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348B1 -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7348B1 KR0167348B1 KR1019910701576A KR910701576A KR0167348B1 KR 0167348 B1 KR0167348 B1 KR 0167348B1 KR 1019910701576 A KR1019910701576 A KR 1019910701576A KR 910701576 A KR910701576 A KR 910701576A KR 0167348 B1 KR0167348 B1 KR 01673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airbag
- gas generator
- assembly
- ba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조립체(58)는 가스발생기(26)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실린더 또는 캔, 및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에어백(32)을 팽창하기위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의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조립체는 작동될 때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32, 54),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40)을 내포하는 실린더의 측면 근처에서 전개전의 시기중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된 팽창가능한 에어백(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팽창가능한 에어백은 가스를 수용하도록 실린더(22)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46) 및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있고 실린더(22)를 둘러싸도록 된 서로 대향한 플랩(50a, 50b)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플랩은 실린더의 측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파열가능한 포장부(56)의 밴드는 저장 또는 선전개상태로 에어백을 체결하는데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에어백 조립체
[발명의 배경과 요약]
본 발명은 팽창가능한 억제(restraint) 시스템에 유용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팽창가능한 억제 시스템은 승객 보호의 기준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차량 프레임에 장착된 충돌센서와 승객실내에 위치한 에어백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조립체의 다른 타입은 운전자측 억제시스템과 승객측 억제 시스템 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승객측 에어백 억제 시스템에 특정 적용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이들 조립체는 가스발생기가 수용된 외부캔 즉 리액션 캔을 포함할 것이다. 상기 캔은 에어백 전개(deployment)력을 흡수하고 차량에 재전달하고 일체적인 구조인 사운드 부재이다. 또한 캔은 가스팽창기 및 에어백의 중량을 지지한다. 에어백은 가스발생기에 근접하여 있는 캔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커버는 에어백을 비전개 도는 저장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외부캔 둘레에 위치된다.
제1도는 승객측 에어백 조립체의 일례를 예시하고 있다.
이 조립체는 또한 자동차의 대시보오드 즉 계기판 근처에 전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리액션 캔(a)을 포함하고 있다. 캔은 플랜지(e)에 의해서 둘러싸인 개구끝(d)과 복수의 관통구멍(c)를 갖춘 부분적인 밀폐면(b)을 포함하고 있다. 조립 동안에 가스발생기(f)는 캔(a)에 체결되고, 그후 에어백(g)은 가스발생기(f)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캔내에 장착된다. 전형적으로 깨지기 쉬운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h : 점선으로 도시함)는 캔의 개구끝을 가로질러 즉, 플랜지(e)상에 또는 그 둘레에서 체결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는 자동차 제조시에 자동차내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결함은 가스발생기(f)가 에어백(g)의 설치전에 리액션 캔(a) 내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립체의 조립 초기 상태에서와 같이, 가스발생기는 일체적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조립체는 제위치에서 가스발생기와 함께 검사되고 포장되어 운반되며 이에따라 가스발생기가 진동, 충격등으로 부주의하게 처리되기 쉽다.
통상 완료된 조립체의 일부분인 가스발생기는 조립체의 운반 및 검사등등 중에 가스발생기의 우연한 작동 및 에어백의 전개가 발생된 가능성이 크므로 증가된 잠정적인 안정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제2도는 측벽(제2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진 외부 캔즉 리액션 캔(j)을 포함한 다른 종래기술인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캔은 (k)로서 통상 도시된 대시보오드 즉 계기판내에 끼워맞춤하기에 적합하다. 캔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은 이중 에어백(1)이다.
전개(점선참조)함에 따라, 이중 에어백(ℓ)은 탑승자를 보호하는 제1에어백(ℓ')과 무릎받침대로서 기능하는 제2에어백(ℓ)을 형성하고 있다.
이중 에어백(ℓ)은 외부커버(m)에 의해서 캔내에 체결되어 있다.
에어백의 끝(n)은 먼저, 내부캔(p)이 삽딥되는 주머니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서로 봉합되어 있다. 에어백의 서로 봉합된 끝(n) 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뻗어 있는 내부캔(p)의 보울트는 외부캔(j)의 일부분에 체결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는 외부캔의 측벽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캔 안으로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서 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발생기가 때때로 에어백의 삽입후 삽입될 수 있는 에어백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을 미리 전개된 상태로 이 조립체내에 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액션 캔이 선택적인 요소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직접 장착할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이 조립체는 발생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중공의 실린더 즉 캔을 포함하고 있다.
발생기 수단은 제어수단에 반응하여 에어백 수단을 팽창시키도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다. 조립체는 가스에 반응하고 작동될 때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에어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실린더의 측면근처에 비전개 이전 동안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팽창가능한 백 또는 색(sack)을 포함하고 있다.
팽창가능한 백은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을 포함하고 있고 그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 있어 실린더를 둘러싸도록 된 서로 대향한 플랩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플랩은 실린더의 측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부재는 구조적인 리액션 캔, 비구조적인 커버 또는 쉴드에 부착되거나 자동차의 계기판에 형성된 캐비티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그후에 가스발생기는 리액션 캔 등에 끼워맞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를 방사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 및 이에 관련된 구성요소가 구조적인 리액션 캔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벤트루프타입의 클램프,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스텃 또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백은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스발생기 또는 중간 실린더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목적 및 의도는 도면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다른 종래기술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조립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캔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A-A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B-B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실린더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2개의 실린더중 한 개의 사시도.
제12도는 조립된 실린더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본 발명내에 사용가능한 링패스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발명내에서 사용가능한 스트랩 또는 밴드의 정면도.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다수의 구성요소의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상세한 설명]
제3도를 참조하면, 전형적인 에어백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2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끝(24a 또는 24b)을 가진 대체로 중공의 실린더 즉 캔(22)과 같은 제1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같이, 실린더(22)의 직경은 공간관계이 있어서 가스발생기(26)를 수용하는데 충분하다. 가스발생기는 가스의 발생에 따라 리액션 중립상태가 달성되도록 구멍(27a, b)의 대향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열차폐로 사용될 수 있고 가스발생기(26)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32)안으로 들어가도록 복수(적어도 하나)의 구멍(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멍(30)은 또한 가스용 디퓨우저로서 기능하고 형성 및 크기(장방형, 원형등)가 변형될 수 있다.
조립체(20)는 실린더(22)를 구조부(40)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조부(40)는 선택적이며 조립체(20)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34로 도시된, 체결수단은 실린더(22)의 후방벽을 통하여 뻗어있는 복수의 보울트 또는 스텃(36)(용접스텃, 억지 끼워맞춤스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치형 형상으로 도시된 이러한 하나의 구조부(40)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접지 표시는 구조부(40)가 기구판의 보강된 부분과 같이 자동차의 보강된 부분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너트(42)와 같은 패스너는 원통형부재(22)를 구조부(40)로 조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스텃(36) 및 너트(42)는 구조부(40)를 통하여 뻗어 있는 보울트로 대체될 수 있고 실린더(22)에 의해서 또는 실린더(22)와 일체인 나사부재 안으로 수용된다.
제3도에 도시된 에어백(32)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탑승자 억제시스템의 특정 설계와 다를 수 있다. 에어백의 특징부는 통상 팽참하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폐쇄된 끝(44)이다.
에어백은 통상 46으로 도시된 개구끝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백을 실린더(22)에 조립하는 중에 개구끝(46)은 가스를 가스발생기(26)로부터 수용하도록 구멍(30)에 대하여 나란히 놓여져 있다.
개구끝(46)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2개의 서로 대향한 플랩(50a, 50b)이다. 에어백의 제조중에 복수의 제1 및 제2구멍세트(52a, 52b)는 각각의 플랩(50a, 50b)내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은 에어백을 형성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위빙(weaving) 과정의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에어백(32)이 펀칭, 멜팅(melting) 등에 의해서 조립된 후 이입될 수 있다.
구멍(52)은 서로 체결수단(34)에 끼워진다.
에어백(32)을 실린더(22)에 조립하는 중에, 개구끝(46)은 구멍(30) 근처에 위치된다. 그후에 플랩(50a, 50b)은 실린더(22)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중첩하여 비접착 상태로 실린더(22) 둘레에 위치된다.
이 중첩 또는 둘러싸는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52a, 52b)은 서로 정렬되고 체결수단에 정렬된다.
예컨대 체결수단(34)이 스텃(36)을 포함하면, 구멍(52a, 52b)에는 스텃(36)이 삽입된다. 체결 수단이 원통형부재(22)내의 나사부재를 포함하면, 구멍은 나사부재에 정렬되고 보울트는 구멍을 통하여 수용된다.
이하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22)가 사용되지 않으며 플랩(50a, 50b)이 가스발생기(26)를 둘러싸는 상태로 체결수단이 가스발생기(26)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사용된 플랩(50a, 50b)은 크기(길이)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플랩의 크기에 대한 구멍(52a, 52b)의 배치는 실린더(22)에 대한 에어백(32)의 장착위치를 한정하고 그 범위에 대해서는 에어백의 전개궤도를 한정한다.
에어백을 실린더(22)에 부착함에 따라, 참조번호(54)로 표시된 바와같이 미리전개된 또는 저장된 상태는 절첩되어야만 하고 그렇치 않으면 컴팩트되어야 한다. 에어백을 절첩 또는 컴팩트된 상태로 체결하기 위하여 커버부 인 포장부(56)는 절첩된 에어백(54), 실린더(22), 플랩(50a,50b) 및 체결수단(34) 둘레에 권선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완료된 부조립체(58)를 제공한다. 실린더를 구조부(40)에 체결함에 따라 이 부조립체(58)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위치에서 체결된다. 포장부는 에어백(32)이 삽입되는 색 또는 백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포장부(색, 밴드등)(56)는 미리전개된 상태에서 에어백(32)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진 재료로 선택된다. 포장부(56)의 강도는 에어백의 초기 전개중에 전개력이 색을 파열하기에 충분하여 에어백(32)이 사소한 억제로 팽창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강도이다.
포장부에 사용된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 천 또는 듀봉사에서 제조된 TYVEK 의 스판접착 올레핀(olefin)일수이다.
제4b도는 부조립체(58)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 또는 색(56)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32)의 전개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장부(56)은 티어심(tear seam), 열응력 면적 또는 참조번호(60)으로 표시된 라인의 형성 같이 미리 약화시킨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중첩되어 있는 플랩(50a, 50b)은 균일한 두께를 가진 재질의 층을 포함하고 있다. 대안 실시예는 보강된 플랩을 도시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플랩(50a, 50b)의 끝(60a, 60b)은 헴형상 구조로 절첩되어 있다.
각각의 햄(64a, 64b)은 62와 같은 위치에서 봉합될 수 있다.
이와같이, 각각 의 헴(64a, 64b)은 통상 34로 도시된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52a,52b와 같은 구멍을 각각 포함하는 천의 이중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도는 각각의 바아 또는 구조부재(70a, 70b)가 부가적인 보강으로서 각각의 헴(64a, 64b) 안으로 삽입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와 또는 구조부재(70a, 70b)는 체결수단(34)을 수용하도록 구멍(52a, 52b)에 대해 일치된 개구부(72a, 72b)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22)에 에어백(32)을 체결하는 기능에 부가하여, 포장부(56)는 에어백을 먼저 및 다른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방진 또는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는 주조립체(58)가 체결되는 선택적인 외부캔 즉 리액션 캔(80)의 평면도이다. 이 캔(80)은 제4도에 도시된 구조부(40)와 기능이 유사하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캔는 짧은 크기의 구조부(40)에 대향됨에 따라 전체 조립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하게 크다.
이 캔(80)은 측면(84a, 84b)을 가진 벽형상부재(82)를 포함하고 있다.
이 캔(80)의 바닥(86)은 체결수단(34)이 뻗을 수 있는 복수의 개구부(87)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수단은 너트(42)에 의해서 외부캔에 체결된 스텃(36)을 포함하고 있다.
제7도의 선 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제8도는 외부 캔(80)내의 제위치에 있는 부조립체(58)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는 제8도의 선 B-B을 취한 단면도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면(제7도 내지 제9도)은 부조립체(58) 및 외부캔에 대한 가스발생기(26)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캔(80)은 측면(84a) 내에 형성된 큰개구부(90)와 측면(84b) 내에 형성된 작은 개구부(92)를 포함하고 있다. 제7도 내지 제9도 내에 도시된 가스발생기(26)는 중심원통형부(100), 개구부(94)내에 수용하도록된 나사스텃(102) 및 큰플랜지형상의 끝(104)을 포함하고 있다. 스텃(102)은 너트(106)에 의해서 외부캔에 체결된다.
큰플랜지 형상끝(104)은 플랜지 둘레에 위치되고 큰 개구부(90)내에 억지 끼워맞춤하도록된 나이론링 또는 부슁(0링도 사용될 수 있다.)과 같은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비급속부재에 의해서 외부캔(8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링(112)은 진동 댐퍼로서 기능한다. 부조립체(58)는 실린더(22)의 축선이 개구부(90, 92)의 중심과 대체로 동직선이 되도록 캔에 체결된다. 그후에 가스발생기는 외부캔(80)내에서 큰개구부(90)을 통하여 미끄럼이동되며 그다음에 너트(106) 및 링(112)에 의해서 체결된다. 그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가스발생기(26)의 중심원통형부(100)가 실린더(22)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번호 112 참조). 이 이격은 가스발생기(26)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의 큰효율 및 분포를 허용하고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로부터 약간 멀리 에어백이 떨어져 있게 한다. 또한, 체결수단(34)이 구멍(30)으로부터 또는 에어백(54)의 절첩된 위치로부터 대략 180도로 배치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실린더(22)로부터 뻗어 있는 이러한 체결수단은 위치(120, 122, 등등)에서와 같은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캔(80)은 제8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대시보오드 즉 계기판(130)에 캔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플랜지(124a,124b)와 같은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대시보오드 즉 계기판(130)(또는 리액션 캔에 관계가 있는것에 대하여)은, 부조립체(58), 선택적인 외부캔(80), 및 가스발생기(26)를 덮기 위하여 찢어짐 가능한 또는 파열가능한 커버(132)(점선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캔(80)은 그 개구끝(88)이 수평적으로 있고 계기판의 수평선에 있도록 계기판내에 위치된다.
제8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32)은 커버(132)를 통하여 상향으로 팽창한다. 그후에 에어백(32)은 윈드쉴드(134)에 충돌하고 탑승자를 향해 내측으로 편향된다. 개구끝(88)이 기구패널의 수직표면상에서와 같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경우에 있어서는, 전개에 따라, 에어백(32)이 탑승자를 향하는 대체로 수평방식으로 팽창한다.
더욱이, 외부캔(80)의 주기능은 (a) 부조립체(58) 및 가스발생기(26)가 수용될 수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이며, (b) 이들 구성요소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부를 제공하는 것이며, (c) 에어백(32)의 전개중에 발생된 리액션 힘을 흡수하도록 리액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d) 에어백(32)의 전개방향을 약간 안내하기 위하여 벽(82)의 각도에 의해서 개구끝(88) 근처에 있게 하는 것은 상기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들 기능은 외부캔(80)과 같은 분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만족되지는 않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외부캔(80)(또는 구조부(40))는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는 외부캔(80)이 본질적으로 일체적 부분 즉, 대시보오드 즉 계기판의 캐비티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데, 계기판은 부조립체(58) 및 가스발생기가 체결되는 외부캔(80)의 형상을 가진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도면들은 26과 같은 가스발생기가 22와 같은 실린더 즉 내부캔내에 체결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치형벽(200) 및 벽(204a, 204b)을 가진 부분실린더(200)를 포함하고 있다.
아치형벽(202)으로 부터 뻗어있는 것은 스텃(208a, 208b)을 포함할 수 있는 통상 206으로 도시된 체결수단이다.
체결수단(206)의 외부보오드에 위치된 것은 복수의 개구부(210a, 210b)이며 그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 개구끝(212) 근처에서 벽(202)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것은 복수의 개구부(220a, 220b)이다. 부분 실린더(200)는 복수의 개구부(232)를 가진 커버 또는 디퓨우저(230)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커버 또는 디퓨우저(230)는 복수의 개구부(220, 220b)에 각각 맞물리도록된 복수의 훅(234a, 234b)을 포함하고 있다.
혹(234b)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커버(230)를 부분실린더(200)에 부착함에 따라, 제11도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전체로 형성되는 조립된 실린더(240)가 형성된다.
부분실린더(200) 에 커버를 체결하는 방식은, 보울트, 용접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부분실린더(240)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가스발생기(26)를 조립된 실린더(240)의 내부에 부착하도록 되어 협력구조부로의 직접 부착을 하기 위한 부착수단(250)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일예를 예시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원통형 가스발생기가 억지 끼워맞춤 또는 미끄럼이동 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진 밴트와이어루프(260)와 같은 클램프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밴트와이어루프(260)는 가스발생기를 방사상 원주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밴트와이어루프는 부분실린더(200)의 개구부(210a, 210b)를 통하여 수용되고 직선으로 뻗어 있는 나사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수단은 부분실린더(200)의 외부보오드 끝을 향해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그러나, 내부보오드 위치에서는 사용될 수 있다. 설계의 효율을 위하여 부착수단은 이러한 2개의 밴트와이어루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밴트와이어루프는 적당한 패스너(264)에 의해서 부분실린더(200)에 체결되어 있다.
부분실린더에 부착됨에 따라, 밴트와이어루프의 직선끝은 스텃(36)의 끝과 유사한 방식으로 외측으로 뻗어 있다.
밴트와이어루프의 직선부와 조합한 패스너는 실린더(200, 240)가 40과 같은 구조부, 외부캔, 또는 계기판상의 보강된 부재에 직접 체결되도록 한다.
밴트와이어루프의 원래의 두께는 가스발생기와 조립된 실린더(240) 사이에서 방사상 오프셋를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밴트와이어루프와 같은 부착수단을 실린더에 위치시켜서 더욱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벽(202)의 내부표면에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내부표면에 부착된 홈형상의 인설트(270)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인설트(270)는 밴트와이어루프 각각이 수용되는 홈(274)을 형성하는 2개의 상향으로 상승된 보스(272a, 272b)를 포함하고 있다. 보스의 외부부분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발생기(26)의 외부측면에 정합하도록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
부분실린더(200)에 부착된 분리인설트의 사용에 대한 대안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202)의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홈(284) 및 일체적 보스(282a, 282b)를 구비한 부분실린더(200)를 제조하는 것이다.
홈(274 또는 284)은 개구부(210a, 210b)의 위치에 인접(그 다음에등 위에)하여 형성되어 있다.
작동중에, 밴트와이어루프(260)와 같은 부착수단은 개구부(210a,210b)내에 삽입되며 또한 사용된다면 각각의 홈(274 또는 284)내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커버(230)는 제12도에 통상 도시된 조립된 실린더 즉 원통형구조부(240)를 형성하는 부분실린더(200)에 체결될 수 있다.
그후에 중첩플랩(50a, 50b) 및 구멍(52a,52b)을 구비한 에어백(32)은 스텃(208)과 스텃을 통하여 뻗어있는 보울트(210a)를 구비한 조립된 실린더(240)를 둘러싸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에어백(54)은 상기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어백 및 조립된 실린더(240)를 둘러싸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에어백(54)은 상기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어백 및 조립된 실린더(240)를 유사하게 둘러싸는 포장부의 사용에 의해서 미리 전개된 상태로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8'로 통상 표시된 부조립체를 완료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조립체(58) 또는 조립체(58')는 가스발생기로부터 검사, 저장 등을 위하여 분리될 수 있다. 부조립체(58')를 자동차 안으로 삽입하기 전에 가스발생기는 밴트와이어 루프(260)를 통하여 미끄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조립체를 완료한다. 가스발생기의 최종 체결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트(264)를 조임으로써 달성된다.
제10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 컴팩트 한크기로 인해 독특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밴트와이어루프(260) 또는 인설트(270) 및/ 또는 홈(284)주위의 벽과 같은 클램프의 사용은 가스실린더(26)가 조립된 실린더(240)의 내벽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가스의 발생 및 분포를 향상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가스발생기(26)을 체결 및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캔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외부캔(80)과 유사한 형상을 한 커버 또는 쉴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이 커버 또는 쉴드는 이 실시예에서 에어백 전개력을 자동차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인 재료로서 제작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힘은 스텃(208)과 보울트(210)을 통하여 직접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6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 및 제12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조립된 실린더 즉 캔(240)은 2개의 인터디지탈부분 즉 200 및 230으로 제조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일구조로 제조된 실린더(240')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240')는 벽(202')의 부분으로 형성된 관통개구부(232')를 포함할 수 있는 강과 같은 로울형 쉬트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쉬트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분적인 원통형상으로 로울되어 있다.
실린더(240')는 나중에 벽(202')의 대향표면 위에 로울되어 체결될 수 있는 연장부 또는 플랩(271)을 포함하고 있다. 클램프 즉 밴트와이어루프(260)와 같은 부착수단은 플랩(271)의 체결전에 실린더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플랩(270')의 체결후 완료된 실린더(24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밴트와이어루프(260)는 완료된 실린더(240')의 각각의 끝을 통하여 삽입된다.
완료된 부조립체(58')(제위치에서 가스발생기(26)를 구비함)는 계기판내에 형성된 캐비티에 직접 및 / 또는 이 캐비티내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적인 사운드장치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부조립체(58')(가스발생기를 구비함)는 상기 설명된 외부캔, 커버 또는 쉴드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사용된 외부캔, 커버 또는 쉴드가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측개구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에어백 조립체내의 개량품을 도시하고 있다.
거기에는 내부실린더 즉 캔(300)이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300)는 축선으로 뻗어 있는 개구끝(304)을 형성하는 아치형벽(302)에 의해서 형성된다.
개구끝(304)은 절첩된 백(54)을 향해 뻗어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포장부(밴드, 커버)(56)은 제위치에서 절첩된 에어백(54)을 제위치에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벽(302)으로부터 뻗어 있는 것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텃(208a, 208b)일 수 있다.
이들 스텃, 즉, 부착수단은 제17도 또는 제19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9도에서 점선(306a, 306b)에 의해서 도시된 스텃의 위치의 외부보오드에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은 실린더(300)의 벽(302)내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딤플(310a, 310b)이다.
돌출부(310) 의 외부보오드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개구부(312a, 312b)이다.
개구부(312) 근처에서 실린더(300)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강과 같은 구조적인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대체로 편평한밴드 즉 스트립(320)으로 형성된 클램프이다.
이들 밴드 또는 스트립(320)중의 하나는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밴드(320)의 끝(322a, 322b) 근처에는 각각의 개구부(324a, 324b)가 있다.
밴드(320)가 실린더(300)내에 삽입되기 전에 밴드(320)는 루프(제18도 참조)로 형성되어 있고 보울트(326)와 같은 스텃 또는 볼트는 거기를 통하여 삽입된다. 밴드(320) 및 보울트(326)는 가각의 개구부(312)내에 삽입된다.
에어백(32) 및 포장부(밴드, 커버)(56)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실린더 즉 캔(300)에 체결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가 캔(300)내에 삽입되는 시기에 보울트(326)는 너트 또는 유사한 패스너에 의해서 조여지며 이에 따라 실린더(300)의 바닥을 향해 밴드(320) 및 가스발생기(26)를 끌어당긴다.
또한 밴드(320)의 조임은 돌출부(310)에 대하여 가스발생기(26)을 가압하여 가스발생기를 확실하게 체결한다.
더욱이 돌출부(310)는 가스발생기(26)를 원통형부재(300)의 내부에서 이격시키는데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개구된 실린더 즉 캔(300)이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실린더 즉 캔(40)으로 대치될 수 있고, 또는 제16도에 도시된 단일실린더 즉 캔(240')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제17도를 참조하면, 실린더(300), 가스발생기(26), 에어백(32, 54)이 선택적인 외부캔(80')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가 외부캔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실린더(300)으로의 가스발생기의 최종 조임은 실린더(300)가 외부캔(80')에 부착되는 동안에 달성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분리되는 외부캔(80')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실린더(300)가 자동차의 계기판 또는 다른 보강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밴트와이어루프(260) 및 스트랩(320) 이 가스발생기의 원주둘레로 대체로 연속적인(일일이) 방사상 체결을 위하여 제공된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은 가스발생기가 단일 지점에서 그 원주에 대한 방사상 부착부에서 체결되는 교호방사상 체결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20도는 가스발생기를 실린더에 체결하는 다른 결합부(35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스발생기(26')는 보강된 벽부분(352)을 포함하고 있다. 보강된 벽부분(352)은 돌출한 것과 같이 가스발생기(26')의 주몸체에 대한 연장부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는 200'와 같은 실린더에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린더(제10도, 제16도 및 제17도 참조)중의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는 개구부(362)를 통하여 수용된 패스너(스텃)(354)에 의해서 부분실린더(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너트부분(362)은 나사부(360a)를 가스발생기에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부분(360b)은 40, 80 또는 130과 같은 구조부에 부착하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된 조립체 또는 부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된 에어백(32)과 같은 에어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32)의 플랩(50a, 50b)은 그다음에 상기 설명된 중첩방식으로 가스발생기(26') 및 부분실린더(200')에 장착될 수 있다. 포장부(56)(밴드, 커버)는 그 저장 또는 미리전개된 상태로 절첩된 에어백(54)에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체 또는 부조립체는 제4a도에 도시된 구멍과 같이 보인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패스너(스텃)(354)는 80과 같은 구조적인 리액션 캔 또는 비구조적인 커버 또는 쉴드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계기판(130)내에 형성된 캐비티 또는 오목부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실린더(200')는 선택적이다.
제21도는 패스너(354)가 가스발생기(26')에 직접 장착되는 본 발명의 대안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32) 및 커버(56)는 패스너(354)에 끼워맞춤된 에어백(32)의 플랩(50a,50b)내에서 구멍(52a,52b)을 구비한 가스발생기(26')에 직접부착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의 활동에 따라, 그렇게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32) 안으로 직접들어간다.
가스발생기(26')가 보강된 벽부분(362)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패스너(354)는 이러한 벽이 균일하고 원형단면인 가스발생기(26')의 벽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제2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방출용 구멍(27a, 27b)을 가진 원통형 가스발생기(26)가 도시되어 있다.
가스발생기(26)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원통형 스탠드도프 즉 보스(360)이다.
이들 보스(360)는 가스발생기(26)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일체적인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보스는 또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전형적으로 제조되는 가스발생기(26)의 형성중에 플라스틱 구성요소로 성형된 인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보스(360)로부터 뻗어있는 것은 스텃(354)과 같은 부착수단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가 40 또는 80과 같은 구조부에 직접 또는 계기판(13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부착전에 플랩(50a, 50b)을 구비한 에어백(32)은 가스발생기(26) 및 보스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여기에서 플랩(50a, 50b)의 구멍(52)은 부착수단(354)에 정렬된다.
이해된 바와같이, 스텃 또는 보울트(354)는 각각의 보스(360)내의 나사형상 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보스(360)는 에어백의 부분을 구멍(27a, 27b)으로 부터 이격하는데 사용한다.
제23도는 가스발생기(26)를 방사상으로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브래킷(360)은 체결용 가스발생기의 끝으로부터 지지구조부까지 방사상 외측으로 뻗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텃(354)은 에어백(32)을 가스발생기에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캔의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많은 변경 및 수정은 그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단지 제한된다.
Claims (10)
-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에어백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의 가스발생기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실린더 즉 캔, 가스에 반응하고, 작동중일 때,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하며 팽창가능한 백 또는 색을 포함하고 있는 에어백수단, 전개전의 시기중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내포하는 실린더의 측면 근처에서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된 에어백수단의 일부분, 통상 컴팩트된 부분에 대향하여 가스를 수용하도록 실린더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과 상기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 있고 실린더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플랩와을 구비한 상기 팽창가능한 백, 및 실린더의 측면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 상기 플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팽창 전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상기 팽창가능한 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컴팩트된 부분, 플랩 및 실린더를 둘러싸고 있는 포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부는 실린더에 대하여 팽창하기 전에 그 컴팩트된 위치에서 상기 벽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고 그 팽창중에 상기 백에 의해서 파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를 구조부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또는 팽창가능한 백 및 실린더를 둘러 싸는 포장부를 체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플랩은 플랩들이 중첩된 상태로 있을 때 제2구멍의 각각의 세트가 실린더에 대하여 체결될 부착수단에 협력하는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제2구멍세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실린더의 벽으로부터 뻗어 있는 복수의 패스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스너는 구조부내에서 정렬되는 제1구멍세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구조부는 조립된 실린더, 팽창가능한 백 및 포장부를 수용하는 리액션 캔을 포함하고 있으며, 리액션 캔 수단의 일부분은 팽창가능한 백이 팽창하는 방향을 제어하는데 돕는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 에어백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a) 실린더를 제공하는 단계 b) 실린더의 개구끝의 둘레에 위치되어 대향적으로 위치된 플랩을 구비한 팽창가능한 백을 제공하는 단계 c) 실린더 근처에 상기 백을 위치시키는 단계 d) 실린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플랩을 서로에 대하여 중첩시키는 단계. e) 실린더에 대한 위치관계에 있어서 특정체적으로 팽창하는 팽창가능한 백의 그부분을 컴팩트시키는 단계 f) 실린더와 컴팩트된 팽창가능한 백을 파열가능한 포장부로 둘러싸는 단계, 및 g) 상기 백 및 포장부를 실린더에 체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조립체 조립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를 실린더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조립방법.
- 제9항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를 실린더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50,431 | 1989-05-11 | ||
US07/350,431 US4964654A (en) | 1989-05-11 | 1989-05-11 | Air bag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67348B1 true KR0167348B1 (ko) | 1999-02-01 |
Family
ID=2337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701576A KR0167348B1 (ko) | 1989-05-11 | 1990-05-07 | 에어백 조립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4964654A (ko) |
EP (1) | EP0471762B1 (ko) |
JP (1) | JP2523406B2 (ko) |
KR (1) | KR0167348B1 (ko) |
CA (1) | CA2013546A1 (ko) |
DE (1) | DE69004426T2 (ko) |
ES (1) | ES2045919T3 (ko) |
WO (1) | WO199001345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367B1 (ko) * | 2002-10-18 | 2005-07-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객용 에어백을 감싸는 플랩부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0648A (ja) * | 1989-08-11 | 1991-03-26 | Takata Kk |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 |
FR2697486B1 (fr) * | 1989-09-21 | 1996-08-30 | Takata Corp | Dispositif de coussin pneumatique. |
US5205583A (en) * | 1990-04-04 | 1993-04-27 | Mercedes-Benz Ag | Inflatable airbag |
JPH0455149A (ja) * | 1990-06-22 | 1992-02-21 | Takata Kk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US5121941A (en) * | 1991-02-19 | 1992-06-16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
US5197756A (en) * | 1991-04-12 | 1993-03-30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
US5186492A (en) * | 1991-08-08 | 1993-02-16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
JP2574110Y2 (ja) * | 1991-09-17 | 1998-06-1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のモジュール取付構造 |
US5692768A (en) * | 1991-10-21 | 1997-12-02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bag assembly |
US5332256A (en) * | 1992-02-24 | 1994-07-26 | Morton International, Inc. | Continuous circumference diffuser reaction canister |
US5407226A (en) * | 1992-02-24 | 1995-04-18 | Morton International, Inc. |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
US5407227A (en) * | 1992-02-24 | 1995-04-18 | Morton International, Inc. |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with integral inflator chamber |
US5566975A (en) * | 1992-02-24 | 1996-10-22 | Morton International, Inc. | Controlled pressure relief of an inflatable restraint reaction canister |
CA2131286A1 (en) * | 1992-03-24 | 1993-09-30 | Robert J. Bishop | Means for rendering a thrust neutral inflator suitable for use in air bag modules |
DE4220499C2 (de) * | 1992-06-23 | 1998-06-04 | Daimler Benz Ag | Aufprallschutzsystem mit Gassack (Airbag) |
CA2108394A1 (en) * | 1992-12-01 | 1994-06-02 | Thomas M. Kriska | Air bag cushion with fabric diffuser |
US5342082A (en) * | 1993-05-28 | 1994-08-30 | Morton International, Inc. | Airbag reaction canister having softened edges |
US5452913A (en) * | 1993-08-31 | 1995-09-26 | Morton International, Inc. | Break-away airbag retaining flap |
US5588675A (en) * | 1993-12-20 | 1996-12-3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ir bag module with gas augmentation |
US5395133A (en) * | 1994-02-04 | 1995-03-07 | Morton International, Inc. | Air bag reaction canister having softened edges |
US5433472A (en) * | 1994-03-31 | 1995-07-18 | Morton International, Inc. | Quick-locking device for retention of an inflator in a passenger-side canister |
US5398958A (en) * | 1994-04-15 | 1995-03-21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Tethered attachment for an air bag |
US5460400A (en) * | 1994-05-20 | 1995-10-24 | Takata, Inc. | Passenger-side air bag module with improved assembly features |
US5445407A (en) * | 1994-05-24 | 1995-08-29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ir bag module |
US5468012A (en) * | 1994-06-13 | 1995-11-21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
JPH0820300A (ja) * | 1994-07-07 | 1996-01-23 | Kansei Corp | 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
US5458364A (en) * | 1994-08-22 | 1995-10-17 | Morton International, Inc. | Inflator secured in diffuser housing of airbag module assembly by locking end cap |
US5503429A (en) * | 1994-09-01 | 1996-04-02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
US5547214A (en) * | 1995-01-23 | 1996-08-20 | Alliedsignal Inc. | Side impact soft pack air bag module |
US5498030A (en) * | 1995-03-28 | 1996-03-12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ir bag module |
US5613698A (en) * | 1995-05-25 | 1997-03-25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Wrapped inflatable restraint |
US5533750A (en) * | 1995-06-01 | 1996-07-09 | Takata, Inc. | Simplified inflatable restraint module |
DE19528754A1 (de) * | 1995-08-04 | 1997-02-06 | Trw Repa Gmbh | Gassack-Rückhaltemodul |
US5667241A (en) * | 1995-10-17 | 1997-09-16 | Morton International, Inc. | Seat mounted side impact airbags |
US5709401A (en) * | 1995-10-26 | 1998-01-2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ir bag attachment to module |
US5634657A (en) * | 1995-11-30 | 1997-06-03 | Morton International, Inc. | Elliptical plenum for gas flow control in an automotive airbag system |
US5836607A (en) * | 1996-03-05 | 1998-11-17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Gas generator attachment means for a vehicle safety apparatus |
EP0794091B1 (de) * | 1996-03-08 | 2001-05-16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 Gassack-Rückhaltemodul |
JPH09323605A (ja) * | 1996-03-27 | 1997-12-16 | Morton Internatl Inc | 自動車の乗客室内の占有者を保護する方法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を折りたたむ方法 |
US5645295A (en) * | 1996-04-02 | 1997-07-08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eat mounted air bag module |
US5848804A (en) * | 1996-05-29 | 1998-12-15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ide impact air bag module |
US5632506A (en) * | 1996-06-14 | 1997-05-27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
US5687988A (en) * | 1996-07-17 | 1997-11-18 | Morton International, Inc. | Airbag cushion and airbag inflator retention device |
US5788266A (en) * | 1996-09-16 | 1998-08-04 | Autoliv Asp, Inc. | Simplified airbag module housing |
US5876060A (en) * | 1996-12-05 | 1999-03-02 | Takata, Inc. | Seat mounted side impact module |
JPH10166984A (ja) * | 1996-12-09 | 1998-06-23 | Ikeda Bussan Co Ltd | エアバッグ装置 |
US5803486A (en) * | 1996-12-17 | 1998-09-08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ir bag module with mounting and diffuser bracket |
DE19706674C1 (de) | 1997-02-20 | 1998-11-12 | Autoliv Dev | Airbaganordnung mit einem eine Aufnahmetasche für den Gasgenerator aufweisenden Luftsack |
DE19710063B4 (de) * | 1997-03-12 | 2005-09-01 |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 Airbag mit Gaserzeuger |
US5799969A (en) * | 1997-03-18 | 1998-09-01 | Trw Inc.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
US5897134A (en) * | 1997-06-13 | 1999-04-27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
DE19737067C1 (de) * | 1997-08-26 | 1998-12-17 | Autoliv Dev | Gassackanordnung mit Schrumpffolien-Formteil zur Anbindung des Gasgenerators |
JP2000016222A (ja) * | 1998-07-02 | 2000-01-18 | Toyoda Gosei Co Ltd |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
EP1188624A4 (en) * | 2000-04-25 | 2005-06-08 | Toyoda Gosei Kk | AIRBAG SYSTEM |
US6877772B2 (en) | 2002-01-03 | 2005-04-12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with occupant engaging flap |
WO2003066390A1 (en) * | 2002-02-06 | 2003-08-14 |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 Gas generator |
FR2836104B1 (fr) | 2002-02-21 | 2004-07-09 | Livbag Snc |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a sortie axiale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comportant un systeme de diffusion a poussee neutre |
DE10242023B4 (de) * | 2002-09-11 | 2005-08-25 |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
JP4281644B2 (ja) * | 2003-11-21 | 2009-06-17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インフレーター |
DE102004006318B4 (de) * | 2004-02-10 | 2010-06-02 | Autoliv Development Ab | Gasgeneratoreinheit für ein Gassack-Modul |
DE102004012836A1 (de) * | 2004-03-16 | 2005-10-13 |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 Gassackhülle mit Back Tack |
US7604250B2 (en) * | 2005-05-18 | 2009-10-20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device |
DE202005008847U1 (de) * | 2005-06-03 | 2005-10-06 | Autoliv Development Ab | Gasgeneratoreinheit |
US20070046006A1 (en) * | 2005-08-29 | 2007-03-01 |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 Gas generator |
US20080106074A1 (en) * | 2006-11-02 | 2008-05-08 | Key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and Fastener |
JP5154840B2 (ja) * | 2007-06-06 | 2013-02-27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インフレータ付きハウジ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US20100301588A1 (en) * | 2009-06-01 | 2010-12-02 | Tk Holdings Inc. | Airbag assembly |
DE102009052565A1 (de) * | 2009-11-10 | 2011-05-1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roit | Airbagmodul für ein Fahrzeug |
US20130241183A1 (en) * | 2012-03-15 | 2013-09-19 | Ramesh Keshavaraj | Coated airbag,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irbag module comprising the coated airbag |
DE102016001457A1 (de) * | 2016-02-09 | 2017-08-10 | Trw Automotive Gmbh | Kniegassackmodu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56617A (en) * | 1969-09-15 | 1973-09-04 | Eaton Corp | Safety apparatus |
US3642303A (en) * | 1970-02-13 | 1972-02-15 | Gen Motors Corp |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US3666289A (en) * | 1971-01-11 | 1972-05-30 | Gen Motors Corp |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US4351544A (en) * | 1974-03-27 | 1982-09-28 | Tsuneyo Ross | Inflatable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
US4153273A (en) * | 1978-04-14 | 1979-05-08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
US4286954A (en) * | 1979-12-03 | 1981-09-0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Method of folding an inflatable restraint cushion |
DE3011463A1 (de) * | 1980-03-25 | 1981-10-08 |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 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fuer die halterung von zum schutze der fahrzeuginsassen angeordneten luftsaecken |
US4536008A (en) * | 1982-05-28 | 1985-08-20 | Brown Jr Milton F | Vehicle safety restraint device |
JPH0534285Y2 (ko) * | 1987-02-05 | 1993-08-31 |
-
1989
- 1989-05-11 US US07/350,431 patent/US496465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3-30 CA CA002013546A patent/CA2013546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0-05-07 KR KR1019910701576A patent/KR01673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5-07 WO PCT/US1990/002532 patent/WO1990013458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0-05-07 JP JP2507263A patent/JP252340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5-07 EP EP90907909A patent/EP047176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5-07 ES ES90907909T patent/ES204591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5-07 DE DE69004426T patent/DE6900442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1367B1 (ko) * | 2002-10-18 | 2005-07-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객용 에어백을 감싸는 플랩부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71762B1 (en) | 1993-11-03 |
WO1990013458A1 (en) | 1990-11-15 |
JPH04504091A (ja) | 1992-07-23 |
DE69004426T2 (de) | 1994-05-19 |
DE69004426D1 (de) | 1993-12-09 |
ES2045919T3 (es) | 1994-01-16 |
CA2013546A1 (en) | 1990-11-11 |
US4964654A (en) | 1990-10-23 |
EP0471762A1 (en) | 1992-02-26 |
JP2523406B2 (ja) | 1996-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67348B1 (ko) | 에어백 조립체 | |
KR0167347B1 (ko) |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 |
KR100382303B1 (ko) | 측면충격소프트팩에어백모듈 | |
US4944527A (en) | Integral retainer, heat shield and assembly | |
US5533750A (en) | Simplified inflatable restraint module | |
EP0469734B1 (en) | Air cushion restraint device having reinforced inflation attachment | |
US5609356A (en) | Cylindrical air bag module assembly | |
JPH09169251A (ja) |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および乗物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 |
JP3047916U (ja) |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膨張器組立体、及び、膨張器及びクッションの双方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 |
WO1996030233A1 (en) | Air bag module | |
JPH08230596A (ja) | 同乗者用エアバック拘束装置 | |
US5441299A (en) | Air bag inflator subassembly for installation onto the dashboard substrate of a motor vehicle | |
JP2947412B2 (ja) | 同乗者側用のガス袋モジュール | |
US5458363A (en) | Cylindrical inflator retainer ring | |
JP3047576B2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
US5449195A (en) | Constant diameter inflator retainer | |
JP4653885B2 (ja) | エアバック装置 | |
US20200198568A1 (en) | Airbag device | |
JPH06127321A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とその取付方法 | |
JPH0346335B2 (ko) | ||
JPH0455147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JPH05270340A (ja) | エアバッグ構造 | |
JPH07329673A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
JPH03164348A (ja) | エアーバッグ装置 | |
JPH07246899A (ja) | 車両用エアバッ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1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