de) 2001-04-15
AU5478296A (en)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417B1 (ko)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KR100190733B1 (ko) 콕시디아증에 대한 난내 종두법
US6627205B2 (en) Ovo vaccination against coccidiosis
US7211265B2 (en) Vaccination modalities
AU751262B2 (en) Vaccination moda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