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759U -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759U
KR19990031759U KR2019970044504U KR19970044504U KR19990031759U KR 19990031759 U KR19990031759 U KR 19990031759U KR 2019970044504 U KR2019970044504 U KR 2019970044504U KR 19970044504 U KR19970044504 U KR 19970044504U KR 19990031759 U KR19990031759 U KR 199900317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ad
trim
inner panel
doo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익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4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759U/ko
Publication of KR19990031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59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판넬(31)과 외측판넬(3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외곽부에 의해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상부쪽에 형성되는 창문의 유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내측판넬의 실내측면에 트림(33)이 취부되며, 상기 트림과 내측판넬의 상단부 사이에 입체형 포움으로 형성되는 임팩트패드(34)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트림의 상단부에 체결돌기(35)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임팩트패드의 내측면에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들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임팩트패드(34)의 취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어(30)의 내측판넬(31)에 트림(33)을 부착하는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순조롭게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door) 내부에 취부되는 임팩트패드(impact pad)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임팩트패드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임팩트패드의 취부상태가 견고하도록 하므로, 외부환경의 변화시에도 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그 본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이 순조롭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관이 탑재되고 상부에 후드(11)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기관실이 차체(10) 선단부에 형성되고, 차체(10) 후단부쪽에 소정의 적재공간으로 되고 트렁크리드(12)가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트렁크실이 형성되며, 상기 기관실과 트렁크실 사이에 루프(20)가 덮이고 양측 개구부에 도어(30)가 개폐 가능하게 장치되며 내부에 운전장치와 승원 착좌용 의자들이 설치되는 객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어(3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판넬(31)과 외측판넬(3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외곽부에 의해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도어(30)의 상부쪽에 형성되는 창문의 유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판넬(31)의 실내측면에 트림(33)이 취부되며, 트림(33)과 내측판넬(31)의 상단부 사이에 사이드 임팩트패드(side impact pad)(34)가 취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는, 측면개구부가 도어(30)에 의해 개폐되어 승원이 상기 도어(30)를 개폐하고 객실에 승차 또는 하차하게 되고, 객실에 승차한 승원은 의자에 착좌한 상태로 있게 되며, 주행중 측면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도어(30)의 전후 양단부가 차체쪽에 지지되어 충격하중을 차체(10)쪽으로 분산시키고, 내측판넬(31)과 외측판넬(32)이 변형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객실의 의자에 착좌한 승원에게 미치는 충격이 저감되도록 한다. 또한, 임팩트패드(34)가 승원의 어께부위에 위치되어, 변형된 도어(30)가 객실의 승원에 접촉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승원의 신체에 접촉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승원이 보호되도록 한다.
한편, 사이드 임팩트패드(34)는 소정크기를 갖는 입체형 포움(foam)으로 형성되어, 먼저 일측면이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트림(33)의 상단부 안쪽면에 부착되고, 이러한 상태로 트림(33)이 도어(30)의 내측판넬(31)에 취부되어 타측면이 도어(30)의 내측판넬(31)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도어의 임팩트패드(34) 취부구조는, 트림(33)의 내측면에 먼저 임팩트패드(34)를 접착제에 의해 부착한 다음 트림(33)을 도어(30)의 내측판넬(31)에 취부하는데, 트림(33)의 조립시 상기 임팩트패드(34)의 대부분이 탈거되어 조립시간 지연되게 되고,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트림의 상단부에 돌기들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들에 임팩트패드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임팩트패드의 취부상태가 견고하도록 하므로, 임팩트패드의 탈거를 방지하여 조립이 순조롭도록 하고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승용자동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체 20;루프 30;도어 31;내측판넬 32;외측판넬 33;트림 34;임팩트패드 35;체결돌기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 도어도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판넬(31)과 외측판넬(3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외곽부에 의해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도어(30)의 상부쪽에 형성되는 창문의 유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판넬(31)의 실내측면에 트림(33)이 취부되며, 트림(33)과 내측판넬(31)의 상단부 사이에 소정크기를 갖는 입체형 포움(foam)으로 형성되는 사이드 임팩트패드(side impact pad)(34)가 취부된다.
단, 본 고안은 내측판넬(31)에 취부되는 트림(33)의 상단부에 내측판넬(31)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돌기(35)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임팩트패드(34)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돌기(35)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35)들이 임팩트패드(34)의 체결홈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져 결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트림(33)의 체결돌기(35)는 임팩트패드(34)의 체결홈 내경보다 외경이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트림(33)의 내측면 체결돌기(35)가 임팩트패드(34)의 체결홈을 향하도록 하여 임팩트패드(34)를 가압시키면, 임팩트패드(34)의 체결홈이 확개되면서 체결돌기(35)가 삽입되어 임팩트패드(34) 체결홈의 내주면과 체결돌기(35)의 외주면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에 의해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일정 이하의 외력에 대해 입팩트패드(34)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트림(33)의 내측면에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이러한 본 고안은 임팩트패드(34)의 취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어(30)의 내측판넬(31)에 트림(33)을 부착하는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순조롭게 조립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트림의 상단부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임팩트패드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임팩트패드의 취부상태가 견고하도록 하므로 탈거를 방지하여 조립이 순조롭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내측판넬(31)과 외측판넬(3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외곽부에 의해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상부쪽에 형성되는 창문의 유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내측판넬의 실내측면에 트림(33)이 취부되며, 상기 트림과 내측판넬의 상단부 사이에 입체형 포움으로 형성되는 임팩트패드(34)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트림의 상단부에 체결돌기(35)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임팩트패드의 내측면에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들이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KR2019970044504U 1997-12-31 1997-12-31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KR199900317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04U KR19990031759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04U KR19990031759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59U true KR19990031759U (ko) 1999-07-26

Family

ID=6967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04U KR19990031759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7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6Y1 (ko) * 2008-10-20 2010-07-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6Y1 (ko) * 2008-10-20 2010-07-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224A (en) Break away trim panel assembly
KR20030000332A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US6106045A (en) Cab back trim panel for pick-up truck application with exhauster and NVH improvements
KR19990031759U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패드 취부구조
KR20030009768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장착용 클립
JP3916373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JP3775140B2 (ja) 自動車の換気構造
JPH0966799A (ja) センタピラーの衝撃吸収構造
JP3826439B2 (ja) 自動車用縦壁構造
JPS6234221B2 (ko)
JP4013343B2 (ja) 車両のサンバイザー取り付け構造
JP2797730B2 (ja) 自動車ドア用プルポケツト取付構造
JP2658413B2 (ja) 車両のドアウエスト構造
KR200179131Y1 (ko) 테일 게이트 트림 장착용 구조물
KR200148456Y1 (ko) 자동차용 도어 센터 가니쉬 조립체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JPH09207696A (ja)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JPH0718947U (ja) 自動車のリヤドア構造
JPH054415Y2 (ko)
KR200150434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어셈블리
JPH0811540A (ja) 自動車用トリム
JP2001063512A (ja) バニティーミラー付きサンバイザー
KR100198872B1 (ko)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강성 보강용 완충 부재
KR19990028518U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 장착구조
KR19990030558U (ko) 트렁크에 설치되는 보조 스톱램프의 마운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