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14B1 -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14B1
KR0162914B1 KR1019930010403A KR930010403A KR0162914B1 KR 0162914 B1 KR0162914 B1 KR 0162914B1 KR 1019930010403 A KR1019930010403 A KR 1019930010403A KR 930010403 A KR930010403 A KR 930010403A KR 0162914 B1 KR0162914 B1 KR 016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video signal
track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115A (ko
Inventor
마코토 고토
요시오 사카키바라
아키히코 니카무라
케이 이치카와
하루오 이사카
켕이치 혼조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4000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67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11B15/4678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superimposed on the main signal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압축된 디지털영상신호를 복수 분할해서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재생상태에서 재생위치검출기에 의해 영상신호의 그룹단위에서 재생위치를 검출하고, 상대위치검출기에 의해 입력영상신호와 동기화된 기준신호로 표시된 위치와 재생위치간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기억하고, 이 위상차에 의거해서 지연시간조정기에서 압축영상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정한 다음에, 헤드를 재생상탤호부터 기록상태로 절환하여 기록매체상에 상기 지연시간조정기에 의해 지연된 압축영상신호를 기록한다.

Description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종래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트랙패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A,13B : 자기헤드 22 : 압축기(압축수단)
23 : 지연시간조정기(지연시간조정수단)
25 : 스위치(스우칭수단)
31 : 재생위치검출기(재생위치검출수단)
32 : 상대위상검출기(상대위치검출수단)
34 : 트랭킹제어기(트랭킹제어수단)
본 발명은, 데이터량이 압축되고 또한 대역폭이 압축된 디지털영상신호등의 디지털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화된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디지털비디오테이프레코더(디지털VTR) 등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는, 애널로그신호기록재생장치에 비해서 더빙에 의한 기록재생영상신호의 열화가 적기 때문에 전문적인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는 정보량이 많으므로, 기록을 위해 상당히 많은 양의 테이프가 소비된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용으로는, 데이터를 압축하고, 또한 예측부호화, DCT(이산적 코사인 변환)부호화 및 가변길이부호화에 의해 대역폭을 압축한 후에, 디지털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들면, 영상신호의 1프레임단위의 데이터를 압축하고, 테이프의 연속하는 복수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An Experimental Digital VCR with 40㎜ Drum, Single Actuator and DCT-Based Bit-Rate Reduction, S.M.C.Borgers et al.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34, No.3, pp.597-605, August, 1988).
이하, 상기 방법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특정한 테이프의 폭을 가지는 자기테이프(11)는, 실린더(12)에 감겨있고, 정속도로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기록시에는, 입력영상신호(211)는 A/D(애널로그/디지털)변환기(201)에 전송되어 특정한 비트의 폭을 가지는 디지털영상신호(212)로 디지털화된다. 압축기(202)는 디지털영상신호(212)에 데이터량을 압축하여 압축영상신호(213)를 출력한다. 이때에, 압축기(202)의 디지털영상신호(212)의 특정한 그룹단위(1프레임)를 더욱 작은 블록으로 분할하고, 이 작은 블록을 셔플링(shuffling)한다. 변조기(203)는 압축영상신호(213)를 자기기록에 적합하게 변조하게 변조영상신호(214)를 출력한다. 또, 변조기(203)는 필요에 따라 변조영상신호(214)와 파일럿신호를 결합한다. 스위치(24)는 기록시에는 단자(204)쪽으로 접속되어 변조영상신호(214)를 자기헤드(13A), (13B)로 전송하고, 이 신호를 자기테이프(11)에 기록한다. 상기 압축기(202)에서 행한 셔플링에 의해, 각각의 특정한 그룹단위(각각의 프레임)내의 영상신호는 6개의 트랙으로 분할된다.
재생시에는, 실린더(12)상에 장착된 자기헤드(13A), (13B)는 자기테이프(11)로부터 변조영상신호(215)를 재생하고, 재생된 변조영상신호(215)는 복조기(205)에서 압축영상신호(216)로 복조된 후, 신장기(206)에서 디지털영상신호(217)로 신장된다. D/A변환기(207)는 디지털영상신호(217)를 애널로그영상장치(218)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기록재생장치(예를 들면, 디지털VTR)에 있어서,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자기테이프상에 새로운 영상신호를 기록할때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트랙 및 셔플링 그룹단위의 연결부가 부분적으로 불연속으로 한다. 그 결과, 불연속으로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할 때에, 이 불연속부분에서, 재생화상에 잡음이 발생하여 재생화질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새로운 신호가 새롭게 기록되며, 새로운 기록의 개시위치에서 트랙의 연속성이 중단되어 버린다. 또 셔플링 및 압축처리의 그룹단위인 1프레임의 6트랙으로 분할되어 기록이 행해질 경우, 새로운 기록의 개시위치는 이 6트랙단위의 연속성도 손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할 때에는, 트랙의 불연속성에 의해 트랭킹제어가 교란되거나, 그룹단위의 불연속성에 의해 신장동작이 교란되므로, 재생화면에 일시적으로 잡음이 생겨버린다.
이러한 불연속을 피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사카키바라요시오씨 등에 의한 미국특허출원 제 08/041,124호(임시지정: 출원일:1993. 3. 31.)에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불연속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자기테이프가 기록개시전에 예비롤부(pre-roll section)에서 재생상태로 예비주행하여, 자기테이프(11)의 재생위치를 트랙의 특정한 개수에 대응하는 양만큼 변위함으로써, 재생신호의 프레임위상과 기록신호의 프레임위상을 일치시키고 있다. 기록개시위치에 도달한 순간, 실제의 기록이 개시되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기계적인 작동을 요구하므로, 자기테이프의 재생트랙위치의 이행동작이 최종적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비교적 장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트랙의 연속성과 압축그룹단위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이미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상에 새로운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입력영상신호의 데이터량을 압축해서 압축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압축수단(22)과, 상기 압축영상신호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기록매체로부터의 기록신호를 재생하는 헤드와, 헤드의 기록과 재생을 절환하는 절환수단(25)과, 재싱시 기록매체의 트랙상에 헤드의 트랭킹제어를 행하는 트랭킹제어수단(34)과, 상기 헤드로부터의 얻어진 재생신호로부터 상기 그룹단위로 재생트랙위치를 검출하며, 재생트액위치에 대응하는 트랙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위치검출수단(31)과, 상기 디지털화한 입력영상신호와 동기화한 기준신호와 트랙위치신호사이의 상대위상을 검출하는 상대위상검출수단(32)과, 상기 상대위상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태위상에 따라서 복수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동안 상기 압축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조정수단(23)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위상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대위상에 대응해서 지연시간조정수단의 지연시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절환수단이 기록헤드를 재생상태로부터 기록상태로 절환됨으로써, 상기 지연시간조정수단에 의해 지연된 압축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재생시에 트래킹하면서, 입력영상신호와 동기화한 기준신호와 재생위치신호사이의 상대위상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지연압축영상신호를 얻도록 상기 지연시간조정수단에 지연시간을 설정한 후에 기록상태로부터 재생상태로 절환함으로써, 트랙의 연속성과 셔플링그룹단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에 의해 디지털VTR을 구성하면, 기록의 불연속에 기인한 잡음이 없는 고품위의 재생화상을 항상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VTR의 블록도이다.
먼저, 기록시의 정상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제어기(37)는 절환신호(116)로서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자기테이프(11)는 캡스턴(16)과 핀치롤러(17)사이에 끼여서, 캡스턴모터(15)의 회전속도에 대응한 속도로 주행한다. 캡스턴모터제어기(36)는 절환신호(116)에 따른 특정한 정속도를 캡스턴모터(15)에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자기테이프(11)는 특정한 정속로 주행한다. 자기헤드(13A), (13B)는 서로 다른 방위각을 가지며, 회전실린더(12)상에 180°도로 대향한 위치에서 탑재되어 있다. 또 실린더(12)주위에 감기는 테이프(11)의 각도는 대략 180°이다. 기준신호발생기(33)는 입력영상신호(101)의 프레임과 동기화한 프레임기준신호(112)와, 이 프레임기준신호(112)의 3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실린더기준신호(113)를 발생한다. 실린더(12)는 실린더모터제어기(14)에 의해 제어되며, 실린더기준신호(113)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입력영상신호(101)는 A/D변환기(21)에 의해 소정의 비트폭(예를들면 8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디지털화된다. 이 디지털영상신호(102)는 압축기(22)에 공급된다. 이 압축기는 디지털영상신호의 각 그룹단위(1프레임)의 데이터를 작은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블록을 셔플링에 의해 재배열하고, DCT변환, 가변길이부호화 등에 의해 데이터량을 압축한다. 이때 정보량은 1/5∼1/10정도로 압축되어, 압축영상신호(103)로 된다. 지연시간조정기(23)는 상대위상검출기(32)로부터의 상대위상신호(114)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상기 압축영상신호(103)를 지연해서 지연영상신호(104)를 출력한다. 이 지연영상신호(104)는 변조기(24)에 의해 자기기록에 적합한 채널부호화(예를들면, 인터리브NRZI변조, 8대 14변조 또는 8대 10변조)처리를 행한다. 또, 변조기(24)는 실린더기준신호(113)의 1/2주기마다 지연영상신호(104)를 절환해서 분할한다. 그 결과, 1프렘의 압축영상신호는 6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또한, 분할된 각각의 부분은 테이프(11)상의 각 트랙에 대응한다. 또 변조기(24)는, 이 각 부분에 프레임의 순서를 표시하는 정보(트랙위치정보)를 부가한다. 그외에, 디지털비트변소 또는 애널로그신호의 부가에 의해, 제 1주파수(f1) 및 제 2주차수(f2) 의 파일럿신호를 2개의 부분마다 교대로 합성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신호를 변조영상신호(105)로서 출력한다. 스위치(25)의 절환회로는 절환신호(116)에 의해 단자(26A)쪽으로 접속되고, 이에 의해 상기 변조영상신호(105)는 자기헤드(13A), (13B)에 전송되어 자기테이프(11)상에 기록된다.
제4도(a)는 자기테이프(11)상에 기록된 트랙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1프렘의 변조영상신호(105)는 6개의 연속트랙으로 분할되어 기록된다. 각 트랙에는, 순차 트랙신호(1∼6중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신호도 변조영상신호와 함께 시분할해서 기록되고, 따라서 프레임내에 있어서의 트랙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 파일럿신호가 없는 트랙을 사이에 두고 2트랙마다, 제 1주파수(f1) 및 제 2 주파수(f2)의 파일럿신호가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1프레임의 변조영상신호(105)를 6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시에, 실린더(12)는 입력영상신호(101)의 프레임동기신호의 3배의 주파수로 실린더기준신호(113)와 동기화하여 회전한다. 또, 파일럿신호가 없는 트랙은 자기헤드(13A)에 의해 기록되고, 파일럿성분을 포함한 트랙은 자기헤드(13B)에 의해 기록된다. 또한, 변조기(24)는 실린더기준신호(113)의 타이밍과 정합하여 각각의 트랙에 대응하는 변조영상신호(105)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한 트랙패턴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트랙의 기록방위각은 자기헤드(13A), (13B)의 방위각에 대응해서 트랙마다 교대로 다르며, 트랙은 보호주파수대(guard band)가 없이 기록되어 있다. 또 변조영상신호는 각 트랙내에서도 블록으로 분할되어서 분할기록되어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숫자 1∼6은 트랙번호를 나타내고, 기호 A∼D는 분할된 작은 블록을 나타낸다. 따라서 재생시에는 트랙내의 분할된 1블록을 재생할 때마다 복조 및 신장을 행하고, 블록이 점유할 화면의 영역에 각 블록을 위치시킴으로써, 합성된 재생영상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셔플링의 역동작).
다음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연속해서 새로온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로, 시스템제어기(37)는 절환신호(116)에 의해 스위치(25)를 단자(26B)쪽으로 접속하여 헤드(13A), (13B)를 재생상태로 설정한다. 실린더제어기(14)는 기준신호발생기(33)로부터의 실린더기준신호(113)와 동기화하여 실린더(12)를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실린더기준신호(113)는 프레임기준신호(112)의 3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타이밍신호이다. 자기헤드(13A), (13B)는 자기테이프(11)에 기록되어 있는 변조영상신호를 재생하여 헤드재생신호(106)를 출력한다. 스위치(25)는 단자(26B)쪽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헤드출력은 변조재생신호(110)로서 전송한다.
트래킹제어기(34)는 트래킹에러검출기(35)와 캡스턴모터제어기(36)로 구성되어 있다. 트래킹에러검출기(35)는 변조재생신호(110)에 포함된 파일럿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f1)성분과 주파수(f2)성분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를 트래킹에러신호(118)로서 출력한다. 캡스턴제어기(36)는 파일럿신호의 주파수(f1)성분과 주파수(f2)성분이 재생상태에서 트래킹에러신호(118)에 응답해서 균형을 이루도록 캡스턴모터(15)의 회전을 제어한다. 트래킹에러검출기(35)는 파일럿신호성분을 2트랙마다 비교한다. 이 트래킹에러검출기(35)는, 파일럿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트랙을 재생하는 자기헤드(13A)에, 인접한 트랙으로부터, 누설되어 혼합된 파일럿신호의 주파수(f1)성분과 주파수(f2)성분간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2개의 트랙마다 재생할때에, 파일럿신호성분의 비교의 극성을 반전시켜, 항상 선행 트랙의 파일럿신호의 크기와 후속트랙의 파일럿성분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캡스턴모터제어기(36)는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트래킹에러신호(118)에 따라 캡스턴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자기헤드(13A), (13B)는 방위가 일치된 트랙을 정확하게 추적하여 재생한다. 트래킹제어의 록위치의 간격(제어주기)은 테이프상에 기록된 1세트의 파일럿신호의 1사이클과 동등한 4트랙에 대응한다.
재생위치검출기(31)는 변조재생신호(110)로부터 제4도(b)의 재생트랙위치를 검출하고, 제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랙위치신호(111)를 출력한다. 트랙위치신호(111)는 트랙번호1의 발생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신호이다(또는, 1프레임 단위내에 있어서의 트랙위치번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위상검출기(32)는 기준신호발생기(33)로부터의 프레임기준신호(112)와 재생위치검출기(31)로부터 트랙위치신호(111)사이의 상대위상을 검출한다(제4도(d). 상대위상검출기(32)로부터의 상대위상신호(114)는 지연시간조정기(23)로 전송된다. 지연시간조정기(23)는, 예를들면, 압축영상신호(103)를 기억하고, 적절한 지연에 의해 지연영상신호(104)를 출력하는 RAM으로 구성된다. 지연시간조정기(23)의 지연시간은 상대위상검출기(32)로부터의 상대위상신호(114)에 따라 조정된다.
트래킹제어기(34)는, 재생신호(110)에 포함된 파일럿신호에 의해 자기헤드를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랙상에 설정하도록, 캡스턴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트래킹제어를 행한다. 시스템제어기(370는 트래킹에러신호(118)로부터 트래킹제어의 안정성을 검출하고, 기억명령신호(115)를 출력한다. 이 기억명령신호(115)가 입력되면, 이때에 상대위상검출기(32)는, 상대위상신호(114)를 기억하고 유지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지연시간조정기(23)는 기억된 상대위상신호(114)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압축영상신호(103)를 지연하여 지연영상신호(104)를 출력한다. 즉, 이 지연영상신호(104)는, 재생영상신호(110)와 프레임위상이 일치하도록 지연되어 조정된다. 그후, 시스템제어기(37)는 트랙위치신호(111)로부터 다음의 프레임단위의 개시시점을 검출하고, 절환신호(116)를 출력해서, 스위치(25)를 단자(26A)쪽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캡스턴모터(15)를 기록시의 특정한 정회전속도로 제어하도록 캡스턴모터제어기(36)의 제어를 절환한다. 그 결과, 자기헤드(13A), (13B)는 변조기(24)로부터의 변조영상신호(105)를 기록하도록 동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기록을 행할 경우에, 먼저, 시스템제어기(37)는 재생 상태를 선택하고, 트래킹제어기(34)에 의해서 트랙상의 파일럿신호를 이용해서 트랙킹제어를 행한 후에, 기록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트랙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다음에, 재생상태에서, 재생위치검출기(31)는 재생신호로부터 프레임단위의 재생트랙위치를 검출하고, 상대위상검출기(32)는 입력영상신호(101)와 동기화한 프레임기준신호(112)와 트랙위치신호(111)사이의 상대위상차에 의거한 상대위상신호(114)를 검출하고 기억하여 유지한다. 지연시간조정기(23)는 상대위상신호(114)에 따른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압축영상신호(103)로부터 지연영상신호(104)를 출력한다. 지연시간조정기(23)는 적어도 6개의 트랙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1프레임주기에서, 지연영상신호(104)와 트랙으로부터의 재생영상신호(110)의 재생타이밍이 일치하게 된다.
지연조정후의 프레임의 개시시점으로부터, 시스템제어기(37)는 기록상태로 절환하고, 변조기(24)로부터의 변조영상신호(105)를 기록한다. 이때 캡스턴모터제어기(36)는 캡스턴모터(15)를 정속도로 회전제어하도록 절환되어, 테이프(11)는 정속도로 주행구동한다. 그 결과, 프레임단위의 연속성이 기록개시트랙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기록개시시점에서의 트랙의 연속성과 프레임단위(셔플링그룹단위)의 연속성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재생한 때에 기록의 연결부에서도 잡음이 없는 고품위의 재생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테이프주행을 제어하는 트랭킹제어는, 파일럿신호에 의하 트랭재생동작을 일시적으로 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입력영상신호(101)과 동기화한 프레임기준신호(122)에 재생트랙을 강제로 일치시킴으로써 타이밍조정을 제어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트래킹제어는 극히 간단화된다.
또한, 영상신호는 압축을 실시한 후에 지연시키고 있으므로, 지연시간내의 영상정보가 적어지므로, 지연시간조정기(23)의 메모리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상에 공존하는 파일럿신호를 재생함으로써 트래킹제어를 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트랙상의 소정위치에 부분적으로 파일럿신호를 기록·재생해서 트래킹을 행하도록 해도 되며, 또한 선형의 트랙에 기록된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트래킹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압축 및 분할의 셔플링그룹단위는 1프레임에만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프레임에 걸쳐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만을 기록하였으나,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기타정보신호를 동일한 트랙내에 함께 기록해도 됨은 물론이다.

Claims (7)

  1. 특정한 그룹단위마다의 디지털영상신호를, 기록테이프의 N개(N은 4이상의 정수)의 연속적인 트랙상에, 기록하는 디지털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는, 압축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특정한 그룹단위마다의 입력디지털화상신호의 데이터량을 압축하는 압축수단(22)과; 상기 특정한 그룹단위마다의 압축영상신호를, 기록테이프에 연속적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N개의 트랙상에, 기록하고 또한 기록테이프로부터 기록신호를 재생하는 헤드(13A, 13B)를 구비한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는, 경사진 트랙상에 기록된 파일럿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재생시에 기록테이프의 상기 경사진 트랙상에서 헤드의 트래킹제어를 행하는 트래킹제어수단(34)과; 기록과 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헤드를 절환하는 스위칭수단(25)과; 헤드로부터 얻은 재생신호에 의해, 연속적으로 경사진 상기 N개의 트랙 중에서 재생트랙을 검출하고, 이 재생트랙을 나타내는 트랙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위치검출수단(31)과; 입력디지털영상신호와 동기화된 기준신호와 트랙위치신호 사이의 상대위상을 검출하는 상대위상검출수단(32)과; 상기 상대위상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대 위상에 따라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경사진 트랙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동안 압축영상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조정수단(23)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수단(25)은, 상대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대위상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조정수단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설정한 후에, 헤드(13A, 13B)를 재생상태로부터 기록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지연시간조정수단에 의해 지연된 압축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일럿신호를 각각 갖는, 연속적으로 경사진, 트랙의 개수는, 2이상의 정수이고 또한 N보다 작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주파수(f1) 및 제2주파수(f2) 의 파일럿신호가 2트랙마다 교대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트래킹제어수단(34)은 제1주파수 및 제2주파수를 갖는 파일럿신호를 이용해서 트래킹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제어수단(34)은, 상기 경사진 트랙상에 기록된 상기 파일럿신호로부터 얻은 에러신호에 따라서 기록테이프 구동용의 캡스턴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트랙킹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압축영상신호의 상기 특정한 그룹단위의 간격으로 상기 헤드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의 제어주기가 연속적으로 경사진 상기 N개의 트랙의 주기보다 짧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그룹단위는 한 개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기록재생장치.
KR1019930010403A 1992-06-10 1993-06-09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KR0162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50334A JP2962047B2 (ja) 1992-06-10 1992-06-10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92-150334 1992-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115A KR940006115A (ko) 1994-03-23
KR0162914B1 true KR0162914B1 (ko) 1999-01-15

Family

ID=1549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403A KR0162914B1 (ko) 1992-06-10 1993-06-09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71604A (ko)
EP (1) EP0574238B1 (ko)
JP (1) JP2962047B2 (ko)
KR (1) KR0162914B1 (ko)
DE (1) DE693182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725A (ja) * 1993-11-16 1995-06-02 Canon Inc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963152A (ja) * 1995-08-21 1997-03-07 Toshiba Corp フレーム同期方法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3646382B2 (ja) * 1995-12-13 2005-05-1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US5999905A (en) * 1995-12-13 1999-12-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to maintain continuity when subsequent data is added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said data
JP2006066573A (ja) * 2004-08-26 2006-03-09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19367A (en) * 1983-05-25 1987-03-17 Tadashi Motoyama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146674A (ja) * 1986-12-10 1988-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DE3819393A1 (de) * 1987-06-08 1988-12-29 Canon Kk Geraet zum aufzeichnen digitaler signale
EP0316184B1 (en) * 1987-11-12 199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phase difference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using the same
JPH01264385A (ja) * 1988-04-15 1989-10-20 Hitachi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568255B2 (ja) * 1988-09-14 1996-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ヘッド型再生装置
JP2701364B2 (ja) * 1988-09-22 1998-01-21 ソニー株式会社 Pcm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553668B2 (ja) * 1988-10-13 1996-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4238B1 (en) 1998-04-29
EP0574238A1 (en) 1993-12-15
JPH05344468A (ja) 1993-12-24
JP2962047B2 (ja) 1999-10-12
DE69318214T2 (de) 1998-08-27
KR940006115A (ko) 1994-03-23
US5371604A (en) 1994-12-06
DE69318214D1 (de) 199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060B2 (ko)
EP0574216B1 (en) Digital video tape recorder
JPS58194162A (ja)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US5045954A (en)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for serial data having a variable bit transfer rate
KR0162914B1 (ko) 디지털신호기록재생장치
US6091561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which simultaneously scans two continuous tracks in both standard and long play modes
KR100261197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10344B1 (ko) 영상 신호 녹화 시스템
US5878185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a video signal using a rotary head
JP3031107B2 (ja)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KR970006703B1 (ko) 디지틀신호 기록재생장치
JP3221140B2 (ja)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2698383B2 (ja)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0183170B1 (ko) 디지탈 브씨알 슬로우 재생방법
JP276900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82021B2 (ja) デイ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466061B2 (ko)
JPH0896451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S621777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19946A (ja) 再生装置
JPH04311883A (ja) デジタル映像信号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H042125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188325A (ja) トラツキングエラ−信号検出回路
JPS623482B2 (ko)
JPH02158989A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