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347B1 -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347B1
KR0167347B1 KR1019910701577A KR910701577A KR0167347B1 KR 0167347 B1 KR0167347 B1 KR 0167347B1 KR 1019910701577 A KR1019910701577 A KR 1019910701577A KR 910701577 A KR910701577 A KR 910701577A KR 0167347 B1 KR0167347 B1 KR 016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airbag
cylindrical member
airbag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죤 비숍
로버트 파울 폰텍치오
다니엘 제인 쥬니어. 제레나크
Original Assignee
제랄드 피.루니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랄드 피.루니,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랄드 피.루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조립체(58)는 가스발생기(26)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 또는 캔, 및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에어백(32)을 팽창하기 위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의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조립체는 작동될 때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32, 44, 50, 52),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30)을 내포하는 원통형부재의 측면 근처에서 전개전의 시기중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된 팽창가능한 백 또는 색(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팽창가능한 백은 가스를 수용하도록 원통형 부재(22)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46) 및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있고 원통형 부재(22)를 둘러싸도록 된 서로 대향한 플랩(50a, 50b)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플랩은 원통형 부재의 측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파열가능한 재질(56)의 밴드는 저장 또는 선전개상태로 에어백을 체결하는데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발명의 배경과 요약]
본 발명은 팽창가능한 억제(restraint) 시스템에 유용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팽창가능한 억제 시스템은 승객 보호용 규범이 되었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차량 프레임에 장착된 충돌센서와 승객실내에 위치한 에어백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조립체의 다른 타입은 운전자측 억제시스템과 승객측 억제 시스템에 사용된다, 본발명은 승객측 에어백 억제 시스템에 특정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이들 조립체는 가스발생기가 수용된 외부 리액션 캔을 포함할 것이다. 상기 캔은 에어백 전개(deployment)력을 흡수하고 차량에 재전달하는 구조적으로 일체인 사운드 부재이다. 또한 캔은 가스팽창기 및 에어백의 중량을 지지한다. 에어백은 가스발생기의 근처에서 밀폐상태로 캔내에 위치해 있고, 커버는 외부캔에 위치해 있어서, 에어백을 비전개 즉 저장된 상태로 체결한다.
제1도는 승객측 에어백 조립체의 일례를 예시하고 있다. 이 조립체는 또한 자동차의 계기판에 또는 기구패널 근처에 전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리액션 캔(a)으로 또한 구성되어 있다. 캔은 플랜지(e)에 의해서 둘러싸인 개구끝(d)과 복수의 관통구멍(c)를 갖춘 부분적인 밀폐면(b)을 포함하고 있다. 조립 동안에 가스발생기(f)는 캔(a)에 체결되고, 그후 에어백(g)은 가스발생기(f)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캔내에 장착된다. 전형적으로 깨지기 쉬운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h : 점선으로 도시함)는 캔의 개구끝 즉, 플랜지(e)상에 또는 근처를 가로질러 체결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는 제조시에 자동차내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체에 근본적인 결함은 가스발생기(f)가 에어백(g)의 설치전에 리액션 캔(a)내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립체의 조립 초기 상태에서와 같이, 가스발생기는 일체로 되어 있다.
조립체는 제1위치에서 가스발생기와 함께 검사되고 포장되어 운반되며 이에따라 가스발생기가 부주의한 처리, 진동, 충격등을 받는다. 통상 완료된 조립체의 일부분인 가스발생기는 조립체의 운반 및 검사등등중에 가스발생기의 우연한 작동으로 에어백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므로 증가된 잠정적인 안정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제2도는 측벽(제2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진 외부 또는 리액션캔(j)을 포함한 다른 종래기술인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외부캔은 (k)로서 통상 도시된 계기판 또는 기구패널내에 끼워맞춤하기에 적합하다. 캔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은 이중 에어백(1)이다. 전개(점선참조)함에 따라, 이중 에어백(1)은 탑승자를 보호하는 제1에어백(1')과 무릎받침대로서 기능하는 제2에어백(1)을 형성하고 있다. 이중 에어백(1)은 외부커버(m)에 의해서 캔내에 체결되어 있다. 에어백의 끝(n)은 먼저, 내부캔(p)이 삽입되는 주머니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서로 봉합되어 있다. 에어백의 서로 봉합된 끝(n) 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뻗어 있는 내부캔(p)의 보울트(g)는 외부캔(j)의 일부분에 체결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는 외부캔의 측벽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캔 안으로 삽입된다.
본발명의 목적은 가스발생기가 에어백의 삽입후에 삽입될 수 있는 에어백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을 미리전개된 상태에서 이 조립체내에 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포장방법을 제공한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직접 장착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이 조립체는 발생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중공의 원통형부재 또는 캔을 포함하고 있다.
발생기 수단은 제어수단에 반응하여 에어백 수단을 팽창시키도록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다. 조립체는 가스에 반응하고 작동될 때 자동차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에어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부재의 측면근처에 비전개 이전 동안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팽창가능한 백 또는 색(sack)을 포함하고 있다. 팽창가능한 백은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원통형부재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을 포함하고 있고 그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 있어 원통형부재를 둘러싸도록 된 서로 대향한 플랩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플랩은 원통형부재의 측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서 이격되어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조립체는 또한 팽창초기전에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팽창가능한 백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부재는 구조적인 리액션 캔, 비구조적인 커버 또는 쉴드에 부착되거나 자동차의 기구패널에 형성된 캐비티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그후에 가스발생기는 리액션 캔 등에 끼워맞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를 방사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 및 이에 관련된 구성요소가 구조적인 리액션 캔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부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클램프타입의 밴트와이어루프,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스텃 또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백은 둘러싸는 방식으로 가스발생기 또는 중간 원통형부재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본발명의 많은 다른 목적 및 의도는 도면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다른 종래기술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발명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조립도을 도시한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본발명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본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캔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A-A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B-B의 단면도.
제10도는 본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2피스 실린더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2피스 실린더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12도는 조립된 실린더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본 발명내에 사용가능한 링패스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발명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조립을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발명내에서 사용가능한 스트랩 또는 밴드의 정면도.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다수의 구성요소의 단면도.
제20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3도를 참조하면, 전형적인 에어백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2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끝(24a 또는 24b)을 가진 대체로 중공의 원통형부재 또는 캔(22)과 같은 제1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같이, 원통형부재(22)의 직경은 공간적으로 가스발생기(26)를 수용하는데 충분하다. 가스발생기는 가스의 발생에 따라 리액션 중립상태가 달성되도록 대향세트의 구멍(27a, b)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부재는 열차폐로 사용될 수 있고 가스발생기(26)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32)안으로 들어가도록 복수의 구멍(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멍(30)은 또한 가스용 디퓨우저로서 기능하고 형성 및 크기(장방형, 원형등)가 변형될 수 있다. 조립체(20)는 원통형부재(22)를 구조부(40)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발명에 있어서 구조부(40)는 선택적이며 조립체(20)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통상 34로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수단은 실린더(22)의 후방벽을 통하여 뻗어있는 복수의 보울트 또는 스텃(36)(용접스텃, 억지 끼워맞춤스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치형 형상으로 도시된 이러한 하나의 구조부(40)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접지 표시는 구조부(40)가 기구패널의 보강된 부분과 같이 자동차의 보강된 부분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너트(42)와 같은 패스너는 원통형부재(22)를 구조부(40)로 조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스텃(36) 및 너트(42)는 구조부(40)를 통하여 뻗어 있는 보울트로 대체될 수 있고 원통형부재(22)에 해서 또는 원통형부재(22)와 일체로 지지된 나사부재 안으로 수용된다.
제3도에 도시된 에어백(32)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탑승자 억제시스템의 특정 설계와 다를 수 있다. 에어백의 특성은 통상 팽참하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폐쇄된 끝(44)이다. 에어백은 통상 46으로 도시된 개구끝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백을 원통형부재(22)에 조립하는 중에 개구끝(46)은 가스를 가스발생기(26)로부터 수용하도록 구멍(30)에 대하여 나란히 놓여져 있다. 개구끝(46)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2개의 서로 대향한 플랩(50a, 50b)이다.
에어백의 제조중에 복수의 제1 및 제2세트(52a, 52b)구멍은 각각의 플랩(50a, 50b)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은 에어백을 형성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위빙(weaving) 과정의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에어백(32)이 펀칭, 멜팅(melting) 등에 의해서 조립된 후 이입될 수 있다. 구멍(52)은 서로 체결수단(34)에 끼워진다.
에어백(32)을 원통형부재(22)에 조립하는 중에, 개구끝(46)은 구멍(30) 근처에 위치된다. 그후에 플랩(50a, 50b)은 원통형부재(22)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중첩하여 비접착 상태로 원통형부재(22) 둘레에 위치된다. 이 중첩 또는 둘러싸는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52a, 52b)은 서로 정렬되고 체결수단에 정렬된다. 예컨대 체결수단(34)이 스텃(36)을 포함하면, 구멍(52)은 스텃(36)위에서 삽입된다. 체결 수단이 원통형부재(22)내의 나사부재를 포함하면, 구멍은 나사부재에 정렬되고 보울트는 거기를 통하여 수용된다. 이하 기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부재(22)가 사용되지 않으며 체결수단이 가스발생기를 둘러싸는 플랩(50a, 50b)과 함께 가스발생기(26)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사용된 플랩(50a, 50b)은 크기(길이)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플랩의 크기에 대하여 구멍(52)의 배치는 원통형부재(22)로의 에어백(32)의 장착위치를 한정하고 그 범위에 대해서는 에어백의 전개궤도를 규정한다.
에어백을 원통형부재(22)에 부착함에 따라, 참조번호(54)로 표시된 바와같이 미리전개된 또는 저장된 상태는 절첩되어야만 하고 그렇치 않으면 컴팩트되어야 한다. 에어백을 절첩 또는 컴팩트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색의 커버링은 절첩된 에어백(54), 원통형부재(22), 플랩(50a,50b) 및 체결수단(34) 둘레에 권선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완료된 부조립체(58)를 제공한다. 원통형부재를 구조부(40)에 체결함에 따라 이 부조립체(58)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위치에서 유지된다. 재료는 에어백(32)이 삽입되는 색 또는 에어백(32)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색(밴드, 커버등)(56)은 미리전개된 상태에서 에어 백(32)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진 재료로 선택된다. 색(56)의 강도는 그 초기 전개중에 전개력이 그것을 파열하기에 충분하여 백(32)이 사소한 억제로 팽창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의 강도이다. 사용된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 천 또는 듀봉사에서 제조된 TYVEK 의 스판접착 올레핀(olefin) 재료이다. 제4b도는 부조립체(58)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 또는 색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32)의 전개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색(56)은 티어심(tear seam), 열응력 면적 또는 참조번호(60)으로 표시된 라인의 형성 같이 미리 약화시킨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중첩하고있는 플랩(50a, 50b)은 균일한 두께를 가진 재질의 층을 포함한 것 같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대안 실시예는 보강된 플랩을 도시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플랩(50a, 50b)의 끝(60a, 60b)은 헴형상 구조로 절첩되어 있다.
각각의 햄(64a, 64b)은 62와 같은 위치에서 봉합될 수 있다. 이와같이, 각각 의 헴(64a, 64b)은 통상 34로 도시된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52와 같은 구멍을 포함하는 각각의 천의 이중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도는 각각의 바아 또는 구조부재(70a, 70b)가 부가적인 보강으로서 각각의 햄(64a, 64b) 안으로 삽입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와 또는 구조부재(70a, 70b)는 체결수단(34)을 수용하도록 구멍(52)에 대해 등록된 개구부(72a, 72b)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형부재(22)로의 에어백(32)을 체결하는 기능에 부가하여, 색(56)은 에어백을 먼저 및 다른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방진 또는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발명의 다른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는 부조립체(58)가 체결되는 선택적인 외부캔 또는 구조부(80)의 평면도이다. 이 외부캔(80)은 제4도에 도시된 구조부(40)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 구조부는 짧은 크기의 구조부(40)에 대향됨에 따라 전체 조립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하게 크다. 외부캔(80)은 끝(84a, 84b)을 가진 벽형상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캔(80)의 바닥(86)은 체결수단(34)이 뻗을 수 있는 복수의 개구부(87)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수단은 너트(42)에 의해서 캔에 체결된 스텃(36)을 포함하고 있다.
제7도의 선 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제8도는 외부 캔(80)내의 제위치에 있는 부조립체(58)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는 제8도의 선 B-B을 취한 단면도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면(제7도 내지 제9도)은 부조립체(58)에 대한 가스발생기(26) 및 외부캔(80)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캔(80)은 측면(84a) 내에 형성된 큰개구부(90)와 측면(84b) 내에 형성된 작은 개구부(92)를 포함하고 있다. 제7도 내지 제9도 내에 도시된 가스발생기(26)는 중심원통형부(100), 개구부(94)내에 수용하도록된 나사스텃(102) 및 큰플랜지형상 끝(104)을 포함하고 있다. 나사 스텃(102)은 너트(106)에 의해서 외부캔에 체결된다. 큰플랜지 형상끝(104)은 플랜지 둘레에 위치되고 큰 개구부(90)내에 억지 끼워맞춤하도록된 나이론링 또는 부슁(0링도 사용될 수 있다.)과 같은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비금속부재에 의해서 외부캔(80)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링(112)은 진동 댐퍼로서 기능한다. 부조립체(58)는 원통형부재(22)의 축선이 개구부(90, 92)의 중심과 대체로 동직선이 되도록 캔에 체결된다. 그후에 가스발생기는 외부캔(80)내에서 큰개구부(90)을 통하여 미끄럼이동되며 그다음에 너트(106) 및 링(112)에 의해서 체결된다. 그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가스발생기(26)의 중심부(100)가 원통형부재(22)(번호 112 참조)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은 가스발생기(26)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의 큰효율 및 분포를 허용하고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로부터 에어백이 약간 떨어져 있게 한다. 또한, 체결수단(34)이 구멍(30)으로부터 또는 에어백의 절첩된 위치로부터 대략 180도로 배치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원통형부재(22)로부터 뻗어 있는 이러한 체결수단은 위치(120, 122, 등등)에서와 같은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캔(80)은 제8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계기판 또는 기구패널(130)에 캔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플랜지(124a)와 같은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기구패널 또는 계기판(130)(또는 캔에 관계가 있는것에 대하여)은, 부조립체(58), 선택적인 외부캔(80), 및 가스발생기(26)를 덮기 위하여 찢어짐 가능한 또는 파열가능한 커버(132)(점선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캔(80)은 그 개구끝(88)이 수평으로 있고 기구패널의 수평선에 있도록 기구패널내에 위치된다. 제8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전개에 따라, 에어백(32)은 커버(132)를 통하여 상향으로 팽창한다. 그후에 에어백(32)은 윈드쉴드(134)에 충돌하고 탑승자를 향해 내측으로 편향된다. 개구끝(88)이 기구패널의 수직표면상에서와 같은 다른 정위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경우에 있어서는, 전개에 따라, 에어백(32)이 탑승자를 향해 대체로 수평방식으로 팽창한다. 더욱이, 외부캔(80)의 주기능은 (a) 부조립체(58) 및 가스발생기(26)가 수용될 수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이며, (b) 이들 구성요소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부를 제공하는 것이며, (c) 에어백(32)의 전개중에 발생된 리액션 힘을 흡수하도록 리액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에어백(32)의 전개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벽(82)의 각도에 의해서 개구끝(88) 근처에 있게 하는 것은 상기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들 기능은 외부캔(80)과 같이 분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만족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외부캔(80)(또는 구조부(40))는 선택적이다.
본발명의 범주내에서는 외부캔(80)이 본질적으로 일체적 부분 즉, 계기판 또는 기구패널의 캐비티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데, 기구패널은 부조립체(58) 및 가스발생기가 체결되는 외부캔(80)의 형상을 가진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6도는 본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도면들은 26과 같은 가스발생기가 22와 같은 원통형부재 또는 내부캔내에 체결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발명은 부분원통형부재(200)가 아치형벽(202) 및 벽(204a, 204b)을 포함하고 있다. 아치형벽(202)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은 스텃(208a, 208b)을 포함할 수 있는 통상 206으로 도시된 체결수단이다. 체결수단(206)의 외부보오드에 위치된 것은 복수의 개구부(210a, 210b)이며 그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 개구끝(212) 근처에서 벽(202)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것은 복수의 개구부(220a, 220b)이다. 부분원통형부재(200)는 복수의 개구부(232)를 가진 커버 또는 디퓨우저(230)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커버 또는 디퓨우저(230)는 복수의 개구부(220, 220b)에 각각 맞물리도록된 복수의 훅(234a, 234b)을 포함하고 있다. 혹(234b)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커버(230)를 부분원통형부재(200)에 부착함에 따라, 제12도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전체로 형성된 원통형부재(240)가 형성되어 있다. 부분 원통형부재(200)에 커버를 체결하는 방식은, 보울트, 용접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원통형부재(240)내에 위치된 것은 가스발생기(26)를 원통형부재(240)의 내부에 부착하도록 되어 협력구조부로의 부착을 표시하기 위한 부착수단(250) 이다.
이하는 본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일예를 예시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원통형 가스발생기가 억지 끼워맞춤 또는 미끄럼이동 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진 밴트와이어루프(260)와 같은 클램프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밴트와이어 루프(260)는 가스발생기를 방사상 원주방향으로 클램핑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밴트와이어 루프는 부분원통형부재(200)의 개구부(210a, 210b)를 통하여 수용된 직선으로 뻗어 있는 나사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부착수단은 부분원통형부재(200)의 외부보오드 끝을 향해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그러나, 내부보오드 위치는 사용될 수 있다. 설계의 효율을 위하여 부착수단은 이러한 2개의 밴트와이어루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밴트와이어루프는 적당한 패스너(264)에 의해서 부분원통형부재(200)에 체결되어 있다. 원통형부재에 부착됨에 따라, 밴트와이어루프의 직선끝은 스텃(36)의 끝과 유사한 방식으로 외측으로 뻗어 있을 것이다. 밴트와이어루프의 직선부와 조합한 패스너는 부분원통형부재(200)의 체결이 40과 같은 구조부, 외부캔, 또는 기구패널상의 보강된 부재에 직접 체결되게 한다. 밴트와이어루프의 원래의 두께는 가스발생기와 원통형 부재(240) 사이에서 방사상 오프세트를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원통형 부재에 대하여 밴트와이어루프와 같은 부착수단의 정위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벽(202)의 내부표면에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내부표면에 부착된 홈형상의 인설트(270)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인설트(270)는 홈(274)을 형성하는 2개의 상향으로 상승된 보스(272a, 272b)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안에는 밴트이어루프 각각이 수용되어 있다. 보스의 외부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발생기(26)의 외부측면에 정합하도록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 부분원통형부재(200)에 부착된 분리인설트의 사용에 대한 교체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202)의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홈(284) 및 일체적 보스(282a, 282b)를 구비한 부분원통형부재(200)를 제조하는 것이다. 홈(274 또는 284)은 개구부(210)의 위치에 인접(그 다음에등 위에)하여 형성되어 있다. 작동중에, 밴트와이어 루프(260)와 같은 부착수단은 개구부(210)내에 또한 사용된다면 각각의 홈(274 또는 284)내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커버(230)는 제12도에 통상 도시된 완료된 원통형 부재(240)를 형성하는 부분원통형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다. 그후에 중첩하고있는 플랩(50a, 50b) 및 구멍(52)을 구비한 에어백(32)은 스텃(208)과 스텃을 통하여 뻗어있는 보울트(210a)를 구비한 완료된 원통형부재(240)를 둘러싸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절첩된 에어백(54)은 상기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어백 및 원통형부재(240)를 유사하게 둘러싸는 재질의 사용에 해서 미리전개되어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8' 로 통상 표시된 부조립체를 완료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부조립체(58) 또는 부조립체(58') 는 가스발생기로 부터 검사, 저장등 분리될 수 있다. 부조립체(58')를 자동차 안으로 삽입하기 전에 가스발생기는 밴트와이어 루프(260)를 통하여 미끄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조립체를 완료한다. 가스발생기의 최종 체결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트(264)를 조임으로써 달성된다.
제10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본발명의 실시예는 그 컴팩트 한크기로 인해 독특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홈(284)에 대하여 밴트와이어루프(60) 또는 인설트(270) 및/ 또는 벽과 같은 클램프의 사용은 가스실린더(26)가 원통형부재(240) 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며 이에 따라 가스의 발생 및 분포를 향상시킨다. 더욱이, 본발명의 이 실시예는 가스발생기(26)을 체결 및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과 같은 외부캔의 사용을 제거한다. 하지만, 외부캔(80)과 유사한 형상을 한 커버 또는 쉴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이 커버 또는 쉴드는 이 실시예에서 에어백 전개력을 자동차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인 재질로 만들 필욘는 없다. 이러한 힘은 스텃(208, 210a)을 통하여 직접 전달된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6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 및 제12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조립된 원통형부재(240)는 2개의 인터디지탈부분 즉 200 및 230으로 제조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일구조로 제조된 원통형부재(240')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부재(240')는 벽(202')의 부분으로 형성된 관통개구부(232')를 포함할 수 있는 강과 같은 로울형 쉬트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쉬트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분적인 원통형상으로 로울되어 있다. 원통형부재(240')는 벽(202')의 대향표면 위에 로울되어 있고 그 대향표면에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 또는 플랩(270')을 포함하고 있다. 클램프 또는 밴트와이어 루프(260)와 같은 부착수단은 플랩(270')의 체결전에 실린더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플랩(270')의 체결후 완료된 원통형부재(24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밴트와이어루프(260)는 완료된 원통형부재(240')의 각각의 끝(204)을 통하여 삽입된다.
완료된 부조립체(58')(제위치에서 가스발생기(26)를 구비함)는 기구패널내에 형성된 캐비티에 직접 및 / 또는 내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적인 사운드장치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부조립체(58')(가스발생기를 구비함)는 상기 설명된 외부캔, 커버 또는 쉴드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사용된 외부캔, 커버 또는 쉴드가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측개구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에어백 조립체내의 개량품을 도시하고 있다. 거기에는 내부원통형부재 또는 캔(300)이 도시되어 있다. 원통형부재(300)는 축선으로 뻗어 있는 개구끝(304)을 형성하는 아치형벽(302)에 의해서 형성된다. 개구끝(304)은 절첩된 에어백(54)을 향해 뻗어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밴드(또는 커버)(56)은 제위치에서 절첩된 에어백(54)을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벽(302)으로부터 뻗어 있는 것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텃(208a, 208b)이다. 이들 스텃, 즉, 부착수단은 제17도 또는 제19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9도에서 점선(306a, 306b)에 의해서 도시된 스텃의 위치의 외부보오드에 바람직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은 원통형부재(300)의 벽(302)내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딤플(310a, 310b)이다. 돌출부(310)의 외부보오드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개구부(312a, 312b)이다. 개구부(312) 근처에서 원통형부재(300)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강과 같은 구조적인 재질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대체로 플랩밴드 또는 스트립(320)으로 형성된 클램프이다. 이들 밴드 또는 스트립(320)중의 하나는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밴드(320)의 끝(322a, 322b) 근처에는 각각의 개구부(324a, 324b)가 있다. 원통형부재(300) 내의 밴드(320)의 삽입전에 밴드(320)는 루프(제18도 참조)로 형성되어 있고 보울트(326)와 같은 보울트 또는 스텃은 거기를 통하여 삽입된다. 밴드(320) 및 보울트(326)는 가각의 개구부(312)내에 삽입된다. 에어백(32) 및 색(밴드)(56)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원통형부재 또는 캔(300)에 체결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가 캔(300)내에 삽입되는 시기에 보울트(326)는 너트 또는 유사한 패스너에 의해서 조여지며 이에 따라 원통형부재(300)의 바닥을 향해 밴드(320) 및 가스발생기(26)를 끌어당긴다. 또한 밴드(320)의 조임은 돌출부(310)에 대하여 가스발생기(26)을 가압하여 가스발생기를 확실하게 체결한다. 더욱이 돌출부(310)는 가스발생기(26)를 원통형부재(300)의 내부에서 이격시키는데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통형부재 또는 캔(300)이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원통형부재 또는 캔(240)으로 대치될 수 있고, 또는 제16도에 도시된 단일원통형부재 또는 캔(240')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제17도를 참조하면, 실린더(300), 가스발생기(26), 에어백(32, 54)이 선택적인 외부캔(80')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요소가 캔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원통형부재(300)로의 가스발생기의 최종 조임은 외부캔(80')으로의 원통형부재(300) 등의 부착중에 달성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분리되는 외부캔(80')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원통형부재(300)가 자동차의 기구패널 또는 다른 보강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밴트와이어 루프(260) 및 스트랩(320) 이 가스발생기의 원주둘레로 대체로 연속적인(일일이) 방사상 체결을 위하여 제공된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은 가스발생기가 단일 지점에서 그 원주에 대한 단일지점 방사상 부착부에서 체결되는 교호방사상 체결을 도시하고 있다. 제20도는 가스발생기를 원통형부재에 체결하는 다른 결합부(35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스발생기(26')는 보강된 벽부분(352)을 포함하고 있다. 보강된 벽부분(352)은 돌출한 것과 같이 가스발생기(26')의 주몸체에 대한 연장부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는 200'와 같은 원통형부재에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원통형부재(제10도, 제16도 및 제17도 참조)중의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는 개구부(362)를 통하여 수용된 패스너(스텃)(354)에 의해서 원통형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너트부분(362)은 나사부(360a)를 가스발생기에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부분(360b)은 40, 80 또는 110과 같은 구조부에 부착하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완료된 조립체 또는 부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된 에어백(32)과 같은 에어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32)의 플랩(50a, 50b)은 그다음에 상기 설명된 중첩방식으로 가스발생기(26') 및 원통형부재(200')에 장착될 수 있다. 밴드(56)(커버)는 그 저장 또는 미리전개된 상태로 절첩된 에어백(54)에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체 또는 부조립체는 제14A도에 도시된 구멍과 같이 보인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패스너(스텃)(354)는 80과 같은 구조적인 리액션 캔 또는 비구조적인 커버 또는 쉴드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기구패널(130)내에 형성된 캐비티 또는 오목부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원통형부재(200')는 선택적이다. 제21도는 패스너(354)가 가스발생기(26')에 직접 장착되는 본발명의 대안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32) 및 커버(56)는 패스너(354)에 끼워맞춤된 에어백(32)의 플랩(50)내에서 개구부(52)를 구비한 가스발생기(26')에 직접부착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26')의 활동에 따라, 그렇게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32) 안으로 직접들어간다. 가스발생기(26')가 보강된 벽부분(365)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패스너(354)는 이러한 벽이 균일하고 원형적인 횡단면인 가스발생기(26')의 벽안으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제22도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방출용 구멍(27a, 27b)을 가진 원통형 가스발생기(26)가 도시되어 있다. 가스발생기(26)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원통형 스탠드도프 또는 보스(360)이다. 이들 보스(360)는 가스발생기(26)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일체적인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보스는 또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전형적으로 제조되는 가스발생기(26)의 형성중에 플라스틱 구성요소로 성형된 인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보스(360)로부터 뻗어있는 것은 스텃(354)과 같은 부착수단이다. 본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가스발생기가 40 또는 80과 같은 구조부에 직접 또는 기구패널(13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부착전에 플랩(50)을 구비한 에어백(32)은 가스발생기(26) 및 보스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며 여기에서 플랩(50)의 구멍(52)은 부착수단(354)에 정렬된다. 이해된 바와같이, 스텃 또는 보울트(354)는 각각의 보스(360)내의 나사형상구멍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보스(360)는 에어백의 위치를 가스방출용 구멍(27a, 27b)으로부터 이격하는데 사용한다.
제23도는 가스발생기(26)를 방사상으로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보스(360)는 체결용 가스발생기의 끝으로부터 지지구조로 방사상 외측으로 뻗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텃(354)은 에어백(32)을 가스발생기에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발명 캔의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많은 변경 및 수정은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단지 제한된다.

Claims (10)

  1. 벽(202,202';302)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부분적인 원통형구조이고 개구부(232;304)를 형성하며 제1수단을 위치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00,200',240,240',300)로 구성되어있고 제1수단 260)이 벽내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있고 거기에 체결하도록 된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조립체에 있어서,
    제2부분은 가스발생기의 부분을 원주에서 둘러쌓아 가스발생기를 제1부재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부분은 가스발생기가 수용되어 체결될수 있는 루프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은 일체적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1부분은 협력구조부(40;80;130)에의 부착을 위하여 나사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이 구조부는, a) 리액션 캔, b) 자동차의 계기판 또는 기구패널의 부분, 및 c) 비구조적인 커버중의 어떤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수단은 제1부재의 벽에 내부상에서 돌출부(270, 280, 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수단을 제1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가스발생기는 돌출부재를 가압하여, 돌출부재는 루프부분을 수용하는 벽(202, 202')의 내부상에 있는 홈형상구조부(174, 28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제1수단은 제1부재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1수단은 가스발생기가 수용되고 체결되는 루프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편평한 밴드 또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패스너(326)는 스트랩(320)의 각각의 끝내의 정렬된 개구부를 통하여 또한 제1부재내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스너(326)는 제1부재를 구조부(40;80;110)에 직접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작동중일 때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수단(32,44,50,52)은, 전개전의 시기중에, 제1부재(200)내의 개구부 근처에서 컴팩트 또는 저장된 상태로 배치된 팽창가능한 백 또는 색(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팽창가능한 백은, 가스발생기(26)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도록 제1부재의 둘레에 배치된 개구끝, 및 개구끝 근처로부터 뻗어있고 제1부재를 둘러싸도록 된 서로 대향한 플랩(50a, 50b)를 포하하고 있으며 이 플랩은 원통형 부재의 측면근처에 있고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제1부분이 중첩플랩을 통하여 뻗을 때마다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조립체.
KR1019910701577A 1989-05-11 1990-05-07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KR0167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0,432 1989-05-11
US07/350,432 US5062664A (en) 1989-05-11 1989-05-11 Air bag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7347B1 true KR0167347B1 (ko) 1999-02-01

Family

ID=2337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577A KR0167347B1 (ko) 1989-05-11 1990-05-07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62664A (ko)
EP (1) EP0471746B1 (ko)
JP (1) JPH0694268B2 (ko)
KR (1) KR0167347B1 (ko)
CA (1) CA2013547A1 (ko)
DE (1) DE69001177T2 (ko)
ES (1) ES2040123T3 (ko)
WO (1) WO1990013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4749U1 (de) * 1990-10-25 1991-02-07 TRW Repa GmbH, 7077 Alfdorf Befestigung eines Gassacks
US5197756A (en) * 1991-04-12 1993-03-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DE4112939A1 (de) * 1991-04-20 1992-10-22 Kolbenschmidt Ag Gassack-aufprallschutzvorrichtung
US5149130A (en) * 1991-05-28 1992-09-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Liner for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cushion
CA2079025A1 (en) * 1991-10-17 1993-04-18 Paul E. Strahl Air bag cushion rivetless retainer ring, axial pin methd
DE4293648B4 (de) * 1991-10-21 2005-06-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leveland Airbaganordnung
US5340147A (en) * 1991-12-19 1994-08-23 Alliedsignal Inc. Air bag inflator assembly
US5332256A (en) * 1992-02-24 1994-07-26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circumference diffuser reaction canister
US5351987A (en) * 1992-06-11 1994-10-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anister and chute assembly
DE4220499C2 (de) * 1992-06-23 1998-06-04 Daimler Benz Ag Aufprallschutzsystem mit Gassack (Airbag)
DE4223237C2 (de) * 1992-07-15 1994-10-20 Daimler Benz Ag Gaskissen-System
US5308108A (en) * 1992-10-26 1994-05-03 Allied-Signal Inc. Manifold or retainer for a gas generator
US5470105A (en) * 1992-12-18 1995-11-28 Morton International, Inc. Diffuser device and incorporation thereof in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5967551A (en) * 1992-12-18 1999-10-19 Autoliv Asp, Inc. Reduced airbag deployment skewness with non-symmetric gas output inflators
US5263739A (en) * 1992-12-28 1993-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342082A (en) * 1993-05-28 1994-08-30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reaction canister having softened edges
US5360231A (en) * 1993-08-02 1994-11-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Rotatable occupant restraint
US5452913A (en) * 1993-08-31 1995-09-26 Morton International, Inc. Break-away airbag retaining flap
JP2962120B2 (ja) * 1993-09-03 1999-10-12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353424B2 (ja) * 1993-11-25 2002-12-0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5433471A (en) * 1993-12-13 1995-07-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mplified passenger air bag module
US5364123A (en) * 1994-01-31 1994-1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395133A (en) * 1994-02-04 1995-03-07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reaction canister having softened edges
US5484163A (en) * 1994-02-17 1996-0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5405164A (en) * 1994-03-04 1995-04-11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inflator retention in automotive airbag module
US5460400A (en) * 1994-05-20 1995-10-24 Takata, Inc. Passenger-side air bag module with improved assembly features
US5445407A (en) * 1994-05-24 1995-08-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468012A (en) * 1994-06-13 1995-11-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JP3020086U (ja) 1994-07-27 1996-01-19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可能な拘束式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5503429A (en) * 1994-09-01 1996-04-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5487556A (en) * 1994-09-19 1996-0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5588667A (en) * 1994-09-30 1996-12-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5496058A (en) * 1995-05-1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with inflator mounting structure
US5556127A (en) * 1995-06-26 1996-09-17 Takata, Inc. Seat mounted side impact module
WO1997006984A1 (en) * 1995-08-21 1997-02-27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device
US5605347A (en) * 1995-10-10 1997-02-25 Takata, Inc. Airbag module with simplified cushion attachment
DE19538870C2 (de) * 1995-10-19 2002-10-24 Mst Automotive Gmbh Gehäuse für ein Airbagmodul
JP3395497B2 (ja) * 1996-01-10 2003-04-14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US6224087B1 (en) * 1996-02-23 2001-05-01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ide impac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DE19607342A1 (de) * 1996-02-27 1997-08-28 Takata Europ Gmbh Airbagmodul mit einem aus mehreren voneinander trennbaren Gehäuseteilen bestehenden Gehäuse
JPH09263209A (ja) * 1996-03-27 1997-10-07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5645295A (en) * 1996-04-02 1997-07-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mounted air bag module
US5613704A (en) * 1996-04-22 1997-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iffuser structure for clamping an inflator in an air bag module
US5772239A (en) * 1996-06-24 1998-06-30 Takata, Inc. Airbag sub-module having fabric envelope with horn switch
US5669627A (en) * 1996-07-25 1997-09-23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 impact airbag module with extruded cover
US5676393A (en) * 1996-08-06 1997-10-14 Morton International, Inc. Protective cover for airbag module
US5873598A (en) * 1996-08-27 1999-02-23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device
DE19642964A1 (de) * 1996-10-18 1998-04-23 Happich Gmbh Gebr Airbagvorrichtung
US5899485A (en) * 1996-12-10 1999-05-04 Takata, Inc. Air bag module with simplified manifold
DE19705829C1 (de) * 1997-02-15 1998-05-20 Mst Automotive Gmbh Flexibler Airbag-Behälter
GB2323339B (en) * 1997-03-21 2001-07-11 Alliedsignal Deutschland Gmbh Airbag housing and cover
DE19720587A1 (de) * 1997-05-16 1998-11-19 Porsche Ag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DE19720585A1 (de) * 1997-05-16 1998-11-19 Porsche Ag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DE19720584C2 (de) 1997-05-16 2000-11-23 Porsche Ag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DE19720586C2 (de) * 1997-05-16 2000-11-30 Porsche Ag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US6186542B1 (en) * 1997-10-14 2001-02-13 Autoliv Asp, Inc. Compact knee bolster airbag assembly
JP3175664B2 (ja) * 1997-10-21 2001-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9801125A1 (de) 1998-01-14 1999-07-15 Breed Automotive Tech Airbagmodul
US6189916B1 (en) * 1998-12-15 2001-02-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deployment door
DE19905025C2 (de) * 1999-01-28 2003-11-13 Takata Petri Ag Airbagmodul
US6543803B1 (en) * 1999-07-16 2003-04-08 Ts Tech Co., Ltd. Air bag apparatus
US6517110B1 (en) * 1999-09-21 2003-02-11 Simula, Inc. Dynamically deployed device shield
US6536802B1 (en) 2001-11-13 2003-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783148B2 (en) * 2002-01-14 2004-08-31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6955377B2 (en) * 2002-04-06 2005-10-18 Key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restraint module with external tether
US6991252B2 (en) * 2002-07-24 2006-01-31 Autoliv Asp, Inc. Airbag to load plate attachment mechanism
US6976700B2 (en) * 2002-11-12 2005-12-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bracket
US7331597B2 (en) * 2003-09-23 2008-02-19 Autoliv Asp, Inc. Overhead passenger airbag
DE602004010441T2 (de) * 2004-09-21 2008-10-16 Dalphi Metal España S.A. Knie-airbag
US7631889B2 (en) * 2005-03-07 2009-12-15 Takata Corporation Airbag installation structure
KR100636641B1 (ko) * 2005-11-23 2006-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4753246B2 (ja) * 2005-12-19 2011-08-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100301588A1 (en) * 2009-06-01 2010-12-02 Tk Holdings Inc. Airbag assembly
DE102011116450A1 (de) * 2011-10-20 2013-04-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chrheitseinrichtung mit elastischer Membran
US8505963B1 (en) *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GB2585651B (en) * 2019-07-09 2021-11-03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forming
EP4112393A4 (en) * 2020-02-26 2024-04-10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IRBAG MODULE
FR3121096A1 (fr) * 2021-03-26 2022-09-30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Module de coussin gonflable comprenant une partie de fixation à un élément structurel de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595A (en) * 1970-10-27 1975-10-07 Rocket Research Corp Aspi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ash restraint system
US3930664A (en) * 1972-05-19 1976-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4235453A (en) * 1974-05-13 1980-11-25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pecially folded vehicle safety bag
DE2524770A1 (de) * 1975-06-04 1976-12-16 Volkswagenwerk Ag Sicherheitseinrichtung
US4191392A (en) * 1978-08-24 1980-03-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DE3011463A1 (de) * 1980-03-25 1981-10-08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fuer die halterung von zum schutze der fahrzeuginsassen angeordneten luftsae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1746B1 (en) 1993-03-24
DE69001177D1 (de) 1993-04-29
JPH04504092A (ja) 1992-07-23
CA2013547A1 (en) 1990-11-11
DE69001177T2 (de) 1993-10-14
WO1990013457A1 (en) 1990-11-15
ES2040123T3 (es) 1993-10-01
US5062664A (en) 1991-11-05
JPH0694268B2 (ja) 1994-11-24
EP0471746A1 (en) 1992-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347B1 (ko) 개량된 에어백 조립체
KR0167348B1 (ko) 에어백 조립체
US5498030A (en) Air bag module
US4944527A (en) Integral retainer, heat shield and assembly
KR100382303B1 (ko) 측면충격소프트팩에어백모듈
US5749597A (en) Integral cover-deployment chute for side airbag module
US5533750A (en) Simplified inflatable restraint module
EP0469734B1 (en) Air cushion restraint device having reinforced inflation attachment
EP0405908A1 (en) Lightweight reaction can for passenger inflators
US5085461A (en) Air bag mount device for steering wheel including control switches
JP2522623B2 (ja) 車輌乗員拘束装置
JPH09169251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および乗物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5890734A (en) Integral cover-deployment chute for side airbag module
JPH08230596A (ja) 同乗者用エアバック拘束装置
WO1994014636A1 (en) Air bag module with cover
US5511818A (en) Passenger side airbag module
EP0679556A1 (en) Air bag inflator subassembly for installation onto the dashboard substrate of a motor vehicle
JPH10175500A (ja) 側面衝突用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組立体
JP2947412B2 (ja) 同乗者側用のガス袋モジュール
US5458363A (en) Cylindrical inflator retainer ring
JP3047576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5449195A (en) Constant diameter inflator retainer
US20200198568A1 (en) Airbag device
JP4653885B2 (ja) エアバック装置
JPH0687400A (ja) 衝突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