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69B1 -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69B1
KR0185769B1 KR1019950004737A KR19950004737A KR0185769B1 KR 0185769 B1 KR0185769 B1 KR 0185769B1 KR 1019950004737 A KR1019950004737 A KR 1019950004737A KR 19950004737 A KR19950004737 A KR 19950004737A KR 0185769 B1 KR0185769 B1 KR 018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bottom plate
fuel tank
intake cover
inta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요시 미우라
노리유키 오기스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69B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기화기(17) 전방의 실린더(16)와 그 상부에 우치하는 연료탱크(12)의 탱크바닥판(22) 사이의 공간내에 차폭방향으로 확대된 흡기커버(19)를 배치하여 이 공간을 폐색하고, 실린더(16)와 탱크바닥판(22) 사이로부터 기화기(17) 주변으로 흐르는 주행풍을 저지하여 기화기(17)의 아이싱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차체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차체의 전체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커버 정면도,
제4도는 스테이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연료탱크 14 : 엔진
16 : 실린더 17 : 기화기
19 : 흡기커버 21 : 측부
33 : 지지판 34 : 브래킷
35 : 볼트 46 : 스테이
본 발명은 기화기 등의 아이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은 공지된 것으로써,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평 5-69360호에는 기화기 전방에 배치한 흡기관에 커버를 장착하고, 이 커버로 흡기관과 기화기를 덮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의 경우는 기화기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과 연료탱크 사이를 통해서 오는 주행풍이 기화기 주변으로 돌아서 들어가기 때문에 아이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행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기 커버가 요망된다.
상기 발명에 관한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는 헤드하이프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메인파이프와, 그 상부 좌우에 걸쳐 배치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하부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상부쪽으로 실린더가 뻗은 엔진을 배설하고, 엔진 후방에 그 엔진의 흡기시스템 부재를 배설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서 상부쪽으로 뻗으며 상기 연료탱크의 바닥판에 접하는 판형상의 흡기커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기커버를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탱크 바닥판은 그 좌우가 낮고, 중앙이 상부로 움푹 패인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으로 하고, 흡기커버의 중앙 상부를 탱크 바닥판의 형상을 따르도록 상부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흡기커버의 하부를 스테이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흡기커버가 엔진과 연료탱크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기 때문에 이 공간을 통해 기화기 주변으로 흐르려고 하는 주행풍을 저지한다.
또, 흡기커버의 중앙 상부를 연료탱크의 공간내로 돌출시켜서 그 바닥부에 맞닿아 접해 있도록 하면 연료탱크의 바닥판이 주행풍에 의한 흡기커버의 스토퍼가 된다.
연료탱크와 엔진 사이에서 흡기시스템 부재를 향해 흘러오는 주행풍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기화기 등의 아이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기커버를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하면 그 탄성을 이용하여 주행풍이 지나가는 공간을 빈틈없이 폐색할 수 있다.
또한, 흡기커버의 중앙상부를 연료탱크의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의 공간내로 돌출시켜서 탱크바닥판을 따르게 하면 탱크 바닥판이 주행풍에 대한 흡기커버의 스토퍼 역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흡기커버의 하부를 스테이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고정하면 하부의 주행풍에 대한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에서, 차체프레임의 앞부분엔 전륜(1)이 프론트포크(2)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뒷부분엔 후륜(3)이 마찬가지로 리어아암(4)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차체프레임은 프론트포크(2)가 연결된 헤드파이프(5), 이 헤드파이프(5)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뻗은 메인파이프(6), 그 후단부에서 하부쪽으로 뻗으며 중간부에 리어아암(4)의 전단부를 축받침하는 리어파이프(7), 헤드파이프(5)로부터 하부쪽으로 대략 L자 형상으로 뻗으며 후단에서 리어파이프(7)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파이프(8), 하부파이프(8)와 메인파이프(6)를 연결하는 서브파이프(9), 메인파이프(6)의 후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뻗은 시이트레일(10), 하부 파이프(8)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뻗어서 시이트레일(10)과 연결하는 리어스테이(11)로 구성된다.
메인파이프(6)상엔 연료탱크(12)가 지지되어 있고, 시이트레일(10)상엔 시이트(13)가 지지되어 있다. 또, 메인파이프(6), 리어파이프(7), 하부파이프(8), 서브파이프(9)로 구성된 루우프부 내에 엔진(14)이 지지되어 있다.
엔진(14)은 크랭크케이스(15)의 전단부에서 상부로 뻗은 실린더(16)를 구비하며, 이 실린더(16)의 흡기구에 기화기(17)가 접속되고, 이 기화기(17)는 에어크리너 케이스(18)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크리너 케이스(18)는 하부파이프(8), 시이트레일(10), 리어스테이(11)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기화기(17)와 실린더(16) 사이에 흡기커버(19)가 배설되어 있다.
흡기커버(19)는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판형상 부재로써, 중앙상부가 돌출부(30)를 이루며, 연료탱크(12)의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의 공간(20)(제1도)내에 끼워져 있다. 연료탱크(12)는 좌우의 측부(21)가 메인파이프(6) 및 서브파이프(9)의 양측으로 늘어지며, 탱크 바닥판(22)도 공간(20)의 윤곽으로서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30)의 상단 및 좌우 가장자리부는 이 탱크 바닥판(22)에 접하고 있다. 흡기커버(19)의 하부(31)는 실린더(16)의 실린더 헤드커버(23)(제4도)의 측면에 밀접되어 있다.
흡기커버(19)의 하부 배면에는 차폭방향으로 뻗은 띠형상의 지지판(33)이 장착되며, 이 단부(32)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브래킷(34)이 볼트(35)에 의해 프레임쪽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6)의 후부에는 기화기(17)를 접속하는 흡기관(24)이 접속되어 있다. 흡기커버(19)의 중앙에는 메인파이프(6)가 통과하는 구멍(36)과 서브파이프(9)를 통과하는 구멍(37)이 각 중앙부에서 연통하며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37)엔 서브파이프(9)뿐만 아니라 지지판(33)의 상부 측방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뻗은 와이어 훅(38)과, 이것에 지지되는 스로틀 와이어(39)가 통과하고 있다.
흡기커버(19)의 하부중앙에는 구멍(37)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측부(21)의 하단부에 이르는 슬릿(40)이 형성되며, 이 부분을 개방함으로써 메인파이프(6) 및 서브파이프(9)의 상부쪽에서 이들에 걸쳐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33)의 양단과 중복되는 부분에 구멍(41)이 형성되고, 이 구멍(41)에 지지판(33)의 양단부에 굴곡형성된 스토퍼부(42)를 흡기커버(19)의 배면에서부터 전면으로 내밀고, 각 선단(43)부를 흡기커버(19)의 좌우단부(32)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으로 되접음으로써 단부(32)를 지지하고 있다.
브래킷(34)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파이프(9)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스테이(46)에 대해 볼트(35)로 장착되며, 상대측 너트는 스테이(46)에 용접되어 있거나 또는 별체이다.
또, 스테이(46)에는 볼트(35)의 장착부보다 상부위치에 작은 구멍(47)이 형성되며, 이 작은 구멍(47) 내에 브래킷(34)의 일부를 상부쪽으로 돌출시킨 회전저지부(48)의 선단부(49)를 굴곡시켜서 끼워맞추어 회전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흡기커버(19)는 기화기(17) 전방의 실린더(16)와 연료탱크(12)와 탱크바닥판(22) 사이의 공간을 폐색하고 있으므로, 연료탱크(12)와 실린더(16)의 사이로부터 기화기(17)로 흘러오는 차가운 주행풍을 막을 수 있어서 기화기(17) 및 흡기관(24) 등의 아이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흡기커버(19)는 메인파이프(6) 및 서브파이프(9)의 상부쪽에서 슬릿(40)을 이용하여 이들에 걸치도록 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는 주변을 탱크바닥판(22)에 접하여 있으므로, 주행풍을 받더라도 탱크바닥판(22)이 스토퍼가 되어 이 변형을 방지하므로, 특별한 스토퍼를 배설할 필요가 없어서 좋다.
또, 하부(31)는 탄성을 이용하여 실린더 헤드커버(23)에 밀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3)에 의해 흡기커버(19)의 하부를 주행풍을 견디며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3)의 지지는 볼트(35) 하나만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장착이 간단하다.

Claims (4)

  1. (정정) 헤드파이프(5)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메인파이프(6)와, 그 상부에 좌우에 걸쳐서 배설된 연료탱크(12)와, 상기 연료탱크(12)의 하부쪽에 크랭크 케이스(15)로부터 상부로 실린더(16)가 뻗은 엔진을 배설하고, 엔진 후방에 그 엔진의 흡기시스템 부재를 배설한 자동2륜차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6)의 상부에서 상부쪽으로 뻗으며 상기 연료탱크(12)의 탱크 바닥판(22)에 접하는 판형상의 흡기커버(19)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커버(19)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바닥판(22)은 그 좌우가 낮으며, 중앙이 상부쪽으로 움푹 패인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커버(19)는 탱크 바닥판(22)의 형상을 따르도록 중앙이 상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커버(19)의 하부는 스테이(46)를 통해 차체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 장치.
KR1019950004737A 1994-03-09 1995-03-08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KR018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660494A JP3403800B2 (ja) 1994-03-09 1994-03-09 自動2輪車の吸気系装置
JP94-066604 1994-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5769B1 true KR0185769B1 (ko) 1999-04-15

Family

ID=1332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737A KR0185769B1 (ko) 1994-03-09 1995-03-08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03800B2 (ko)
KR (1) KR0185769B1 (ko)
CN (1) CN10570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077B2 (ja) * 1996-05-17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吸入空気取入構造
JP3770982B2 (ja) * 1996-12-20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等の車両における走行風整流装置
CN103113429B (zh) * 2013-03-05 2015-02-18 齐鲁天和惠世制药有限公司 一种由阿米卡星制备硫酸阿米卡星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3293A (en) * 1986-03-07 1988-12-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oling air intake structure for small-size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03800B2 (ja) 2003-05-06
CN1114943A (zh) 1996-01-17
JPH07246973A (ja) 1995-09-26
CN1057053C (zh) 200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790B1 (en) Fuel tank for motorcycle
US5609658A (en) Air cleaner for a vehicle
US5323869A (en) Front fender mounting structure
CA1184450A (en) Fuel tank assembly for a motorcycle
US7409824B2 (en) Exhaust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JP2966554B2 (ja) 自動二輪車用排気装置のo2 センサ配置構造
US7766119B2 (en) Vehicle
US6655363B2 (en)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US6102149A (en) Wind deflecting device in a vehicle including a motorcycle
US6688175B2 (en) Speedometer mounting structure in motorcycle
US20060113815A1 (en) Vehicle
JPH07329871A (ja) スクーターの吸気装置
KR0185769B1 (ko) 자동2륜차의 흡기시스템장치
US7690461B2 (en) All terrain vehicle
JPS64393Y2 (ko)
US6213239B1 (en)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reserve tank for a motorcycle
JP2772807B2 (ja) 自動二輪車用カウリング等の取付構造
JP3344674B2 (ja) 自動2輪車の吸気装置
JP3048584B2 (ja) 自動二輪車
JPH0625432Y2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カバー取付構造
JPH11171075A (ja) 自動二輪車
JP3339518B2 (ja) 自動二輪車
JPH0319514Y2 (ko)
JP2769329B2 (ja) 車両のエアクリーナ取付装置
JP2518221Y2 (ja) オートバイの導風パイ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