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061B1 - 보컬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보컬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061B1
KR0163061B1 KR1019920000593A KR920000593A KR0163061B1 KR 0163061 B1 KR0163061 B1 KR 0163061B1 KR 1019920000593 A KR1019920000593 A KR 1019920000593A KR 920000593 A KR920000593 A KR 920000593A KR 0163061 B1 KR0163061 B1 KR 016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l
data
current position
display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261A (ko
Inventor
미호지 쯔무라
신노스케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미호지 쯔무라
리코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16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703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6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11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6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57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6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703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6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70391A/ja
Application filed by 미호지 쯔무라, 리코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호지 쯔무라
Publication of KR92001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종래의 카라오케장치에서는, 화면에 가사를 표시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사이외에, 능숙하게 노래를 부르기 위해 유효한 정보로서, 보컬의 강약이나 음정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즉, 음악데이터에 관련시켜서, 그 보컬의 특성인 강약이나 음정을 나타내는 보컬 데이터와,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표시부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보컬 데이터 및 현재위치 표시부호를 독출해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하도록 확상장치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 실제의 보컬로부터 강약레벨이나 기본 주파수를 검출해서, 보컬데이터와, 강약 레벨 또는 기본주파수를 비교한다.

Description

보컬표시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음악데이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는 화상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느 블록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불록도.
제7도는 그 상세한 블록도.
제8도는 화상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0도는 그 상세한 블록도.
제11도는 주파수분석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3도는 그 상세한 블록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5도는 그 상세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410,510,610 : 기억수단
120,220,320,420,520,620 : 보컬데이터 독출수단
130,230,330,430,530,630 :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
140,240,340,440,540,640 : 화상제어수단
380,580 : 강약레벨검출수단
480,680 : 주파수 검출수단
본 발명은 보컬(VOCAL) 반주용의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에, 그 보컬의 강약이나 음정 등을 표시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라오케장치로서, 예를들어 카라오케음악을 재생장치로 재생함과 아울러, 이것에 동기시켜 가사를 화상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출원인은, 이와같은 기술에 관하여 일련의 출원을 하고 있다(예를들어, 일본특원소 63-308503호, 등록원명 1-3086호, 등록원평 1-11298호등).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이용자는 가사를 확인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가 있어서 편리하지만, 가사 이외에도 능숙하게 노래를 부르기 위해 유효한 정보가 요망되는 바이다.
본발명의 목적은, 보컬의 강약이나 음정 등의 특성을 노래부르기 쉽게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상술한 카라오케장치에 장비하기에 적합한 보컬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음악데이터에 관련시켜서, 그 보컬특성인 강약이나 음정등을 나타내는 보컬데이터와, 가사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표시부호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두고,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보컬데이터 및 현재 위치표시부호를 독출(讀出)해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하도록 화상위치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음악의 재생에 앞서서 보컬1구획의 강약이나 음정등을 알수 가 있다.
또, 실제의 보컬로부터 강약레벨이나 기본주파수를 검출하여서, 보컬데이터와, 강약 레벨 또는 기본주파수를 비교하여 화상장치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강약이나 음정 등의 면에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컬데이터와, 강약레벨 eh는 기본주파수와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지시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강약이나 음정등의 면에서 공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제2도는 이것을 세분화하여 나타내는데, 제2도에서, 부호(110)는 기억수단으로서, 기억수단(110)에는 다수의 곡의 음악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각 음악데이터는, 보컬의 특성을 나타내는 보컬데이터가 섞여 있다.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데이터는, 개념적으로는 1소절분을 1구획으로 하여 다수의 구획 1,2,3,...으로 나누어서 곡이 진행하는 순으로배열되어 있으며, 보컬데이터의 쪽이 음악데이터보다도 약 1구획만큼 선행하도록 연관시키고 있다.
상기한 보컬데이터에는 보컬의 강약을 나타내는 강약데이터가 섞여 있다.
제3도에 긴 화살표로 표시하였듯이 화면을 갱신해야 할 위치에는 1화면표시부호가 삽입되고, 또 제3도에 짧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위치를 나타내야 할 위치에는 현재위치표시부호가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1화면표시부호는 음악데이터에 있어서 각 구획간의 위치보다도 소정시간 t 만큼 앞쪽에 설정되고, 현재위치표시부호도 이것에 따라 실제의 위치보다도 t 만큼 앞쪽에 설정되어 있다.
또, 보컬데이터의 선두에는 횡측단위시간(horizontal unit time)이 기록되어 있다. 이 횡측단위시간은 각 구획에 있는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수의 최대치이다. 그리고, 보컬데이터의 최후에는 클리어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클리어데이터는 곡의 최후에 화면을 클리어하는 것이다.
또, 기억수단(110)에는, 가사를 표시하는 문자데이터가 문자코우드로 격납되어 있다.
상기한 기억수단(110)에는 재생장치(160)가 접속되어 있어서, 기억수단(110)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기억수단(110)에는 디코우더(decoder)(121)가 접속되고, 디코우더(121)에는 보컬데이터추출기(122), 강약데이터추출기(123) 및 버퍼(141)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어서, 보컬데이터추출기(122)에 의해 보컬데이터를 추출하고, 강약데이터추출기(123)에 의해 강약데이터를 추출하여서, 이 강약데이터를 1구획마다 버퍼(141)에 격납한다.
또한, 디코우더(121)에는 보컬데이터로부터 횡측단위시간을 추출하는 횡축단위시간추출기(142)와, 1화면표시부호를 추출하는 1화면표시부호추출기(143)와, 클리어데이터를 추출하는 클리어데이터추출기(144)와, 현재위치표시부호를 추출하는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130)가 병렬로 접속되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130)에는, 그 출력신호를 t 만큼 지연시키는 지연장치(14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버퍼(141), 횡측단위시간추출기(1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143), 클리어데이터추출기(144) 및 지연장치(145)의 각 출력신호는 그래프작성장치(146)에 입력되고 있으며, 이 그래프작성장치(146)에서 이들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보컬의 강약을 나타내는 제1화상신호가 작성된다.
이 제1화상신호는 합성장치(147)에서, 후술하는 문자표시장치(175)로부터의 제2화상신호와 합성된 후 화상장치(150)에 입력되고 있다.
상기한 1화면표시부호기(143)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버퍼(141)에 트리기신호로서 입력되고 있다.
다음에 제1화상신호에 의한 화상장치(15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횡측단위시간추출기(142)에서 독출한 횡측단위시간에 기초하여 화상의 횡측크기(W)를 결정한다.
이어서 1화면표시부호추출기(143)에서 독출한 1화면표시부호에 의해 제1화상신호를 high로 설정함과 아울러 버퍼(141)의 강약데이터를 방출하며, 이것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구획의 강약데이터가 파선(波線)그래프(G)로 되어서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130)에서 독출한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해당 구간내의 현재위치가 음악과 동기되어 종선(L)으로 표시되며, 이 종선(L)의 좌우영역이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그 경우, 1화면표시부호는 음악데이터에 있어서 각 구획간의 위치보다도 t만큼 앞쪽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어느 구간(소절)에 있어서 음악이 종료하는 시점보다도 t 만큼 전에 화면이 갱신하지만, 현재위치표시부호는 지연장치(145)에서 지연되어 음악의 진행과 동기하여 출력된다.
즉, 이용자는 1구획의 강약데이터의 파선그래프(G)를 배경으로 보면서, 그 가운데를 현재위치의 종선(L)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여 이 종선통과 후의 화면의 색이 변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1화면표시부호를 독출하면, 화면을 클리어함과 아울러 다음의 1구획의 강약데이터를 파선그래프(G)로 화면에 나타내어서,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처리를 반복한다. 그사이에 곡이 종료하면 클리어데이터에 의해 화면을 클리어한다.
다음에 화상장치(150)에 의한 가사의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디코우더(121)에는 문자코우드추출기(171), 버퍼(172) 및 문자패턴생성기(173)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으며, 문자코우드추출기(171)에 의해 문자코우드를 판독하고, 이 문자코우드를 1구획마다 버퍼(172)에 입력해서, 버퍼(172)로부터 방출한 문자코우드에 기초하여 문자패턴생성기(173)에서 문자패턴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버퍼(172)에는, 1화면표시 부호추출기(143)의 출력신호가 트리기신호로서 입력되어 있다.
또, 부호(174)는 문자의 색을 바꾸는 문자색변경장치로서, 지연장치(145)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문자패턴생성기(173) 및 문자생변경장치(174)의 각 출력신호는 문자표시장치(175)에 입력되고 있으며, 이 문자표시장치(175)에서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문자를 나타내는 제2화성신호가 작성된다. 이 제2화상신호는 합성장치(147)를 통해 화상장치(150)에 입력된다.
다음에 제2화상신호에 의한 화상장치(15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1화면표시부호추출기(143)에서 1화면표시부호를 독출하면 버퍼(172)의 데이터를 방출하며, 이것에 의해 1구획의 가사가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130)에서 현재위치표시부호를 독출하고부터 t 만큼 경과 후, 음악의 진행과 동기한 현재위치까지의 가사의 색이 변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코우더(121), 보컬데이터추출기(122) 및 강약 데이터추출기(123)에 의해서, 기억수단(1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데이터로부터 다시 강약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12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버퍼(141), 횡측단위시간추출기(1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143), 클리어데이터추출기(144), 지연장치(145), 그래프작성장치(146) 및 합성장치(147)에 의해서, 보컬데이터독출수단(120) 및 현재위치표시 부호독출수단(13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 중 강약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하도록 화상장치(150)를 제어하는 화상제어수단(140)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음악의 재생시에, 이것에 앞서서 보컬 1구획의 강약을 알고, 또 현재의 강약을 확인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가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는 제2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에서는 보컬데이터에 강약데이터가 섞여 있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강약데이터 대신에 보컬의 음정을 나타내는 음정데이터가 섞여 있다. 즉, 보컬데이터독출수단(220)은, 기억수단(2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데이터로부터 다시 음정데이터를 독출한다.
또, 화상제어수단(240)은, 보컬데이터독출수단(220) 및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23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 중 음정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하도록 화상장치를 제어한다.
따라서, 세분화한 블록도는 제2도와 유사한 구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강약데이터추출기(123) 대신에 음정데이터추출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음정데이터추출기에 의해 보컬데이터로부터 음정데이터를 추출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음악의 재생시에, 이것에 앞서서 보컬부 1구획의 음정을 알고, 또 현재의 음정을 확인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가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를 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보컬데이터를 표시하였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보컬데이터와 실제의 보컬을 비교하여 표시한다.
제6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제7도는 이것을 세분화하여 나타내는데, 제7도에서 부호(310)는 기억수단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며, 보컬데이터에는 강약데이터가 섞여 있다.
상기한 기억수단(310)에는 재생장치(360)가 접속되어 있어서, 기억수단(310)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고,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기억수단(310)에는 디코우더(321)가 접속되고, 디코우더(321)에는 보컬데이터추출기9322), 강약데이터추출기(323) 및 버퍼(341)이 차례로 접속되어 있으며, 보컬데이터추출기(322)에 의해 보컬데이터를 추출하고, 강약데이터추출기(323)에 의해 강약데이터를 추출해서, 이 강약데이터를 1구획마다 버퍼(341)에 격납한다.
또, 디코우더(321)에는 보컬데이터로부터 횡축단위시간을 추출하는 횡축단위시간추출기(342)와, 1화면표시부호를 추출하는 1화면표시부호추출기(343)와, 추출하는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33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버퍼(341), 횡축단위시간추출기(3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343) 및 클리어데이터추출기(344)의 각 출력신호는 그래프작성장치(346)에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작성장치(346)의 출력신호는 화상장치(350)에 입력되고 있다.
또, 1화면표시부호추출기(343)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버퍼(341)에 트리기신호로서 입력되고 있다.
다음에, 실제의 보컬로부터의 강약레벨 검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서, 부호(381)는 이용자의 보컬을 집음하는 공지의 마이크로폰으로서, 이 마이크로폰(381)에는 마이크로폰증폭기(382), 전파(全波)정류기(383), 적분기(384), 분주기(385), 샘플호울더(sample holder)(386) 및 AD 변호나기(387)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는데, 마이크로폰(38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폰증폭기(382)에서 증폭하고, 전파정류기(383)에서 전파정류하고, 적분기(384)에서 적분해서, 이 신호를 샘플호울더(386)에서 샘플링하여 그 값을 호울딩한다.
그 경우, 샘플링의 타이밍(timing)은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주파수를 분주기(385)에서 분주처리한 신호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샘플호울더(386)의 출력신호는 AD 변환기)387)에서 AD 변환한 후, 강약레벨로서 그래프작성장치(346)에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작성장치(346)에서는, 보컬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강약데이터와, 실제의 보컬로부터 얻었던 강약레벨에 기초하여 확상장치(350)에서 이들을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화상신호를 작성한다.
즉, 우선 횡측단위시간추출기(342)에서 독출한 횡측단위시간에 기초하여 화상의 횡측크기(W)를 결정한다.
이어서, 1화면표시부호추출기(343)에서 독출한 1화면표시부호에 의해 화상신호를 high로 설정함과 아울러 버퍼(341)의 강약데이터를 방출해서, 이것에 의해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1구획의 강약데이터가 실선그래프(G)로 되어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330)에서 독출한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해당 구획내의 현재위치가 음악과 동기되어 종선(L)으로 표시되며, 이 종선(L)의 좌우영역이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즉, 이용자는 1구획의 강약데이터의 실선그래프(G)를 배경으로 관찰하면서, 그 가운데를 현재위치의 종선(L)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며, 이 종선통과 후의 화면의 색이 변해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 경우에,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샘플링한 강약레벨(P)이 종선(L)상에 표시된다.
이 강약레벨(P)는 1구획의 화면이 클리어 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므로, 화면에는 현재위치까지의 강약레벨(P)에 파선(波線)그래프(P)로 되어 표시되어서, 한번 잠깐 보아 강약데이터의 실선그래프(G)와 비교할 수가 있다.
즉, 이용자는 파선그래프(P)에 의해 자신의 보컬의 강약레벨을 확인하고, 이것을 강약데이터의 실선그래프(G)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강약의 면에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1화면표시부호를 독출하면, 화면을 클리어함과 아울러 1구획의 강약데이터를 실선그래프(G)로 화면에 나타내고,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아울러 샘플링한 강약레벨을 파선그래프(P)로 나타내는 처리를 반복한다. 그 사이에 곡이 종료하면 클리어데이터에 의해 화면을 클리어한다.
또, 가사도 문자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장치(350)에 표시되지만, 그 처리블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코우더(321), 보컬데이터추출기(322) 및 강약데이터추출기(323)에 의하여 기억수단(3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데이터로부터 다시 강약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32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마이크로폰(381), 마이크로폰증폭기(382), 전파정류기(383), 적분기(384), 분주기(385), 샘플호울더(386) 및 AD 변환기(387)에 의해서, 실제의 보컬로부터 강약레벨을 검출하는 강약레벨검출수단(38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버퍼(341), 횡측단위시간추출기(3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343), 클리어데이터추출기(344) 및 그래프작성장치(346)에 의해 보컬데이터독출수단(320),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330) 및 강약레벨검출수단(38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 중 강약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하고 또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강약데이터와 강약레벨을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화상장치를 제어하는 화상 제어수단(340)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4실시에를 제9도 내지 제11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보컬데이터에 강약데이터가 섞여 있었지만, 제4실시예에서는 음정데이터가 섞여 있다.
즉, 제9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제10도는 이것을 세분화하고 있는데, 제10도에서, 부호(410)는 기억수단으로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컬데이터에는 음정데이터가 섞여 있다.
상기한 기억수단(410)에는 재생장치(460)가 접속되어서, 기억수단(410)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기억수단(410)에는 디코우더(421)가 접속되며, 디코우더(421)에는 보컬데이터추출기(422), 음정데이터추출기(423) 및 버퍼(441)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어서, 보컬데이터추출기(422)에 의해 보컬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정데이터추출기(423)에 의해 음정데이터를 추출해서, 이 음정데이터를 1구획마다 버퍼(441)에 격납한다.
또, 디코우더(421)에는 보컬데이터로부터 횡측단위시간을 추출하는 횡측단위시간 추출기(442)와, 1화면표시부호를 추출하는 1화면표시부호추출기(443)와, 클리어데이터를 추출하는 클리어데이터추출기(444)와, 현재위치표시부호를 추출하는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43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버퍼(441), 횡측단위시간추출기(4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443), 클리어데이터추출기(444) 및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430)의 각 출력신호는 그래프작성장치(446)에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작성장치(446)의 출력신호는 화상장치(450)에 입력되고 있다. 또, 1화면표시부호추출기(443)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버퍼(441)에 트리기신호로서 입력되고 있다.
다음에, 실재의 보컬로부터의 기본주파수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서, 부호(481)는 이용자의 보컬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이 마이크로폰(481)는 이용자의 보컬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이 마이크로폰(481)에는 마이크로폰증폭기(482) 및 주파수분석기(484)가 순서대로 접속되어서, 마이크로폰(48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폰증폭기(482)에서 증폭하고, 주파수분석기(484)에서 기복주파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주파수분석기(484)에는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주파수를 분주기(483)에서 분주처리한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주파수분석기(484)의 출력신호는 그래프작성장치(446)에 입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주파분석기(484)의 구성을 제11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주파수분석기(484)는, 매치드필터(matched filter)를 복수개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부호(484a)는 마이크로폰증폭기(482)에 병렬로 접속된 제1-제N의 N개의 대역필터로서, 음성대역을 N구획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각 주파수대역이 각각 통고대역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각 대역필터(484a)에는 검파기(484b) 및 적분기(484c)가 순서대로 접속되어서, 각 대역필터(484a)를 통과한 신호를 검파기(484b)에서 검파하여 고주파성분을 제거하고, 적분기(484c)에서 이것을 적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적분기(484c)의 출력은 비교검출회로(484e)에 입력하고 있다.
또, 상기한 분주기(483)의 출력은, 하나는 지연회로(484d)에서 지연처리한 후에 상기한 각 적분기(484c)에 입력하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비교검출회로(484e)에 입력하고 있다.
즉, 비교검출회로(484e)에서 각 적분기(484c)로부터의 출력치를 비교해서, 그 최대치를 나타낸 것의 대역필터(484a)를 판별하고, 그 번호(1-N)를 출력한다. 이 번호로부터, 그 대역필터(484a)의 통과대역이 보컬의 기본주파수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비교검출회로(484a)는, 분주기(48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현재위치 표시부호에 동기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지연회로(484d)의 지연시간만큼 지연되어 각 적분기(484c)가 클리어된다.
그리고, 그래프작성장치(446)에서는, 보컬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음정데이터와, 실제의 보컬로부터 얻은 기본주파수에 기초하여 화상장치(450)에서 이들을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화상신호를 작성한다.
즉, 우선 횡측단위신간추출기(442)에서 독출한 횡측단위시간에 기초하여 화상의 횡측크기(W)를 결정한다.
이어서 1화면표시부호추출기(443)에서 독출한 1화면표시부호에 의해 화상신호를 high로 설정함과 아울러 버퍼(441)의 음정데이터를 방출해서, 이것에 의해 1구획의 음정데이터가 실선그래프(G)로 되어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430)에서 독출한 현재위치표시부호에 의해 해당 구획내의 현재위치가 음악과 동기되어 종선(L)으로 표시되며, 이 종선(L)의 좌우영역이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즉, 이용자는 1구획의 음정데이터의 실선그래프(G)을 배경으로 보면서, 그 가운데를 현재위치의 종선(L)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여서, 이 종선통과 후의 화면의 색이 변화해 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 경우에, 현재위치표시부호에 동기하여 샘플링한 기본주파수(P)가 종선(L)상에 표시된다. 이 기본주파수(P)는 1구획의 화면이 클리어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므로, 화면에는 현재위치까지의 기본주파수(P)가 파선 그래프(P)로 되어 표시되어서, 한번 보아 음정데이터의 실선그래프(G)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파선그래프(P)에 의해 자신의 보컬의 기본주파수를 확인하고, 이것을 음정데이터의 실선그래프(G)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음정의 면에서 판단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의 1화면표시부호를 독출하면, 화면을 클리어함과 아울러 다음의 1구획의 음정데이터를 실선그래프(G)로 화면에 나타내고, 현재 위치표시보호에 의해 현재위치를 나타냄과 아울러 샘플링한 기본주파수를 파선그래프(P)로 나타내는 처리를 반복한다. 그 사이에 곡이 종료하면 클리어데이터에 의해 화면을 클리어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코우더(421), 보컬데이터추출기(422) 및 음정데이터추출기(423)에 의해서, 기억수단(4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데이터로부터 다시 음정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42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마이크로폰(481), 마이크로폰증폭기(482), 주파수분석기(484) 및 분주기(483)에 의해서, 실제의 보컬로부터 기본주파수를 산출하는 주파수검출수단(480)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버퍼(441), 횡축단위시간추출기(442), 1화면표시부호추출기(443), 클리어데이터추출기(444) 및 그래프작성장치(446)에 의해서, 보컬데이터독출수단(420),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430) 및 주파수검출수단(48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 중 음정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하고 또 그 구획내의 현재 위치를 동기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음정데이터와 기본주파수를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화상장치(450)를 제어하는 화상제어수단(440)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5실시예를 제12도 및 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2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제13도는 이것을 세분하여 나타내는데, 제13도에서 부호(510)은 기억수단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고, 보컬데이터에는 강약데이터가 섞여 있다.
상기한 기억수단(510)에는 재생장치(560)가 접속되어 있어서, 기억수단(510)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기억수단(510)에는 디코우더(521)가 접속되고, 디코우더(521)에는 보컬데이터추출기(522), 강약데이터추출기(523), 제1데이터버퍼(524) 및 제2데이터버퍼(525)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으며, 보컬데이터추출기(522)에 의해 보컬데이터를 추출하고, 강약데이터추출기(523)에 의해 강약데이터를 추출해서, 이 강약데이터를 제1데이터버퍼(524)에 또는 제2데이터버퍼(525)에 격납한다.
또, 디코우더(521)에는 보컬데이터로부터 1화면표시부호를 추출하는 1화면표시부호추출기(526)와, 현재위치표시부호를 추출하는 현재 위치표시부호추출기(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53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530)에는,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주파수를 분석처리하는 분주기(52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2데이터버퍼(523)의 출력신호는 비교기(541)에 입력되고 있다.
또, 1화면표시부호추출기(526)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제1데이터버퍼(524)에 트리거신호로서 입력되고, 분주기(528)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제2데이터버퍼(525)에 트리거신호로서 입력되고 있으며, 강약데이터추출기(523)에 트리거신호로서 입력되고 있으며, 강약데이터추출기(523)에 의해 판독한 강약데이터를, 1화면표시부호를 받을 때마다 제1데이터버퍼(524)로부터 출력하고, 또 현재위치표시부호를 받을 때마다 제2데이터버퍼(525)로부터 출력하고 있다.
다음에, 실제의 보컬로부터 강약레벨의검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에서, 부호(581)는 이용자의 보컬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이 마이크로폰(581)에는 마이크로폰증폭기(582), 전파정류기(583), 적분기(584), 샘플호울더(585) 및 AD 변호나기(586)가 순서대로 접속되어서, 마이크로폰(58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폰 증폭기(582)에서 증폭하고, 전파정류기(583)에서 전파정류하고, 적분기(584)에 적분해서, 이 신호를 샘플호울더(585)에서 샘플링하여 그 값을 호울딩한다.
그 경우, 샘플링의 타이밍은, 분주기(588)로부터의 신호, 즉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주파수를 분주처리한 신호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샘플호울더(585)의 출력신호는 AD 변환기(586)에서 AD 변환한 후, 강약레벨로서 상기한 비교기(541)에 입력되고 있다.
상기한 비교기(54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위치표시부호로 동기하는 것에 의해서, 현재위치에서의 강약 레벨과 강약데이터가 비교된다.
그리고, 강약레벨이 강약데이터보다도 소정치이상 큰 레벨과잉의 경우와, 강약레벨과 데이터와의 차가 소정치이내인 레벨적정의 경우와, 강약 레벨이 강약 데이터보다도 소정치이상 작은 레벨과소의 경우로 판별된다.
비교기(541)에는, 메시지선택기(542), 표시장치(543) 및 화상장치(550)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메시지선택기(542)에서는 레벨과잉, 레벨적정, 레벨과소의 각 경우에 EK른 메시지를 선택해서, 표시장치(543)로부터 각 메시지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하고, 이 표시신호를 받아 화상장치(550)에 각 메시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레벨과잉의 경우의 메시지는 좀더 작은 목소리로이고, 레벨적정의 경우의 메시지는 그래도이며, 레벨과소의 경우의 메세지는 좀더 큰 목소리로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코우더(521), 보컬데이터추출기(522), 강약데이터추출기(523), 제1데이터버퍼(524), 제2데이터버퍼(525), 1화면표시부호추출기(526) 및 분주기(528)에 의해서, 기억수단(5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데이터로부터 다시 강약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52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마이크로폰(581), 마이크로폰증폭기(582), 전파정류기(583), 적분기(584), 샘플호울더(585) 및 AD 변환기(586)에 의해서, 실제의 보컬로부터 강약레벨을 검출하는 강약레벨검출수단(58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비교기(541), 메시지선택기(542) 및 표시장치(543)에 의해서, 보컬데이터독출수단(520),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530) 및 강약레벨검출수단(58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 중 강약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하고 또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강약데이터와 강약레벨을 비교함과 아울러,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지시를 출력하는 화상제어수단(540)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강약데이터와 강약레벨을 비교함과 아울러,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레벨과잉의 경우는 좀 더 작은 목소리로라고 표시하고, 레벨과소의 경우는 좀 더 큰 목소리라고 지시하므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강약의 면에서 공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제6실시예를 제14도 및 제15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4도는 전체구성을 나타내고, 제15도는 이것을 세분화하여 나타내는데. 제15도에서, 부호(610)는 기억수단으로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며, 보컬데이터에는 음정데이터가 섞여 있다.
상기한 기억수단(610)에는 재생장치(660)가 접속되어서, 기억수단(610)으로부터 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기억수단(610)에는 디코우더(621)가 접속되고, 디코우더(621)에는 보컬데이터추출기(622), 음정데이터추출기(623), 제1데이터버퍼(624) 및 제2데이터버퍼(625)가 순서대로 접속되어서, 보컬데이터추출기(522)에 의해 보컬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정데이터추출기(623)에 의해 음정데이터를 추출해서, 이 음정데이터를 제1데이터버퍼(624)에, 또는 제2데이터버퍼(625)에 격납한다.
또, 디코우더(621)에는 보컬데이터로부터 1화면표시부호를 추출하는 1화면표시부호추출기(626)와, 현재위치표시부호를 추출하는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63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위치표시부호추출기(630)에는, 현재위치표시부호의 주파수를 분주처리하는 분주기(62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2데이터버퍼(625)의 출력신호는 비교기(641)에 입력되고 있다.
1화면표시부호추출기(626)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제1데이터버퍼(624)에 트리거신호로서 입력되고, 분주기(628)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제2데이터버퍼(625)에 트리거신호로서 입력되어서, 음정데이터추출기(623)에 의해 판독한 음정데이터를 1화면표시부호를 받을 때마다 제1데이터버퍼(624)로부터 출력하고, 또 현재위치표시부호를 받을 대마다 제2데이터버퍼(625)로부터 출력하고 있다.
다음에, 실제의 보컬로부터의 기본주파수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에서, 부호(681)는 이용자의 보컬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으로서, 이 마이크로폰(681)에는 마이크로폰증폭기(682) 및 주파수분석기(683)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폰(681)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증폭기(682)에서 증폭하고, 주파수분석기(683)에서 기본주파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주파수분석기(683)에는 현재위치표시부호으 L주파수를 분주기(628)에서 분주처리한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주파수분석기(683)의 출력신호는 기본주파수로서 상기한 비교기(641)에 입력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주파수분석기(683)는, 앞서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한 비교기(641)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현재위치표시부호에서 동기하는 것에 의해서, 현재위치에서의 음정데이터와 기본주파수가 비교된다.
그리고, 기본주파수가 음정데이터보다도 소정치이상 높은 음정이 너무높음의 경우와,기본주파수와 음정데이터의 차가 소정치이내인 음정적정의 경우와, 기본주파수가 음정데이터보다도 소정치이상 낮은 음정이 너무 낮음의 경우로 판별된다.
비교기(641)에는, 메시지선택기(642), 표시장치(643) 및 화상장치(65)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메시지선택기(642)에서는 음정이 너무 높음, 음정적정, 음정이 너무 낮음의 각 경우에 따른 메시지를 선택해서, 표시장치(643)로부터 각 메시지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를 받아서 화상장치(650)에 각 메시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음정이 너무 높음의 경우의 메시지는 좀더 음정을 낮추어이고, 음정적정의 경우의 메시지는 그대로이며, 음정이 너무 낮음의 경우의 메시지는 좀더 음정을 올려서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코우더(621), 보걸데이터추출기(622), 음정데이터추출기(623), 제1데이터버퍼(624), 제2데이터버퍼(625), 1화면표시부호추출기(626) 및 분주기(628)에 의해서, 기억수단(610)을 참조하여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보컬 데이터로부터 다시 음정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62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마이크로폰(681), 마이크로폰증폭기(682) 및 주파수분석기(683)에 의해서, 실제의 보컬로부터 기본주파수를 산출하는 주파수 검출수단(680)을 구성하고 있다.
또, 비교기(641), 메시지 선택기(642) 및 표시장치(643)에 의해서, 보컬데이터독출수단(620),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630) 및 주파수검출수단(680)의 출력을 받아서, 1구획의 보컬데이터중 음정 데이터를 음악보다도 선행하여 표시하고, 또 그 구획내의 현재위치를 음악과 동기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음악데이터와 기본주파수를 비교해서,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지시를 출력하는 화상제어수단(640)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음정데이터와 기본주파수를 비교함과 아울러,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음정이 너무 높음의 경우는 좀더 음정을 낮추어라고 지시하고, 음정적정의 경우는 그대로라고 지시하며, 음정이 너무 낮음의 경우는 좀더 음정을 올려서라고 지시하므로, 이용자는 자신의 보컬의 정확성을 음정의 면에서 공정하고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는, 비교기에서의 판별을 3가지로 구분하여 행하였지만, 구분수는, 이것보다 많아도 좋고 적어도 좋다.
또, 메시지의 내용도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메시지는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와 같이 화상위치에서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좋지만, 스피이커 등에 의해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서는 강약데이터자체나 음정데이터자체도 화상장치에 표시되지만, 그 처리블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가사도 문자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장치에 표시되지만, 그 처리블록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각 실시예 모두 데이터는, 예를들어 MIDI데이터로 구성하면 좋다.
그 경우에는 음악데이터와 보컬데이터에 각각 1채널을 할당하면 된다.
이때 재생장치는 MIDI 음원이고, 디코우더는 MIDI 디코우더이다. 또, 1소절을 1구획으로 하였지만, 다른 기준으로 1구획을 설정하여도 좋다.

Claims (10)

  1. (a) 음악데이터와, 그 음악데이터와 관련된 보컬데이터 및 현재위치표시부호를 격납하는 기억수단(110)(210)(310)(410)(510)(610)과, (b) 보컬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전기한 기억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보컬데이터독출수단(120)(220)(320)(420)(520)(620)과, (c) 가사의 현재위치표시부호를 독출하기 위해 전기한 기억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현재 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130)(230)(330)(430)(530)(630)과, (d) 전기한 보컬데이터독출수단과 전기한 현재위치표시부호독출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을 받아서, 현재위치표시부호를 표시하기 전에 보컬데이터를 표시하고 음악과 동기시켜 가사의 현재위치표시부호를 표시하기 위해 화상장치(150)(250)(350)(450)(550)(650)에 접속되어 있는 화상제어수단(140)(150)(160)(170)(180)으로 구성되어서, 음악데이터와 관련시켜 보컬의 필요한 특성을 나타내는 보컬데이터와, 가사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표시부호를 화상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음악데이터와 전기한 보컬데이터는 기억수단에 격납되어 있으며, 전기한 보컬데이터의 구획과 전기한 음악데이터의 구획은, 보컬데이터의 각 구획이 대응하는 음악데이터의 각 구획보다 1구획 선행하도록 전기한 기억수단내에서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현재위치표시부호는 가사의 현재위치마아커(marker)의 표시를 규정하고, 전기한 화상제어수단에는 현재위치 표시부호에 따라서 현재위치마아커의 좌우 양쪽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보컬데이터는 가창에 필요한 강약을 나타내는 강약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강약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 독출수단에 의해서 화상장치에 강약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실제의 보컬은 화상장치상의 표시에 따라 발생하고, 전기한 보컬표시장치는 실제보컬의 강약레벨을 검출하는 강약레벨검출수단(380)(580)으로 구성되며,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실제의 보컬의 강약레벨과 강약데이터와의 비교결과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실제의 보컬의 강약레벨과 강약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다른 지시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보컬데이터는 가창에 필요한 음정을 나타내는 음정데이터를 포함하고,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음정데이터를 독출하는 보컬데이터 독출수단에 의해 화상장치상에 음정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실제의 보컬은 화상장치상의 표시에 따라 발생하고, 전기한 보컬표시장치는 실제보컬의 기본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수단(480)(680)으로 구성되며,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실제의 보컬의 기본주파수와 음정데이터와의 비교결과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주파수검출수단은 복수개의 매치드필터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화상제어장치에는 실제보컬의 기본주파수와 음정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시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표시장치.
KR1019920000593A 1991-01-16 1992-01-16 보컬 표시장치 KR0163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6984A JPH04270390A (ja) 1991-01-16 1991-01-16 強弱比較表示装置
JP3016986A JP2931113B2 (ja) 1991-01-16 1991-01-16 カラオケ装置
JP91-16984 1991-01-16
JP91-16987 1991-01-16
JP91-16986 1991-01-16
JP91-16985 1991-01-16
JP3016987A JP2925759B2 (ja) 1991-01-16 1991-01-16 カラオケ装置
JP3016983A JPH04270389A (ja) 1991-01-16 1991-01-16 ボーカルデータ表示装置
JP91-16983 1991-01-16
JP3016985A JPH04270391A (ja) 1991-01-16 1991-01-16 音程比較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61A KR920015261A (ko) 1992-08-26
KR0163061B1 true KR0163061B1 (ko) 1999-03-20

Family

ID=2751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593A KR0163061B1 (ko) 1991-01-16 1992-01-16 보컬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08413A (ko)
EP (1) EP0498927B1 (ko)
KR (1) KR0163061B1 (ko)
AU (1) AU643585B2 (ko)
CA (1) CA2059484C (ko)
DE (1) DE691243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5595A (ja) * 1991-03-04 1992-10-01 Sanyo Electric Co Ltd 記憶媒体およびその再生装置
JPH087524B2 (ja) * 1992-07-17 1996-01-29 株式会社日本ビデオセンター カラオケ採点表示装置
KR0127218Y1 (ko) * 1992-08-13 1998-10-15 강진구 전자노래반주기의 점수평가표시장치
JP3149574B2 (ja) * 1992-09-30 2001-03-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324158B2 (ja) * 1992-10-09 2002-09-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897552B2 (ja) * 1992-10-14 1999-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GB2279172B (en) * 1993-06-17 1996-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karaoke sound processor
KR950009596A (ko) * 1993-09-23 1995-04-24 배순훈 노래반주용 비디오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US5604517A (en) * 1994-01-14 1997-02-18 Binney & Smith Inc. Electronic drawing device
GB2286510A (en) * 1994-02-10 1995-08-1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Device for generating applause for karaoke vocals
KR960002330A (ko) * 1994-06-22 1996-01-26 김광호 영상노래반주장치
US5649234A (en) * 1994-07-07 1997-07-15 Time Warner Interactive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graphical cues on a compact disc synchronized with the lyrics of a song to be played back
JP3617113B2 (ja) * 1995-04-21 2005-02-02 ヤマハ株式会社 楽譜情報表示装置
JPH0990973A (ja) * 1995-09-22 1997-04-04 Nikon Corp 音声処理装置
JP3008834B2 (ja) * 1995-10-25 2000-02-14 ヤマハ株式会社 歌詞表示装置
US7297856B2 (en) * 1996-07-10 2007-11-20 Sitrick David H System and methodology for coordinating musical communication and display
US7989689B2 (en) 1996-07-10 2011-08-02 Bassilic Technologies Llc Electronic music stand performer subsystems and music communication methodologies
US5997308A (en) * 1996-08-02 1999-12-07 Yamaha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laying words in a karaoke system
FR2753827B1 (fr) * 1996-09-26 1998-10-30 Procede pour adjoindre a un signal sonore code de l'information complementaire, notamment textuelle, destinee a etre visualisee
US6118064A (en) * 1999-09-03 2000-09-12 Daiichi Kosho Co., Ltd. Karaoke system with consumed calorie announcing function
US7806759B2 (en) * 2004-05-14 2010-10-0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Inc. In-game interface with performance feedback
US20060009979A1 (en) * 2004-05-14 2006-01-12 Mchale Mike Vo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with flexibl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US7164076B2 (en) * 2004-05-14 2007-01-16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live musical performance with a reference performance
US7271329B2 (en) * 2004-05-28 2007-09-18 Electronic Learning Products, Inc. Computer-aided learning system employing a pitch tracking line
US20060199161A1 (en) * 2005-03-01 2006-09-07 Huang Sung F Method of creating multi-lingual lyrics slides video show for sing along
US7459624B2 (en) 2006-03-29 2008-12-02 Harmonix Music Systems, Inc. Game controller simulating a musical instrument
JP2010531159A (ja) 2007-06-14 2010-09-24 ハーモニックス・ミュージック・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ックバンド疑似体験システム及び方法。
US8678896B2 (en) 2007-06-14 2014-03-25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ynchronous band interaction in a rhythm action game
DE102007032535B4 (de) * 2007-07-12 2009-09-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onisches Modul für eine integrierte mechatronische Getriebesteuerung
US8449360B2 (en) 2009-05-29 2013-05-28 Harmonix Music Systems, Inc. Displaying song lyrics and vocal cues
US8465366B2 (en) 2009-05-29 2013-06-18 Harmonix Music Systems, Inc. Biasing a musical performance input to a part
US9981193B2 (en) 2009-10-27 2018-05-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Movement based recognition and evaluation
US10357714B2 (en) 2009-10-27 2019-07-23 Harmonix Music System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menu
US8874243B2 (en) 2010-03-16 2014-10-28 Harmonix Music Systems, Inc. Simulating musical instruments
US8562403B2 (en) 2010-06-11 2013-10-22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ompting a player of a dance game
WO2011155958A1 (en) 2010-06-11 2011-12-15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game and tutorial
US9358456B1 (en) 2010-06-11 2016-06-07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competition game
US9024166B2 (en) 2010-09-09 2015-05-05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eventing subtractive track separation
JP7035486B2 (ja) * 2017-11-30 2022-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楽器
CN110111761B (zh) * 2019-03-28 2022-03-11 深圳市芒果未来科技有限公司 对乐音演奏进行实时跟随的方法及相关产品
CN113096623B (zh) * 2021-03-26 2023-07-14 北京如布科技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86B2 (ko) * 1974-12-30 1981-04-18
US4012979A (en) * 1975-03-03 1977-03-22 Computeacher Limited Music teaching apparatus
US4814756A (en) * 1980-12-12 1989-03-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display control system having improved storage of alphanumeric and graphic display data
US4771671A (en) * 1987-01-08 1988-09-20 Breakaway Technologies, Inc. Entertainment and creative expression device for easily playing along to background music
JPH01184685A (ja) * 1988-01-11 1989-07-24 Nec Home Electron Ltd 伴奏曲再生装置
JP2647890B2 (ja) * 1988-02-12 1997-08-27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伴奏曲再生表示装置
JP2811445B2 (ja) * 1988-03-22 1998-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H0262760A (ja) * 1988-08-30 1990-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H02192259A (ja) * 1989-01-19 1990-07-30 Mioji Tsumura デジタル音楽情報の出力装置
AU633828B2 (en) * 1988-12-05 1993-02-11 Ricos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and displaying words
JPH02183660A (ja) * 1989-01-10 1990-07-18 Mioji Tsumura 音楽情報処理装置
JP2847243B2 (ja) * 1988-12-05 1999-01-13 株式会社リコス 音楽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4360D1 (de) 1997-03-06
EP0498927B1 (en) 1997-01-22
CA2059484A1 (en) 1992-07-17
KR920015261A (ko) 1992-08-26
EP0498927A3 (ko) 1994-03-02
EP0498927A2 (en) 1992-08-19
CA2059484C (en) 1996-01-23
US5208413A (en) 1993-05-04
AU1022792A (en) 1992-07-23
DE69124360T2 (de) 1997-05-15
AU643585B2 (en) 199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061B1 (ko) 보컬 표시장치
US561468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eats
US5804752A (en) Karaoke apparatus with individual scoring of duet singers
US5525062A (en) Training apparatus for singing
US5889224A (en) Karaoke scoring apparatus analyzing singing voice relative to melody data
US6463014B1 (en) Reproducing apparatus
JP4212446B2 (ja) カラオケ装置
JP3996565B2 (ja) カラオケ装置
JP4204941B2 (ja) カラオケ装置
JP3176273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8233812A (ja) ビート検出装置
JP2925759B2 (ja) カラオケ装置
JP3613859B2 (ja) カラオケ装置
JP2931113B2 (ja) カラオケ装置
JP4048249B2 (ja) カラオケ装置
KR0154991B1 (ko) 전자노래 반주기의 가창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S61120188A (ja) 楽音分析装置
JP2005107332A (ja) カラオケ装置
JP4159961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4093601A (ja) カラオケ装置における歌唱練習支援システム
JPH04270391A (ja) 音程比較表示装置
JPH08263076A (ja) 歌唱練習装置
JPH04270389A (ja) ボーカルデータ表示装置
JPH04270390A (ja) 強弱比較表示装置
JPH0756586A (ja) 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