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539B1 - 릴 테이블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릴 테이블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539B1
KR0165539B1 KR1019900005949A KR900005949A KR0165539B1 KR 0165539 B1 KR0165539 B1 KR 0165539B1 KR 1019900005949 A KR1019900005949 A KR 1019900005949A KR 900005949 A KR900005949 A KR 900005949A KR 0165539 B1 KR0165539 B1 KR 016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eel table
mounting position
moving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85A (ko
Inventor
쯔까사 사이또
히로시 기리야마
도시아끼 노구찌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1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Unwinding Web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릴 테이블 이동장치
제1도는 3개의 카세트 장착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비교적 큰크기, 비교적 작은크기 및 중간크기인 테이프 카세트와, 복수개의 릴 테이블 장착 위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고려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은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이동티이블 위치설정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종래 기술에 다른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된 릴 테이블, 이동테이블 및 안내부재 조립체를 도시하는 제8도의 선 Ⅸ-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 확대 측면도.
제10도 내지 제14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내에서 협동하는 운동 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로써,
제10도는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 위치로부터 중간크기의 카세트 장착 위치까지의 테이블의 이동중에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제10도와 유사하지만,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이동테이블이 보유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로부터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되는 이동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하지만,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이동테이블이 보유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1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것을 결합한 확대도면.
제15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된 벨트 연결기구의 부분 단면 확대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와 유사하지만,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된 벨트 연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동테이블의 이동방향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센서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17도 내지 제22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제1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향 센서 조립체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23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구동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 사시도로서, 특히 이동테이블의 동시 이동을 보장하는 정렬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제24도는 정렬기구를 도시하기 위한 제23도의 구동기구의 부분 평면도.
제25도는 제8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서보모터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26도는 제25도의 서보모터 제어회로의 작동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P3 : 카세트 장착위치 3,4 : 이동테이블
17 : 중간 스토퍼 18 : 스토퍼걸쇠
29 : 릴 구동 모터 36 :워엄 휠
38 : 구동 타이밍 풀리 41,47 : 벨트 연결기구
40,46 : 타이밍 벨트 54 : 리미터 스프링
71,72 : 센서 73,74 : 셔터
100,102,103 : 카세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크기의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는 비디오 테이프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제1도는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101), 중간크기의 카세트(102) 및,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103)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도시한다. 상기 3개의 다른 크기인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각가의 릴은 큰 크기의 카세트(101)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P1(L위치)과, 중간크기의 카세트(102)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P2(I 위치) 및, 작은크기의 카세트(103)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P3(S 위치) 사이에서 릴 테이블을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릴 테이블 이동장치용 이동테이블 위치
설정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제안된 노력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할 의무를 갖는자에 의해 제의되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고려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안된 시도는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되는 문제점들을 설명하려는 목적으로서만 참고된다.
제2도는 큰 크기의 테이프 카세트 장착위치(P1) 또는 작은크기의 테이프 카세트 장착위치(P3)로부터 릴 테이블(104)을 이동시켜 릴 테이블이 중간크기의 테이프 카세트 장착위치(P2)에 있도록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사용된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에 대한 하나의 제안에 대한 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시도는 릴 테이블(104)을 지지하는 이동테이블(105)의 이동 경로안으로 왕복 이동하는 중간 스토퍼(106)를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는 이동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여 릴 테이블의 테이프 카세트 중간 장착위치(P2) 내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중간 스토퍼(106)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스토퍼(106)는 전자기 솔레노이드(108), 솔레노이드 플런저(109) 및, 코일 스프링(도시않됨)을 포함하는 중간 스토퍼 작동기구(110)에 의해 왕복이동된다.
상기 이동테이블(105)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를 지지하는 위치(P1)로부터 이동될 때,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의 한측부(107a)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 스토퍼(106)의 측면 모서리(106a)에 접촉된다. 이동테이블(105)이 비교적 작은크기의 가세트를 지지하는 위치(P2)로부터 이동할 때,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의 다른 측부(107b)는 중간 스토퍼(106)의 다른측 모서리(106b)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의 상기제안된 시도는 이동테이블(105)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1와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설치위치(P2)로부터 중간위치로 향하여 이동될 때 실선 및 2점쇄선으로 각각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다른 중간위치를 갖도록 한다. 상기 이동테이블(105)의 중간위치는 중간 스토퍼(106)의 특면 모서리(106a)와 측면 모서리(106b) 사이의 거리(d1) 및,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의 측면부(107a)와 특면부(107b) 사이의 거리(d2)로 이격된다.
상술한 위치 이동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수인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L위치의 중간 스토퍼(111) 및 S위치의 중간 스토퍼(112)가 제공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를 고려했다. 상기 중간 스토퍼(111,112)는 이동테이블(105)의 이동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이동테이블(105)이 L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 카세트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L위치 측면의 중간 스토퍼111)는 중간 스토퍼 접축부(107)의 한 측면에 있는 표면(107a)에 접촉하도록 왕복이동하며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의 이동테이블을 보유한다(제3도). 상기 이동테이블(105)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할 때, S위치 측면의 중간 스토퍼(112)는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의 표면(107b)와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동일한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이동테이블을 보유하게 된다(제4도).
제2도를 참조로 설명된 위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고려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또다른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S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될 때,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는 상기 수축된 중간 스토퍼(106)에 의해 접촉됨이 없이 먼저 중간위치를 이동하게 된다(제5도). 그 다음, 상기 이동테이블(105은 S위치 측면을 향해 복귀하며, 상기 복귀이동중에 중간 스토퍼(106)는 연장되어 중간 접촉부(107)의 한 측면부(107a)가 중간 스토퍼(106)의 측면 모서리(106a, 제6도)에 접촉해서 이동테이블(105)을 L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할 때, 얻어지는 것처럼 정확하게 동일한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이동테이블(105)을 위치시킨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는 두 개의 필여한 중간 스토퍼(111,112)를 제공하는데 비교적 비싼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에서 제안된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는 이동테이블(105)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할 때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를 스토퍼(106)에 접촉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불리하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제안은 중간 스토퍼 접촉부(107)가 스토퍼(6)를 접촉시키지 않고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를 통과하여 단지 중간 스토퍼(6)를 접촉시키기 위해 중간 카세트 설치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이동테이블(105)의 이동 제어시스템이 더 복잡해진다.
릴 테이블 이동 장치용의 종래의 방향센서
미국 특허 제4,664,337호에 상세히 기재된 종래 기술의 테이프의 릴 테이블 이동장치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릴 테이블(122,123)을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이동테이블(120,12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테이블(120,121)은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방으로 집중되는 안내부재(124,125)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테이블(120,121)은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와 작은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2) 사이에서 각각 이동가능하다.
상기 이동테이블(120)의 각 부분은 리미터 스프링(127), 커넥터(128) 및, 이동테이블 구동기구(129)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의해 이동모터(12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기구(129)는 모터(126)로부터 축(129b)을 구동시키는 벨트 및 풀리 트랜스미션과 안내부재(124,125)와 평행하고 상기 커넥트(128)에 의해 나사결합된 워엄(129d)을 축(129b)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기어(129c)를 포함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126)가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테이블(120,121)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테이블(120,121)이 상기와 같이 이동할 때, 이동테이블(120,121) 위에 각각 제공된 제1스토퍼 인접부(130,131)는 상기 이동가능한 테이블이 이들의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에 도달할 때 제1스톱부재(132,133)에 인접한다. 상기 모터(126)가 더 회전하면, 스프링(127)을 통해 이동테이블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커넥터(128)만이 이동된다. 상기 이동테이블은 이들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에 이미 위치할 때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구동 모니터가 더 회전하는동안에, 상기 리미터 스프링(127)은 가압 된다. 따라서, 제1스토퍼 인접부(130,131)는 리미터 스프링(127)에 의해 적용된 편향력에 의해 제1스톱부재(132,133)에 대해 가압되므로, 이동테이블(120,121)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에 보유된다.
또한, 모터(12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테이블(120,121)은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이동테이블(120,121) 위의 제2스토퍼 인접부(134,135)는 샤시 위에 장착된 제2스톱부재(136)에 인접하므로, 이동테이블(120,121)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모터(126)가 더 회전하면, 이동테이블은 이들의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이미 위치해 있을 때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각각의 이동테이블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커넥터(128)만이 더 이동된다. 구동모터가 더 회전하는 동안에 리미터 스프링(127)은 다시 가압된다. 상기 제2스토퍼 인접부(134,135)는 리미터 스프링(127)에 의해 작용된 편향력에 의해 제2스톱부재(136)에 대해 가압되므로, 상기 이동테이블(120,121)은 이들의 비교적 작은 카세트 설치위치(P2)에 유지된다.
제7도에 도시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서, 릴 테이블(122,123)의 위치를 각각 제어하는 이동테이블(120,121)의 위치제어는 모터(126)의 구동회로와 합체된 전위차계 또는 위치센서에 의해서만 수행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센서를 사용하는 중간 위치를 갖는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에 대한 제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전위차계가 일정한 기간동안에 위치 제어에 사용되면, 리미터 스프링은 이동테이블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로 이동될 때, 적절하게 압축되지 못한다. 더욱이,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위치 센서가 또한 위치 제어에 사용된다면, 상기 이동테이블은 이동테이블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센서가 작동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해야만 한다. 그 다음에, 이동테이블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의 위치제어에 위치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이동테이블은 과도한 이동을 수행하도록 요구되고, 더욱이 이동테이블이 센서가 작동될 수 없는 위치로 초기에 이동한다면 적당하지 않은 지연이 발생된다.
[제안된 이동테이블 구동기구]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고려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제안된 시도중 하나에서, 이동테이블의 구동기구는구동모터에 회전식으로 연결된 워엄의 대향 측면과 톱니 결합되는 워엄 휠 쌍으로부터 연정되는 회전축상에 장착된 타이밍 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테이블은 타이밍 풀리 주위를 이동하는 한쌍의 타이밍 벨트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워엄 휠 쌍과 워엄에 대한 타이밍 풀리의 정확한 배열을 보장하여 이동테이블의 동시 이동을 보장하기 어렵게 한다.
[서보모터 제어회로]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고려된 상기 제안된 시도에서, 이동테이블 테이프 카세트의 크기에 따라 서로에 대해 멀어지게 하거나 서로를 향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각각의 테이프 카세트 장착위치에서 이동테이블을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상기 제안된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에서, 상기 이동테이블은 제7도의 리미터 스프링(127)에 의해 구동기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제2도의 도면부호 107호로 도시된 것과 같은 상기 중간 스토퍼 접촉부가 스토퍼(106)에 대해 인접하고 이동테이블이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위치한 후에, 리미터 스프링이 편향 또는 압축된다. 그 다음 중간 스토퍼 접축부는 리미터 스프링에 의해 적용된 편향력에 의해 스토퍼에 대해 가압되므로, 각각의 이동테이블은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제안된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에서, 구동모터는 이동테이블을 이들의 소정위치로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속도로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모터가 일정한 속도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테이블이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도달할 때 모터의 동력공급이 중단되지만 관성에 의해 이동이 계속되어 리미터 스프링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구부러짐으로써 구동기구의 신회성이 없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리미터 스프링의 압축과, 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발생된 증가된 관성력 및, 중간 스토퍼 접촉부를 중간 스토퍼에 대해 확실하게 가압하기 어렵기 때문에 릴 테이블 위치의 분산으로부터 발생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테이블 이동장치(1)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는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8도에 도시된 실싱에서, 릴 테이블 이동장치는 이동테이블 구동기구(7)에 의해 한쌍의 안내부재(5,6)를 따라 서로 대향된 관계로 이동하는 한쌍의 이동테이블(3,4)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테이블(3,4)이 릴 테이블(2a,2b)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릴 테이블은 이동테이블은 이동테이블과 함께 이동된다. 상기 안내 부재(5,6)는 이동테이블(3,4)의 이동경로를 수렴 형성한다.
상기 이동 테이블(3,4)은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2) 및, 상기 카세트 장착위치(P1,P2) 사이에 위치한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P3) 사이의 각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동테이블(3,4)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 또는 L위치로 언급된다)로 이동할 때, 이동테이블(3,4)의 측면부(81)를 따라 각각 제공된 제1스토퍼 접촉부(8,9)는 샤시에 정렬된 제1스톱부재(10,11)에 접촉한다. 상기 위치에서, 이동테이블(3,4)은 이들의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보유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테이블이 비교적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로 이동할 때, 이들은 안내부재(5,6)의 극단부를 향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동테이블(3,4)이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2 또한 S위치로 언급된다)로 이동할 때,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블(3)에 대해 이동테이블(3,4)의 다른 측면부(82)에 제공된 제2스토퍼 접촉부(12,13)는 샤시에 정렬된 제2스톱 부재(14,15)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동테이블(3,4)은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에 보유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테이블(3,4)이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로 이동할 때, 이들은 안내 부재(5,6)의 기초 단부를 향해 서로 접근한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에 따라, 이동테이블이 L위치 또는 S위치로부터 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중간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3)에 대해 각각의 이동테이블(3,4), 그리고 대응 릴 테이블(2a,2b)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도록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16)가 제공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기구(16)는 제1스톱 부재(10,11) 중의 하나와 제2스톱 부재(14,15) 중의 하나의 중간에 위치한다. 각가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16)는 샤시뒤에 장착된 중간 스토퍼(17)와 이동테이블(3,4) 중의 하나에 설치된 피봇가능한 스토퍼걸쇠(18)를 포함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중간 스토퍼(17)는 왕복이동가능한 볼트형태이며 베어링부재(19)에 미끄럼 가능하게 정착된다. 중간 스토퍼(17)의 상단부(17a)는 중간 스토퍼(17)의 기부(17b)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솔레너이드 플런저(20)에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작용된 편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이동테이블(3 또는 4)의 이동 평면내로 돌출한다. 수축력이 솔레노이드 플런저(20)에 적용될 때, 상기 중간 스토퍼(17)는 각각의 이동테이블(3 또는 4)의 이동 평면으로부터 철회된다.
피봇가능한 스토퍼걸쇠(18)는 겅의 대칭의 Y형이며 헤드부(21) 및 스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21)는 이의 대향측 모서리를 따라 각을 이룬 제1 및 제2측 표면(25,26)을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부(21)는 대체로 등변삼각형 형태를 취한다. 스토퍼걸쇠(18)의 스템부(22) 상단부는 피봇축(23)에 의해 이동테이블(3)의 상부표면에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제10도 내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24)은 스템부(22)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24)은 스토퍼걸쇠(18)를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위치로 누르는데, 여기에서 스템부(22)의 종축(Cl1)은 이동테이블(3 또는 4)의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쇠(18)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각이진 표면(25,26)은 예정된 각으로 스토퍼걸쇠(18)의 종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대향하게 경사져서 테이블(3 또는 4)의 이동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테이블(3)이 L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 카세트 설치위치로 이동할 때,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25)은 중간 스토퍼(17)의 한 측면부(17d)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접촉 결합에 의해, 스토퍼걸쇠(18)는 제11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진동한다. 스토퍼걸쇠(18)의 피봇축이 중간 스토퍼(17) 중심선(Cl2)의 연장된 위치와 정렬된 때(제11도), 스토퍼걸쇠(18) 헤드의 제2각이진 표면(26)은 이동테이블(3 또는 4)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연장 인접표면(27)에 인접한다. 그 결과, 스토퍼걸쇠(18)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이동테이블(3 또는 4)은 L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할 때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테이블(3 또는 4)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 카세트 설치위치로 이동할 때, 스토퍼걸쇠(18)의 제2각이진 표면(26)은 중간 스토퍼(17)의 다른 측부(17e)를 결합한다. 이러한 접촉 결합은 스토퍼걸쇠(18)를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스토퍼걸쇠(18)의 축(23)의 피봇축이 중간 스토퍼(17)의 종방향 중심선(Cl2)의 연장위치에 정렬될 때,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25)은 이동테이블(3 또는 4)과 일체로 형성된 수평 인접표면(28)에 인접한다. 그래서, 스토퍼걸쇠(18)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이동테이블(3 또는 4)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하면 중간 카세트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비록 이동테이블(3)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의 작동이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되었지만, 이동테이블(4)의 이동테이블 위치설정 기구도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스토퍼(17) 및 피봇가능한 스토퍼걸쇠(18)를 포함하는 중간 스토퍼 기구(16)는 중간 설치 위치로 향하는 이동테이블의 이동방향과는 별도로 정확하게 예정된 중간 설치위치로 이동테이블의 이동 및 그 위에 지지된 릴 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된다.
릴 테이블(2a,2b), 이동테이블(3,4) 및, 안내부재(5,6)의 구조는 제9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부호 2a와 같은 릴 테이블은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의 상부(83)로부터 연장된다. 릴 테이블을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릴 구동 모터(29)가 이동테이블(3)의 하부에 제공된다. 한쌍의 안내 베어링부(30,31)는 이동테이블(3 또는 4)의 측면부를 따라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안내 부재(5 또는 6)는안내 베어링부(30,31)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안내축(32,33)으로 구성되어, 이동테이블(3 또는 4)이 이의 예정된 이동 경로에서 안내축(32,33)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이동테이블(3,4)이 큰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1)로 향하여 이동할 때, 이들은 서로 멀리 연장되고, 상기 이동테이블(3,4)이 작은 크기의 카세트 장착위치(P2)로 이동하면 이동테이블은 서로 접근한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이동테이블 구종기구(7)를 양호하게 장치는 제8도, 제22도 및, 제2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테이블 구동기구는 한쌍의 이동테이블(3,4)이 큰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위에 지지될 수 있는 제1카세트 장착위치(P1)와, 비교적작은 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에 지지될 수 있는 제2카세트 장착위치 및, 상기 두 위치(P1,P2) 사이에 있으며, 중간 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에 지지될 수 있는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P3)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8도, 제23도 및,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테이블 구동기구(7)는 구동모터(34)에 의해 구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워엄 기어(35)를 포함한다. 한쌍의 워엄 휠(36,42)은 워엄 기어(35)의 대향 측면에 제공되어 이와 톱니 결합되어 워엄 기어가 회전할 때, 워엄 휠은 서로 대향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회전축(37)은 워엄 휠(36)로부터 연장되어 그 위에 구동 타이밍 풀리(3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이동테이블(3)의 측면부는 구동 타이밍 풀리(38)와 공회전축(39a) 이에 회전가능하고, 또다른 타이밍 풀리(39) 주위를 이동하는 제1타이밍 벨트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제8도). 회전축(43)은 다른 워엄 휠(42)로부터 연장되어 구동 타이밍 풀리(4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동테이블(4)의 측면부는 구동 타이밍 풀리(44)와 공회전 축(45a)위에 회전가능하고 또다른 타이밍 플리(45) 주위를 이동하는 제2타이밍 벨트(4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테이블(3,4)은 제1 및 제2벨트 연결기구(41,47)를 통하여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에 각각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상기축(37,39a)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므로, 풀리(38,39) 사이에서의 타이밍 벨트(40)의 이동은 안내 구조물(5) 위의 테이블(3)의 이동경로에 평행하게 된다. 상기 축(43,45a)은 테이블(4)의 이동경로와 유사하게 정렬된다.
상기 워엄 기어(35)가 구동 모터(34)에 의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워엄 휠(36,42)은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를 동시에 대향하게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 연결기구(41,47)를 통하여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에 각각작동식으로 연결된 이동테이블(3,4)은 서로 멀어지는 이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동시에 이동가능하다. 상기 워엄(35)이 제1방향에 대향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테이블(3,4)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가능하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벨트 연결기구(41,47)는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에 연결되는 것 이외에 이동테이블(3,4)에 각각 연결되어 위치된 이동 테이블(3,4)을 편향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테이블이 L 또는 S위치로부터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스토퍼걸쇠(18)의 각이진 표면에 편향력이 작용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벨트 연결기구(41,47)는 이동테이블(3 또는 4)에 형성된 한쌍의 베어링부재(48,49)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각각의 벨트 연결기구(41,47)는 이들의 내부단부에 플랜지(50,51)를 가지며 베어링부재(52,53)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50,51)는 베어링부재(48,49)의 내부표면에 접촉한다. 축(55)은 원통형 칼라부재(52,53)와,이의 대향단부에서 플랜지(50,51)에 대해 지지하는 리미터 코일 스프링(54)을 통하여 연장된다. 축(55)의 단부는 플랜지(50,52)가 베어링(48,49)을 결합할 때 원통형 칼라(52,53)f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축(55)의 단부의 중간부에서 인접 벨트(40 또는 46)에 고정된 요크(60)의 개방된 단부(56,57)를 통하여 연장된다. 헤드(58,59)는 축(55)의 단부위에 제공되며 단부(56,57)의 회부표면에 대하여 지지된다.
이동테이블(3 또는 4) 위에 설치된 스토퍼걸쇠(18)가 각각의 중간 스토퍼(17)에 접촉하여 각각의 타이밍벨트(40,46)가 더 이동할 때, 리미터 코일 스프링(54)은 칼라(52 또는 53)에 대해 작용하는 요크(60)의 단부(56,57)를 통해 그리고 스프링(54)상의 플랜지(50,51)를 통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각각의 피봇가능한 스토퍼걸쇠(18)는 이동테이블(3,4)이 L또는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들의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리미터 스프링(54)의 편향 반력에 의해 대응 스토퍼(17)에 대해 가압된다.
벨트 연결기구(41,47)의 작동으나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예를들면, 이동테이블(3,4)이 L위치 측면에 위치하고 중간크기의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카세트 로딩 홀더에 삽입되면, 카세트의 크기가 센서에 의해 적절하게 감지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테이블(3,4)은 이동테이블 구동기구(7)에 의해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하므로 각각의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은 대응 중간 스토퍼(17)의 측표면(17d)에 의해 접촉 결합된다. 각각의 스토퍼걸쇠(18)는 상기 중심축(23)이 각가의 중간스토퍼(17)의 중심선(Cl2)의 연장된 위치와 정렬될때까지 상기 중심축(23)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제11도), 스토퍼걸쇠(18)의 회전은 수평 인접표면(27)으로의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2각이진 표면에 의해 제한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테이블(3,4)은 이들 각각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확고히 유지된다.
상기 이동테이블 구동기구(7)의 구동모터(34)가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46)를 더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면 각각의 벨트 연결기구(41,47)의 리미터 스프링(54)은 가압된다. 각각의 리미터 스프링(540이 가압됨으로써, 각각의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은 압축 스프링(54)에 의해 발생된 편향력에 의해 각각의 중간스토퍼(17)의 측표면(17d)에 대해 강하게 가압되어 각각의 이동테이블은 이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상기이동테이블(3,4)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들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각각의 스토퍼걸쇠의 제2각이진 표면은 각각이 중간스토퍼(17)의 측표면(17e)에 의해 접촉 결합된다. 그러면,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은 상술한 방법으로 대응스프링(54)의 압축에 반응해서 이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스토퍼걸쇠(18)는 이의 축(23)에 대해 진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걸쇠(18)는 또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토퍼걸쇠(18)는 스토퍼(17)가 고정위치에 있는 동안 각각의 이동테이블(3 또는 4)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중간스토퍼(17)는 이동테이블(3,4)에 장착 가능하며, 스토퍼걸쇠(18)는 샤시에 장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릴 테이블 이동장치는 리미터 스프링(54)이 압축될 때 이동테이블이 L위치 또는 S위치로부터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제8도 및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센서(71)는 이동테이블(4)에 장착되고 제2센서(72)는 이동테이블(3)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71,72)는 포토-센서 등이다. 상기 제1센서(71)는 예를들면, 제1셔터가 센서의 광 비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때 상기 제1셔터에 의해 켜지거나 꺼지며, 상기 제2센서(72)는 제2셔터(74)에 의해 유사하게 켜지거나 꺼지게 된다.
제16도에 도시된 제1셔터(73)는 벨트 연결기구(47)의 축(55)의 한 단부위에 장착된다. 상기 제1셔터(73)는 각각의 이동테이블(4)에 대해 벨트 연결기구(47)의 축(55)과 함께 이동하며, 이동테이블(3,4)이 L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하여 압축되는 리미터 스프링(54)을 갖는 이들의 중간 카세트 장착위치에 보유될 때 상술한 것처럼 제1센서(71)를켜거나 끄기에 적합하다. 제2셔터(74)는 벨트 연결기구(41)의 축(55)의 한 단부상에 설치된다. 제2셔터(74)는 벨트 연결기구(41)의 축(55)과 함께 이동테이블(3,4)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이동하여 압축되는 리미터 스프링(54)을 갖는 이들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보유될 때 대응센서(72)를 켜거나 끄기에 적합하다.
제8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71,72)가 이동테이블(3,4)위에 장착되고 셔터(73,74)가 연결기구(47,41)의 축(55)위에 장착될지라도, 상기 센서(71,72)는 벨트 연결기구(41,47)의 축(55)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셔터(73,74)는 이동테이블(3,4)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71,72)의 작동은 제17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되는데, 두 개의 센서(71,72)는 이동테이블(3,4) 중의 하나에 장착되고 두개의 셔터(73,74)는 벨트 연결기구(41,47) 중의 동일한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이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 즉, L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25)은 중간스토퍼(17)의 특표면(17d)에 의해 인접 결합된다. 그러면 스토퍼걸쇠(18)는 인접표면(27)에 의해 더 이상의 피봇식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이의 피봇축(23)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이동테이블이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제18도).
이동모터(34)가 더 작동되고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가 제19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벨트 연결기구(41,47)의리미터 스프링(54)은 가압된다. 상기 편향력에 의해, 각각의 스토퍼걸쇠(18)의 제1각이진 표면은 각각의 중간스토퍼(17)의 측표면(17d)에 대해 강하게 가압되므로,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은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54)의 압축과 동시에, 상기 축(55)은 이동테이블(3,4)에 대해 면위되므로, 벨트 연결기구(47)의 축(55)위에 장착된 셔터(73)는 이동테이블(4)에 장착된 센서(71)를 방해한다(제19도).
또한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이 S위치 측면으로부터 중간캐세트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즉, 상기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걸쇠(18)의 제2각이진 표면(26)은 중간 스토퍼(17)의 다른 측표면(17e)에 의해 인접 결합된다. 스토퍼걸쇠(1)은 인접표면(28)에 의해 더 이상의 피봇식 회전이 제한될때까지 이의 축(23)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들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위치한다. 그 다음에, 이동모터(34)의 부가 작동 및 타이밍벨트(40,46)의 대응이동으로 가압시킨다. 상기 압축된 스프링(54)의 편향력에 인하여, 각각의 스토퍼걸쇠(18)의 제2각이진 표면(26)은 중간스토퍼(17)의 다른측 표면(17e)에 대해 강하게 가압되어 이동테이블(3,4)중 대응하는 하나가 중간케세트 장착위치에 고정위치된다. 상기 각각의 스프링(54)의 압축을 수반하는 각각의 축(55)의 이동결과로써, 제1연결 부재(41)의 축(55)에 설치된제2셔터(74)는 이동테이블(3)에 설치된 인접센서(72)를 폐쇄 또는 방해한다(제22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이동테이블(3,4)의 동시 이동을 보장하는 정렬기구가 제공된다. 제23도 및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워엄 기어(35)의 대향측면에 톱니결합된 회전 워엄 휠(36,42)은 워엄 휠(36,42)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구동 타이밍 풀리(38,44)를 갖는 축(37,43)에 마찰식으로 또는 조정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38,44)는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를 이들의 예정된 이동경로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테이블(3,4)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타이밍 벨트(40,46)를 각각 결합한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반대의 슬롯 또는 슬릿(90)은 회전 축(37,43)의 상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슬롯(90,91)은 평면 강철판과 같은 적합한 공구에 의해 결합 가능하므로, 제1 및 제2축(37,43)의 회전위치 그리고 이동테이블(3,4)의 동시 이동을 보장하도록 대응 워엄 기어(36,42)에 대해 고정된 제1 및 제2풀리(38,44)의 회전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두 개의 슬롯(90,91)을 측면으로 나란해지도록 독립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워엄(35)에 대한 워어 휠(36,42)의 톱니비 관계는 타이밍 벨트(40,46)가 그에 따른 이동테이블(3,4)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시관계를 보장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징에 따라, 이동테이블(3,4)이 이들의 중간카세트 위치로 이동하여 그곳에 유지될 때, 각각의 피봇가능한 스토퍼걸쇠(18)가 일정한 압력으로 대응 스토퍼(17)의대응측 표면에 대해 부가될수 있도록 하는 서보모터기 제어회로(200)가 제공된다. 상기 서보모터 제어회로(20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71,72)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는 L 또는 S위치로부터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의 이동테이블(3,4)의 이동 끝에서 리미터 스프링(54)의 편향 또는 압축을 감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위치 탐지기회로에 포함된 센서(71,72) 출력부는 이에 의해 릴 테이블 이동장치의 모터(34) 작동의 일정한 속도 또는 일정한 토오크 모드를 선택하도록 스위치장치(202)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제어기(201)에 연결된다. 특히, 센서(71,72)가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이 이들의 대응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부터 멀어진 것을 탐지할 때, 위치 탐지기 회로로부터의 신호는 제어기(201)가 일정한 속도 모드를 선택하도록 제25도에 도시된 위치에 스위치장치(202)를 배치시키게 한다. 일정한 속도모드에서, 위치 탐지회로의 출력은 기준속도 신호(SR)를 수용하는 다른 입력부를 갖는 비교측정기(204)의 한 입력부에 속도 지시신호(Ss)를 출력시키는 차별 출력장치(203)에 사용된다. 비교 측정기(204)의 비교출력은 스위치회로(202)를 통하여 모터(34)용 구동 증폭기(205)에 사용된다.
센서(71,72) 중의 어느것이 각각의 이동테이블(3,4)이 이들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된 것을 지시하고 각각의 스프링(54)의 예정된 범위로 압축된 것을 지시한다면, 각각의 센서(71 또는 72)로부터의 출력은 제어기(201)가 모터(34)작동의 일정한 토오크 모드를 선택하도록 제25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장치(202)를 변화시키게 한다. 상기 일정한 토오크 모드 작동에서, 토오크 탐지기(206)는 모터(34)에 의해 발생된 작동 토오크를 탐지하고, 대응하게 탐지된 토오크신호(TD)를 토오크 비교측정기(207)의 한 입력부에 적용시킨다. 유지될 일정한 토오크를 나타내는 기준 토오크신호(TR)는 비교측정기(207)의 다른 입력부에 사용되며, 토오크 비교측정기(207)의 비교출력은 스위치장치(202)를 통하여 모터(34)용 구동증폭기(205)에 공급된다.
서보모터 제어회로(200)의 작동 싸이클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26도를 참조로 하기에 설명되는데, 단계(1)에서 테이블(3,4)을 모터의 일정한 속도모드로 L 또는 S위치로부터 중간카세트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모다(34)의 작동이 개시된다. 상기 이동테이블(3,4)는 각각의 스토퍼걸쇠(18)의 각각의 표면(25,26)이 각각의 중간스토퍼(17)와 각각의 테이블(3,4) 표면(27 또는 28)에 적용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 단계(2)에서 처럼 테이블(3,4)의 이동은 대상물 또는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서 멈추며, 리미터스프링(54)의 굽힘 또는 압축은 모터(34)의 작동으로 시작되고, 타이밍벨트(40,46)의 이동이 계속된다. 이러한 스프링(54)의 압축중에, 셔터(73,74)를 갖는 축(55)은 센서(71,72)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단계(3)에서 처럼 각각의 셔터에 의해 켜지거나 방해될때까지 테이블(3,4)위의 센서(71,72)에 대해 이동한다. 이때에 모터(34)의 작동은 일정한 속도 모드로부터 일정한 토오크모드로 바뀌며 타이밍벨트(40,46)의 이동은 스프링(54)의 증가된 힘이 관성에 의해 그리고 단계(4)에서 처럼 모터에 의해 적용된 일정한 토오크에 의해 균형잡힐 때까지 계속된다.
단계(4)에서 즉, 스프링(54)이 모터에 의해 발생된 일저안 토오크를 균형잡는 스프링력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압축되는 점에서는 스프링(54)의 탄성한계에 아직 도달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54)은 스프링의 영구변형을 일으키지않고 단계(4)의 상태로부터 제26도에도시된 단계(5)의 상태로 더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6도에 도시된 작동 싸이클은 스프링(54)이 작동 싸이클의 단계(4)에 도달함에 따라 이들의 중간카세트 장착위치에 테이블(3,4)을 유지하기 위해 예정된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보장하며 매싸이클에서 번복될 수 있다.
리미터스프링(54)이 예정된 양만큼 압축 또는 편향된 뒤에 구동모터(34)의 동력원은 워엄 휠(36,42)과 톱니 결합된 워엄(35)의 소위 자체잠금 또는 불가역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유지되는 스프링(54)의 하중으로 꺼질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동력원이 꺼지면, 워엄기어 및 워엄 휠(36,40)의 순간적인 맞물림이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서보모터 제어시스템은 적합한 일정 토오크를 발생하도록 구동모터에 비교적 작은 전압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적합하다. 이는 운동 마찰 단계로부터 균형잡히는 리미터 스프링(54)의 편향력을 갖는 정지 마찰단계로 전달장치를 이송시킴으로써, 워엄기어(35) 및 워엄 휠(36,42)의 맞물림 또는 유사한 상황을 방지하게 한다.
요약하면, 서보모터 제어회로(200)는 이동테이블이 상기 위치(P1,P2 및 P3)중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일정한 속도로 이동테이블(3,4)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리미터스프링(54)이 예정된 양 만큼 편향되면, 제1 및 제2센서(71,72)중 하나는 이 편향을 감지하고 구동모터(34)는 일정한 토오크모드로 작동되어서 스프링(54)이 압축된 상태로 있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숙달된 자에게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영역 및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38)

  1. 다른 크기의 범위에 있는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테이블 이동장치는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릴 테이블 수단과, 상기 카세트가 카세트 크기에 따라 장착위치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릴 테이블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중간카세트 장찰위치로의 릴 테이블 수단의 이동방향과는 별개로 예정된 정확한 중간 장착위치에서 상기 릴 테이블 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되는 중간스토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스토퍼 수단은 종방향 중심축을 갖는 스토퍼와, 피봇축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며 대향된 측면모서리를 따라 제1 및 제2각이진 표면을 가지며, 상기 각이진 모서리의 하나는 중간 장착위치를 향한 릴 테이블수단의 운동방향에 따라 중간 장착위치에서 상기 스토퍼의 접촉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테이블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장착위치에서 각이진 표면중의 다른 하나와 접촉 결합 가능하여 스토퍼걸쇠의 부가의 피봇식 이동을 제한하고 중간 장착위치에서 릴 테이블 수단을 유지하게 하는 인접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쇠의 제1 및 제2각이진 표면은 상기 스토퍼의 제1 및 제2측 표면에 각각 접촉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쇠는 릴 테이블 수단과 작동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릴 테이블 수단과 작동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쇠의 제1 및 제2각이진 표면중의 하나는 스토퍼걸쇠의 피봇축이 상기 스토퍼의 종방향 중심축과 정렬될 때 상기 스토포와 접촉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걸쇠의 이동경로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스토퍼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솔레노이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비교적 큰크기와, 중간크기 및, 비교적 작은크기의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큰크기와, 중간크기 및, 비교적 작은크기의 카세트를 지지하는 릴 테이블 수단과, 상기 릴 테이블 수단을 장착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큰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위에 지지될 수 있는 제1장착위치와, 작은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위에 지지될 수 있는 제2장착위치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상에 지지될 수 있는 제3장착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제1또는 제2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의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하며, 종방향 중심축을 갖는 스토퍼와 피봇축에 피봇 가능하고 대향 측면모서리를 따라 제1미치 제2각이진 표면을 갖는 중간스토퍼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1장착위치 또는 제2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접근하는 것에 의해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제3장착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각이진 표면중의 하나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은 상기 각이진 표면중의 다른 것에 의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인접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1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지지 이동할 때, 상기 스토퍼걸쇠의 제1각이진 표면은 스토퍼걸쇠를 한 방향으로 피봇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제1츨 표면에 인접하므로, 상기 스토퍼 걸쇠에 의하여 한 방향으로 부가의 피봇운동을 제한하도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상기 제3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퍼걸쇠의 제2각이진 표면은 이동테이블 수단의 인접표면에 대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2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스토퍼걸쇠의 제2각이진 표면은 스토퍼걸쇠를 다른 방향으로 피봇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제2측표면에 인접하므로, 상기 스토퍼걸쇠에 의하여 다른 방향으로 부가의 피봇운동을 제한하고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상기 제3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퍼걸쇠의 제1각이진 표면은 이동 지지수단의 인접표면에 대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쇠가 피봇식으로 장착된 피봇축은 스토퍼걸쇠가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함께 작동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걸쇠의 피봇축이 스토퍼의 종방향 중심축에 정렬될 때,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걸쇠의 제1 및 제2각이진 표면 중의 하나에 대해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함께 작동식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의 이동경로 안으로 그리고 이의 밖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솔레노이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제1과, 제2 및, 제3장착위치 사이의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의 소정의 이동경로를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대향 안내 부재쌍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은 제1 및 제2대향 안내 부재쌍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이동경로에서 서로 대향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구종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수단과, 상기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대향되게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기어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벨트와, 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제1 및 제2워엄기어가 서로 대향되게 동시 회전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워엄과 워엄의 대향측면에 톱니결합되는 제1 및 제2워엄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벨트와 풀리 수단은 제1 및 제2워엄기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구동풀리와,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구동 풀리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구동벨트를 포함함으로써,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대향되게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의 동시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구동 풀리는 제1 및 제2히전축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워엄기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과 구동 풀리는 소정의 이동경로에서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의 대향된 동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정렬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은 제1 및 제2워엄기어에 대하여 각각 각도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각축을 조정하기 위하여 결합가능한 축에 있는 슬롯과, 각각의 워엄기어에 대하여 각도상으로 있는 구동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를 제1이동테이블에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수단과, 제2벨트를 제2이동이블에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장착위치로의 제1 및 제2이동테이블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센서 수단은 제1이동테이블 위에 장착된 제1방향센서와, 제2이동테이블 위에 장착된 제2방향센서와, 상기 제1연결수단 위에 장착된 제1셔터수단과 제2연결수단 위에 장착된 제2셔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방향센서는 제1 및 제2셔터 각각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1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셔터수단은 제1방향센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2장착우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셔터수단은 제2방향센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센서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3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스토퍼걸쇠를 상기 스토퍼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편향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3장착위치로 이동한 후에 제1 및 제2벨트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연결수단에 제공된 리미터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1장착위치로부터ㅏ 제3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리미터스프링의 편향력은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제3장착위치에 보유하기 위하여 스토퍼걸쇠의 제1각이진 표면을 스토퍼에 대해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이 제2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리미터스프링의 편향력은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을 제3장착위치에 보유하기 위하여 스토퍼걸쇠의 제2각이진 표면을 스토퍼에 대해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4. 비교적 큰크기아, 중간크기 또는, 작은크기의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도록 채택된 릴 테이블 이동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크기, 중간크기 또는, 큰크기의 카세트를 지지하기 위한 릴 테이블 수단과, 상기 릴 테이블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가, 큰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위에 지지될 수 있는 제1장착위치와, 작은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에 지지될 수 있는 제2장착위치 및, 상기 제1장착위치와 제2장착위치 상이에 있으며 중간크기의 카세트가 릴 테이블 수단에 지지될 수 있는 제3장착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테이블수단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제1또는 제2장착위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의 이동가능한 테이블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하는 중간 스토퍼수단 및, 제1 및 제2장착위치중 하나로부터 제3장착위치로의 이동가능한 지지수단의 이동중에 상기 구동순단을 제어하기 위한 서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제어수단은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구동수단 사이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며 제1정상 위치와 제2편향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편향수단과, 상기 제2편향위치로의 편향수단의 편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이 이것의 제 정상위치에 있는 동안에, 상기 구동수단은 일정한 속도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서보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편향수단이 제2편향위치에 도달했음을 감지한 후에 상기 구동수단은 일정한 토오크에서 작동되도록 서보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리미터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테이블 이동장치.
KR1019900005949A 1989-04-27 1990-04-27 릴 테이블 이동 장치 KR0165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8164A JPH02285546A (ja) 1989-04-27 1989-04-27 リール台シフト装置の移動台位置決め機構
JP1-108164 1989-04-27
JP108164 1989-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85A KR900016985A (ko) 1990-11-15
KR0165539B1 true KR0165539B1 (ko) 1999-03-20

Family

ID=1447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949A KR0165539B1 (ko) 1989-04-27 1990-04-27 릴 테이블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2195A (ko)
EP (1) EP0395054B1 (ko)
JP (1) JPH02285546A (ko)
KR (1) KR0165539B1 (ko)
DE (1) DE690202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141A (en) * 1990-06-19 1994-05-24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accom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in a tape cassett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546443B2 (ja) * 1991-01-31 1996-10-2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リール台移動装置
JP3094611B2 (ja) * 1991-12-27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供給巻取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するテープカセット
US5901914A (en) * 1993-08-27 1999-05-1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permitting selective use of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JP2986318B2 (ja) * 1993-11-30 1999-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31389B1 (ko) * 1994-10-05 1999-11-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자기기록재생장치
KR0139746B1 (ko) * 1994-11-26 1998-07-15 이헌조 자기기록재생기의 이동요소 자동 이동장치
KR0170333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기의 릴 테이블 이동 메카니즘
KR0170334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기의 릴 브레이크 메카니즘
KR0183711B1 (ko) * 1995-05-18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기의 릴 테이블 이동 메카니즘
KR0170718B1 (ko) * 1995-12-27 1999-04-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JPH09274753A (ja) * 1996-04-04 1997-10-21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JPH09282752A (ja) * 1996-04-16 1997-10-31 Sony Corp カセット式記録再生装置
KR100238023B1 (ko) * 1997-02-14 2000-01-15 윤종용 자기기록재생기의릴및테이프카세트감지스위치이동장치
JP2001101736A (ja) * 1999-09-30 2001-04-13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68822B (it) * 1976-05-25 1985-03-21 Righi Nardino Un perfezionamento alla meccanica degli aparecchi elettrici automatici registratori e o riproduttori di suoni su nastro magnetico
JPS6040545A (ja) * 1983-08-12 1985-03-02 Sony Corp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095750A (ja) * 1983-10-28 1985-05-29 Sony Corp リ−ル台移動装置
JPS6292154A (ja) * 1985-10-17 1987-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ル台移動装置
JPH0648588Y2 (ja) * 1985-12-18 1994-12-12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位置決め装置
DE3626942A1 (de) * 1986-08-08 1988-02-11 Bosch Gmbh Robert Wickelvorrichtung fuer magnet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abmessungen
JPS63214959A (ja) * 1987-03-03 1988-09-07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セツト装着機構
JPH0654567B2 (ja) * 1987-07-22 1994-07-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US4918550A (en) * 1987-11-05 1990-04-17 Ampex Corporation Mis-insertion apparatus for a tape transport capable of receiving cassettes of varying sizes for play
US4873593A (en) * 1987-11-05 1989-10-10 Ampex Corporation Multi-cassette indexing mechanism for a tape transport
US4853805A (en) * 1987-11-05 1989-08-01 Ampex Corporation Multi-cassette indexing mechanism for a tape trans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5054A2 (en) 1990-10-31
EP0395054B1 (en) 1995-06-21
US5082195A (en) 1992-01-21
KR900016985A (ko) 1990-11-15
DE69020235D1 (de) 1995-07-27
EP0395054A3 (en) 1991-12-27
DE69020235T2 (de) 1995-11-02
JPH02285546A (ja) 199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539B1 (ko) 릴 테이블 이동 장치
US4984109A (en) Reel support positioning device for a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ccom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US4497001A (en) Auto-reverse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731582B2 (en) Disc drive apparatus utilizing opposable bases with adjustable proximity
US5475546A (en) Tape loading device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GB2116353A (en) Tape player auto-mode changing mechanism
US5062014A (en) Reversing device having change-over mechanism for pinch rollers in tape recorders
JP263141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583139A (en) Reversing tape recorder
US5465921A (en) Brake device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US5173817A (en) Tape engagement mechanism for magnetic cassette tape incorporating a bi-directional over running clutch and improved capstan pinch scheme
GB2194666A (en) Tape loading mechanism for a video tape recorder
US4739422A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5130973A (en) Disk player locking mechanism whose actuator is energized only during unlocking operation
JPS5826345A (ja) 磁気テ−プ装置
JP2581792B2 (ja) リール台移動装置
JPH0713067Y2 (ja) リ−ル台移動装置
US574840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cassette holder with guide pins
JP2581795B2 (ja) リール台移動装置
JPH0323511A (ja) 磁気テープ装置
JP2566291B2 (ja) リール台移動装置
JPH04180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