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24B1 - 자동 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24B1
KR0162924B1 KR1019940017980A KR19940017980A KR0162924B1 KR 0162924 B1 KR0162924 B1 KR 0162924B1 KR 1019940017980 A KR1019940017980 A KR 1019940017980A KR 19940017980 A KR19940017980 A KR 19940017980A KR 0162924 B1 KR0162924 B1 KR 016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ender
trail
fender
rear end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688A (ko
Inventor
히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0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62J15/02Fastening means; Stays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펜더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펜더(30)를 좌우 한쌍의 시이트레일(20)사이에 넣음과 동시에, 후부 좌우에 돌출편 형상의 임시 고정부(35)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좌우의 시이트레일(20)과 각 후단 개구(22)내에 감합하여 리어펜더(30)의 후부를 시이트레일(20)에 임시 고정하고, 프론트를 들어올려 전측 장착부(31)를 볼트(33)로 차체 프레임측에 장착하고, 다시 후부의 후측 장착부(32)를 볼트(33)로 시이트레일(20)에 장착한 것이다.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에는 캡(38)을 덮어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하였다.

Description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요부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B-B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요부의 일부절결 확대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C-C선을 따른 단면 및 변형예를 함께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7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8도 상당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시이트레일 22 : 후단 개구
31 : 전측 장착부 32 : 후측 장착부
35 : 임시 고정부 38 : 캡
본 발명은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공소63-4708호 공보에는 백스테이의 리어펜더 전반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대략 전체 길이에 특수한 홈구멍을 형성하고, 이 홈구멍내에 리어펜더의 전반부쪽 좌우 단부를 감합하고, 후부를 시이트레일사이에 배설된 지지부재에 고정부재로 체결한 종래의 리어펜더의 장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리어펜더는 비교적 중량이 크기 때문에 이것을 작업자 혼자서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예와 같이 한쪽 단부를 계합에 의해 간단히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와 같이 백스테이등의 프레임쪽에 특수한 계합구조를 설치하면 제조에 그만큼 쓸데없는 시간이 소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는, 후륜의 상부에 배설되는 리어펜더와,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해 길게 좌우 한쌍으로 배설되어 상기 리어펜더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단부가 개구된 파이프형상의 시이트레일을 구비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의 후부에 상기 시이트레일의 후단부의 개구내에 계합하는 임시 고정부를 일체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는, 후륜의 상부에 배설되는 리어펜더와, 차에의 전후방향을 향해 길게 좌우 한쌍으로 배설되어 상기 리어펜더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단부가 개구된 파이프형상의 시이트레일을 구비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의 후부에 상기 시이트레일의 후단부의 외주부에 계합하는 임시 고정부를 일체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리어펜더를 장착할 경우, 우선 그 후부를 좌우의 시이트레일 사이에 넣고 임시 고정부를 시이트레일의 후단부 개구내 또는 외주부에 계합한다. 이로써, 리어펜더는 후부측이 시이트레일에 임시 고정되므로, 프론트측 등 적당한 위치를 차체 프레임쪽에 고정하면 리어펜더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을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가 적용된 자동2륜차의 전체측면도로서, 전륜(1)은 프론트포크(2)를 통해 엔진(3)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의 프론트에 지지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의 후부에는 리어아암(4)을 통해 후륜(5)이 지지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상에는 프론트에 연료탱크(6), 후부에 시이트(7)가 지지되어 있다. 엔진(3)에는 기화기(8) 및 에어크리너(9)가 접속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은 헤드파이프(10)와, 이로부터 아래로 경사진 차체중심을 따르면서 엔진(3)의 상부를 통해 후방으로 뻗은 메인프레임(11)과, 엔진(3)의 하부를 통해 후방으로 뻗은 좌우 1쌍의 로어프레임(12)과, 엔진(3)의 후방에서 메인프레임(11)과 로어프레임(12)의 각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좌우 1쌍의 다운프레임(13)과, 후륜(5)의 후단부로부터 좌우로 쌍을 이루며 상부로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된 파이프형상의 시이트레일(20)과, 이 시이트레일(20)의 중간부와 다운프레임(13)의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쌍의 백스테이(14)로 구성되어 있다. 백스테이(14)에는 스텝홀더(15)가 장착되어 있다.
시이트레일(20)에는 리어펜터(30)가 지지되며, 그 상부방향은 시이트(7)로 덮여져 있다. 또한, 시이트(7) 하부방향의 차체 양쪽은 좌우 1쌍의 리어커버(40)로 덮여져 있으며, 좌우의 리어커버(40) 후단 사이에서 시이트(7)의 후방부분에는 리어센터 커버(50)가 배설되어 있다. 에어크리너(9)의 좌우측은 사이트커버(60)로 덮여져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시이트레일(20) 및 백스테이(14)와 시이트레일(20)의 양쪽에 용접되어 있는 보강브라킷(17)(이하, 시이트레일(20)쪽이라 함)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리어펜더(30)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리어펜더(30)는 후륜(5)의 외주에 대응하여 구부려져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부가 좌우가 시이트레일(20) 사이에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그 프론트 좌우에 형성된 전측 장착부(31)와, 후단부의 좌우 측방에 형성된 후측장착부(32)에서 각각 볼트(33)(34)에 의해 차체 프레임쪽에 장착됨과 동시에,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에 임시 고정부(35)에 의해 계합되어 있다.
우선, 전측 장착부(31)는 보강브라킷(17)의 하부에 용접된 스테이(171)의 용접너트(172)에 볼트(33)를 체결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부호 18은 별도의 보강브라킷이다.
또한, 후측 장착부(32)는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에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테이(21)의 용접너트(21a)에 대해 볼트(34)를 체결함으로써 창착되어 있다. 제5도중 부호 36은 리어윙커(Wk)의 장착아암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임시 고정부(35)는 이 부분을 확대한 제6도 및 시이트레일(20)의 관계를 도시한 제7도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리어펜더(30)의 후단벽(37) 하부 좌우의 베이스벽(37a)에 전방쪽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긴 편평한 돌출편 형상을 이루며, 시이트레일(20)의 후단 개구(22)내에 감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단 개구(22)에는 캡(38)이 덮여져 있으며, 미리 그 중앙부에 임시 고정부(35)의 단면형상과 거의 같게 형성된 슬릿(38a)을 통해 임시 고정부(35)가 후단 개구(22)내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단, 이 캡(38)은 반드시 배설할 필요는 없다.
임시 고정부(35)의 단면형상은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테, 제8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인 (a)외에 (b)의 원형단면이나 (c)의 다각형 단면 등이 가능하다. 또, (b) 및 (c)에서는 캡(38)을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리어펜더(30)를 시이트레일(20)측에 장착하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펜더(30)를 좌우의 시이트레일(20) 사이에 넣고, 먼저 그 후부측에서 임시 고정부(35)를 후단 개구(22)내에 감합한다.
이에 따라, 리어펜더(35)는 시이트레일(20)에 임시 고정되므로, 리어펜더(30)의 전단측을 들어올려 전측 장착(31)를 스테이(171)의 용접너트(172)(제4도)에 맞추고, 볼트(33)를 용접너트(172)에 체결한다. 계속해서, 후측 장착부(32)를 스테이(21)의 용접너트(21a)(제5도)에 맞추고 볼트(34)로 용접너트(21a)에 체결한다.
이로써, 리어펜더(30)는 비교적 중량물(重量物)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자 혼자서도 간단하게 차체 프레임측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장착후의 임시 고정부(35)는 만일 볼트(34)가 느슨해졌을 경우 리어펜더(30)의 후부가 시이트레일(2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예상수단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캡(38)을 통해서 후단 개구(22)내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겸용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것은 임시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경우 임시 고정부(135)는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를 감합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가 된다.
제10도의 (a)는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를 감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10도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135)의 단면형상은 (b)의 사각형(135b), (c)의 다각형(135c)등이 가능하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35)의 베이스부 벽(137)을 시이트레일(20)의 직경보다 완만하고 커다란 평판형상으로 하면 캡(38)을 생략하더라도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면중 (b)는 (a)의 (37a)를 화살표방향 X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이트레일의 후단부 개구내 또는 그 외주부에 계합하는 임시고정부를 리어펜더의 후부에 일체적으로 배설하였으므로, 리어펜더를 시이트레일에 장착할 때 리어펜더의 후부를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펜더가 비교적 중량물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원 혼자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를 리어펜더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부품을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그외에 시이트레일측에 특별한 구조를 배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도 용이하다.
또, 리어펜더 후부측에 시이트레일측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배설했을 경우, 이 장착부재가 만약 탈락되더라도 리어펜더가 시이트레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후륜(5)의 상부에 배설되는 리어펜더(30)와,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해 길게 좌우 한쌍으로 배설되어 상기 리어펜더(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단부가 개구된 파이프형상의 시이트레일(20)을 구비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30)의 후부에 상기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의 개구(22)내에 계합하는 임시 고정부(35)를 일체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2. 후륜(5)의 상부에 배설되는 리어펜더(30)와,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해 길게 좌우 한쌍으로 배설되어 상기 리어펜더(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단부가 개구된 파이프형상의 시이트레일(20)을 구비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30)의 후부에 상기 시이트레일(20)의 후단부의 외주부에 계합하는 임시 고정부(135)를 일체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KR1019940017980A 1993-08-31 1994-07-25 자동 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KR0162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72293A JP3273674B2 (ja) 1993-08-31 1993-08-31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93-240722 1993-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688A KR950005688A (ko) 1995-03-20
KR0162924B1 true KR0162924B1 (ko) 1998-12-01

Family

ID=1706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980A KR0162924B1 (ko) 1993-08-31 1994-07-25 자동 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73674B2 (ko)
KR (1) KR0162924B1 (ko)
CN (1) CN1043466C (ko)
BR (1) BR94033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9542B2 (ja) * 1996-09-11 2005-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の収納構造
JP4144222B2 (ja) * 2002-01-11 2008-09-03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後部構造
JP2009161018A (ja) * 2007-12-28 2009-07-23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3890A1 (fr) * 1988-07-11 1990-01-12 Kerlouet Luc Dispositif pour pose de garde-boue ve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688A (ko) 1995-03-20
BR9403372A (pt) 1995-05-09
CN1109012A (zh) 1995-09-27
CN1043466C (zh) 1999-05-26
JP3273674B2 (ja) 2002-04-08
JPH0769260A (ja) 199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0265A1 (en) Structure for disposing fuel tank for straddle-type vehicle
JPS6234880A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ム
US5353888A (en) Body frame for vehicles
US20050051374A1 (en) Rear fender and related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same
KR0162924B1 (ko) 자동 2륜차의 리어펜더 장착구조
JP2712815B2 (ja) 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KR950029124A (ko) 소형 차량의 시이트 하부 수납박스의 지지구조
KR0132256B1 (ko) 차량의 테일램프장치
JPS6315191B2 (ko)
US4453765A (en) Saddle for bicycle
JP3367760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H0642945Y2 (ja) 自動二輪車のリャグリップ取付装置
KR0185769B1 (ko)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JPH10250662A (ja)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装置
KR0117830Y1 (ko) 버스의 후레임 보강구조
JPH0644787Y2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装置
JPH04123893U (ja) 自動二輪車のフユーエルタンク支持構造
JPH075110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KR0124920Y1 (ko) 자동차의 쉽핑 구조물
JP2507143B2 (ja) ヘッドランプの取付構造
JP2756122B2 (ja) 自動二輪車の倒立型フロントフォークのフロントフォークカバー取付装置
JP3398168B2 (ja) ルーフ付き軽車両のピラー支持構造
KR1998004796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KR19980049680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970041811A (ko) 자동차용 차체의 하부구조(a under part structure of front frame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