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689B1 -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689B1
KR0162689B1 KR1019950010957A KR19950010957A KR0162689B1 KR 0162689 B1 KR0162689 B1 KR 0162689B1 KR 1019950010957 A KR1019950010957 A KR 1019950010957A KR 19950010957 A KR19950010957 A KR 19950010957A KR 0162689 B1 KR0162689 B1 KR 016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acket
steering
bearing
d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759A (ko
Inventor
쿠니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유이찌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유이찌,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유이찌
Publication of KR95003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계의 사프트는 베어링부재를 개재해서, 대시패널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동차충돌시에, 베어링부재는 샤프트(16)의 지지를 해제하고, 대시패널(18)로부터 해방한다. 베어링부재는, 샤프트(16)를 지지하는 베어링(28)과, 이 베어링(28)을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해서 유지하는 동시에, 대시패널(18)에 장착된 2개의 브래킷(30), (32)으로 이루어진다. 자동차충돌시의 하중에 의해, 이들 2개의 브래킷의 결합부분이 해제되어서, 샤프트(16)는 대시패널(18)로보터 자유로 된다. 운전자는 관성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해서 스티어링휠(4)에 닿아 스티어링휠(4)이 자유로 된 샤프트와 하께 전진할때, 대시패널(18)이 샤프트(16)의 전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제1도는 스티어링계의 정면도.
제2도는 대시패널의 개구부를 커버로 덮는 예에 대해서, 대시패널에의 스티어링샤프트의 지지부를 베어링부재의 단면과 함께 설명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베어링부재를 구성하는 제1브래킷의 외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제1브래킷을 Ⅳ시시방향에서 본 도면.
제5도는 베어링부재를 구성하는 제2브래킷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제2브래킷을 Ⅵ시시방향에서 본 도면.
제7도는 베어링부재를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티어링콜럼 4 : 스티어링휠
6 : 스티어링샤프트 8 : 상부브래킷
10 : 하부브래킷 12 : 콜럼지지부재
14, 20, 24 : 크로스조인트 16 : 중간샤프트
18 : 대시패널 22 : 전달샤프트
26 : 스티어링기어박스 27 : 개구
28 : 볼베어링 30 : 제1브래킷
32 : 제2브래킷 34 : 반원호형상부
35 : 본체 36 : 제1장착부
37 : 보조판 38 : 제2장착부
40, 42 : 장착구멍 44 : 걸어맞춤구멍
46 : 삽통구멍 48 : 반원호형상부
50 : 걸어맞춤클릭 52, 54, 56 : 볼트
53 : 기부(基部) 60 : 커버
61 : 리테이너 62 : 너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시패널을 관통해서 일단부쪽이 스티어링휘일에 연결되고, 타단부쪽이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샤프트를 가진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10848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예는 스티어링계의 중간샤프트가 대시패널을 관통하는 개소에 베어링을 개재해서 세트플레이트를 설치해서, 이 중간샤프트를 회전지지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 세트플레이트에 의한 취약부를 설치해서, 세트플레이트의 차량 전방쪽으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충격흡수시에 스티어링콜럼(Steering Column)의 하단부의 변위가 대시패널에 규제되어서 충격흡수효과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세트플레이트를 변형하기 쉽게 한 것이며, 중간 샤프트가 대시패널롭터 완전히 자유(free)로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세트플레이트의 변형방식에 따라서는, 자동차충돌시에 있어서, 세트플레이트자체가 중간샤프트나 스티어링콜럼에 간섭하므로써, 스티어링콜롬이 자동차의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이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위치로부터의 충격흡수를 할 수 없게 되는 염려가 있다.
또, 세트플레이트의 변형시의 충격에 의해, 중강샤프트와 베어링과의 위치, 즉, 스티어링콜럼과 베어링과의 위치가 변화하고, 이에 의해, 베어링의 스티어링콜럼과 간섭해서 역시, 그 간섭위치이후의 충격흡수를 할 수 없게 되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간섭이 있어도, 그 영향을 사실상, 없앨 수 있는 충격흡수의 효율이 높은 충격흡수기구를 스티어링콜럼등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스트상승으로 되고 있었다.
또, 상기 간섭에 의해, 스티어링샤프트의 각도가 변위하는 염려도 있기 때문에, 에어백장치를 장착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를 예측한 큰 백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었다.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의 제1의 발명은, 대시패널을 관통해서 일단부쪽이 스티어링휠에 연결되고, 타단부쪽이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샤프트를 가진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대시패널에 장착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있고, 이 베어링부재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상기 샤프트의 상기 대시패널에 대한 장착을 해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베어링부재는,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동시에 대시패널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발명은, 상기 제2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의 자동차전방쪽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대시패널과 샤프트와의 상대변위에 의해서 대시패널에 대한 베어링의 지지를 해제하는 변형가능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발명은, 상기 제2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은 대시패널에 장착되는 동시에 베어링의 자동차후방쪽의 부분을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자동차전방쪽의 부분을 지지하는 제2브래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상기 제1브래킷에의 장착이 해제되므로써, 샤프트의 대시패널에의 장착이 해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상기 제4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베어링을 지지할때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상기 베어링의 부위로부터 어긋난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의 발명은, 상기 제4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제2브래킷에 대한 샤프트긴쪽방향상에서의 치수가, 제1브래킷에 대한 샤프트의 긴쪽방향상에서의 치수보다 작게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의 발명은, 상기 제4또는 제5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베어링을 사이로 한 한쪽편에 1개소, 다른쪽편에 1개소의 합계 2개소이고, 상기 임의의 1개소에 대해서는 볼트죔에 의한 장착이고 다른 1개소에 대해서는 한쪽의 브래킷을 다른족의 브래킷에 걸어맞춤시킨 장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의 발명은, 상기 제7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걸어맞춤은, 제1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과, 제2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클릭과의 짜맞춤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의 발명은, 상기 제3 또는 제4 또는 제8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베어링은,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의 발명은, 상기 제9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샤프트는, 상단부에 스티어링휠을 가진 제1샤프트와, 하단부가 유니버셜조인트를 개재해서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제3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와 상기 제3샤프트의 상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어서 볼베어링과 브래킷에 의해 대시패널에 지지되어 있는 제2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의 발명은, 상기 제10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제1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베어링부재는,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탄성고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의 발명은, 상기 제3 또는 제4 또는 제8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베어링은,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의 발명은, 상기 제12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의 발명은, 대시패널을 관통해서 일단부쪽이 스티어링휠에 연결되고, 타단부쪽이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샤프트를 가진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해서 상기 대시패널에 장착되어 있어서, 중앙부에 구멍을 가진 탄성체의 커버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휠과 상기 스티어링기어박스를 연결하는 샤프트와, 상기 구멍을 폐색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대시패널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의 자동차후방쪽을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걸어맞춤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의 자동차전방쪽을 지지하고 있는 제2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의 부위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변형하는 부분을 가지고, 이 변형에 의해서 상기 볼베어링의 지지를 상기 샤프트와 함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의 발명은, 상기 제15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샤프트는, 상단부에 스티어링휠을 가진 제1샤프트와, 하단부가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제3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와 상기 제3샤프트의 상당부가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어서 볼베어링과 브래킷에 의해 대시패널에 지지되어 있는 제2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의 발명은, 상기 제16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볼베링은 원환(円環)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의 상기 볼베어링지지부는 다같이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원호형상의 부분에 의해서 상기 볼베어링의 외주를 지지하고 있고, 제2브래킷에 대해서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볼베어링을 사이로 한 한쪽편에 볼트죔에 의한 장착이 이루어지고, 다른쪽편에 대해서는 걸어맞춤에 의한 장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의 발명은, 상기 제17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걸어맞춤은, 제1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과, 제2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클릭과의 짜맞춤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의 발명은, 상기 제16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제1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박스를 연결하는 샤프트가 대시패널을 관통하고 있고, 이 관통부의 상기 샤프트가 베어링부재를 개재해서 상기 대시패널에 장착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에, 상기 베어링부재가 상기 샤프트를 해방한다. 이 해방에 의해, 상기 샤프트는 상기 대시패널에 대하여 이동의 자유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충돌시에 있어서 대시패널이 자동차후방쪽으로 이동해도, 이 이동에 의해 스티어링콜럼에 상기 베어링부재가 간섭하는 일은 없고, 이 간섭에 의한 충격흡수를 위하여 충격흡수효율의 높은 충격흡수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상기 간섭에 의한 스티어링샤프트의 각도변위를 예측한 큰 에어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베어링부재는, 베어링과 브래킷을 가지고, 이들 베어링과 브래킷을 개재해서, 샤프트를 대시패널에 장착하는 것이므로, 상기 샤프트의 상기 브래킷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브래킷의 자동차 전방쪽에, 자동차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대시패널과 샤프트와의 상대변위에 의해 대시패널에 대한 베어링의 지지를 해제하는 변형가능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해제에 의해 상기 샤프트는 대시패널의 자동차충돌시의 이동에 추종하는 일없이 자유이고,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브래킷이 베어링의 전방쪽을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베어링의 후방쪽을 지지하는 제2브래킷에 의한 분할 타이프로서, 베어링을 끼워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의 장착, 분리의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상호의 장착개소가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이고, 부동(不動)부재로서의 스티어링박스를 개재해서 부동형상의 부재인 베어링에 대해서, 대시패널이 자동차충돌시에 이동하는데 따라, 상기 장착개소에 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과의 장착이 해제되기 쉽다.
본 발명의 제6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제2브래킷의 소정방향에서의 치수가, 제1브래킷의 소정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므로써, 강도적으로도 제2브래킷의 쪽이 약하게 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충돌시에 제2브래킷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장착부분이 보다 쉽게 분리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제7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가, 2개소이고, 장착수단으로서, 상기 2개소중의 1개소는 볼트죔이고, 다른 1개소는 한쪽의 브래킷을 다른 쪽의 브래킷에 걸어맞춤시킨 것이므로, 걸어맞춤에 의한 장착수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베어링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제18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장착수단으로서, 걸어맞춤에 의한 부분은, 걸어맞춤클릭과 걸어맞춤구멍과의 짜맞춤에 의한 것이므로, 간단하게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베어링부재를 구성하는 베어링은 볼베어링이므로, 샤프트가 회전시에 요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의 샤프트를 3분할하여, 유니버설조인트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부에 있어서의 변위의 자유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굴곡시켜서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기어박스로부터의 충격을 조인트부를 변위시키므로써 흡수하고, 스티어링휠쪽에 충격을 전달하기 어렵게 되는 동시에,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에 충돌하였을 경우, 스티어링의 샤프트측방향의 행정(stroke)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제14, 제19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해제되는 베어링부재를 개재해서, 스티어링의 샤프트를 대시패널에 장착하는 동시에, 충격흡수기구를 병설하였으므로, 충격흡수의 상승(相乘)효과에 의해서, 충격흡수효율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2, 제13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베어링부재중,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탄성고무를 사용하므로, 제작이 용이해지고, 또 저코스트로 된다.
본 발명의 제15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의 샤프트가 대시패널을 관통하는 부분에 대해서, 대시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탄성체의 커버로 폐색하도록 하였으므로, 차음성(遮音性)이 향상하고, 또, 샤프트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있어서 이동의 자유를 구속당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16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스티어링의 샤프트는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연결된 분할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충돌시의 상기 샤프트의 이동행정을 크게 잡을 수 있고, 또, 상기 샤프트는 볼베어링과 브래킷을 개재해서 대시패널에 해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볼베어링에 의해 확실하게 회전자재한 지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의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의하면, 브래킷은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2개의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원환형상을 한 볼베어링의 둘레면을 따르는, 반원형상으로 한 형상부분에 의해서 볼베어링을 끼우도록 지지하므로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고, 또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장착개소는, 자동차의 폭방향상, 볼베어링을 사이로 한 한쪽편이 볼트죔이고, 볼베어링을 사이로 한 다른 쪽편이 양브래킷사이의 걸어맞춤관계에 의한 것이므로, 걸어맞춤부에서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 자동차충돌시의 하중에 의해 걸어맞춤부의 해제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티어링장치의 개략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스티어링콜럼(2)은, 상단부(上湍部)에 스티어링휠(4)이 결합된 제1샤프트로서의 스티어링샤프트(6)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에는 상부브래킷(8)이, 하부에는 하부브래킷(10)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8), (10)은 차체에 가로설치된 콜럼지지부재(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스티어링장치자체공지의 콜랩서블(collapsible) 기구가 충격흡수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에 충돌해서 스티어링샤프트(6)에 하중이 가해지면, 파이프체와 샤프트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티어링샤프트(6)의 샤프트체가 파이프체내에 압입되어서 스티어링샤프트(6)의 전체길이가 짧아지고, 이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에 충돌하였을 때의 충돌하중에 의해 상부브래킷(8)과 콜럼지지부재(12)와의결합부 및 하부브래킷(10)과 스티어링콜럼(2)과의 결합부가 각각 파괴되고, 스티어링콜럼(2)이 차체쪽으로부터 벗어나서, 앞아래쪽으로 이동할때에, 하부브래킷(10)에 형성된 도시생략의 블록부(凸部)가, 스티어링콜럼(2)을 변형시키므로써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기구를 상기 콜랩시블기구와 병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스티어링샤프트(6)의 하단부에는 크로스조인트(14)를 개재하여 제2샤프트로서의 중간샤프트(16)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샤프트(16)는 차실내의 발끝앞벽을 구성하는 대시패널(18)을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중간샤프트(16)의 하단부에는 크로스조인트(20)를 개재해서 제3샤프트로서의 전달샤프트(22)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전달샤프트(22)의 하단부는 크로스조인트(24)를 개재해서 스티어링기어박스(2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휠(4)의 회전조작이 스티어링기어박스(26)에 전달되어서 차륜이 조타된다.
또한, 전달 샤프트(22)에도 상기 기재의 콜랩시블기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스티어링기어박스(26)쪽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스티어링콜럼(2)의 후방으로의 돌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간샤프트(16)가 대시패널(18)을 관통하는 개소에는 개구(27)가 형성되고, 이 개구(27)를 덮어 폐쇄하도록 해서 탄성체,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커버(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60)의 중앙부이고, 중간샤프트(16)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중간샤프트(16)를 회전지지하는 볼베어링(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볼베어링(28)은, 원환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리테이너(61)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61)는 볼베어린(28)을 유지하는것으로서, 상부가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3개의 돌기형상부분을 가진 통형상을 이루고, 하부이고 볼베어링(28)과 직접 유지하는 부분은 원형의 통형상을 이루고, 하단부는 중간샤프트(16)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된 밑바닥부를 이루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이 리테이너(61)의 옆둘레면부는, 제2도에 그 단면을 표시한 바와 같이 커버(60)의 일부가 통형상으로 덮은 상태로 되어 있어서, 상단부에 가까운 옆둘레면부에는, 플랜지형상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61)부분을 덮는 커버(60)를 개재해서, 볼베이링(28)의 자동차의 후방쪽에 상당하는 부분이 제1브래킷(30)에 의해, 볼베이링(28)의 자동차의 전방쪽에 상당하는 부분이 제2브래킷(32)에 의해 끼우도록 유지되고, 이들 브래킷은, 볼트죔에 의한 고정부와, 걸어맞춤구멍과 걸어맞춤클릭과의 걸어맞춤부의, 2개에 의해서, 상호장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마치 커버(60)를 개재해서만이 리테이너(61)는 대시패널(18)에 유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는 그렇지 않고, 커버(60)는 탄성체로서, 리테이너(61)를 대시패널(18)에 유지할 정도의 강도는 없으며, 제1브래킷(30)이 대시패널(18)에 고정되므로써, 리테이너(61)는 대시패널(18)에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브래킷(30)은, 볼베어링(28)의 바깥둘레를 따르는 반원호형상부(34)가 본체(35)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원호형상부(34)의 일단부에는 걸어맞춤구멍(44)이, 또 타단부에는 삽통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35)에는 상기 삽통구멍(46)에 인접해서 제1장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35)에는 보조판(37)이 용접되어 있으며, 반원호형상부(34)를 끼워서 제1장착부(36)와는 반대쪽에 제2장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장착부(36),(38)에는 장착구멍(40),(42)이 형성되어 있다.
제5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브래킷(32)는, 볼베어링(28)의 바깥둘레를 따르는 반원호형상부(48)를 가지고 구성되고, 반원호형상부(48)의 일단부에는 제1브래킷(30)의 걸어맞춤구멍(44)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클릭(5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1브래킷(30)의 삽통구멍(46)을 삽통하는 볼트(52)가 용접되어 있다. 또, 반원호형상부(48) 및 걸어맞춤클릭(50)의 폭, 즉, 중간샤프트(16)의 긴쪽방향상에서의 길이는, 볼트(52)가 용접된 기부(基部)(53)나 제1브래킷(30)의 반원호형상부(34)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클릭(50)의 선단모서리부에는 모때기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32)에 의한 베어링(28)의 장착상태를 제7도에 표시한다. 제1브래킷(30)은 장착구멍(40),(42)을 삽통하는 볼트(54),(56)에 의해 대시패널(18)쪽에 고정되어 있다. 제1브래킷(30)의 반원호형상부(34)는, 볼베어링(28)의 바깥둘레의 대략뒤절반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걸어맞춤구멍(44)쪽의 끝부분은 앞쪽으로 치우쳐 있다. 또, 제2브래킷(32)은, 걸어맞춤클릭(50)을 제1브래킷(30)의 걸어맞춤구멍(44)에 걸어맞춤시켜서 반원호형상부(48) 에서 볼베어링(28)의 바깥둘레의 대략앞절반부분을 지지하는 동시에, 삽통구멍(46)을 삽통한 볼트(52)에 너트(62)가 나사맞춤되어서 제1브래킷(30)에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62)를 꼭죄므로써,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32)과의 사이에 볼베어링(28)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32)이 커버(60)를 개재해서 볼베어링(28)을 지지할때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는, 제1브래킷(30)에 대해서는 삽통구멍(46)과 걸어맞춤구멍(44)이고, 제2브래킷(32)에 대해서는 볼트(52)와 걸어맞춤클릭(50)이고, 이들위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볼베어링(28)의 부위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다. 제1브래킷(30)이 대시패널(18)쪽에 장착되기 때문에 볼베어링(28)이 대시패널(18)쪽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32)과의 사이의 걸어맞춤부분은, 차량충돌시의 대시패널(18)의 후퇴에 따른 하중을 받으면 상기 걸어맞춤이 풀어지는 정도의 걸어맞춤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충돌시(1차충돌시)에 대시패널(18)이 자동차후방쪽으로 후퇴하면, 대시패널(18)쪽에 볼트결합된 제1브래킷(30)도 대시패널(18)과 함께 후퇴하려고 한다. 또, 제2브래킷(32)은 제1브래킷(30)에 볼트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후퇴하려고 하나, 제2브래킷(32)의 후방에는 볼베어링(28) 및 중간샤프트(16)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2브래킷의 후방이동은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32)과의 걸어맞춤부분에 인장력이 작용해서, 제2브래킷(32)이 변형하므로써 걸어맞춤구멍(44)과 걸어맞춤클릭(50)과의 걸어맞춤이 풀어지고(제7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한 상태), 중간샤프트(16)를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28)의 차체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에 충돌(2차충돌시)해서 스티어링 콜럼(2)이 충돌흡수기능을 발휘할때에, 베어링(28)이나 각 브래킷(30),(32)이 스티어링샤프트(6)나 스티어링콜럼(2)의 변위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충돌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반원호형상부(48) 및 걸어맞춤클릭(50)의 폭은, 제1브래킷(30)의 반원호형상부(34) 쪽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제2브래킷이 용이하게 변형하고, 또한 걸어맞춤클릭(50)에 모때기가공을 실시하고 있으므로써, 상기 걸어맞춤을 푸는 확실성을 높게할 수 있다.
또, 볼베어링(28), 분할구성의 제1 및 제2브래킷(30),(32)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볼베어링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도 간단하게 된다.
이상의 예에서, 볼베어링(28)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양쪽이 크로스조인트(14), (20)에 의해서 연결된 중간샤프트(16)를 지지하는 경우와 같이, 샤프트의 회전에 있어서 요동하는 것에 대하서도 확실한 지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들면, 제1도에 표시한 예에 있어서, 스티어링샤프트(6)와 중간샤프트(16)에 대신해서 직선형상의 1개의 샤프트를 설치하고, 이 샤프트대시패널(18)의 부위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경우에는, 크로스조인트의 사용개소가 감소되므로, 회전에 있어서의 요동은 거의 없어지고, 따라서, 볼베어링(28)에 대신해서, 통형상으로 형성한 탄성고무, 예를 들면 에틸렐프로필렌고무르르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샤프트가 관통하는 대시패널(18)의 부분에 형성한 개구, 이 개구는 자동차충돌시에 있어서의 샤프트의 변위량을 확보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가진 것이나, 이 개구를 페색하는 수단으로서 탄송고무에 의한 커버(60)를 설치하고 있었으나, 차음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커버(60)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로부터 커버(60)를 삭제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리테이너(61)를 직접, 제1브래킷(30), 제2브래킷(32)에 의해 유지하게 된다. 리테이너(61)는 마치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는 그렇지 않고, 제2도에 있어서의 예와 마탄가지로 제1브래킷(30)을 개재해서 대시패널(18)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하동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걸어맞춤부에 소정이상의 하중으로 파괴되는 수지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이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19)

  1. 대시패널을 관통해서 일단부쪽이 스티어링휘일에 연결되고, 타단부쪽이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샤프트를 가진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대시패널에 장착하는 베어링부재를 가지고 있고, 이 베어링부재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상기 샤프트의 상기 대시패널에 대한 장착이 해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재는,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동시에 대시패널에 장착되는 브래킷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브래킷의 자동차전방쪽에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대시패널과 샤프트와의 상대변위에 의해 대시패널에 대한 베어링의 지지를 해제하는 변형가능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브래킷은, 대시패널에 장착되는 동시에 베어링의 자동차후방쪽의 부분을 지지하는 제1브패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의 자동차전방쪽의 부분을 지지하는 제2브래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의 상기 제1브래킷에의 장착이 해제되므로써, 샤프트의 대시패널에의 장착이 해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베어링을 지지할때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상기 베어링의 부위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제2브래킷에 대한 샤프트긴쪽방향상에서의 치수가, 제1브래킷에 대한 샤프트의 긴쪽방향상에서의 치수보다 작게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과의 이들 브래킷상호의 장착개소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베어링을 사이로 한 한쪽편에 1개소, 다른쪽편에 1개소의 합계 2개소이고, 상기 임의의 1개소에 대해서는 볼트죔에 의한 장착이고, 다른 1개소에 대해서는 한쪽의 브래킷을 다른쪽의 브래킷에 걸어맞춤시킨 장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걸어맞춤은, 제1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과, 제2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클릭과의 짜맞춤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베어링은 볼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상단부에 스티어링휠을 가진 제1샤프트와, 하단부가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제3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와 상기 제3샤프트의 상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어서 볼베어링과 브래킷에 의해 대시패널에 지지되어 있는 제2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재는,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탄성고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3.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재는,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5. 대시패널을 관통해서 일단부쪽이 스티어링휠에 연결되고, 타단부쪽이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샤프트를 가진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시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해서 상기 대시패널에 장착되어 있어서, 중앙부에 구멍을 가진 탄성체의 커버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휠과 상기 스티어링기어박스를 연결하는 샤프트와, 상기 구멍을 폐색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대시패널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의 자동차후방쪽을 지지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걸어맞춤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베어링의 자동차전방쪽을 지지하고 있는 제2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의 부위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변형하는 부분을 가지고, 이 변형에 의해서 상기 볼베어링의 지지를 상기 샤프트와 함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상단부에 스티어링휠을 가진 제1샤프트와, 하단부가 유니버셜조인트를 개재해서 스티어링기어박스에 연결된 제3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부와 상기 제3샤프트의 상단부에 유니버설조인트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어서 볼베어링과 브래킷에 의해 대시패널에 지지되어 있는 제2샤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볼베어링은 원환(円環)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의 상기 볼베어링지지부는 다같이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원호형상의 부분에 의해서 상기 볼베어링의 외주를 지지하고 있고, 제2브래킷에 대해서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이고 볼베어링을 사이로 한 한쪽편에 볼트죔 에 의한 장착이 이루어지고, 다른쪽편에 대해서는 걸어맞춤에 의한 장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걸어맞춤은, 제1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과, 제2브래킷에 형성된 걸어맞춤클릭과의 짜맞춤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제1샤프트와 스티어링콜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또는, 상기 스티어링콜럼과 콜럼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또는 샤프트자체에 설치하는 충격흡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KR1019950010957A 1994-05-10 1995-05-04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KR0162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0644 1994-05-10
JP6120644A JP3052731B2 (ja) 1994-05-10 1994-05-10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59A KR950031759A (ko) 1995-12-20
KR0162689B1 true KR0162689B1 (ko) 1998-12-01

Family

ID=1479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957A KR0162689B1 (ko) 1994-05-10 1995-05-04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26364A (ko)
JP (1) JP3052731B2 (ko)
KR (1) KR0162689B1 (ko)
DE (1) DE1951710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311A (ja) * 1995-11-24 1997-06-03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JP3468711B2 (ja) * 1999-02-18 2003-11-17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衝撃吸収装置
US6170873B1 (en) * 1999-03-29 2001-01-0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mounting bracket with pull loops
GB2368819B (en) * 2000-11-08 2003-10-29 Nastech Europ Ltd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WO2002053445A2 (en) * 2001-01-02 2002-07-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lastic metal hybrid steering colum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A87808C2 (ru) * 2002-07-29 2009-08-25 Монсанто Текнолоджи, Ллс Зерновые растения pv-zmir13 (mon863) и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обнаружения
US7347451B2 (en) * 2004-12-16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Pre-crash column release
EP1808364B1 (en) * 2006-01-16 2011-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interior structure
DE102006019576B4 (de) * 2006-04-27 2008-08-28 Daimler Ag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Lageranordnung
DE102006019574A1 (de) * 2006-04-27 2007-11-08 Daimlerchrysler Ag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08039827B4 (de) * 2008-08-27 2014-01-09 Kart-Tec Ltd. & Co. Kg Sicherheitslenksäule für ein Fahrzeug
CN104010920B (zh) * 2011-12-21 2016-06-15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转向装置
JP6459423B2 (ja) * 2014-11-17 2019-01-30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800A (en) * 1966-12-02 1969-07-29 Nissan Motor Impact absorbable steering assembly
GB1163861A (en) * 1967-03-03 1969-09-10 Ford Motor Co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ies
US3827710A (en) * 1973-06-25 1974-08-06 Gen Motors Corp Vehicle steering column installation
JPS5941895Y2 (ja) * 1979-02-14 1984-12-04 マツダ株式会社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DE2922032C2 (de) * 1979-02-26 1985-05-15 Toyota Jidosha Kogyo K.K., Toyota, Aichi Lagerung für eine in einem Mantelrohr einer Lenksäule für Kraftfahrzeuge angeordnete Lenkspindel
DE3923982A1 (de) * 1989-07-20 1991-02-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nergieabsorbierende einrichtung an der lenk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H04108482U (ja) * 1991-03-06 1992-09-1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17105A1 (de) 1995-11-16
JP3052731B2 (ja) 2000-06-19
JPH07304459A (ja) 1995-11-21
KR950031759A (ko) 1995-12-20
DE19517105C2 (de) 2003-06-12
US5626364A (en) 1997-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68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
US4655475A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US20070080531A1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of vehicle
JPH0443419Y2 (ko)
JP5055891B2 (ja) ステアリングラック取付構造
JPH02200570A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JP3899809B2 (ja) ステアリングのモータ保持構造
KR013632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JPS6036509Y2 (ja) 衝撃エネルギ−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43949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
KR015017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착구조
JP2842080B2 (ja) 自動車用強度部材取付け構造
KR19990010486U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어셈블리
KR0129054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스티어링 꺽임방지대
KR19980067145A (ko) 자동차의 충격흡수형 편심 조향축 장치
KR10058918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로어브라켓트 구조
JP31106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154591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JPH0331664Y2 (ko)
KR100361685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US6290396B1 (en) Steering assembly having a deformable sleeve bearing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KR10114266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700790B1 (ko) 램프 브라켓이 장착된 조향 칼럼
KR200147442Y1 (ko) 자동차 스티어링칼럼용 실린더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