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279B1 -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279B1
KR0165279B1 KR1019930016233A KR930016233A KR0165279B1 KR 0165279 B1 KR0165279 B1 KR 0165279B1 KR 1019930016233 A KR1019930016233 A KR 1019930016233A KR 930016233 A KR930016233 A KR 930016233A KR 0165279 B1 KR0165279 B1 KR 016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ow
value
signal
conversion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55A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279B1/ko
Publication of KR94001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04N9/7925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for more than one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공통의 발진신호로부터 색부반송파 및 저역번환 색부반송파를 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신호변환을 행함을 륵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와 이에 소요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및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는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색부반송파 발생부; 색부반송파로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색신호를 복조하는 색복조부;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번환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 색복조부를 통하여 복조된 색신호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입력하여 저역변환된 색신호를 발생하는 색변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신호처리장치는 NTSC와 PAL방식의 색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공통의 발진신호를 사용하여 색신호처리를 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제1도는 비디오레코더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시하는 블록도이다.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에 저장된 값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6도는 NTSC방식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그리고 발진신호와의 관계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제7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8도는 PAL방식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그리고 발진신호와의 관계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동주파수제어회로 24 : 색부반송파 발생부
26 : 자동위상제어회로 28 : 색복조부
30 : 색처리부 32 : 색변조부
34 :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
본 발명은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통의 발진신호로부터 색부반송파 및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색신호처리를 행하는 색신호처리장치 및 이러한 색신호처리장치에 소요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및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는 저역변환 색신호 직접기록방식을 채용하는 표준기록방식(8밀리방식, VHS방식, 베타방식 등)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8밀리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레코더는 휘도신호는 저반송파 FM기록방식을, 색 신호는 저역변환 직접기록방식을 사용하여 기록한다. 이러한 신호기록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신호는 먼저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휘도신호는 저반송파의 FM변조파로 변환된다. 이때 비디오신호의 백레벨(white level)의 첨두치(white peak)및 동기신호의 선단(sync tip)에 상당하는 반송파의 주파수 선정은 S/N비에 관계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백레벨의 첨두치와 동기신호의 선단에 상당하는 반송파의 주파수차가 주파수편이이며, 이것을 다른 조건을 고려하여 될 수 있는 한 크게 해야 S/N을 좋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주파수편이는 복조한 후의 출력신호의 진폭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8밀리방식에서는 백레벨의 첨두치를 5.4MHz, 동기신호의 선단을 4.2MHz 즉 주파수편이를 1.2MHz로 하고 있다. VHS방식 및 베타방식에서는 각각 4.4MHz/3.4MHz와, 4. 8MHZ/3.6MHz이다.
비디오레코더에 있어서의 FM변조의 특징은 자기테이프와 비디오 헤드계의 전송대역이 좁아도 충실한 기록을 할 수 있고, 또 자기테이프와 비디오 헤드의 접촉상태가 약간 나쁜 경우라도 화질 자체가 그다지 나빠지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한편, 색신호(NTSC의 경우 3.58MHz±500KHz)는 휘도신호보다 낮은 743KHz의 주파수(VHS방식에서는 629KHz, 베타방식에서는 688KHz)로 변환되며 AM변조로 직접 기록된다. 이와 같이 휘도신호에 대하여 저역쪽으로 변환된 색신호를 저역변환 색신호라고 부른다. 또 저역쪽으로 변환된 색부반송파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라고 부른다.
색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는 이유는 기록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점도 있지만 색신호는 원래 위상변조파이므로 자기테이프와 비디오 헤드계의 주행 불균일에 의한 지터(jitter)에 의해 영향받기 쉬운데, 낮은 주파수로 변환함으로써 같은 량의 지터에 대하여 위상변동을 적게할 수 있어 색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저역변환 색신호는 휘도신호인 저반송파 FM신호와 합성되어 비디오 헤드에 공급되고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 이때 저반송파 FM신호가 저역변환 색신호에 대해서 교류바이어스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비디오신호의 기록에 있어 무바이어스 기록이 가능하다. 그리고 재생할 때는 원래의 신호로 되돌리기 위해 기록할 때와 반대의 변환을 행한다.
종래의 저역변환 색신호 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ator)를 이용하여 Fscu(Fscu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로서 NTSC의 경우 47.25Fh이고, PAL의 경우 46 7/8Fh이다. 여기서 Fh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자동주파수제어(Auto Frequency Control; 이하 AFC라 한다)회로에서의 발진출력과 Fsc(Fs는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로서 NTSC의 경우는 455/2Fh이고, PAL의 경우는 (284 - 1/4+1/625)Fh이다)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국부발진기(주로 안정성이 좋은 VXO가 사용된다)의 발진출력을 부변환기(subconvertor)에서 합성시켜 Fsc+Fscu의 신호를 얻고, 이를 주변환기(main convertor)에서 Y/C분리된 색신호 즉, Fs에 변조된 색신호와 합성하고, 이들의 차의 주파수로서 저역변환된 색신호를 얻는다.
따라서, 종래의 저역변화 색신호 형성장치에서는 AFC회로에 소요되는 VCO와 국부발진기가 필요하게 된다.
더우기, NTSC방식 및 PAL방식의 색부반송파 및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상호 정수배의 관계를 갖지 못하므로 NTSC방식과 PAL방식을 겸용하는 비디오레코더는 각각의 방식마다 별도의 VCO 및 VXO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TSC방식과 PAL방식을 겸용하는 비디오레코더에 있어서 공통의 발진신호로서 NTSC방식의 색신호 및 PAL방식의 색신호를 처리하는 개선된 저역변환 색신호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의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및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통의 발진신호를 사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및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 형성장치는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자동주파수제어회로;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색부반송파 발생부;
색부반송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로 상기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복조하는 색복조부;
색복조부를 통하여 복조된 색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색처리부;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 및
색처리부를 통하여 처리된 색신호를 상기 색부반송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로 변조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발생하는 색변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의 일실시예는
1수평 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Fs)를 결정하고, 저역변환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스(Fs)를 결정하고,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ro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하는 제1과정과;
Fs개의 발진신호마다 상기 룩업테이블을 Fscu회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Fs개의 발진신호마다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를 결정하고, Fs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cu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하는 제1과정과;
1수평주사선의 주기로 발진신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Fs개의 발진신호마다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의 일실시예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발진신호의 주파수(Fs)로 균등표본화한 표본값을 표본화 순서에 따라 저장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과;
N개의 발진마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을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의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의 관계에 따라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한 표본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1수평 주사선의 주기로 발진신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여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 및
영역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비디오레코더의 신호처리를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지탈처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되는 장치는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회로, 휘도/색도(Y/C)신호의 분리회로, 비선형엠퍼시스(non-linear ephasis)와 엠퍼시스(emphasis)와 클립(clip)과 FM변조처리등을 포함하는 Y신호 기록처리회로, 색신호를 저역주파수로 주파수변환 하는 등의 색신호 기록처리회로, FM변조된 Y신호(FM-Y))와 저역변환 색신호(C')를 중첩하는 혼합기, D/A변환기, 기록증폭기, 및 기록재생헤드를 통하여 테이프에 기록한다.
한편,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는 기록재생헤드, 기록증폭기, 픽업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A/D변환기, FM변조처리된 휘도(FM-Y)로부터 휘도신호를 재생하는 휘도신호 재생처리회로, 저역변환된 색신호(C')로부터 색신호를 재생하는 색신호 재생처리회로, 재생된 휘도신호(Y) 및 색신호(C)를 혼합하는 혼합기, 및 D/A변환기를 통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회로의 블럭도로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색신호를 저역변환 색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변조하여 색신호를 재생하거나 그 역의 동작을 행하는 기술과 테이프에의 기록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기 위해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PI(Phase Invert), PS(Phase Shift)처리하는 기술은 공지의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이를 생략한다.
제2도에 보여지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는 AFC(20), 색부반송파 발생부(24), 자동위상제어(Auto Phase Control; 이하 APC라 함)회로(26), 색복조부(28), 색처리부(30), 저역변환 변조부(32) 그리고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를 포함한다.
AFC(20)는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ed Oscillator: 이하 VCO라 함)(20a), 1/N분주기(20b), 비교기(20c), 그리고 저역통과여파기(206)를 구비한다.
VCO(20a)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그 발진주파수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의 VCO(20a)는 CCIR((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ie Commitee) 권고 601호의 NTSC/PAL공용의 주파수인 27MHz의 주파수로 발진한다. VCO(20a)에서의 발진출력은 1/N분주기(20b)에 의해 분주되어 비교기(20c)의 일측입력단자로 공급된다. 여기서, 1/N분주기(20c)의 분주비 N은 NTSC일 경우에는 1값6, PAL일 경우에는 1728이다.
한편, 비교기(20c)의 타측입력단자에는 동기분리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Fh)가 공급된다. 비교기(20c)는 그의 두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그 값에 해당하는 전압(에러전압)을 출력한다. 에러전압은 저역통과여파기(206)에서 평활되고, VCO(20a)에 궤환되어 발진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하게 된다.
AFC(20)의 VCO(20a)에서 발생되는 발진신호는 복합영상신호를 샘플링하는 A/D변환기의 클럭신호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색부반송파 발생부(24) 및 저역변환 색부반송파(34)의 클럭신호로도 공급된다.
색부반송파 발생부(24)는 AFC(20)에서 제공되는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를 형성하여 APC회로(26)에 제공한다.
APC회로(26)는 색부반송파 발생수(24)에서의 색부반송파를 복합영상 신호중의 버스트신호의 위상과 일치되도록 조정하여 색복조부(28)에 공급한다.
색복조부(28)는 색부반송파 발생부(24)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이용하여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색신호를 복조하고, 이를 색처리(30)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변조기(28a)(28b)를 구비한다.
색처리부(30)는 변조기(28a)(28b)에서 제공되는 색차신호(R-Y/B-Y, PAL방식일 경우에는 U/V)를 저역여파하는 저역통과필터(30a)(30b) 그리고 저역여파된 색차신호를 입력하여 레벨조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색변조부(32)로 출력하는 색신호처리부(30c)를 포함한다.
색변조부(32)는 변조기(32a)(32b) 및 혼합기(32c)를 포함하며, 색신호처리부(30c)에서 제공되는 색차신호를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에서 제공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로 변조하여 저역변환 색신호를 발생한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는 AFC(20)에서 제공되는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여 색변조부(32)에 제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신호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색신호를 저역변환 색신호로 형성하거나 그 역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동일의 동작을 하는 것은 동일의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와 비교할 때 절환회로(25a)(25b)를 더 구비하고 있다는 점만이 다를 뿐이다.
색신호를 저역변환 색신호로 변환할 때 즉, 기록시에는 제1절환회로는 색부반송파 발생부(24)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선택하여 색복조부(28)에 제공하며, 제2절환회로(25b)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선택하여 색변조부(32)에 제공한다. 그 결과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색신호가 저역변환되어 출력된다.
저역변환 색신호를 색신호로 변환할 때 즉, 재생시에는 제1절환회로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선택하여 색복조부(28)에 제공하며, 제2절환회로(25b)는 색부반송파 발생부(24)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를 선택하여 색변조부(32)에 제공한다. 그 결과 저역변환된 색신호가 색신호로 복조되어 출력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색부반송파 발생부(24) 및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색부반송파를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의 원리로서 적용될 수 있다.
8밀리 혹은 하이밴드(Hi-Band) 방식의 비데오레코더에 있어서 NTSC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n) 및 PAL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p)의 주파수는 각각의 수평동기주파수를 Fh라 할때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Fscun은 NTSC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이고,
Fscup는 PAL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이다.
이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n, Fscup)들은 수평동기주파수(Fh)에 동기된 값이다. 그런데 식(1) 및 (2)에 보여지는 바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수평주파수에 데하여 정수값으로서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발진신호의 주파수 Fs(NTSC의 경우는 858Fh이고, PAL의 경우는 864Fh)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NTSC방식의 경우;
여기서, Ts는 A/D변환주파수Fs의 주기이고,
Tscun는 NTSC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n)의 주기이고,
Tscup는 PAL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Fscup)의 주기이다.
즉, Fs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는 식(4) 및 (6)의 관계를 가져야 하는 데, 이는 카운터등의 로직회로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수평주파수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M)와 발진신호의 주파수(N)를 결정하고 M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N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한다.
둘째, 발진신호를 계수하여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한다.
셋째,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여 N개의 발진신호마다 M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형성방법의 제1실시예는 식(4) 혹은 (6)을 2의 멱수(power)에 대한 관계식으로 치환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NTSC방식의 경우 식(4)에서 분모 1144를 2048(=211)로 놓게되면 분자 63은 112*(l12/143)가 된다. 마찬가지로 PAL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식(6)의 분모 2304를 2048로 놓으면 분자 125는 111*(16/144)로 놓을 수 있다.
즉, NTSC방식의 경우 발진신호 2048주기동안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는 1125(l12/143)주기만큼 발생하는 것이 된다. 이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1주기를 2048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했을 때 발진신호가 112*(l12/143)개의 표본점마다 발생되도록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1주기에 해당하는 정현파형을 2048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그 표본값들을 순차적인 어드레스를 갖도록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고, 발진신호의 1주기마다 독출어드레스를 111*(l12/143)만큼 증가시켜가며 독출하면 정확하게 수평동기주파수에 동기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독출어드레스가 l12*(l12/143)로 양자화되어 있으므로 실제의 어드레스와의 사이에 소수점으로 표현되는 오차가 발생한다. 이는 발진신호의 각 주기에 있어서 양자화된 어드레스 112*(l12/143)을 누산하고, 누산된 값에서 몫만을 취하게 함으로서 해소된다. 또한, 오차값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므로 실용상 지장을 주지 않는다.
정현파형은 그 값의 1/4주기만 있으면 나머지의 3/4주기는 쉽게 구할 수 있다. 즉, 정현파형을 90°를 주기로 4등분하였을 때, 2/4주기의 파형은 1/4주기의 파형을 역(reverse)으로 읽어내고, 3/4주기 및 4/4주기의 파형은 1/4주기 및 2/4주기와 동일하게 독출하되 그 부호(sine)만을 달리하면 된다. 따라서, 기 억장소에 저장되는 정현파형은 그 1/4주기값만이 저장되어도 되므로 기억공간이 절약된다.
정현파형을 2048개의 표본값으로 표본화하므로 1/4주기마다 512개의 표본화가 행해진다. 이 경우 표본화 갯수가 짝수이므로 표본화거리를 등간격으로 하여 0° 혹은 90° 에 해당하는 값이 표본화되지 않게 한다.
이는 파형값을 역으로 읽을 때 발생하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4도의 구성에 의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는 어드레스 발생부(40)와 저역변환 반송파 발생용 롬(Read Only Memory)(42)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발생부(40)는 제1가산기(44a), 제1모듈로연산기(44b), 제2가산기(44c), 제3가산기(446), 제2모듈로연산기(44e), 상수발생기(44f)(44g)를 구비하는 누산부(44)와 어드레스 조합부(46)를 포함한다.
제4도의 구성에 의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동작을 NTSC방식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가산기(44a)와 제1모듈로 연산기(44b)는 식(4)에 있어서 나머지부분(l12/143)에 대한 연산을 행한다. 제1가산기(44a)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상수발생기(44f)에서 발생되는 분자값 112가 인가되며 타측입력단자에는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궤환값이 인가된다. 여기서 상수발생기(441)는 NTSC일 경우에는 상수 112를 발생하고, PAL일 경우에는 16을 발생한다.
제1가산기(44a)는 그에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분자값 112와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궤환값의 합을 구하고, 이를 제1모듈로 연산기(44b)로 출력한다. 제1모듈로 연산기(44b)는 그의 클럭단자에 발진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그에 입력되는 값을 검사하여, 지정된 모듈로값 이상일 경우에는 캐리(carry)를 발생하여 제1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하는 한편 입력되는 값에서 모듈로값을 감산한 값을 제2출력단자를 통하여 궤환값으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제1모듈로 연산기(44b)의 모듈로값은 식(3)의 나머지부분의 분모간 143(PAL방식일 경우에는 144이다)이고, 클럭신호로서는 발진신호가 인가된다.
제2가산기(44c)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제1모듈로 연산기(44b)로 부터의 캐리값이 인가되며 타측입력단자에는 상수발생기(44g)에서 발생된 몫의 값 112가 인가된다. 여기서 상수발생기(449)는 NTSC일 경우에는 상수 112를 발생하고, PAL일 경우에는 111을 발생한다.
제2가산기(44c)는 그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제1모듈로 연산기(44b)로부터의 캐리값과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식(3)의 몫 112와의 합을 발생하여 제3연산기(444)로 출력한다.
제3가산기(446)와 제2모듈로 연산기(44e)는 어드레스 연산을 행한다. 제1가산기(446)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제2가산기(44c)에서의 출력값이 인가되며, 타측입력단자에는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궤환값이 인가된다. 제3가산기(444)는 그에 인가되는 제2가산기(44c)에서의 출력값과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궤환값의 가산값을 발생하여 제2모듈로 연산이(44e)로 출력한다 제2모듈로 연산기(44e)는 그의 클럭단자에 발진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그에 입력되는 값을 검사하여, 그에 입력되는 TA에서 모듈로값을 감산한 값을 궤환값으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어드레스 조합부(46)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모듈로 연산기(44e)의 모듈로값은 표본화 갯수 2048이고, 클럭신호로서는 발진신호가 인가된다.
어드레스 조합부(46)는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어드레스 값을 입력하고,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용 롬(42)에 적합한 독출어드레스와 부호값을 발생한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는 1/4주기의 정현파형을 표본화한 값이 저장되어 있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는 그에 입력되는 독출어드레스에 상응하는 기억장소의 값을 독출하여 출력한다.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에서의 출력값과 어드레스 조합부(46)에서의 부호값을 합성함에 의하여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어드레스 값에 상응하는 표본값을 얻는다.
제5도는 제4도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에 저장된 값을 보이는 도면이다. 1/4주기의 정현파형을 512개로 표본화하면 표존본값을 역으로 읽을 때 0° 혹은 90° 에 해당하는 값이 한번 더 읽혀지게 되는 에러(end-effect)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1/4주기의 정현파형을 1024개로 표본화하고 그 중에서 홀수번째의 값만을 취하면 0° 와 90° 에 해당하는 값이 샘플링되지 않게되어 end-effect를 없앨 수 있다.
어드레스 조합부(46)에 있어서, 그에 입력되는 어드레스값이 1/4주기에 해당하면 어드레스값을 그대로 출력시키며 2/4주기에 해당하는 값이면 2/4주기의 최종어드레스값인 1024로부터 감한 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3/4주기 및 4/4주기에 해당하는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1/4주기 및 2/4주기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출력하되 부호값은 반전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1주기의 정현파형마다 반복한다.
본 발명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형성방법의 제2실시예는 수평동기주파수(Fh)를 공유하는 것에 관계된다.
NTSC방식의 경우 식(3)에서 공통분모인 Fh에 대하여 858개의 발진신호와 47.25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대응한다 즉, 47.25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858개의 표본화 갯수로 표본화했을 때 발진신호가 47.25/858=0.0550699마다 발생하도록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47.25주기에 해당하는 정현파형을 858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그 표본값들을 순차적인 어드레스를 갖도록 ROM(Read Only moly)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고, 발진신호의 1주기마다 독출어드레스를 하나씩 증가시켜가며 독출하면 정확하게 수평동기주파수에 동기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4도의 구성에 의한 동작에 있어서, PAL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어드레스 발생부(40)의 제1가산기(44a)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값은 식(6)의 나머지항의 분자 16이 되고, 제1모듈로 가산기(44b)의 모듈로값은 식(6)의 나머지의 분모 144가 되며 제2가산기(44c)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값은 식(6)의 몫 111이 된다.
제6도는 NTSC방식의 수평동기신호(Fh),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그리고 발진신호의 관계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제6도에 보여지는 것처럼 수평동기신호의 1주기(이하 1H라 함)내에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47.25번 반복되는데 종료되는 점이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1/4주기 즉 90°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두번째의 1H기간동안에는 룩업테이블의 값을 역으로(reverse) 독출하고, 3번째 1H 기간동안에는 룩업테이블의 값을 처음부터 읽어내면서 부호값만을 역으로 취하고 마지막 4번째 1H기간동안에는 2번째 1H기간동안에서와 같이 읽어내면서 부호값을 역으로 취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을 4H마다 반복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7도의 구성에 의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는 어드레스 발생부(50), 영역판별부(52) 그리고 출력부(54)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발생부(50)는 제1모듈로 카운터(50a)와 어드레스 반전기(50b) 그리고 제1멀티플렉서(50c)를 포함한다. 제1모듈로카운터(50a)는 NTSC방식일 경우에는 모듈로858의 연산을 행하고, PAL방식일 경우에는 모듈로864의 연산을 행한다.
영역판별부(52)는 제2모듈로 카운터(52a)와 디코더(52b)를 포함한다. 제2모듈로카운터(52a)는 NTSC방식일 경우에는 모듈로4의 연산을 행하고, PAL방식일 경우에는 모듈로8의 연산을 행한다.
출력부(54)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 인버터(54b) 그리고 제2멀티플렉서(54c)를 포함한다.
제7도의 구성에 의한 동작을 NTSC방식의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어드레스 발생부(50)의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클럭단자에는 제2도의 AFC(20)에서 발생되는 발진신호가 인가되고 리세트단자에는 수평동기신호(Fh)가 인가된다. 제1모듈로 카운터(50a)는 그에 입력되는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어드레스 반전기(50b)및 제1멀티플렉서(50c)의 일측입력단자로 출력하고, 카운트값이 모듈로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리세트된 값으로부터 카운터를 재개한다. 여기서 모듈로값은 858이다.
제1모듈로 카운터(50a)는 리세트단자에 인가되는 수평동기신호(Fh)의 리딩 엣지(leading edge)에서 리세트된다.
어드레스 반전기(50b)는 그에 입력되는 값을 제1모듈로 카운터의 모듈러값에 대한 보수값으로 형성하고 이를 제1멀티플렉서(50c)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제1멀티플렉서(50c)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출력이 인가되며 타측입력단자에는 어드레스 반전기(50b)의 출력이 인가된다. 제1멀티플렉서(50c)는 그의 선택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그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출력 혹은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어드레스 반전기(50b)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부(54)로 출력한다. 제1멀티플렉서(50c)의 선택입력단자에는 영역판별부(52)에서의 제1영역신호(51)가 인가된다.
영역판별부(52)의 제2모듈로 카운터(52a)의 클럭단자에는 수평동기 신호(Fh)가 인가된다. 제2모듈로 카운터(50b)는 그에 입력되는 발진신호를 카운트하여 디코더(52b)로 출력하고, 카운트값이 모듈로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리세트된 값으로부터 카운트를 재개한다. 여기서 모듈로값은 4이다.
디코더(52b)는 제2모듈로 카운터(52a)에서의 카운트값을 입력하여 첫번째와 두번째의 수평동기신호(Fh)를 지정하는 제1영역신호(S1)과 세번째와 네번째의 수평동기신호(Fh)를 지정하는 제2영역신호(S2)를 발생한다. 제1영역신호(S1)는 어드레스 발생부(50)의 제1멀티플렉서(50c)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며, 제2영역신호(S2)는 출력부(54)의 제2멀티플렉서(54c)의 선택단자에 인가된다.
출력부(54)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어드레스로서 제1멀티플렉서(50c)에서의 출력신호가 인가된다. 저역변환 반송파 발생용 롬(54a)는 그에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의 값을 독출하여 제2멀티플렉서(54c)의 일측입력단자 및 인버터(54b)로 출력한다.
인버터(54b)는 그에 입력되는 값을 반전하여 제2멀티플렉서 (54c)의 타측입력단자로 출력한다.
제2멀티플렉서(54c)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저역변환 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이 인가되고 타측입력단자에는 인버터(54b)의 출력이 인가된다. 제2멀티플렉서(54c)는 그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그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 혹은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인버터(54b)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멀티플렉서(54c)의 선택단자에는 디코더(52b)의 제2영역신호(S2)가 입력된다.
제7도의 구성에 의한 동작에 있어서, PAL방식의 경우에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에서의 룩업테이블 구성이 다로 달라지지만 전체적인 동작은 NTSC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식(5)에 보여지는 것처럼 1H에 대하여 864개의 발진신호와 46.875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대응하므로 이에 따라 표본화상태가 달라진다.
제8도는 PAL방식에 있어서 수평동기신호(Fh),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그리고 발진신호와의 관계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제8도에 보여지는 것처럼 1H내에 저역변환 색부반송파가 46.875번 반복되는데 종료되는 점이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7/8주기 즉 315 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제1모듈로 카운터(50a)와 제2모듈로 카운터(52a)의 모듈로값은 각각 864와 8이 되고, 이에 대응하여 디코더(52b)가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신호처리장치는 공통의 발진신호를 사용하여 색신호처리를 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는 기본파형을 롬에 기억시키고 이를 주기적으로 독출함에 의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므로 발진신호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비에 상관없이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롬에 기억된 기본파형의 표본화 상태를 변화시킴에 의해 NTSC방식과 PAL방식을 겸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신호처리 분야에 익숙한 자는 본 명세서에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였지만 동일한 원리로서 색부반송파를 형성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발생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자동주파수제어회로(20); 상기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20)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색부반송파 발생부(24); 상기 색부반송파 발생부(24)에서 발생된 색부반송파로 상기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복조하는 색복조부(28); 상기 색복조부(28)를 통하여 복조된 색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색처리부(30); 상기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20)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 및 상기 색처리부(30)를 통하여 처리된 색신호를 상기 색부반송파 발생부(34)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로 변조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발생하는 색변조부(32)를 포함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2. 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발생하거나 그 역의 동작을 수행하는 저역 변환 색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자동주파수제어회로(20), 상기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20)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색부반송파 발생부(24); 상기 자동 주파수 제어 회로(20)에서 발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발생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 상기 색부반송파로 상기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복조 하거나 상기 저역 변환 색부 반송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로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복조하는 색복조부(28); 상기 색복조부(28)를 통하여 복조된 색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색처리부(30); 상기 색처리부(30)를 통하여 처리된 색신호를 상기 색부반송파 발생부(34)에서 발생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로 변조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색신호를 발생하는 색변조부(32); 상기 색부반송파와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색복조부에 제공하는 제1절환부(25a); 및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와 상기 색부반송파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색변조부에 제공하는 제2절환부를 포함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부(34)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발진신호의 주파수(Fs)로 균등표본화한 표본값을 표본화 순서에 따라 저장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 Fs개의 발진신호마다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을 1수평주사선의 추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의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은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 에서 90°까지를 Fs/4회 표본화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발생부(40)는 매 발진신호마다Fscu/Fs을 누산하는 누산부(44); 상기 누산부(44)의 출력을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에 적합한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 조합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44)는 상기 Fscu/Fs의 결과치를 몫과 나머지으로 분리하고 다시 나머지를 분자과 분모로 분리할 때, 상기 분자값을 발생하는 제1상수발생부(44f); 상기 몫값을 발생하는 제2상수발생부(44g); 매 발진신호마다 상기 제1상수발생부(44f)에서 발생되는 분자간과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궤환값을 가산하는 제1가산기(44a); 상기 제1가산이(44a)의 가산출력을 상기 분모값으로 모듈로연산하여 캐리값을 제2가산기(44b)로 출력하고, 나머지를 제1가산기의 궤환값으로 제공하는 제1모듈로 연산기(44b); 상기 제2상수발생부(44g)에서 발생되는 몫과 상기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캐리를 가산하는 제2가산기(44c); 상기 제2가산기(44c)의 가산출력과 제2모듈로 연산기(44e)의 나머지를 가산하는 제3가산기(44d); 그리고 상기 제3가산기(44d)의 가산출력을 Fs의 값으로 모듈로연산하여 그 나머지를 어드레스로서 제3가산기(44d) 및 상기 어드레스 조합부(46)로 출력하는 제2모듈로연산기(44e)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조합부(46)는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부터 90°까지의 제1영역과 91°부터 180°까지의 제2영역과 181°부터 270°까지의 제3영역 그리고 271°부터 360°까지의 제4영역으로 분할하였을 경우, 상기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나머지값이 제1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누산된 값을, 제2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4로 보수화한 값을, 제3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를 감한 값을, 제4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에 대한 보수값을 각각의 독출어드레스로서 출력하며, 제1영역과 제2영역 그리고 제3영역과 제4영역에 있어서 반전된 비트를 갖는 부호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는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의 관계에 따라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한 표본값을 출력하는 출력부(54); 1수평주사선의 주기로 발진신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50); 그리고 영역판별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50)는 상기 발진신호를 Fs의 모듈로값으로 계수하는 제1모듈로 카운터(50a); 상기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계수간을 Fs으로 보수화하여 출력하는 어드레스 반전기(50b) 그리고 그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는 제1영역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출력 혹은 상기 어드레스 반전기(50b)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52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판별부(52)는 수평동기신호를 4의 모듈로값으로 계수하는 제2모듈로 카운터(52a); 상기 제2모듈로 카운터(52a)의 출력을 입력하여 각 수평주사선 주기에 있어서의 반전된 비트값을 갖는 제1영역신호와 첫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에서의 시작어드레스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0°위치라고 할 때 첫번째와 두번째의 수평주사선과 세번째와 네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동안에는 서로 반전된 비트를 갖는 제2영역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52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4)는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의 관계에 따라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한 표본값을 표본화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54b); 및 그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는 제2영역신호에 따라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 혹은 상기 인버터(546)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54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12.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1수평 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를 결정하고,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하는 제1과정; Fs개의 발진신호마다 상기 룩업테이블을 Fscu회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제2과정; 그리고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Fs개의 발진신호마다 Fscu개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룩업테이블이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 에서 90°까지를 Fs/4회 표본화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매 발진신호마다 Fscu/Fs을 누산하여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누산된 값을 정수연산하여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6. 제13항 혹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부터 90°까지의 제1영역과 91°부터 180°까지의 제2영역과 181°부터 270°까지의 제3영역 그리고 271°부터 360°까지의 제4영 역으로 분할하였을 경우, 상기 누산된 값이 제1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누산된 값을, 제2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4로 보수화한 값을, 제3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를 감한 값을, 제4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에 대한 보수값을 각각의 독출어드레스로서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7. 제12항 혹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부터 90°까지의 제1영역과 91°부터 180°까지의 제2영역과 181°부터 270°까지의 제3영역 그리고 271° 부터 360°'까지의 제4영역으로 분할하였을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된 값을 출력하고, 제3영역과 제4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된 값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18.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를 결정하고,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하는 제1과정; Fs개의 발진신호마다 상기 룩업테이블을 Fscu회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제2과정; 그리고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Fs개의 발진신호마다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게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을 포함하는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방법.
  19.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발진신호의 주파수(Fs)로 균등표본화한 표본값을 표본화 순서에 따라 저장한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 Fs개의 발진신호마다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을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의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독출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은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 에서 90°까지를 Fs/4회 표본화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발생부(40)는 매 발진신호마다 Fscu/Fs을 누산하는 누산부(44); 상기 누산부(44)의 출력을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42)에 적합한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 조합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
  22. 상기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부(44)는 상기 Fscu/Fs의 결과치를 몫과 나머지으로 분리하고 다시 나머지를 분자과 분모로 분리할 때, 상기 분자값을 발생하는 제1상수발생부(44f); 상기 몫값을 발생하는 제2상수발생부(44g); 매 발진신호마다 상기 제1상수발생부(44f)에서 발생되는 분자값과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궤환값을 가산하는 제1가산기(44a); 상기 제1가산기(44a)의 가산출력을 상기 분모값으로 모듈로연산하여 캐리값을 제2가산기(44b)로 출력하고, 나머지를 제1가산기의 궤환값으로 제공하는 제1모듈로연산기(44b); 상기 제2상수발생부(44g)에서 발생되는 몫과 상기 제1모듈로 연산기(44b)에서의 캐리를 가산하는 제2가산기(44c); 상기 제2가산기(44c)의 가산출력과 제2모듈로 연산기(44e)의 나머지를 가산하는 제3가산기(44d); 그리고 상기 제3가산기(44d)의 가산출력을 Fs의 값으로 모듈로연산하여 그 나머지를 어드레스로서 제3가산기(44d) 및 상기 어드레스 조합부(46)로 출력하는 제2모듈로연산기(44e)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조합부(46)는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기본파형을 0°부터 90°까지의 제1영역과 91°부터 180°까지의 제2영역과 181°부터 270°까지의 제3영역 그리고 271° 부터 360°까지의 제4영 역으로 분할하였을 경우, 상기 제2모듈로 연산기(44e)에서의 나머지값이 제1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누산된 값을, 제2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4로 보수화한 값을, 제3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를 감한 값을, 제4영역의 어드레스일 경우는 Fs/2에 대한 보수값을 각각의 독출어드레스로서 출력하며, 제1영역과 제2영역 그리고 제3영역과 제4영역에 있어서 반전된 비트를 갖는 부호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장치.
  24.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를 결정하고,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하여 룩업테이블로 저장하는 제1과정; 1수평주사선의 주기로 발진신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제2과정; 그리고 상기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본값을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출력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Fs개의 발진신호마다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각 수평주사선 주기에 있어서의 상기 어드레스 순서가 전회의 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있어서의 그것과 역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TSC방식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26. 제24항 혹은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첫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에서의 시작어드레스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0°위치라고 할 때, 첫번째와 두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에서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된 값을 출력하며, 세번째와 네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동안에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독출된 값의 부호를 반전시켜 출력함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형성방법.
  27.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의 관계에 따라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한 표본값을 출력하는 출력부(54); 1수평주사선의 주기로 발진신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여 상기 룩업테이블에 제공되는 독출어드레스를 형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50); 그리고 영역판열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발생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50)는 상기 발진신호를 Fs의 모듈로값으로 계수하는 제1모듈로 카운터(50a); 상기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계수값을 Fs으로 보수화하여 출력하는 어드레스 반전기(50b); 그리고 그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는 제1영역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듈로 카운터(50a)의 출력 혹은 상기 어드레스 반전기(50b)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52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판별부(52)는 수평동기신호를 4의 모듈로값으로 계수하는 제2모듈로 카운터(52a); 상기 제2모듈로 카운터(52a)의 출력을 입력하여 각 수평주사선 주기에 있어서의 반전된 비트값을 갖는 제1영역신호와 첫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에서의 시작어드레스가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0°위치라고 할 때 첫번째와 두번째의 수평주사선과 세번째와 네번째의 수평주사선 주기동안에는 서로 반전된 비트를 갖는 제2영역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52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54)는 1수평주사선의 주기에 상응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scu)와 발진신호의 주파수(Fs)의 관계에 따라 Fscu개의 저역변환 색부반송파를 균일한 간격을 갖는 Fs개의 표본점으로 표본화한 표본값을 표본화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54b); 그리고 그의 선택단자에 인가되는 제2영역신호에 따라 상기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용 롬(54a)의 출력 혹은 상기 인버터(546)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54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변환 색부반송파 발생장치.
KR1019930016233A 1992-11-27 1993-08-20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KR016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233A KR0165279B1 (ko) 1992-11-27 1993-08-20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2571 1992-11-27
KR920022571 1992-11-27
KR1019930016233A KR0165279B1 (ko) 1992-11-27 1993-08-20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55A KR940012355A (ko) 1994-06-23
KR0165279B1 true KR0165279B1 (ko) 1999-03-20

Family

ID=193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233A KR0165279B1 (ko) 1992-11-27 1993-08-20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94197A (ko)
EP (1) EP0599663B1 (ko)
JP (1) JP2779311B2 (ko)
KR (1) KR0165279B1 (ko)
CN (1) CN1042086C (ko)
DE (1) DE69326121T2 (ko)
RU (1) RU211927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108A (en) * 1993-08-18 1996-05-07 Samsung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automatic frequency control method and circuit therefor
US5880941A (en) * 1994-12-22 1999-03-09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toring a vertical resolution signal
DE19506595C1 (de) * 1995-02-24 1996-02-01 Schneider Rundfunkwerke Ag Verfahren zur Farbtransformation und ein Farbvideosystem
JP3953124B2 (ja) * 1996-05-13 2007-08-08 ロー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ラーエンコーダ
US5786866A (en) 1996-10-15 1998-07-2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color subcarrier signal generator
JPH10243417A (ja) * 1997-02-27 1998-09-11 Sanyo Electric Co Ltd クロマ信号記録回路
JP3223127B2 (ja) * 1997-02-27 2001-10-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ルパルス発生器及びこれを用いたクロマ信号記録回路
JP2001095005A (ja) * 1999-09-20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発生回路
US6943847B2 (en) * 2001-08-31 2005-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M demodulator for SECAM decoder
CN110764439B (zh) * 2018-07-25 2022-09-06 上海英威腾工业技术有限公司 伺服驱动脉冲输出分频器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5821B2 (ja) * 1983-10-07 1998-08-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信号発生回路
JPS60239192A (ja) * 1984-05-14 1985-11-28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Fm信号発生装置
JPS62126794A (ja) * 1985-11-27 1987-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色信号処理装置
KR910001653B1 (ko) * 1986-05-14 1991-03-16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영상신호 합성장치
JPH0683067B2 (ja) * 1987-10-13 1994-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周装置
EP0329812B1 (de) * 1988-02-26 1992-05-06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Digitalschaltung eines Videobandrecorders
EP0486851A3 (en) * 1990-11-19 1993-04-07 Tektronix Inc. Direct digital synthesizer with feedback shift regi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9663A3 (en) 1995-01-18
EP0599663A2 (en) 1994-06-01
US5394197A (en) 1995-02-28
CN1091576A (zh) 1994-08-31
JP2779311B2 (ja) 1998-07-23
CN1042086C (zh) 1999-02-10
DE69326121D1 (de) 1999-09-30
EP0599663B1 (en) 1999-08-25
RU2119271C1 (ru) 1998-09-20
KR940012355A (ko) 1994-06-23
JPH06225335A (ja) 1994-08-12
DE69326121T2 (de)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279B1 (ko) 저역변환 색신호 처리장치
US4701871A (en) Signal generator using digital memory
JPS6222318B2 (ko)
US4490749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US5500739A (en) Frequency-multiplexing FM luma signal with color and 2nd under signals having overlapping frequency spectra
US3681518A (en) Color video signal correction system
US4593327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US4646165A (en) Chrominance signal recording apparatus utilizing digital sampling and quantizing techniques
US5185657A (en) Color signal processing circuit with residual phase error correction
EP0161810B1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74887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430700B1 (ko) 색신호처리용회로장치및비디오레코더
JP3323773B2 (ja) Vtr用信号処理回路
KR0142291B1 (ko)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US5130787A (en) Color signal processing circuit with residue phase error correction
US4864422A (en) Processor for video signals obtained from an information carrier such as a magnetic tape
US4769720A (en) Processor for video signals obtained from an information carrier such as a magnetic tape
JP312910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EP0456501B1 (en) Pilot signal eliminating circuit
JP3081350B2 (ja) 色信号用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回路
JPS5832835B2 (ja) ラインオフセツトを有する搬送波信号形成回路
JPS585633B2 (ja) キロクサレタカラ−ビデオシンゴウノ サイセイソウチ
JP3132292B2 (ja) 色信号処理装置
JP3082514B2 (ja) 再生信号処理装置
JPH05289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