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518U -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518U
KR19990028518U KR2019970041149U KR19970041149U KR19990028518U KR 19990028518 U KR19990028518 U KR 19990028518U KR 2019970041149 U KR2019970041149 U KR 2019970041149U KR 19970041149 U KR19970041149 U KR 19970041149U KR 19990028518 U KR19990028518 U KR 19990028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ifter
lifter switch
clip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건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518U/ko
Publication of KR19990028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518U/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54)의 일측에 형성되어진 요부(56)의 하단에 고착되는 브라켓(57)에 사각형상의 삽입공(58)을 소정개수 형성하고, 상기 요부(56)에 고착된 브라켓(57)에 형성되어진 삽입공(58)과 수직선상으로 동일위치 및 동일개수로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부에 소정길이만큼 중공부(61)를 갖는 보스부(59)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59)의 단부에 삽착되는 객체의 클립부(60)가 제공되어 상기 클립부(60)가 브라켓(57)의 삽입공(58)에 삽착되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가 암레스트(54)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56)에 고착되게 구성함으로써,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를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장착시킴에 있어서, 공수가 적고, 그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장착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이에따라, 정비성 또한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를 클립에 의하여 원터치식으로 장착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성과 장착성 및 정비성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즘의 현대인들에게는 자동차도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전국이 일일생활권에 들고, 또한 출퇴근등의 이유로 자동차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탑승자들의 편의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일예로, 운전자를 비롯한 그외의 탑승자들은 자동차 내에서의 소비시간이 많아짐으로써, 자동차의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지니도록 해야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앉은상태에서 어딘가에 팔을 걸쳐놓으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안락함을 느낄수 있다.
이에, 자동차에는 탑승자들의 편의를 위한 장치의 하나로 팔을 올려놓게 되는 암레스트가 제공되어 있다.
프론트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콘솔박스의 리드가 전측으로 연장되어 암레스트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 고급자동차의 경우 리어시트의 중앙부에 직각방향으로 수납되는 암레스트가 제공되어 탑승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도어(1)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트림(2)에는 실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암레스트(4)가 형성되어 이 또한, 탑승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잘 알다시피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들이 자동차에 탑승하고자 열고 닫게되는 도어(1)의 상단에는 도어윈도우 글라스(미도시됨)가 구비되어, 외부의 시야를 확보시킴과 아울러 하단으로 개폐되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자동차의 도어(1)내측에 형성된 도어트림(2)에는 상기 도어윈도우 글라스를 개폐시키는 장치가 구비되게 되는데, 최근에는 대다수의 자동차들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도어윈도우 글라스를 개폐시키는 파워윈도우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윈도우 글라스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윈도우 리프트 스위치(5)는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에 구비시키게 되는데, 물론 차종에 따라 그 위치는 다를수 있으나 대부분 도어트림(2)에서 암레스트부(4)의 전측부에 장착하게 된다.
도 1과, 도 3은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각각 스틸클립과 스크류에 의하여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4는 각각 도 1과, 도 3의 A-A,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중 도 1 및 도 2를 참조로하여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가 스틸클립(8)에 의하여 도어트림(2)에 형성된 암레스트(4)의 전측부에 장착되는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트림(2)에서 암레스트(4)가 형성된 전측부에 소정크기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6)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의 양단에는 스틸클립(8)의 일단이 세로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스틸클립(8)에서 윈도우 리프트 스위치(5)에 삽입되는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측은 외측방향으로 하단부가 볼록부(9)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오목부(10)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단에 스틸클립(8)의 일단이 삽입고정된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를 도어트림(2)의 암레스트(4) 일측에 형성되어진 요부(6)에 갖다댄후 소정의 힘으로 푸쉬시키면 상기 스틸클립(8)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록부(9)가 상기 요부(6)의 단부(7)를 타고넘은후 상기 요부(6)의 단부(7)가 스틸클립(8)의 오목부(10)에 걸리게 되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가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중 도 3 및 도 4를 참조로하여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25)가 스크류에 의하여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24)의 전측부에 장착되는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24)의 일측에 요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26)의 하단에 동일형상의 브라켓(28)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8)은 요부(26)에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상측에서 바라보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28)에서 돌출된 부위에는 소정개수의 볼팅홀(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26)에 장착되는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25)의 각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28)에 형성되어진 볼팅홀(29)과 매치되게 체결부(2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부(27)는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25)의 각 단부에 대하여 하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형성되되, 그 내부가 중공형성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25)의 각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27)를 상기 요부(26)의 하단에 고착되어진 브라켓(28)의 볼팅홀(29)에 매치시킨후 하단방향에서 스크류(30)를 삽입시켜 체결시키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25)가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에서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를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 일측에 요부를 형성한후 상기 요부에 장착시킬 때 먼저, 장착수단이 스틸클립에 의한 경우 상기 스틸클립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좌우로 유동성을 가지어 결과적으로 조립상의 구속력이 약하게 되며, 장착수단이 스크류에 의한 경우 공수가 많아 조립이 어려우며 이에따라 정비성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장착되는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를 원터치식으로 장착시키되, 조립성 및 장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에따라, 정비성 또한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형성되어진 요부의 하단에 고착되는 브라켓에 사각형상의 삽입공을 소정개수 형성하고, 상기 요부에 고착된 브라켓에 형성되어진 삽입공과 수직선상으로 동일위치 및 동일개수로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하단부에 소정길이만큼 중공부를 갖는 보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의 단부에 삽착되는 객체의 클립부가 제공되어 상기 클립부가 브라켓의 삽입공에 삽착되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암레스트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에 고착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스틸클립에 의하여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스크류에 의하여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하여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클립에 의하여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4 : 암레스트 55 :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56 : 요부 57 : 브라켓
58 : 삽입공 59 : 보스부
60 : 클립부 61 : 중공부
62 : 하우징부 63 : 삽입봉
64 : 홀딩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하여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가 클립에 의하여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형성된 도어트림에 돌출형성되어진 암레스트(54)의 일측에 요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56)의 하단에 브라켓(5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57)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내측으로 연장되어 일부분이 돌출되게 되며, 상기 돌출부위에 사각형상으로 소정개수의 삽입공(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56)에 삽착되는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부에는 상기 브라켓(57)에 형성된 삽입공(58)과 수직선상에서 동일위치에 놓이는 보스부(59)가 형성되되, 상기 보스부(59)내는 소정길이만큼 길이방형으로 중공부(6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보스부(59)의 단부에 삽착되는 클립부(60)가 객체로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클립부(60)는 하단으로 갈수로 단면적이 커지다가 소정부에서 다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 즉,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원형상의 하우징부(62)가 형성되고, 또한 그 하우징부(62)내에 삽입봉(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60)에서 상단 외측부에는 각각의 모서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소정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진 홀딩편(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에 일체형성되어진 보스부(59)에 클립부(60)를 삽착시킨다.
이때, 상기 클립부(60)의 상단에 형성되어진 삽입봉(63)을 보스부(59)의 중공부(61)에 삽입시키면, 이와 더불어 상기 클립부(60)의 상단에 형성되어진 하우징부(62)에 보스부(59)의 외측면이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클립부(60)의 하우징부(62) 내측에 형성되어진 삽입봉(63)의 외측지름이 보스부(59)의 중공부(61) 내측지름보다 조금 작아 삽입시 상기 삽입봉(63)의 외측면과, 보스부(59)의 중공부(61) 내측면이 꽉 맞게 되며, 또한, 상기 클립부(60)의 상단에 형성된 하우징부(62)의 내측지름보다 보스부(59)의 외측지름이 조금 작아 역시 삽입시 상기 클립부(60)의 하우징부(62) 내측면과, 보스부(59)의 외측면이 꽉 맞게되어 상호 마찰력에 의하여 고착되게 된다.
이와같이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각 단부에 형성된 보스부(59)에 클립부(60)를 삽착시킨후 상기 클립부(60)를 요부(56)의 하단에 고착되어진 브라켓(57)에 형성된 삽입공(58)에 끼우면 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공(58)의 지름은 클립부(60)의 최대지름보다 다소 작아 상기 클립부(60)가 삽입될 때 다소 억지끼워맞춤되게 된다.
즉, 상기 클립부(60)는 소정의 탄성을 지니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클립부(60)에서 최대지름을 갖는 부위가 브라켓(57)의 삽입공(58)을 지나게될 때 순간적으로 오므려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60)에서 최대지름을 이루는 부위가 브라켓(57)의 삽입공(58)을 지나면 상기 클립부(60)의 상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홀딩편(64)에 의하여 더 이상 보스부(59)가 하단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를 탈거하고 할 때에는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를 상향으로 힘껏 잡아당기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에 일체형성된 보스부(59)에 삽착된 클립부(60)가 브라켓(57)의 삽입공(58)을 빠져나와 도어트림에 형성된 요부(56)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같이 클립부(60)의 최대지름부위가 순간적으로 오므려지면서 브라켓(57)의 삽입공(58)을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장착구조는 장착부위의 일부분 손상시 그 부위만을 즉, 클립부(60)만 별도로 교환하면 된다.
참고로,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에 형성된 보스부(59)와, 상기 보스부(59)의 단부에 삽착되는 클립부(60) 및 암레스트(54)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56)의 하단측에 고착되어진 브라켓(57)에 형성된 삽입공(58)은 각각 3개소에만 형성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에는 한정이 없이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일수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를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장착시킴에 있어서, 공수가 줄고, 그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장착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이에따라, 정비성 또한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형성된 암레스트(54)의 일측에 형성되어진 요부(56)의 하단에 고착되는 브라켓(57)에 사각형상의 삽입공(58)을 소정개수 형성하고, 상기 요부(56)에 고착된 브라켓(57)에 형성되어진 삽입공(58)과 수직선상으로 동일위치 및 동일개수로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부에 소정길이만큼 중공부(61)를 갖는 보스부(59)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59)의 단부에 삽착되는 객체의 클립부(60)가 제공되어 상기 클립부(60)가 브라켓(57)의 삽입공(58)에 삽착되어 상기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가 암레스트(54)의 일측에 형성된 요부(56)에 고착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60)의 상단에는 하우징부(6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부(62)의 내측에 삽입봉(63)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60)의 하우징부(62)에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55)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스부(59)의 단부가 삽착됨과 아울러 상기 클립부(60)의 삽입봉(63)이 보스부(59)의 중공부(61)에 삽착되어 이중으로 상호 삽착되어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59)의 단부에 삽착되는 클립부(60)의 각 모서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다 소정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진 홀딩편(64)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60)가 브라켓(57)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상기 홀딩편(64)에 의하여 더 이상 깊게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의 장착구조.
KR2019970041149U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KR199900285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49U KR19990028518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149U KR19990028518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518U true KR19990028518U (ko) 1999-07-15

Family

ID=6969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149U KR19990028518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5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20A (ko) * 2014-09-05 201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용 베젤과 윈도우스위치의 마운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20A (ko) * 2014-09-05 201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용 베젤과 윈도우스위치의 마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6107A1 (en) Door lining for a vehicle door
KR19990028518U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JP3916373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KR100350274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KR0135382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의 취부구조
KR200179131Y1 (ko) 테일 게이트 트림 장착용 구조물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JP2507843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200154351Y1 (ko) 차일드 벨트 설치 가능한 셜프 트림
JPS6234838Y2 (ko)
KR200192382Y1 (ko) 자동차용 쿼터 인너 어퍼 센터 필러 트림의 보강구조
JPH04197842A (ja) ドアトリム
JP2583334Y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0126604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라 트림 장착구조
JPH0674421U (ja) 車両用カーテンの取付け構造
JPH0510042U (ja) ドアトリム用プルハンドルの取付構造
JPS6310972Y2 (ko)
JPH04260816A (ja) 自動車ドア用プルポケツト取付構造
KR0181868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로드 고정구조
JPH11139162A (ja) 自動車用内装部材の車体への取付構造
US20040232738A1 (en) Locking device for a removable top
JPH0674419U (ja) 自動車のカーテンレール構造
JPH0683498U (ja) サイドウインド部のウエザースト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