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398B1 - 도어 글래스 런 - Google Patents

도어 글래스 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398B1
KR0163398B1 KR1019950034314A KR19950034314A KR0163398B1 KR 0163398 B1 KR0163398 B1 KR 0163398B1 KR 1019950034314 A KR1019950034314 A KR 1019950034314A KR 19950034314 A KR19950034314 A KR 19950034314A KR 0163398 B1 KR0163398 B1 KR 016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door
glass run
protrus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618A (ko
Inventor
백승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3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398B1/ko
Publication of KR97002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런(10)에 관한 것이다. 도어 글래스(24)의 상단부면에 대응되는 도어 글래스 런(10)의 바닥면에 돌기부(18)가 형성되고, 도어글래스(24)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18)가 상기 도어 글래스(24)의 상단부면에 압축적으로 접촉된다.

Description

도어 글래스 런
제1(a)도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b)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1(a)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내부에 제공되는 돌기부가 도어 글래스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글래스 런 12 : 도어 아우터 패널
14 : 도어 인너 패널 16, 16a, 16b : 밀착립
18 : 돌기부 20, 20a : 날개부
22 : 구멍 24 : 도어 글래스
26 : 프레임 채널 50 : 도어 글래스 런
52 : 도어 아우터 패널 54 : 도어 인너 패널
56, 56a, 56b : 밀착립 58 : 도어 글래스
60 : 프레임 채널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정숙한 승차감을 제공하게 되며 도어 글래스의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되는 도어 글래스 런(door glass run)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에 제공되는 글래스 런은 외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며 외부 소음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b)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1(a)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어 아우터 패널(52)과 도어 인너 패널(54)의 사이에는 프레임 채널(60)이 제공되고, 프레임 채널(60)에는 도어 글래스 런(50)이 끼워넣어져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어 글래스 런(50)의 내측에는 글래스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수납공간의 외측에는 세개의 밀착립(56, 56a, 56b)이 제공된다. 두개의 밀착립(56, 56a)은 도어 글래스(58)의 외측에 제공되고, 하나의 밀착립(56b)은 도어 글래스(58)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밀착립들(56, 56a, 56b)은 도어 글래스(58)가 상승될 때, 도어 글래스(58)의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적으로 접촉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소음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에 있어서는, 단지 세개의 밀착립이 제공되기 때문에, 외부 소음의 실내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하지는 못하게 되며, 도어 글래스의 NVH에 적적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밀착립들이 도어 글래스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밀착립들의 밀착성이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의 경우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 또는 소음이 도어 글래스와 상기 밀착립들의 사이 및 도어 글래스 런의 바닥면과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 사이를 통하여 차실내로 유입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정숙한 승차감을 제공하게 되며 도어 글래스의 NVH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되는 도어 글래스 런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의 사이에서 프레임 채널에 끼워지면서 도어 글래스의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착립을 갖는 도어 글래스 런이 제공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 런은,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에 대응되는 도어 글래스 런의 바닥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에 압축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돌기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도어 글래스를 향하여 궁형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도어 글래스와 접촉될 때, 상기 개구부 부분이 압축되면서 상기 날개부가 선회되어 도어 글래스의 내면 및 외면에 밀착적으로 접촉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 소음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어 탑승자에게 정숙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도어 글래스의 NVH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a)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제2(b)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런의 내부에 제공되는 돌기부가 도어 글래스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서두부분에서 명확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글래스 런(10)은 도어 아우터 패널(12)과 도어 인너 패널(14)의 사이에 제공되는 프레임 채널(26)에 끼워넣어져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어 글래스 런(10)의 내측에는 글래스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수납공간의 외측에는 세개의 밀착립(16, 16a, 16b)이 제공된다. 두개의 밀착립(16, 16a)은 도어 글래스(24)의 외측에 제공되고, 하나의 밀착립(16b)은 도어 글래스(24)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밀착립들(16, 16a, 16b)은 도어 글래스(24)가 상승될 때, 도어 글래스(14)의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적으로 접촉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소음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어 글래스(24)의 상단부면에 대응되는 도어 글래스 런(10)의 바닥면에는 돌기부(1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8)의 자유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구멍(22)이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18)의 양측면에는 도어 글래스(24)를 향하여 궁형(弓形)으로 연장되는 날개부(20, 20a)가 각각 형성된다. 도어 글래스(24)가 상승되어 상기 돌기부(18)에 접촉되어 상기 돌기부(18)를 압축시키게 되면, 상기 구멍(22)이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날개부(20, 20a)가 도어 글래스(24)를 향하여 선회되어 도어 글래스(24)의 내면 및 외면에 밀착적으로 접촉되므로써 밀착립들(16, 16a, 16b)의 기능을 보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착립들(16, 16a, 16b)에 의해 세개의 밀착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도어 글래스(24)의 상단부면과 상기 돌기부(18)의 자유단부면에서 밀착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두개의 날개부(20, 20a)와 도어 글래스(24)의 내외면에서 추가적인 밀착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부 공기 또는 소음을 거의 완벽한 정도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여섯개의 지점에서 도어 글래스 런(10)과 도어 글래스(24) 사이의 밀착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어 글래스(24)의 NVH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 글래스를 통한 외부 소음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어 탑승자에게 정숙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도어 글래스의 NVH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도어 아우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의 사이에서 프레임 채널에 끼워지면서 도어 글래스의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착립을 갖는 도어 글래스 런에 있어서,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에 대응되는 도어 글래스 런의 바닥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도어 글래스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면에 압축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도어 글래스를 향하여 궁형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도어 글래스와 접촉될 때, 상기 개부부 부분이 압축되면서 상기 날개부가 선회되어 도어 글래스의 내면 및 외면에 밀착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래스 런.
KR1019950034314A 1995-10-06 1995-10-06 도어 글래스 런 KR016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314A KR0163398B1 (ko) 1995-10-06 1995-10-06 도어 글래스 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314A KR0163398B1 (ko) 1995-10-06 1995-10-06 도어 글래스 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618A KR970021618A (ko) 1997-05-28
KR0163398B1 true KR0163398B1 (ko) 1998-12-15

Family

ID=1942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314A KR0163398B1 (ko) 1995-10-06 1995-10-06 도어 글래스 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3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618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7729B2 (ja) 自動車用密封装置
KR0163398B1 (ko) 도어 글래스 런
JPH10315817A (ja) スライドレール
KR0173412B1 (ko) 자동차 도어의 실링 구조
KR100412869B1 (ko) 자동차의 도어
KR0173413B1 (ko) 자동차 도어의 실링구조
JPS5989221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910005727Y1 (ko) 소음 및 진동방지형 3단 몰딩도어 (moulding door)
KR19980052482U (ko) 도어 글래스 런
KR200154255Y1 (ko) 자동차 도어용 시일트림
KR100398131B1 (ko) 버스 운전석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의 슬라이딩 구조
JPH0891104A (ja) 内装材取付構造
KR950007704Y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설치용 웨더스트립
KR0140313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도어 이너판넬의 웨더스트립 결합구조
KR200142537Y1 (ko) 차량용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
KR100361687B1 (ko) 자동차용도어의사이드웨더스트립
KR980008668A (ko) 밀착력을 증대시킨 자동차 도어 윈도우부 웨더 스트립
KR20050037131A (ko) 사이드 도어의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KR19980028463U (ko) 프레임레스 도어의 델타새시와 도어 글라스 기밀구조
JPH0544645U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ウのランチヤンネル構造
KR19980059560A (ko) 자동차의 도어 웨더 스트립
KR19990004754U (ko) 자동차용 백 도어의 웨더스트립
KR19980044761U (ko) 자동차의 도어 런 채널 구조
JPH03159833A (ja) 自動車のシール構造
KR19990028518U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